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of Racial/Ethnic Segregation in U.S. Cities

        정수열 국토지리학회 2009 국토지리학회지 Vol.43 No.4

        In an effort to understand intra-urban segregation changes, the existing researches focus on spatial pattern only. This paper examines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of clustering/segregation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three racial/ethnic segregation frameworks - spatial assimilation, place stratification, and resurgent ethnicity. The examination refers to the four major racial/ethnic groups - African American, Asian, Caucasian, and Hispanic - in the Columbus Ohio MSA, 1990 and 2000. The researcher performed zero-order correlation analyse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of the level of racial/ethnic clustering/segregation on the set of socio-economic variables that reflects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The overall findings support resurgent ethnicity as the most relevant of the three frameworks. Unveiling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of racial/ethnic clustering/segregation allows us to make a thorough evaluation of the segregation frameworks and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underlying processes in the current U.S. racial/ethnic geography.

      • KCI등재

        이주 경로를 통해 살펴본 출신국가별 외국인 집중거주지의 발달 과정- 서울시 대림동 소재 중국 국적 이주민을 사례로 -

        정수열,이정현 국토지리학회 2014 국토지리학회지 Vol.48 No.1

        The recent dramatic growth in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have a particular same nationality and stay for a long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foreigners’ residential concentrations by nationality in Korean cities. Existing literature fell short showing the mechanism of the developmen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process of migration to the residential concentrations through survey. A case study is conducted with Chinese citizens in Daelim-dong at Seoul. Chinese occupy the largest proportion among foreigners in Korea and Daelim-dong as one of their residential concentrations has grown very rapidly. The results show five paths of migration depending on the main goal of migration to Korea. The major contributions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role of the residential concentrations on the international migration and to evaluate the perspectives about the driving forces of foreigners’ residential concentration by nationality. 최근 장기 체류하는 외국인의 규모가 급속히 증가하고 몇몇 소수 국적에 편중됨에 따라 특정 국가 출신 외국인의 집중거주지가 가시적으로 형성되고 성장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기존에 외국인 집중거주지 혹은 거리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 이루어졌으나 특정 국가 출신 외국인의 집중거주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대림동으로의 중국 국적인의 이주 과정을 유형화하여 이주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국내 출신국가별 외국인 집중거주지의 발달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 대상 집단으로 국내 장기 체류 외국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국적 이주민이 선택되었다. 사례지역으로는 이들 중국 국적인이 2000년 이후 대거 유입되면서 형성된 외국인 집중거주지 중 하나인 서울시 대림동이 선택되었다. 본 연구는 국제이주 이론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던 흡인국 내 외국인 집중거주지가 국제이주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함은 물론 외국인 집중거주지의 형성요인으로 주목되는 사회경제적 제약과 동족 단합에 대한 현실 부합성을 점검하였다는 데 학술적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 외국인의 이주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국토 공간의 다문화 양상을 점쳐 본다는 데 사회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화교의 다중 정체성 저글링

        정수열 국토지리학회 2019 국토지리학회지 Vol.53 No.1

        1990년대 이후 외국인이 급격히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장기 체류하면서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전환하고 있다. 다문화사회로서 한국사회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구상하고 사회통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는 130여년 넘게 일상을 공유하는 가까운 이웃으로 거주하면서도 각종 차별과 배제를 받는 종족 소수자로 살아온 한국화교를 대상으로 이들의 생존과 번영 전략을 살펴보았다. 우선 한화가 산둥 지역 출신, 중국 혈통, 대만 국적, 한국 거주라는 다중 정체성을 가지고 되는 과정을 사적으로 고찰한다. 차별을 회피하거나 사회경제적 지위를 향상하기 위해 한화가 자신의 정체성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드러내거나 감추는 정체성 저글링(identity juggling)을 하는 모습을 삼도업을 중심으로 한 자영업 집중, 화교학교와 대만 국적성을 활용한 교육자본 축적, 그리고 집중거주지를 둘러싼 혼종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Since after 1990s,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dramatically increasing foreigners, turn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Noting that Overseas Chinese in Korea have lived as not only a close neighbor who shares daily life for more than 130 years, but also an ethnic minority who receive various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ir strategies of survival and prosperity. Overseas Chinese in Korea have multiple identities: Shandong origin, Chinese descent, Taiwan nationality, and Korean culture. By analysing their tendency toward self-employment in some selected sector, schooling/college education, and residential (re)concentration, it found that Overseas Chinese do identity juggling that selectively reveals or hides parts of his multi-identities to avoid discrimination/exclusion and/or to improve socio-economic status.

      • 환경, 전략, 조직구조간의 적합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수열,서승범,임성준 한국경영학회 2007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07 No.8

        본 논문은 국내기업의 경쟁전략, 경영환경 및 조직구조간의 관계와 이들 요인 간 상호 적합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27개 산업의 387개 기업을 대상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국내 기업들은 대체로 상황이론의 예측과 부합되게 경영환경에 적합한 경쟁전략과 조직구조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이론의 예측가는 달리, 국내 기업들의 경쟁전략과 조직구조 사이의 적합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고성과 집단과 저성과 집단으로 표본을 구분하여 경쟁전략과 조직구조, 경쟁전략과 경영환경, 경영환경과 조직구조, 그리고 경영환경, 경쟁전략, 조직구조의 통합적 적합성을 살펴 본 결과, 모든 적합성이 고성과 집단에서 저성과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연구결과는 경영환경과 경쟁전략, 경영환경과 조직구조, 경쟁전략과 조직구조, 경영환경과 경쟁전략 및 조직구조의 적합성이 성과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국내 저출산의 원인에 대한 논의와 쟁점: 지리학적 접근을 위한 소고

        정수열 국토지리학회 2013 국토지리학회지 Vol.47 No.2

        Korean fertility has dropped sharply since 1970s and remains low now, entailing in a lot of societal concerns and discussion. This research aims at reviewing the academic discussion and issues about the causes of fertility transition and low-fertility and arguing the importance of the geographic approach to them. To begin with, it emphasizes the level of fertility is determined by not only biological factors but also social factors. Concerning to the low-fertility in today’s Korea, it identifies five social factors, their interaction and impacts on fertility. They are income, education, female participation to economic activities, expense of raising children and gender equality. Based on two theoretical frameworks about fertility transition - supply-demand framework and innovation/diffusion framework - the research evaluates the previous discussion with the five social factors. The paper ends with limitation of the existing literatures and a proposal for a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low-fertility. 1970년대 이후 급속한 출산력 저하에 따른 현재의 낮은 출산력은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기존 논의를 살펴보고 지리학적 접근의 필요성과 그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출산은 생물학적 요인 외에도 사회적 요인에 의해 결정됨을 확인한다. 국내 저출산 관련 기존 연구가 지목하고 있는 사회적 요인들인 소득 수준, 교육 수준,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맞벌이, 양육비용, 양성 평등 등을 살펴본다. 각 요인들이 출산력에 대해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도 살펴보고 여전히 논란의 소지가 있는 쟁점들을 정리한다. 출산 변천에 관한 이론인 수요-공급이론, 혁신/확산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저출산 논의를 재조명한다. 끝으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지리학적 접근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이민자의 주거 집중이 자영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수열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1

        Despite entrepreneurship‘s importance as means by which immigrants improve economic status, there is wide variation in the self-employment rate across nationalities.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at determines the immigrants‘ entrepreneurship. Particularly, it focuses the role of ethnic enclave that is believed to increase self-employment rate by providing ethnic market and reliable labor. The case study of Asian Indians, Chinese, and Korean immigrants in U.S. cities utilizing 2000 Public Use Microdata Samples 5% revealed age, sex, cohort, and English fluency influence the probability of self-employment. But, the impact of ethnic enclave is not clear, suggesting that the future study needs to consider inter-urban differences in immigration history. 이민자의 사업가로서 활동은 이민국에서 생존과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하지만 이민자 사업 활동의 척도인 자영업 비율은 출신국가 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여 그 원인에 대해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본 연구는 이민자 사업 활동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한다. 특히 도시불평등을 낳는 문제로 여겨지는 이민자의 주거 집중 즉 거주지 분화가 자영업을 활성화하는데 보탬이 된다는 소수민족 집단거주지 경제론 (enclave economy framework)에 주목하여 그 현실 부합성을 가늠하고자 했다. 2000년 Public Use Microdata Set 5%를 활용하여 미국 도시에 거주하는 인도, 중국, 그리고 한국 출신 이민자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령, 성, 동료집단, 그리고 언어능력이 이민자의 사업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 졌으나 주거 집중의 영향은 단정지울 수 없었다. 이는 도시 별로 각기 다른 이주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되며 이를 향후 연구 과제로 남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