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담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보미(Bo Mi Jeong),노윤구(Yoon Goo Noh)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022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Vol.31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mong physician assistant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46 physician assistant nurses working at two university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September 31, 2020 and analyzed through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version 26.0. Results: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were self-leadership (β=.30, p=.003), “less than 1 year of experience as a physician assistant nurse” (β=.27, p=.025), and emotional intelligence (β=.25, p=.007),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34.4% (F=6.03, p<.001). Conclusion: Our study shows that self-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job satisfaction of physician assistant nurses; thus, strengthening these two factors is crucial to improve the nurses’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enhance job satisfaction among physician assistant nurses.

      • KCI등재

        고전 국문 장편 소설 교육을 위한 장르 지식 연구 -<소현성록>의 ‘사용역(register)’ 분석을 중심으로-

        정보미 ( Jeong Bo-mi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7 고전문학과 교육 Vol.34 No.-

        이 연구는 고전 국문 장편 소설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장르 지식을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르 지식은 개별 작품의 특성을 유적 특성에 대한 앎에 기초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사회 맥락에 관한 정보와 유기적으로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분량이 길고 작품들 간 내용이 유사한 고전 국문 장편 소설이 장르 지식을 토대로 이해하기에 적합한 텍스트라고 보고, 대표적인 작품인 <소현성록>의 ‘사용역(register)’을 분석하여 고전 국문 장편 소설의 장르 지식을 마련하는 데 기초로 삼고자 하였다. ‘사용역’은 시드니 학파에서 장르와 언어를 연결하는 매개로 설정한 개념으로, 사회 맥락(social context) 차원에서는 ‘장(field)’, ‘주체(tenor)’, ‘양식(mode)’으로 구성되고 언어 층위에서는 각각 ‘관념적 의미(ideational meaning)’, ‘상호작용적 의미(interpersonal meaning)’, ‘텍스트적 의미(textual meaning)’를 실현한다. ‘관념적 의미’는 ‘관념화(ideation)’와 ‘접속사(conjunction)’에서, ‘상호작용적 의미’는 ‘평가(appraisal)’와 ‘협상(negotiation)’에서, ‘텍스트적 의미’는 ‘식별 (identification)’과 ‘주기성(periodicity)’에서 도출되는데, 이들은 각각 경험의 언어화 방식, 참여자 간의 관계, 텍스트의 구성 방식을 알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틀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소현성록>의 언어적 특징에서 ‘인간의 감정과 욕망에 대한 폭넓은 수용, 그리고 그것이 최종적으로는 규범에 포섭되기를 꾸준히 기다리는 태도’가 나타남을 밝혔다. <소현성록>과 같은 고전 국문 장편 소설은 규범을 온전히 준수하지는 못하더라도 악인으로 전락하지는 않는 인물의 모습을 충실히 그려냄으로써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속에서 가(家)를 이루는 구성원들에게 생생한 공감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는 고전 국문 장편 소설의 이데올로기적 함의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장르 지식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genre knowledge that can be used to study classical Korean novels. Genre knowledge is important because it characterizes individual works based on their knowledge, as well as organically links them with the social context. In this study, I suggest that long classical Korean novels with similar contents can be analyzed using genre knowledge and analyze the “register” of the representative work Sohyeonsungrok as an example of a classical Korean novel. In the Sydney school, register connects genre and language. Register comprises field, tenor, and mode in the social context, and ideological meaning, interpersonal meaning, and textual meaning through language. These three meanings help us to understand how experiences are transformed into languag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and the way a text is organized. Based on these framework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linguistic features of Sohyeonsungrok is “an attitude that accepts a wide range of human emotions and desires and steadily waits for it to be included in norms.” Classic Korean novels such as Sohyeonsungrok depict characters who are not wicked even though they cannot fully comply with social norms, and thereby create sympathy for family members living through Confucian ideology. This genre knowledge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ideological implications of classical Korean novels.

      • KCI등재

        영아기 첫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교육 경험 및 요구

        정보미 ( Jeong Bo Mi ),김낙흥 ( Kim Nak He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첫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교육에 대한 경험 및 요구를 파악하는데 있다. 자료수집을 위해 2012년 6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서울과 경기 지역에 있는 어린이집과 은행, 공공기관에 연구대상을 의뢰하여 연구 참여를 희망하는 0세 - 만 2세 영아를 첫 자녀로 두고있는 맞벌이 부부 200쌍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메일, 서면, 우편으로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173쌍의 설문지가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부모교육 경험에서 맞벌이 부부는 전문강사에 의한 강의에 가장 많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발달에 관한 지식과 정보에 관한 내용을 가장 많이 교육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 교육방법에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자녀의 출생순위와 연령에 특화된 부모교육을 필요로 하며 오프라인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또한 부모교육 장소로 자녀가 다니는 유아교육기관을 선호하였으며, 강의 및 강연 형태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셋째, 부모교육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자녀와 효과적인 대화 및 상호작용, 영아의 질병 및 아플 때 간호 방법, 올바른 식생활습관, 영아의 성격과 사회성발달 등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at looking at the perceptions of double-income parents who have the first child in infancy on their parent education status and needs. To perform this study, 200 pairs of working couples who have 0~2 year old infants were selected. From June 2012 to October 201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the nursery, workplace, working mom``s cafes.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mail, in writing, or e-mail. 173 pairs of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for the final stud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using SPSSWIN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experiences of parent education, most of the parents participated in instructor-led lectures, and the most common content of parent education was o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infant development.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ents wanted a customized parent education considering children’s birth order and age. Also, there was a higher demand on participating in off line education and education in child-care centers. Third, the results found out that the parents highly required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the effec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how to take care of infant’s sickness and illness, infant’s proper eating habit, and infant’s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 KCI등재

        <구운몽>을 통해 본 메타버스 시대의 지혜

        정보미 ( Jeong Bo-mi ) 우리어문학회 2024 우리어문연구 Vol.78 No.-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 각광을 받았던 ‘메타버스’는 엔데믹 이후 활력을 잃긴 했으나, 실제 세계와 연결되면서도 인간의 인지적, 감각적 한계를 극복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대면 소통이 제약되는 상황이 되면 언제든 대안 공간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그렇기에 메타버스에 대한 낙관론과 비관론을 검토하고 이에 임하는 지혜를 모색하는 것은 여전히 유효한 과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주체적으로 메타버스를 향유하기 위해 유희적 기능보다 성찰적 기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고, 메타버스에서의 경험이 ‘유사 체험’의 성격과 ‘능동적 수동성’의 성격을 띤다는 점을 통찰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점을 고전소설 <구운몽>에서 주인공 ‘성진’과 ‘양소유’가 세계를 경험하는 모습에 비추어 살필 수 있음을 논하였다. 메타버스를 비롯한 가상 세계에 임하는 데 필요한 인식적 태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구운몽>의 현재적 가치를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Metaverse', which was in the spotlight during the Corona Pandemic era, has lost vitality since the pandemic, but it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whenever face-to-face communication is restricted in that it allows people to overcome cognitive and sensory limitations while connecting with the real world. Therefore, examining the optimism and pessimism about the metaverse and seeking wisdom to deal with it is still a valid task. This study argued that the focus should be on reflective functions rather than playful functions in order to independently enjoy the metaverse, and revealed that experiences in the metaverse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seudo-embodiment' and 'active passivity'. These were applied to analyze the way the main characters ‘Seongjin’ and ‘Yang So-yu’ experience the world in the classic novel < Goowoonmong >. The current value of < Goowoonmong > can be confirmed again in that it shows the cognitive attitude necessary to engage with the virtual world, including the metavers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 후기 `젠더(gender)` 규범의 소설적 형상화와 교육적 의미 -<창선감의록>을 중심으로-

        정보미 ( Jeong Bo-mi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4

        본고는 조선 후기 `젠더(gender)` 규범에 비추어 <창선감의록>의 남녀 인물형상을 분석하고 그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 후기 젠더 규범은 성리학의 교조화로 인해 성 역할을 한층 더 고정된 것으로 보았으며, 남성은 `군자형`, 여성은 `요조숙녀형` 인물을 이상적으로 보았다. 그런데 이에 비추어 <창선감의록>에서 이상적으로 평가되는 인물들을 살펴보면 `군자`와 `요조숙녀`에 완전히 부합하지 않는 행위를 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군자`와 `요조숙녀`를 지향하는 인물로 형상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창선감의록>과 같은 소설은 규범이 규정하는 형상을 고정된 형태로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서사 논리에 부합하는 범위 내에서 굴절함으로써 규범 이행의 가능범위를 넓혔다. 이와 같이 젠더 규범에 비추어 소설을 이해할 때 학습자는 규범성과 흥미가 공존하는 원리를 이해할 수 있고, 과거와 현재의 젠더관이 연속되고 불연속되는 측면에 대해 주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le and female figures of Changseongamuirok through “gender” norm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o clarify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m. The gender norm of the late Joseon dynasty seemed more stable under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Thus, the ideal type of men is “Gunja”, and that of women is “Yojosooknyeo”. In Changseongamuirok, however, Hwa Jin and Yoon Yeo-ok are considered as persons aiming at “Gunja”, and Yoon Ok-hwa, Nam Chae-bong and Jin Chae-kyung aiming at “Yojosooknyeo”, even if they don`t comply with. Novels like Changseongamuirok don`t reproduce the fixed form prescribed by the norm, but transform within the scope consistent with the logic of narrative, thereby widening the scope of norms fulfillment. In this way, when the novel is understood through the gender norms, learners can grasp the principle of coexistence of norm and interest in the novel, and understand subjectively the continuing and discontinuing aspects of the past and present gender notion.

      • KCI등재

        고전문학 기반 문화콘텐츠의 가치화 양상 변화와 문학교육 - <심청전>과 희곡 <심봉사>, <달아 달아 밝은 달아>를 중심으로

        정보미 ( Jeong¸ Bo-mi ) 한국문학언어학회 2021 어문론총 Vol.89 No.-

        본 연구는 고전문학 교육의 제재나 참고자료로 활발하게 활용되는 문화콘텐츠를 그것이 기반으로 하는 원전과의 관계 속에서 평가할 때의 기준으로 ‘가치화 양상’을 살필 것을 제안하였다. 현대에 재창작된 고전문학 기반의 문화콘텐츠는 과거의 시각을 오늘날의 시각으로 극복하려는 시도이기에, 전통 사회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과 반성의 메시지를 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원전이 담지하는 가치에 대해 ‘내용’에 입각하여 달라진 점을 따지는 것은 피상적인 논의에 그치기 쉬우므로, 본 연구에서는 가치에 대한 ‘태도’까지 포착할 수 있는 ‘가치화 양상’을 종합적인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효’를 핵심 가치로 삼은 <심청전>과 이를 콘텐츠화한 채만식의 희곡 <심봉사>, 최인훈의 <달아 달아 밝은 달아>를 비교해 보았다. 가치의 내용에 주목하면 <심봉사>와 <달아 달아 밝은 달아>는 모두 심청의 ‘효’가 더 이상 파급력 있는 가치가 아니라는 부정적 인식을 담고 있다는 분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가치화 양상을 중심으로 가치에 대한 태도까지 분석할 경우, 채만식의 <심봉사>는 주체 우위의 가치화 양상이, 최인훈의 <달아 달아 밝은 달아>에서는 규범 우위의 가치화 양상이 드러나 ‘효’가 자족적 차원에 머무르는지, 아니면 허울뿐인 규범으로만 남는지를 가릴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콘텐츠마다 각기 다른 문제의식과 응답이 드러남을 선명하게 비교하기 위해서는 표면적인 변화 양상뿐 아니라 ‘가치화 양상’이라는 심층적인 기준도 살펴 더 풍부한 논의의 기초 자료로 삼을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spects of valuing’ in cultural contents being actively adopted as the materials or reference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examin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when they are taught within the relationship with the originals they are grounded on. As classical literature-based cultural contents re-created in this age is the attempt to overcome perspectives in the past with today’s, it tends to contain the messages of criticism and reflection towards the ideology of traditional society. It can merely turn out to be superficial discussion to point out what have been changed about the value contained in the original only centering around ‘contents’, however, this researcher has regarded that ‘the aspects of valuing’ from which we can capture even ‘attitudes’ towards the value can be used as general indexes. To understand that, this study has compared Simcheong-jeon taking ‘hyo (孝; filial piety)’ as its core value with Chae Man-sik’s drama Simbongsa and Choi In-hun’s Moon, Moon, Bright Moon adopting the contents of it.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value, we can analyze that both Simbongsa and Moon, Moon, Bright Moon have negative recognition that Simcheong’s ‘hyo’ can no longer be the value equipped with far-reaching power. When the aspects of valuing are mainly examined along with attitudes towards the value, however, the aspects of self-dominating value is found in Chae Man-sik’s Simbongsa and those of norm-dominating value in Choi In-hun’s Moon, Moon, Bright Moon. It means that we can distinguish if ‘hyo’ remains either in the self-sufficient dimension or just as specious norms. As written above, to compare clearly the contents revealing distinct critical minds and responses from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not only the aspects of superficial changes but ‘the aspects of valuing’, the profound criteria, too, so as to take them as foundational materials for even richer discussion.

      • KCI등재후보

        아건강 (亞健康) 고령 소비자를 위한 치유식 앱 개발의 중요성

        박동삼,주현목,정보미,권기한,Park, Dong Sam,Ju, Hyun-Mok,Jeong, Bo Mi,Kwon, Ki Han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17 스마트미디어저널 Vol.6 No.1

        아건강 (亞健康)은 확실한 병의 (病義)를 밝히기는 힘드나 병의 증상이 있는 경우를 이야기 한다. 아건강 환자들을 치료는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아트테라피 (Art Therapy)의 일종인 푸드아트테라피 (Food Art Therapy)로 중재가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푸드아트테라피는 치료 효과가 있다고 여겨지는 재료를 통해 음식을 만들고 섭취함으로서 심리적 안정감을 가져다주고 질병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고령층도 스마트폰 보급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스마트폰을 적절히 활용 할 수 있는 앱의 활용도는 매우 낮다. 이에 고령층 아건강 환자들이 자신의 질병을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고전 의료 서적에서 발췌한 약재를 소개하는 앱개발의 중요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전통 약재 중 식물성 약초만을 선별하여 직접 음식을 만들고 섭취 할 수 있게 하여 스스로의 자신감을 높이고 더불어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음식 섭취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edically Unexplained Symptoms (MUS) are cases of symptoms of the disease which are no reasons of cause of illness. The patients of MUS have been treated wit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od Art Therapy (FAT) is subtype of Art Therapy which is kind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he patients of MUS will be satisfied by preparing and untaking foods. Through development of smart phone, the supply of smart phone in older populations have dramatically increased. But, the use of a smart phone or a very low. The importance of smart phone application development will been introduced wild vegetables of Korean traditional medical book for elderly patients in MUS. The patients will be increased confidence by making foods and intakeing food will be effective to prevent the disease.

      • KCI등재

        영아반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실태와 교육 요구도

        국소영(so young Kook),정보미(bo mi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of infant class teachers for the operation of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effective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for infant classes and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Google Forms and written questionnaires from 230 infant class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Daejeon. Although 2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 total of 22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luding 8 of the written questionnaires that were insincerely answered. For data analysis, t-test and one-way-ANOVA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w,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variables using the SPSS 28.0 program. Result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was implemented by 95% of the respondents. The difficulty in practicing 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was due to the high ratio of teachers to children, and the ambiguous support and concept of teachers. 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education was recognized as necessary, and online education was preferred. For offline education, they wanted to invite ex-perts, and for online education, recorded lectures were the most preferred. As for educational content, there was a specific and practical play teaching method that supports play and learning, and a demand for support was for play media and play material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derive teacher education, support, and im-provements for the infant class 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and it is expected that the infant-centered and 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can be established. 목적 본 연구는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운영에 대한 영아반 교사의 운영실태,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영아반의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 및 교사교육의 방향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방법 서울, 경기, 대전 지역 중심으로 재직 중인 영아반 교사 230명 대상으로 구글 폼과 서면 질문지를 활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230부가 회수되었으나 서면 질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 8부를 제외하고, 총 222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빈도와 백분율, 변인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test, One-way-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운영실태는 응답자 95%가 실행하고 있었고, 놀이중심 보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한 어려움은 높은 교사 대 아동 비율, 교사의 개입과 지원 개념이 모호함으로 나타났다. 놀이중심 보육과정에 대한 교육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비대면 교육을 선호하였다. 대면 교육 시 전문가를 초청하는 원내 자체연수를 희망하였고, 비대면 교육 시에는 녹화된 강의를 가장 선호하였다. 교육내용으로는 놀이와 배움을 지원하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놀이교수법, 운영을 위한 지원은 놀이매체 및 지원자료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영아반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교육과 지원방안 및 개선점을 도출하고, 영아중심, 놀이중심 보육과정이 안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