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층적 자기조직화 분류기를 이용한 다수 음성자판의 생성과 레이블링

        정담,이기철,변영태,Chung, Dam,Lee, Kee-Cheol,Byun, Young-Tai 한국통신학회 199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1 No.3

        최근, 신경망 모델의 적응성과 학습성을 이용한 음성인식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신경망 모델로는 한국어 음성의 조음결합의 처리 및 유사 음소간의 경계 분류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한 개의 형상지도를 이용하는 경우 이질적인 음성자료의 처리를 위한 학습속도의 급격한 증가와 균일한 학습 및 판별방법의 적용이 갖는 부정확성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따라,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자기조직화 분류기(HSOC)를 이용한 신경망타자기를 설계하고, 관련 알고리즘들을 제안한다. 본 HSOC는 Kohonen의 자기조직화형상지도(SOFM)를 이용하여 학습시 입력되는 음소 데이타를 계층적인 구조를 갖는 다수의 형상 지도(map) 즉 음성자판에 배치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자판의 수효, 각 자판의 크기, 소속될 음소의 선택과 배치, 적합한 학습 및 인식기법의 자동 결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실험하여 자기조절식인 음성자판을 구성하였다. 자판을 분류하는 방식을 언어학적 사전지식에 의존할 경우 언어학적 지식의 습득과 적용방법(예를 들면, 확장 음소의 처리)등을 결정하는 어려움을 가지는 반면, 본 HSOC를 이용하면 주어진 입력 데이타에 적합한 다수의 음성자판을 자기 조절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안된 방식에 따라 최종 생성된 세 개의 한글 음성자판은 최적 자판과 최적 전처리기법을 갖추고있으며, 기존의 언어학적 지식과도 부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neural network-based speech recognition has been studied to utilize the adaptivity and learnability of neural network models. However, conventional neural network models have difficulty in the co-articulation processing and the boundary detection of similar phonmes of the Korean speech. Also, in case of using one phonotopic map, learning speed may dramatically increase and inaccuracies may be caused because homogeneous learning and recognition method should be applied for heterogenous data. Hence, in this paper, a neural net typewriter has been designed using a hierarchical self-organizing classifier(HSOC), and related algorithms are presented. This HSOC, during its learing stage, distributed phoneme data on hierarchically structured multiple phonotopic maps, using Kohonen's self-organizing feature maps(SOFM). Presented and experimented in this paper were the algorithms for deciding the number of maps, map sizes, the selection of phonemes and their placement per map, an approapriate learning and preprocessing method per map. If maps are divided according to a priorlinguistic knowledge, we would have difficulty in acquiring linguistic knowledge and how to alpply it(e.g., processing extended phonemes). Contrarily, our HSOC has an advantage that multiple phonotopic maps suitable for given input data are self-organizable. The resulting three korean phonotopic maps are optimally labelled and have their own optimal preprocessing schemes, and also confirm to the conventional linguistic knowledge.

      • KCI등재

        ‘-(으)ㅁ직하-’ 구성의 문법화 과정과 ‘-직하-’ 구성의 연관성 연구

        정담 한국문학언어학회 2022 어문론총 Vol.91 No.-

        본 연구는 ‘-(으)ㅁ직하-’ 구성의 문법화 과정의 시기 구분과 ‘-직하-’ 구성과의 연관성에 대해 살피고자 하였다. ‘-(으)ㅁ직하-’ 구성은 문법화의 과정을 겪으면서 시기에 따라 통사구조의 특성과 의미 기능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 구성의 문법화의 주된 방향성은 주관적 상태동사로의 파생접사화이다. 선행어근에 ‘-(으)ㅁ직하-’가 결합함으로써 화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나타내는 의미를 더한다. 이와 같은 의미 역시 ‘-(으)ㅁ직하-’ 구성의 변화에 따라 분화가 일어나게 된다. 다만 ‘-(으)ㅁ직하-’ 구성의 통시적 변화과정은 다양한 특징들이 공존하며 서서히 변화의 과정을 거친다는 특징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과정 속에서 ‘-(으)ㅁ직하-’ 구성이 나타내는 문법화의 특징들에 대하여 변별하고자 하였다. 또한, ‘-(으)ㅁ직하-’ 구성과 비슷한 형태와 표현의미를 지닌 ‘-직하-’ 구성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추측 관련 표현의 의미 추이를 바탕으로 그 연관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 KCI등재

        ‘-도다’의 의미기능에 대한 연구 - 19세기 『시편촬요』를 중심으로

        정담 한국문학언어학회 2024 어문론총 Vol.98 No.-

        본고는 현대국어의 감탄형 종결어미로 설명되는 ‘-도다’의 의미기능적인 측면에 대해 살피기 위하여 비교적 ‘-도다’의 사용이 생산적으로 이루어졌던 19세기 말의 『시편촬요』를 중심으로 그 특성에 대해 살펴보는 데에 주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시기 ‘-도다’의 활발한 사용은 당대의 문체적 특성과 많은 관련을 맺고 있다. 본고에서는 ‘-도다’가 지닌 확인의 기능을 중심으로 하여 『시편촬요』에서 나타나는 ‘-도다’의 분포 특성과 그 의미기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도다’는 언어표현의 의미와 관련하여 볼 때 해당 문장이 지닌 메시지의 정보구조와 많은 연관을 지니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관성을 바탕으로 하여 ‘-도다’의 의미구조까지 살피고자 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Sipyeonchwalyo』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use of '-doda' was relatively productive in relation to the semantic functional aspect of '-doda', which is described as an admiring ending of modern Korean. The active use of '-doda' during this period had a lot to do with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time. In this paper, the meaning function conveyed by '-doda'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doda' that appear in the 『Sipyeonchwalyo』, which focuses on the function of confirmation. In addition, the meaning of '-doda' in the 『Sipyeonchwalyo』 has a lot to do with the information structure of the message of the sentence in relation to the meaning of language expression, and on the premise of this structure, this paper tried to closely examine the meaning of '-doda'.

      • KCI등재

        『조선지지자료』에 나타난 지명어에 대한 고찰 - 보령 지역 지명어의 표기 양상을 중심으로

        정담 한국어문학회 2023 語文學 Vol.- No.160

        This paper aims to discover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 and characteristic elements as a dialect of Chungcheongnam-do, which can be found in modern geographical elements through the aspects of the notation of the Boryeong region shown in the Joseonjijijaryo . Joseonjijijaryo was prepar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11 on the names and support matters nationwide. The area targeted for this study is the current Boryeong area. The Boryeong area is recorded in Joseonjijijaryo by dividing it into three counties: Boryeong, Nampo, and Ocheon. Focusing on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se three county areas, we tried to analyze the non-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time and the dialect characteristics of the Boryeong area reflected in the geographical names. The vocabularies of geographical name of the Joseonjijijaryo in the Boryeong area reflect the appearance of the notation of the time, which wa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contents of the language norms of the time, and regarding dialect elements, we tried to examine them. 본고는 『조선지지자료』에 나타난 보령 지역의 지명어 표기의 양상을 통해 근대의 지명 요소에서 확인할 수 있는 당대의 표기사적 특징과 충청남도 방언으로서의 특징적인 요소를 발견하는 데에 주요한 목표를 두고 있다. 『조선지지자료』는 1911년 조선총독부에서 전국의 지명과 지지 사항에 대해 작성한 자료이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지역은 현재의 보령시 지역이다. 보령 지역은 『조선지지자료』에 보령, 남포, 오천의 3개 군으로 나누어 기록되어 있다. 이들 3개 군 지역의 지명어들을 중심으로 하여 당대의 표기사적 특징과 지명어 내에 반영되어 있는 보령 지역의 방언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보령 지역 『조선지지자료』의 지명어에는 당대의 표기법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는데 이를 당대 어문 규범의 내용과 관련지어 살펴보았으며, 방언 요소와 관련하여서는 지명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음운현상들을 중심으로 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