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지방정부 문화정책 추진역량 비교 연구: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퍼지셋 분석

        정다해(鄭多該),박나라(Park, Nara)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 지방정부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광역지방자치단체의 문화정책 추진역량을 연도별로 비교・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범위 사례를 유형화하고 소속 정도에 대한 차이를 평가할 수 있는 퍼지셋 질적비교분석(fs/QCA)과 퍼지셋 이상형분석(fuzzy-set ideal types analysis)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17개 광역자치단체의 정책 추진역량으로서 행정역량(광역문화재단 규모, 광역문화재단 코로나19 피해 지원 사업 비중, 광역시도 인구 10만 명당 문화기반시설 수), 재정역량(광역시도 재정자주도, 광역시도 문화예산, 광역문화재단 예산), 정책수요(광역시도 예술인 수, 광역시도 문화예술행사 관람률)를 지표로 삼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정책 추진역량의 속성에 따라 도출된 8개 유형별 차이와 연도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광역자치단체 간 정책 추진역량이 모두 매우 높게 나타나는 유형의 공통점과 모든 지표가 결핍된 사례를 확인함으로써 정책 추진역량이 어떠한 조건에서 어느 수준까지 달성 가능한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가 문화 분야에서 코로나19 피해를 지원하는 데 요구되는 정책 추진역량을 체계적으로 유형화하고 연도별, 사례별로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문화예술계의 피해를 파악하고도 체계적인 정책을 설정하거나 지속할 수 있는 사업 추진이 어려웠던 지역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이러한 결핍을 개선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실증적 근거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compared changes in the policy capacity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to promote cultural polic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To categorize mid-range cases and assess the degree of belonging, we conducted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and fuzzy-set ideal types analysis. Specifically, administrative capability (size of cultural foundations, percentage of COVID-19 support projects of cultural foundations, the number of cultural infrastructures per 100,000 people), financial capability (financial independence ratio, culture budget of metropolitan/ provincial governments, culture budget of cultural foundations), and policy demands (the number of artists, cultural event/exhibition visitation rates) were examined. As a result, eight distinct types of cultural policy promotion capabilities were identified.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rganizations for policy implementation capabilities, it was possible to empirically determine the conditions and level of capability required for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lowed us to systematically categorize and compare the policy implementation capabilities required by local governments to counter COVID-19’s damaging effects on the culture sector. Toward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is deficiency in the future, we provided empirical evidence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areas in which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systematic policies and continue projects within the arts and culture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정다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0 사이 Vol.8 No.-

        Up until this point, the early Chosŏn period has taken on a significant position in the historical framework of linear development found in the “Korean history(Han’guksa)” or “National History of Korea(kuksa)” established in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In general, the Chosŏn period has been viewed in Korean history as a period full of unprecedented development and change, which enabled Korean historians to define this period as a early modern one that marks the evolution in Korean history from the feudal (chungse) period to the modern period(kŭndae). These developments and changes, which were thought to be clearly evident when using this view of history, were believed to be the unique origins of the Korean nation whose modernity had originated from even before the introduction of Western modernity that took place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This view of history enabled Korean people to imagine the early Choson Dynasty as a prototype of the modern Korean nation-state that contributed to the nation-building process of Korea. This research demythologizes the still dominant nationalist arguments about the early Chosŏn period found in modern Korean historiography(as outlined above)-efforts made to territorialize the modernity of the Korean nation by setting the origin of Korean modernity in the “unique” traditions of the premodern era. Through revealing the implications of these arguments about the early Chosŏn period―which were thought to signify such evolution steps in Korean history as the transformations from the irrational to the rational, from aristocracy to bureaucracy, from mystical knowledge to empirical science, from despotic monarchy to people-oriented politics, and from Sinocentrism to unique Koreanness―this research argues that what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has highlighted as sprouts of early Korean modernity that emerged from Korea’s own soil, is in fact the modern invention of Korean historiography which has been modeled after the historical models found in Western and Japanese historiography. 현재의 ‘한국사’ 혹은 ‘국사’의 체계 속에서, 조선전기라는 시기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세’에서 ‘근대’를 향해 발전하는 도상에 있는 ‘근세’로 설정되고 있는 이 시기는 세종대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사’ 상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발전’이 출현했던 시기로 이해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발전’과 ‘변화’들은 현재까지도 서구와 일본을 통해 근대적 문물이 들어오기 이전에, 이미 근대 한국의 근대성이 발원되고 있던 고유한 기원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근대 국민국가인 대한민국의 원형과 같은 이미지로 이해되면서, 근대 국민국가 창출과 유지에 기여해 왔다. 그러나 사실, 이러한 시각과 이를 통해 파악되고 재현된 조선전기의 역사상은, 당대의 맥락 속에서 조선전기의 역사를 재구성한 것이 아니라, 사실 서구 혹은 일본을 통해서 들어온 근대성을 보편적 기준으로 삼아 그와 비슷한 것을 ‘한국사’ 속에 설정하려는 근대 국민국가의 시선과 기획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었다. 이 논문은 해방 이후 자신의 근대성의 기원을 그 고유한 전통 속에서 찾아내려 했던 노력 속에서 만들어진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朝鮮時代像), 즉 비합리적인 것에서 합리적인 것으로, 귀족제적인 것에서 관료제적인 것으로, 미신적인 것에서 경험적 지식으로, 전제적인 정치에서 민본적인 정치로, 중국적인 것에서 조선적인 것으로의 ‘변화’ 혹은 ‘발전’으로 규정되어 온 이 시기의 역사상이 매우 통국가적(transnational)으로 구성된 것임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이 시기의 역사상이 한국 근대성의 고유한 기원임을 주장해 온 ‘한국사’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이는 서구로부터 발원하여 일본을 통해 전해진 근대성을 보편적 기준으로 해서 마련된 근대 국민국가 기획의 구성물이었으며, 때문에 그러한 기획과 그 결과물 속에 ‘한국사학’이 저항의 대상으로 삼았던 제국주의의 논리와 영향이 내면화되어 있다는 점을 밝히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특히 조선전기라는 시대상이 어떤 과정을 통해 ‘중세’보다 ‘근대’에 더욱 가깝게 접근한 ‘근세’로 파악되었는가를 살펴보고, 그러한 위치에 맞는 역사상을 구성하기 위해 ‘한국사학’이 그간 강조해 온 주요한 개념과 주장들, 즉 ‘양반관료국가’, ‘중인’, 세종대 ‘과학기술 및 문화의 발전’, ‘사대’와 ‘교린’ 등을 학설사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한국사’라는 체계가 어떠한 논리에 입각해서 어떠한 세부적인 연구영역에서 구체적인 연구성과를 축적하면서, 조선시대와 관련된 현재의 역사상과 연구지형을 만들었는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그 ‘가까운 기원’을 드러내고 대안을 모색하려 한다.

      • 국가 위기 속 문화예술: 코로나19 관련 문화예술 지원 정책 담론 분석

        정다해 한국행정학회 2022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2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담론 분석을 적용하여 문재인 정부, 윤석열 정부의 코로나19 관련 문화예술 지원정책을 둘러싼 담론의 역할과 의미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0년 2월 1일부터 2022년 10월 31일까지 발행된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매일경제 신문의 ‘코로나 문화예술지원’ 정책 관련 신문 기사 및 사설 209편을 대상으로 하여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 3단계, 텍스트 분석, 담론적 실천 분석, 사회적 실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텍스트 분석에서는 문화예술 지원에서 고용보험과 일자리창출이 강조되는 정부의 담론이 등장하였으며, 담론적 실천에서는 정부와 사회(정책대상자)의 상호작용 담론을 분석하여 각 정부와 사회의 논쟁적인 담론을 살펴보았다. 사회적 실천에서는 코로나19 발발 초기 문화예술 지원 정책이 소외되었던 상황과 부실한 정책에 대해 문화예술계의 비판의 목소리가 지속되는 복합적인 상황적 제도적 맥락이 결과적으로 코로나19 관련 문화예술 지원 정책이 개선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중매체를 통한 정부 정책의 정당성을 확인하며, 비판적 담론 분석으로 인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인 대안적 정책 형성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실무적 기여점이 있다.

      • KCI등재

        제품 브랜드의 고객 충성도를 확보하기 위한 화장품 기업 CSR 활동 유형 연구

        정다해,성정환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2

        In the domestic cosmetics market, it is important to secure high customer loyalty in order to stably enter the market. To do this, customers should have a deep sense of trust and bond through the authenticity of the brand. At this time, among the components of brand authenticity, only corporate authenticity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brand attachment and loyalty. This paper suggests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CSR activities that can most effectively show corporate authenticity. First, only cases where the activity was continued for more than one year and the activity contents and results were clear and recognized for authenticity were selected. Twenty cosmetic brands met this condition and 28 CSR activities which conducted by the brand a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were derived by dividing it into four areas of desirable society presented by the EU, and a marketing strategy for each type was presented. This research will be of practical help in conducting CSR activities later in the enterprise. 국내 화장품 시장은 현재 포화상태로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선 높은 고객 충성도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해선 고객이 해당 브랜드의 진정성을 통해 깊은 신뢰감과 유대감을 가져야 한다. 이 때, 브랜드 진정성의 요소 중 기업 진정성이 고객의 브랜드 애착과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여 기업 진정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CSR 활동을 중심으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먼저 1년 이상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활동 내용과 결과가 명확하여 진정성을 인정받은 사례만 선별했다. 20개의 화장품 브랜드가 이 조건을 충족하였고 해당 브랜드에서 진행한 28개의 CSR을 분석했다. 이를 EU에서 제시한 바람직한 사회의 상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의 특징을 도출하였고 각 유형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추후 기업에서 CSR 활동을 전개할 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기저핵-대뇌부챗살 뇌출혈로 인한 반신부전마비에 대한 한·양방 병행 치험 1례

        정다해,길봉훈,김동훈,윤혜수,이은창,조혜미,한다영,손아현,Jung, Da-hae,Kil, Bong-hun,Kim, Dong-won,Youn, Hye-soo,Lee, Eun-chang,Jo, Hye-mi,Han, Da-young,Son, Ah-hyun 대한한방내과학회 2021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42 No.5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ase of a 63-year-old man with a history of hypertension and gout who had developed an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of the right basal ganglia of the corona radiata. Method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Boyanghwanoh-tang and powdered Oryeong-san extract), Western medicine (Anticonvulsants, antihypertensive drugs, psychotropic agents, and others), acupuncture, moxibustion, cupping, and rehabilitative therapy. Their effects were evaluated using the Manual Muscle Test (MMT), Korean version of the modified Barthel Index (K-MBI), National Institute of Health's Stroke Scale (NIHSS), and Modified Rankin Scale (mRS). Results: After treatment, the MMT grade improved from 3/3+ to 4+/4+. Additionally, the K-MBI score improved from 62 to 77.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ombined traditional Korean and Western medicine can effectively treat patients with ICH.

      • KCI등재

        조선 초기 壯勇隊의 설치 배경과 운영 실태

        정다함(Ch?ng Da-ham)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4

        이 글은 朝鮮 世祖代의 壯勇隊를 賤人의 신분 상승이라는 시각에서만 파악했던 선행연구를 비판하면서, 壯勇隊라는 賤人兵種이 갑자기 설치되는 배경, 운영실태, 良人兵種으로 개편되는 이유와 과정 등을 규명하려는 것이다. 장용대의 설치에는, 먼저 그 전신인 銃筒衛가 정치사회적 불안 때문에 치안유지에 동원되다가 靖難을 거치며 政治的 이유로 폐지되고, 이 때문에 侍衛와 치안을 담당할 전력이 약화되자 이를 보강하는 과정이 있었다. 다른 한 편으로는 이러한 사정 외에도 특수한 정치적 의도와 배경이 크게 작용하였다. '公私賤口'가 입속한 壯勇隊의 실체는, 예전부터 세조를 따르던 賤人들과 武才를 통해 세조의 발탁을 바라는 士族의 賤孼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결국 壯勇隊의 설치에는 靖難에 공을 세운 賤人을 우대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世祖에게 忠誠할 賤人을 모으려는 정치적 의도가 깔려 있었던 것이다. 다음으로 장용대의 운영실태는 그 기능과 대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壯勇隊는 평상시에 입직하여 侍衛, 巡更, 習陣에 동원되었고, 大閱, 講武, 巡幸, 觀稼 등의 특별한 때에도 시위하였다. 또한 이들은 銃筒을 맡았고 治安을 담당하는 卒伍로 동원되었으며, 난언, 역모, 도적 등에 대한 情報를 제공하였다. 이들에 대한 가장 중요한 대우는 免賤이었지만, 일년에 免賤되는 수도 적었으며 특히 免賤되더라도 그 이후에 낳은 자식들은 여전히 賤人으로 남아야 했다. 이들의 免賤은 완전한 良人身分을 얻는 것과는 거리가 먼 限代的인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壯勇隊가 賤人兵種에서 良人兵種으로 바뀌는 과정과 이유를 고찰하였다. 신분질서의 이완을 원치 않던 양반 지배층은 壯勇隊에 반감을 가졌다. 이로 인해 세조의 사후, 장용대는 南怡의 獄事에 휘말리면서 存續의 명분을 빼앗기고 결국 양인병종으로 완전히 개편된다. 요컨대, 장용대는 세조의 靖難이라는 정치적 사건의 결과물로 설치되어 그 운영도 世祖와 밀착된 특수한 賤人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奴婢制가 양반사회 존속의 필요조건으로서 강상윤리에 의해 뒷받침되는 현실 속에서, 免賤의 통로로서 壯勇隊가 가지는 의미는 世祖代라는 제한된 조건과 노비제의 근간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만 발현되었던 것이다.

      • KCI등재

        征伐이라는 戰爭/征伐이라는 祭祀

        정다함(Chong, Da-ham) 고려사학회 2013 한국사학보 Vol.- No.52

        Contrary to the view of nationalist historiography that has deliberately concealed the aggressive character of 15th-century Joseon, the warfare against Jurchens and Tsushima people was not merely self-defense, but a concrete manifestation of the early Joseon idea concerning its position in the Northeast Asian political order, in which Joseon was deemed a rightful suzerain over Jurchen and Tsushima polities. Such violence was defined as a “war for punishment and correction of the world order”, Zhengfa(Kr. Chongb?l), to establish the self and the other as enforcer vis-a-vis disrupter. This was an appropriation of the rhetoric of the “Sinitic” universal empire by Joseon kings representing their role of an aggressor as a divinely mandated punisher carrying out retribution against those who disrupted Joseon-centered hierarchy. Thus, the proclamations of war were accompanied by assertions that Jurchens were Joseon’s vassal, and that Joseon kings were like benevolent parents, against whom Jurchens were committing parricide. Since each war was a symbolic enactment of this perceived relationship, rituals and traditional sciences during warfare functioned to emphasize this vertical hierarchy. From the departure of soldiers to their return to the capital, Joseon deployed a powerful combination of rituals and technologies, including sacrifices, clocks, calendars, and firearms, to legitimize its execution of war, representing itself as the upholder of heavenly prerogative. Warfare was not simple aggression, but an elaborate ceremony to inscribe a particular power relation, with Joseon made a “lesser suzerain” subjugating Jurchens as its vassal, even as it remained itself a subordinate to the larger Sinocentric world order located around Ming.

      • KCI우수등재

        역사학은 어떻게 “예능”이 되었나- 2000년대 이후 한국사의 대중화와 TV 미디어의 여러 문제들 -

        정다 한국사연구회 2018 한국사연구 Vol.- No.183

        What has been conspicuous for recent two decade in Korean society is popularization of the studies of history including Korean History through TV media. Facing poignant criticism of post- colonial studies on the traditional roles of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within the process of South Korea’s nation-state building in the age of globalization from late 90’s and trying to escape from that crisis by ever universalizing capitalism and technology which seemingly look far more globalizing instead of the nation and its values, Korean academia of Korean History, have come to get closely connected with industrial policy of the state, media capital, and it(ict) technology. And through this process, studies of history including Korean history finally have become very popular “cultural contents” commodity and redefined as a particular kind of “entertainment”. First, in this paper, I try to historicize this process in recent 20 years in Korea and take a close look at what has really happened in here. Secondly, then it seeks to analyze this process of capitalization, commodification, industrialization, and technologi- calization as historically contextual as possible and to criticize the problems this process inherits. And then, lastly, I will provide post-colonial critique on how these symptoms and connections secretly rule as a dominant power structure in a particular way by talking about ‘politics of depoliticization’ of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and hopefully I will try to come up with the possible suggestions to redefine these existing particular relations among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state power, media capitalism, and ict technology for more desirable future of the whole society and the academia. 현재 인문학의 영역 중에서 한국사만큼이나 다양한 미디어와 결합되고 있는 영역도 없는 듯하다. 그리고 그렇게 한국사라는 주제와 다양한 미디어들이 결합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역할과 비중을 차지해 온 것이 바로 TV라는 미디어이다. 이 TV라는 미디어로 생산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통해, 역사학계의 한국사 연구의 성과들이 대중과 공유되고 있다. 그리고 한국사 대중화의 이런 양상은 학계와 정부와 산업계와 대중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거나, “불가피”한 흐름으로 따라가야만 하는 것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 앞서 언급했던 근래의 변화 양상이 과연 어떠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나타나게 된 것인지, 그리고 이러한 양상의 이면에서 우리가 읽어 내야만 하는 우리 사회의 현실은 무엇인지, 그래서 결국 한국사와 TV 미디어의 결합이라는 문제에 있어 역사학계와 우리 사회 모두가 고민해야 할 좀 더 바람직한 미래상과 그에 대한 전망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 등등의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정작 역사학의 관점에서 천착하는 연구는 찾기 어렵다. 이 연구는 바로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지금처럼 한국사가 TV미디어와 결합하면서 대중화되는 역사적 맥락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려 한다. 여기에서는, 2000년대 이후 한국사 연구 성과의 대중화와 TV미디어의 문제를, 국가 권력의 산업 드라이브 문제, 미디어 자본의 동향, 역사학계의 동향, 테크놀로지의 문제, 자본주의의 전지구적 흐름 등과의 관계 속에서, 최대한 역사적/맥락적으로 분석해 보려 한다. 다음으로는, 그러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TV 등의 미디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한국사의 대중화가 보여주는 특징적인 양상들을 살피고 분석하려 한다. 2000년대 이후로 TV 미디어를 통한 한국사의 대중화 현상에서 주목되는 바, 그 이전에는 한국사가 주로 사극이나 다큐멘터리의 형식을 통해 “교양”이라 정의되던 영역에서 소비되던 것에서, 국가권력의 적극적인 산업 드라이브와 그에 부응하는 미디어 자본의 흐름 속에서 소위 다양한 “콘텐츠”로 상품화되어 이른바 “entertainment”나 그 번역어인 “예능”으로 다시 정의되고, 역사학계 역시 그 흐름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양상에 대해, 비판적 분석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모습 속에서 우리가 반드시 짚어 보아야 할 한국 역사학계와 한국 사회의 현실들을 여러 차원에서 성찰해 보려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역사학이 TV와 같은 미디어들과 결합하면서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양상에 대한 이상과 같은 분석과 성찰을 통해 드러나는 바와 같이, 역사학이 과거를 연구함으로써 소위 진실을 밝히는 학문으로는 더 이상 존재할 수도 없고, 그런 학문으로는 존재해서도 안 되는 이 현실 속에서, 역사학이 맡아야 할 중요한 역할들을 다시 정의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에 대해, 의견을 제시해 보려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맥락에서, 나아가 역사학이 앞으로 미디어 및 테크놀로지와는 어떤 방향에서 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인지 등의 문제에 대해서도, 역사학자로서의 비판적/성찰적 전망을 제공해보려 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