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소비에트 공간에서 고려인들의 과국적 이동과 과문화적 실천들-재한 고려인들의 생활세계와 문화적 교섭

        신현준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2 사이 Vol.12 No.-

        Since the disintegration of the Soviet Union in 1991, Koryosaram, ethnic Koreans in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CIS) or CIS Koreans, have performed deterritorialized migration beyond the places to which they had been tied for approximately a half-century. The return migration or remigration of CIS Koreans has taken divergent routes and constituted multiple layers. Among them, the migration of CIS Koreans to South Korea is an interesting case in which the historical roots and social ties are transformed by the general imperative of the global economy. The number of CIS Koreans who visit and reside in South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ing since 2007 when the Visiting Employment System (VES) was introduced. As of 2010, the number of official CIS Korean residents in South Korea is estimated at 10,000, and those who come from Uzbekistan comprise the majority. Although their community is rather invisible, especially compared to that of Korean-Chinese, their enclaves have been formed in certain parts of metropolitan areas such as Seoul and Busan. More than half of CIS Koreans in South Korea work in manufacturing factories and construction sites and their socio-economic condition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non-Korean migrant worker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family separation is nearly universal and there are intervening obstacles to family reunion. In this condition of migrancy, South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ve provided public spaces for soci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networks among CIS Koreans. Recently, a group of elites has emerged who have successfully adjusted themselves to South Korean society and have been self-employed or working as professionals, thanks to their transcultural capital, which has been constructed through their contact with South Korean people and culture at large. CIS Koreans incessantly perform cross-cultural negotiation whenever they come into contact with South Koreans in everyday life. It is not the case that they confirm a co-ethnicity with South Koreans, but that they perceive the differences between themselves and South Koreans.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CIS Koreans will be assimilated into South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ey redefine their cultural identity through detec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mselves and South Koreans. The “Korean ethnicity” that they try to redefine is itself transnational and transcultural and is contested by its dominant meaning in South Korea. In conclusion, their residence in South Korea is but one chapter of their international sojourn and mobile livelihood. 1991년 소련의 해체 이후 20년의 기간 동안 고려인(고려사람)은 이전처럼 고정된 장소에 계박된 상태로부터 ‘탈영토화’되어 과국적 이동을 수행해 왔다. 고려인의 재이동(remigration)은 발산적 경로들과 복합적 층들을 구성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고려인의 한국으로의 이동은 그들이 갖는 역사적 뿌리와 사회적 연고가 글로벌 경제가 명령하는 이주의 일반적 흐름에 적응․변형되는 하나의 사례를 보여준다. 고려인들의 한국 체류의 양적 규모는 2007년의 방문취업제의 실시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로 약 1만 명으로 추산되는데, 특히 우즈베키스탄으로부터의 온 고려인들의 비중이 높다. 한국에서 고려인들의 커뮤니티는 상대적으로(예를 들어 중국 조선족에 비해) 비가시적이지만, 서울과 부산의 대도시들의 일부 지역에서 상권이나 집거지구 형태로 존재한다. 이들 가운데 절반 이상은 제조업 공장이나 건설 현장에서의 육체노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점에서 한국의 이주노동자의 일반적 상태와 다르지 않다. 또한 가족 분산이 일반화되어 있고, 그 가운데 일부는 가족 재결합에 제도적․현실적 장애물이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 개신교 교회는 재한 고려인들의 사회적 관계와 소통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렇지만, 한국어를 습득하고 한국문화에 적응한 일부 고려인 엘리트들이 양언어성(bilinguality)을 활용한 과문화적 자본(transcultural capital)을 통해 전문직과 자영업 분야에 종사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고려인들은 한국인과 접촉하면서 부단한 문화적 교섭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같은 민족으로서의 공통성’보다는 ‘같은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엄존하는 차이’를 더 많이 인식하는 경향을 보인다. 즉, 고려인들은 한국에 살면서 한국인들에 동화되는 과정을 거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인들과의 문화적 차이를 (재)축조하면서 자신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재)정의하고 있다. 이렇게 고려인들은 자신들 고유의 ‘민족’ 정체성을 부단히 재정의하고 있지만, 이때의 민족은 그 속성 상 과국적이고 과문화적이며 남한에서의 이 용어의 지배적 의미와 상이할뿐더러 때로 경합적이다. 결론적으로 이들의 한국 체류, 혹은 ‘재한(한국 체류)’이란 복수적인 지리적 장소들에서의 국제적 체류의 부단한 이동의 한 국면을 지칭하는 이름이다.

      • KCI등재

        냉전 문화와 한국학-권력, 근대성, 학문생산의 얽힌 매듭 풀기-

        박현선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5 사이 Vol.18 No.-

        하나의 역사적 국면으로서, 이데올로기적 체제로서, 그리고 문화 정치적 기구로서 ‘냉전’이라는 담론에 개입된 다양한 입각점들은 ‘국가 권력,’ ‘근대성,’ ‘학문 생산’ 등의 경계 설정에 깊이 관여해 왔다. 이 글은 냉전이라는 프리즘을 통해서 주로 북미를 중심으로 형성된 한국학의 지식생산과 그 문화 정치적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냉전과 한국학의 대위법적 관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학의 태동과 형성은 20세기 중후반 새롭게 재편된 세계 질서 속에서 부상한 지역학 연구의 신식민지적 정체성과 분리할 수 없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지역학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세계대전 이후 새로이 형성된 지역들과 국가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학문적 정보원로서 지역학이 미국의 헤게모니에 매우 유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탈)냉전 시대 지역학 담론은 학제간 연구, 문화 연구, 생체 정치와 주권권력의 연구, 디아스포라와 여성 연구 등 비판적 지식 생산을 끌어안았던 비판적 지역 연구가들과 조우하면서 임마뉴엘 월러스틴이 “의도하지 않은 결과”라고 부른 것을 생산해오고 있다. 이 글은 한국학의 제3세대로 지칭되는 이들이 최근 북미에서 출간한 7권의 연구서들에 특별히 집중함으로써 해외 한국학에서 전개되어 온 냉전문화의 연구 성과와 의의를 살펴본다. 최근의 신진 한국학 연구자들은 지난 세대들이 한국을 외부에서 바라보며 연구할 수밖에 없었던 한계를 어느 정도 넘어서서, 보다 친숙한 언어 및 감각의 축적을 통해서 한국 문화의 경계 내부와 외부를 연결 지을 수 있는 위치에서 출발한다. 먼저, 테오도르 휴즈의 『냉전시대 한국의 문학과 영화』와 스티븐 정의 『분할된 스크린-신상옥과 전후 한국영화』는 분과 학문의 경계를 넘어서 역사와 문학, 대중문화, 이론을 절합함으로써 해방 이후 한국문화가 어떻게 냉전 세계체제의 보이지 않는 전투장으로 부상하며 감성의 분할에 참여했는가 드러내고 있다. 이들의 연구는 20세기 한국의 문화적 전개에 있어 해방 공간과 이후 냉전 시기의 이해가 얼마나 중요한가에 대한 뚜렷한 인식에서 출발하며, 냉전의 이분법적인 에토스와 발전주의 모델에 맞추어 근현대사를 서술하는 방식과 거리를 두고 있다. 또한 문승숙의 『군사주의에 갇힌 근대』와 존 디모이아의 『신체를 재구성하기-1945년 이후 남한에서의 생체의학, 건강, 국가 건설』은 한국의 근대성과 근대화론에 대해 이론적, 방법론적 질문들을 던지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 있는 성과들로서 이들의 사회과학적 접근들은 냉전 국민 국가의 신체적 구성과 파열이 벌어지는 일상의 미시 영역에 주의를 기울인다. 이들의 작업은 ‘보편으로서 서구 근대성’과 ‘특수로서의 토착 근대성’이라는 이분법적 개념틀을 비판하며 두 항 간의 상호 관계와 모순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 국내의 한국학과 해외의 한국학의 차이가 있다면 그것은 민족주의에 대한 차이이다. 글의 마지막 부분에서 다룬 켈리 정의 『한국의 문학과 영화 속 젠더와 민족의 위기-모더니티는 다시 도래한다』, 그레이스 조의 『한국의 디아스포라 유령-수치, 비밀, 그리고 잊혀진 전쟁』, 이진경의 『서비스 경제-남한의 군사주의와 성 노동, 이주 노동』은 민족과 남성 중심의 부르주아 역사 서술을 비판하고 탈식민주의 페미니즘과 젠더 정 ... The ‘Cold War,’ a multifaceted term referring simutaneouly to a historical stage, an ideological regime, and a cultural apparatus, engages the boundary of ‘state power’ ‘modernity’ and ‘knowledge production.’ Through the prism of the Cold War, this paper illuminates cultural and political siginifncances that lies in the knowledge production of Korean Studies in North America as well as examines the contreapunt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ld War culture and Korean studies. On one hand, the birth and formation of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is inseparable with the neocolonial origin of area studies that emerged in the reorganized world order since the mid-20th century. However, on the other hand, discourses of area studies in (post)Cold War era also produced what Immanuel Wallestein calls “unintended consquences” by encountering area studies scholars’ efforts to embrace other discourses including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cultural studies, discussions on biopolitics and the sovereign power, and diasporic and women’s studies. In the comparative discussion of various researches that were recently published by the so-called third generation of Korean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he paper examines the scholarly trajectory of Korean studies’ appropriation of the Cold War. The young scholars’ contribution to Korean studies lies in that they cope with the precedent generations’ limits of viewing Korea from the distant gaze and position themselves in the conjucture of the inside and the ouside of Korea through the acquisition of rather familiar sense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irst, Theodore Hughes’s book Literature and Film in Cold War South Korea and Steven Chung’s Split Screen Korea disclose how Korean culture emerged as a battle field for the Cold War world system and participated in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These works underscore how siginificant it is to undertand Liberation Space and the Cold War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film, and demonstrate the critical distance from the nationalist historiography of modern Korea based on the dichotomy of Cold War ethos and the state-driven developmentalism. Next, as a critique of West-oriented modernity studies, Moon Seungsook’s Militerized Modernity and Gendered Citizenship in South Korea and John DiMoia’s Reconstructing Bodies pose invaluable questions to the discourse of modernity and modernization in Korea. Their social science approach pays attention to the microscopic area of everyday life that shows the bodily construction and fracture of the modern nation-state. They are exemplary works that point out contractictions within terms such as ‘Western modernity as the universial’ and ‘indigineous modernity as the particular’ and presents the intertwinement of American impacts and vernacular practices in modern Korea.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Korean studies abroad and Korean studies within South Korea, it concerns the different approach to nationalism. Lastly, the paper introduces three books, Kelly Jeong’s Crisis of Gender and the Nation in Korean Literature and Cinema, Grace Cho’s Haunting the Korean Diaspora, and Lee Jin-kyung’s Service Economies. Problematizing the genderd notion of nation and the bourgeois historiography for the male subjectivity, these works focusing on figures of New Women and modern girls, military sex laborers, service workers, and diasporic women in light of gender politics and postcolonial feminism. To locate these books in the large framework of the Cold War and Korean studies and seee them as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area studies, the paper argues that they have overcome the power structure of the Cold War discourse and knowledge and that they show a cricial distance from the ‘nation’ that had been considered essential to Korean studies. Further discussion will be needed in order that Korean studies grow not as a margin...

      • KCI등재

        반복과 종언 혹은 1960년대 문학/문화연구의 문제들 -권보드래․천정환의『1960년을 묻다』를 읽고-

        김영찬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3 사이 Vol.14 No.-

        This paper discusses Ask the 1960’s written by Kueon Bodrae and Cheon Jeonghwan. The authors of this work pay attention to dialectical relations between the 4․19 Revolution and 5․16 Coup d’État which developed their own spirits, while struggling and against each other constantly in the 1960’s. The authors’ view is that the 4․19 Revolution betrayed itself and was finally drawn into the 5․16 Coup d’État, as seen in their propositions that “4․19 […has] become 5․16”. This was the result of the opposition of “Bread” and “Liberty”, a false dichotomy which dominated people’s consciousness, and group psychology and led the revolutionaries to betray themselves out of fear of war and communism. The 1960’s as a period is defined by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the 5․16 Coup, which subsumed the 4․19 Revolution under the proposition of national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The 4․19 (democratization) and 5․16 (industrialization) changes in regime resulted in the aporia contradictions and antinomy of the 1960s, while displacing and interpenetrating each other, and overdetermining the situations. That is the dialectic of the 1960s turned from politics to intelligence and culture. Likewise, the 1960s was the time in which developed the dialectics of under-development that took shape from the coexistence of various opposing values, such as liberty and anti-communism, nationalism and Americanism, materialist ideology and the search for refinement. The work Ask the 1960’s explains entertainingly the dialectics of underdevelopment in the 1960s by examining copious resources. 1960년대는 현재 한국사회를 규정하는 자본주의 근대의 지배시스템이 구축되기 시작하는 지점일 뿐만 아니라 문학과 문화 영역의 이념적․제도적 틀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지점이다. 따라서 1960년대의 문학/문화와 대면하는 작업은 불가피하게 현재에 대한 문제의식을 동반할 수밖에 없고 또 거꾸로 현재의 한국사회와 문학/문화를 근원에서 사유하기 위해서는 1960년대에 대한 고고학적 시선이 요청된다. 권보드래와 천정환의 『1960년을 묻다』는 그런 관점에서 이루어진 그간의 1960년대 문학/문학 연구가 축적해온 성과들의 연장선상에 있으면서도, 대상을 관통하는 현재적 문제의식을 뚜렷하고도 체계적으로 부각하고 있는 저작이다. 1960년대를 단순한 이항대립이 아닌 상호 모순적인 대립항들의 공존과 상호침투의 변증법이 펼쳐진 시대로 그리는 이 저작의 서사와 그것을 뒷받침하는 ‘문화연구’의 시각은 그 자체로 4․19세대와의 단절의 증상으로 읽을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이 저작은 4․19를 정신적 기원이자 거점으로 삼아 전개되었던 한국근대문학의 한 단계가 끝난 지점에서, 바로 그 4․19세대에 의해 형성되고 지속되어온 문학/문화 관념과 단절한 문화적 상상력으로써 서술되는 기원에 대한 서사다. 이 논문에서는 이 저작에서 제기되는 1960년대의 문학사적 구도와 텍스트 해석의 문제를 중심으로 1960년대 문학/문화연구에서 제기될 수 있는 제반 문제들을 상세히 검토했다.

      • KCI등재

        특집논문 : 한국/학의 근대성과 로컬리티 ; "조선(朝鮮)" 로컬리티와 (탈)식민 상상력 -이효석의 『화분』과 『벽공무한』을 중심으로-

        오태영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사이 Vol.4 No.-

        식민지시기 `조선`을 둘러싼 지방성, 지역주의 담론은 1930년대 이후 제국 일본의 동아시아로의 지리적 확장 움직임 속에서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특히 1940년대 전반 `국민문화(國民文化)` 시기에 활발하게 전개된 지방성에 대한 논의는 일본 문화를 중앙으로 하여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지방문화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제국-식민지 사이의 헤게모니 투쟁의 한 국면을 보여준다. 당시 식민지 조선의 지방성 논의와 관련해서 가라시마 쓰요시(辛島驍), 데라다 에이(寺田瑛) 등 일본인 논자들은 조선문화 자체의 독창성을 강조하기보다는 국민문화의 일익을 담당해야 한다는 역할을 강조했는데, 이는 국민문화라고 하는 정해진 범주 안에서 지방문화의 위치를 재정립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최재서, 김종한 등의 조선인 논자들은 이러한 지방성 담론을 전유해 조선문화의 새로운 지위를 확보하고자 했다. 한편, 이들과 달리 제국의 경계를 넘어 조선의 지방성에 대해 인식했던 이효석은 조선문화를 제국의 지방문화가 아니라 세계문화 속에서 바라보고 위치시키고자 했다. 그런 점에서 그의 소설 『화분』과 『벽공무한』은 `지방`을 벗어나 `세계`를 지향한 식민지 조선 지식인의 행위와 욕망, 그 좌절의 과정을 잘 보여준다. 『화분』의 서사는 식민지 조선 지식인이 제국의 지리적·문화적 경계를 넘어선 `세계` 속에 자신을 위치시켜 아이덴티티를 새롭게 구축하려는 욕망을 보여준다. 그리고 『벽공무한』의 서사는 이러한 `구라파주의자`가 자신이 설정했던 경성/하얼빈, 지방/세계라는 지리적·문화적 경계의 동요 속에서 조선으로 되돌아온 과정을 그리고 있다. 결국, 이 소설들의 서사는 `제국`과 `식민지`가 중첩되어가고 있었던 `세계` 속에서 식민지 조선인이라는 아이덴티티를 탈각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植民地期の「朝鮮」をめぐった地方性、また地域主義の談論は、1930年代以後帝國日本の東アジアへの地理的擴張の中で本格的に繰り廣げられていた。特に1940年代前半のいわゆる「國民文化」の時期に活發に展開された地方性に關する議論は、日本文化を中央とし、それに對應する各各の地方文化の位相を再定立する中で生じた、帝國と植民地との間のヘゲモニ一鬪爭の一局面を示す。當時、植民地朝鮮の地方性議論と關わり、辛島驍·寺田瑛などの日本人論者たちは、朝鮮文化そのものの獨創性を强調するよりも、國民文化の一翼を?うべきだという役割を强調したが、これは國民文化という紋切型のカテゴリ一の內で地方文化の位置を再定立したものである。これに對し、崔載瑞·金鐘漢などの朝鮮人論者たちは、このような地方性言說を受入れるかたわら、朝鮮文化の新たな地位を確立しようとした。一方、彼らとは異なり、帝國の境界を越える朝鮮の地方性を認識した李孝石は、朝鮮文化を帝國の地方文化ではなく、世界文化の中で眺め、位置づけようとした。その点から考えてみれば、彼の小說『花粉』と『碧空無限』は、「地方」から脫して「世界」を志向した植民地朝鮮の知識人の行爲と欲望が、結局挫折にいたる過程を明にあらわすのである。『花粉』の敍事は植民地 朝鮮の知識人が帝國の地理的·文化的境界を越えた「世界」の中に自分を位置づけ、自分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新たに構築しようとする欲望を表している。そして『碧空無限』の敍事は、このような「ヨ一ロッパ主義者」が、自分の設定した京城/ ハルピン、地方/世界という地理的かつ文化的境界の動搖の內で、朝鮮へ回歸する過程を描いている。結局これらの小說の敍事は、「帝國」と「植民地」が積み重なりつつあった「世界」の中で植民地朝鮮人というアイデンティティを脫却するのが如何に難しいことであったのかを逆說的に示唆する。

      • KCI등재

        동아시아 프로문학 연구의 현재를 묻다-캐런 손버, 사무엘 페리, 아니카 컬버의 연구서를 중심으로-

        곽형덕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5 사이 Vol.18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urrent wave of vibrant research surrounding East Asian proletarian literature, a dormant topic since the collapse of the cold war system. In the ambit of current American scholarship, research not only aims to investigate post-national and post-imperial aspects of East Asian proletarian literature, but also attempts to reevaluate it in the context of the ‘world’ in the inter-war and war-time period globally. This tendency clearly shows that East Asian Studies as Area Studies has recently reached an inflection point.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se aspects by considering the scholarship of Karen L. Thornber (2009), Samuel Perry (2014) and Annika A. Culver (2014). First, Karen L. Thornber’s study analyzes the widespread trans-cultural situation occurring in East Asian literature from 1895 to 1945, amid a rapid re-adjustment of geopolitics in Asia. This study investigates how Japanese texts-including Western literature translated into Japanese- were accepted in colonial cities and in the metropole; furthermore, it focuses on the intertextuality of the reception process in East Asia. However, Thornber argues the inadequacy offocusing on asymmetrical asp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nizer and colonized so as to gage the perspective of colonized intellectuals beyond mediatic ‘desire’ and ‘contact’. Rather, research should center on how asymmetrical relationships actually influenced the colinized literary world. Second, Samuel Perry’s study not only focuses on children, fairy tales, “wall fiction” (kabe syousetsu) and the Proletarian avant-garde in Japanese proletarian literature, but also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roletarian activists and writers. This study dynamically depicts unfamiliar aspects of Japanese proletarian literature, such as the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the Soviet Union and Japan. Third, Annika A. Culver’s study examines the role of pro-Marxist Japanese intellectuals in the construction of Manchukuou’s local culture after the collapse of the proletarian movement. In particular, Culver traces Japanese modernist and avant-garde artists’ participation in Manchukou propaganda. In the above analyses I re-illuminate these three books’ investigations of East Asian proletarian literature history from starting point to demise. These studies clearly suggest a specific direction for East Asian proletarian literature research. In the future, studies on East Asian proletarian literature should look beyond the tracing of regional particularities, offering a more comprehensive reinterpretation of texts within our current world context. 본고는 1990년대 초반 현존하는 ‘사회주의’와 냉전 체제가 해체된 이후 침체기에 빠져 있던 동아시아 프로문학 연구의 현상을 미국에서 최근 5년 사이에 출간된 해당 분야 연구서를 중심으로 해서 검토한 글이다. 미국 학계에서는 동아시아 프롤레타리아 문화 운동이 갖는 탈국가/탈제국주의적인 성격을 규명하고, 이를 동시대의 ‘세계’와 접속시키려는 연구가 전개되고 있다. 이는 미국에서 냉전 체제하에 창출된 지역 연구(Area Studies)의 한 카테고리인 동아시아학(East Asian Studies)이 최근에 어떠한 변곡점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현상을 살펴보기 위해 본고에서는 캐런 손버(2009), 사무엘 페리(2014), 아니카 컬버(2014)의 연구서를 비판적으로 분석했다. 첫째, 캐런 손버의 책은 20세기 초반 무렵(1895~1945) 동아시아에서 전개된 문학의 상호교섭 양상을 근대 이후 급격히 재조정되는 지정학적 변동을 시야에 넣고 광범위하게 살펴보고 있다. 이 책은 일본 제국의 일본어 텍스트 및 일본어로 번역된 서구문학이 식민지와 제국의 중심 도시에서 어떻게 수용됐는지, 또한 이를 통해 상호 텍스트성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피고 있다. 하지만 ‘욕구’나 ‘접촉’을 미디어 차원을 넘어선 피식민자 지식인들의 시각을 통해 보기 위해서는 교류의 비대칭성에 부분적으로 주목할 것이 아니라, 그 비대칭성이 식민지의 문학계에 어떠한 영향을 파급시켰는지를 살펴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사무엘 페리의 책은 프로문학 가운데서도 어린이, 동화, 벽소설, 아방가르드 운동, 그리고 조선인과 일본인 사이의 관련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책은 그동안 중점적으로 분석되지 못했던 프로문학의 미학의 역동성은 물론이고, 소련의 예술 형식과의 다른 점 등을 역동적으로 그리고 있다. 셋째, 아니카 컬버의 책은 프롤레타리아 문화 운동이 붕괴된 이후 운동에 참여했던 문화인들이 만주국에서 활동했던 다양한 양상을 포착한 책이다. 특히 일본의 모더니즘 및 ‘아방가르드’ 예술 형식을 추구한 문화인들이 만주국의 문화 선전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보여 주고 있다. 이 세 권의 연구서는 동아시아 프로문학의 생성과 전개, 그리고 붕괴와 전향에 이르는 거의 30년간의 궤적을 담아내면서, 동아시아 프로문학 연구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있다. 향후 한국에서 이뤄질 프로문학 연구는 그 독자적인 성격을 규명하면서 동아시아, 세계와의 상호 관련 속에서 그 좌표를 규명하고 현재적 의미로 재해석하는 작업과 이어져야 함을 이 세 권의 책은 보여 주고 있다.

      • KCI등재

        주변부의 근대문학 - 여천 이원조 연구(2) -

        장문석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9 사이 Vol.27 No.-

        This paper examines the criticism of Yi Wonjo in liberation space in order to discover the theme, “modern literature from the peripherity.” Facing the task of constructing a new identity of Korean culture after Liberation, Yi disparaged a fetishistic attitude toward Korean culture. He scientifically examined many areas of Korean culture, such as language, literature and classics, and assessed their values based on the notion of modernity. In particular, regarding the institutional structure of Korean culture, Yi carefully explored the possibility that the institutional structure was stemmed off not only from “nation” but also from “society’s call”. Through the practice of Yi Yuksa and the theory of Mao Zedong, he moved onto the theme of inequality in world history and modern literature in non-Western. Given that, Yi enabled to recognize the inequality of the world and open up the possibility for considering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Korea per se which formed its modernity as the modernity of the non-West, untainted by the western world view on the history of modernity as a linear progression. In Yi’s “essay on national literature”, he aimed to discover the issue of new subject and content-form, regarding that modern Korean literature is modern literature of the colony. In this process, Yi rediscovered farmers, women, and children who had not been treated as the subjects of previous modern Korean literature. In addition, he imagined the modern literature of the periphery centered around the combination of new content and form, aside from the typical understanding of non-Western modern literature as the combination of western literary style and the content embedded in regional culture. Yi’s criticism in liberation space, with a focus on the historical conditions of the Modernity of East Asia, leaves the theme of “Modern Literature in the Periphery” as an issue. 이 글은 해방공간 이원조의 비평을 검토하여 ‘주변부의 근대문학’이라는 논제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해방 이후 조선문화의 새로운 정체성 형성이라는 과제 앞에서 이원조는 조선문화에 대한 물신적 태도를 비판하였다. 그는 언어, 문학, 고전 등 조선문화의 여러 영역을 과학적으로 검토하고 현대성의 이념에 따라 그 가치를 진단하였다. 특히 그는 조선문화의 제도적 구성에 유의하는 한편 그 제도적 구성이 ‘국가’만이 아니라 ‘사회’의 요청에 근거할 가능성을 조심스레 탐색하였다. 이후 이원조는 이육사의 실천과 마오쩌둥의 이론을 경유하면서 세계의 불균등성과 비서구의 근대문학이라는 논제로 나아갔다. 이 과정을 통해서 그는 서구를 역사의 중심으로 두는 직선적 세계관에서 벗어나서 세계의 불균등성을 인식하고, 비서구의 근대로서 조선의 역사적 경험을 인식할 가능성을 열어간다. 「민족문학론」에서 이원조는 조선의 근대문학이 식민지의 근대문학이라는 사실에 유의하면서 새로운 주체와 내용-형식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원조는 농민, 여성, 아동 등 그 이전까지 조선문학의 주체로 존중받지 못한 이들을 주목하였다. 또한 그는 서구적 형식과 지역적 내용의 결합이라는 근대문학에 대한 전형적 이해에서 벗어나 새로운 내용과 형식에 근거한 주변부의 근대문학을 상상하였다. 동아시아의 근대라는 역사적 조건에 유의한 이원조의 해방공간 비평은 ‘주변부의 근대문학’이라는 물음을 남긴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정다함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0 사이 Vol.8 No.-

        Up until this point, the early Chosŏn period has taken on a significant position in the historical framework of linear development found in the “Korean history(Han’guksa)” or “National History of Korea(kuksa)” established in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In general, the Chosŏn period has been viewed in Korean history as a period full of unprecedented development and change, which enabled Korean historians to define this period as a early modern one that marks the evolution in Korean history from the feudal (chungse) period to the modern period(kŭndae). These developments and changes, which were thought to be clearly evident when using this view of history, were believed to be the unique origins of the Korean nation whose modernity had originated from even before the introduction of Western modernity that took place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This view of history enabled Korean people to imagine the early Choson Dynasty as a prototype of the modern Korean nation-state that contributed to the nation-building process of Korea. This research demythologizes the still dominant nationalist arguments about the early Chosŏn period found in modern Korean historiography(as outlined above)-efforts made to territorialize the modernity of the Korean nation by setting the origin of Korean modernity in the “unique” traditions of the premodern era. Through revealing the implications of these arguments about the early Chosŏn period―which were thought to signify such evolution steps in Korean history as the transformations from the irrational to the rational, from aristocracy to bureaucracy, from mystical knowledge to empirical science, from despotic monarchy to people-oriented politics, and from Sinocentrism to unique Koreanness―this research argues that what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has highlighted as sprouts of early Korean modernity that emerged from Korea’s own soil, is in fact the modern invention of Korean historiography which has been modeled after the historical models found in Western and Japanese historiography. 현재의 ‘한국사’ 혹은 ‘국사’의 체계 속에서, 조선전기라는 시기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세’에서 ‘근대’를 향해 발전하는 도상에 있는 ‘근세’로 설정되고 있는 이 시기는 세종대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사’ 상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발전’이 출현했던 시기로 이해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발전’과 ‘변화’들은 현재까지도 서구와 일본을 통해 근대적 문물이 들어오기 이전에, 이미 근대 한국의 근대성이 발원되고 있던 고유한 기원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근대 국민국가인 대한민국의 원형과 같은 이미지로 이해되면서, 근대 국민국가 창출과 유지에 기여해 왔다. 그러나 사실, 이러한 시각과 이를 통해 파악되고 재현된 조선전기의 역사상은, 당대의 맥락 속에서 조선전기의 역사를 재구성한 것이 아니라, 사실 서구 혹은 일본을 통해서 들어온 근대성을 보편적 기준으로 삼아 그와 비슷한 것을 ‘한국사’ 속에 설정하려는 근대 국민국가의 시선과 기획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었다. 이 논문은 해방 이후 자신의 근대성의 기원을 그 고유한 전통 속에서 찾아내려 했던 노력 속에서 만들어진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朝鮮時代像), 즉 비합리적인 것에서 합리적인 것으로, 귀족제적인 것에서 관료제적인 것으로, 미신적인 것에서 경험적 지식으로, 전제적인 정치에서 민본적인 정치로, 중국적인 것에서 조선적인 것으로의 ‘변화’ 혹은 ‘발전’으로 규정되어 온 이 시기의 역사상이 매우 통국가적(transnational)으로 구성된 것임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이 시기의 역사상이 한국 근대성의 고유한 기원임을 주장해 온 ‘한국사’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이는 서구로부터 발원하여 일본을 통해 전해진 근대성을 보편적 기준으로 해서 마련된 근대 국민국가 기획의 구성물이었으며, 때문에 그러한 기획과 그 결과물 속에 ‘한국사학’이 저항의 대상으로 삼았던 제국주의의 논리와 영향이 내면화되어 있다는 점을 밝히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특히 조선전기라는 시대상이 어떤 과정을 통해 ‘중세’보다 ‘근대’에 더욱 가깝게 접근한 ‘근세’로 파악되었는가를 살펴보고, 그러한 위치에 맞는 역사상을 구성하기 위해 ‘한국사학’이 그간 강조해 온 주요한 개념과 주장들, 즉 ‘양반관료국가’, ‘중인’, 세종대 ‘과학기술 및 문화의 발전’, ‘사대’와 ‘교린’ 등을 학설사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한국사’라는 체계가 어떠한 논리에 입각해서 어떠한 세부적인 연구영역에서 구체적인 연구성과를 축적하면서, 조선시대와 관련된 현재의 역사상과 연구지형을 만들었는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그 ‘가까운 기원’을 드러내고 대안을 모색하려 한다.

      • KCI등재

        학회 없는 학술지, 포괄적 한국학의 꿈:『한국학보』의 경우

        서호철 ( Ho Chul Seo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6 사이 Vol.20 No.-

        한국학은 여전히 확립된 학문분야나 방법론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운동이며 모색이다. 그동안의 한국학의 성취와 한계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한국학의 ‘기원’ 못지않게, 한국학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된 1970년대 이래의 학문적 실천을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글에서 주목하는 것은 1975년 12월 창간되어 만 30년을 맞은 2005년 통권 120집을 끝으로 종간된 계간 학술지 『한국학보』이다. 경제 적으로 어려웠고 학술장의 규모도 크지 않았던 당시에, 계간 학술지를 30년 동안 냈다는 것은 예삿일이 아니다. 게다가 『한국학보』는 특정 분과학문이 아니라 포괄적인 한국학을 지향했고, 독특하게도 학회나 대학 연구소가 아닌, 일지사라는 상업 출판사가 주도한 학술지였다. 따라서 『한국학보』는 당시 한국의 각 대학이나 학회고유의 학풍이나 세력관계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었던 반면, 원고 모집이나 재정적 운영에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한국학보』가 그린 ‘한국학’이란 서구 근대학문의 방법을 한국적 대상에 적용하는 것이었다. 서구 근대를 ‘보편’으로 상정한 시대적 한계는 있지만, 반대로 그것은 한국의 ‘근대’, 한국에서 근대로의 이행 과정의 연구를 통해 식민사관을 극복하려는 노력이기도 했다. 『한국학보』에 실린 논문들은 물론 한국을 대상으로 하는 역사적 접근이라는 공통점을 갖지만 대개는 국문학, 국사학, 한국사회사 등 개별 분과학문의 주제를 다룬 연구들이다. 그래도 그런 연구들을 한데 모을 수 있도록 자리를 제공한 것은, 한국학 발전에 끼친 『한 국학보』의 중요한 기여다. Korean studies are still an academic movement or approach rather than one established discipline or methodology. In order to appreciat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Korean studies so far, it might be meaningful to take a look at the academic practices since the 1970s, when Korean studies were brought to substantial attention. In this light, the focal attention of this paper is on Hankuk Hakpo(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TJKS hereafter), the quarterly academic journal. TJKS ceased publication in 2005, after 30 years of publication of 120 issues, since its inauguration in December, 1975. It is not usual to publish academic journals four times a year for 30 years, when the economy was not good and the size of academic audience was not big. Moreover, TJKS aimed at inclusive Korean studies, rather than a specific branch of study and it was an ‘commercial’ academic journal, published by a profit-making publisher called Il Ji Publication(Il Ji-Sa), not an academic society nor 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Thus, while it was pretty much free from the power relation of each university or academic institute, it continued to have difficulties in collecting papers and constant financial problems. The aims of TJKS was to apply the modern methodology of western study to Korean subjects. Although there was limitation that western modern was viewed as ‘universal’, it can be seen as the effort to overcome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through studying the transitional procedure towards ‘modern’ of Korea. Most of the papers published in TJKS dealt the specific branches of study such as Korean Literature, Korean History, and Korean Social Studies History, although all these have in common the fact they talked about Korea as their subject of study. Still, the fact TJKS provided a place where all the papers could be put together can be admitted as the prominent contribution of this journ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