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 靑少年의 老人扶養意識에 關한 硏究

        林仁惠,朴明潤 대한보건협회 1987 대한보건연구 Vol.13 No.1

        The study aims to provide materials for planning school and social education for the aged and to devise the welfare policy for the aged by grasping the Korean youths' attitude toward the aged and the degree of their awareness of supporting the aged and by analyzing factors related with it. Questionaires were developed for this purpose, the subject of study being 596 students (296 high school students and 300 college students) in Seoul. S·P·S·S was used for data analysis, data were verified by X_2-test according to each variable, and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main findings obtained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about the awareness of supporting the aged.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according to schooling, the degree of awareness of supporting the aged of high school students being higher than that of college student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according to sex, the degree of awareness of supporting the aged of female students being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05) according to the birth order. But the eldest had the highest degree of awareness of supporting the aged and the ones without any brother or sister had the lowest degree of it as compared to the ones with brothers or sisters more than two.

      • KCI등재

        한국판 가부장 신념 척도(PBS-K) 개발 및 타당화

        임인혜,윤민지,유성경,김은석,손은영,윤은주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4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velop and validate the patriarchal beliefs scale in accordance with Korean culture.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by adding the items reflecting the Korean patriarchal culture after translating and reverse-translating original scale (PB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 the preliminary study (N=279), the scale consisting of 30 items of three sub-factors was determined through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hree-factor structure similar to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scale, the factors 1 and 3 were constructed similar to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scale. However, in Factor 2, the items of Factor 3 of the original scale and the further developed items were grouped together, confirming that Korean patriarchal culture constitutes one factor with patriarchal beliefs in the micro scale of the original scale. In addition, the three sub-factors were conceptualized as male influence in public domain(11-items), family culture centered on paternity(10-items), and perception of female inferiority(9-items). In a main study for over 18 male and female adults(N=300),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ity analysis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final scale were conducted an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sub-factors was tested according to gender and ag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ood fit of the three-factor model of final scale was confirmed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showed high reliability of .94 ~ .96. In the mean difference test according to sex and age, it was found that the male had higher patriarchal beliefs than the female and the older age was higher. Finally,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가부장 신념을 측정하는 척도를 한국 문화에 맞도록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부장 신념 측정을 목적으로 미국에서 개발된 Patriarchal Beliefs Scale(PBS)의 문항에 대한 번안절차를 거친 후에 문헌검토를 통하여 한국의 가부장 문화를 반영하는 문항을 추가하여 예비연구를 위한 척도를 개발하였다. 예비연구(N=279)에서는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세 개의 하위요인의 30개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 모형을 결정하였다. 모형에 대한 분석결과 원척도의 요인 구조와 유사한 3요인 구조이지만 요인 1과 3은 원척도의 요인구조와 유사하게 문항이 구성되었고, 요인 2의 경우 원척도의 요인 3의 문항들과 추가로 개발한 문항들이 함께 묶여 한국의 가족주의적 가부장 문화는 원척도의 미시체계에서 나타나는 가부장 신념과 하나의 요인을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세 가지 하위요인을 공적영역에서 남성의 영향력(11문항), 부계중심의 가족문화(10문항), 여성의 열등성에 대한 인식(9문항)으로 개념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최종척도의 요인구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준거변인과의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하위요인에 대한 성별 및 연령에 따라 평균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척도의 3요인 모형에 대한 양호한 적합도를 확인하였으며 내적합치도는 .94~.96의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평균차이검증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그리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가부장 신념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결과가 갖는 함의를 논의하고,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 하였다.

      • KCI등재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갈등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

        유성경,임인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ach of the three stress response (problem-centered treatment, pursuit of social support, and positive thinking) in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between dual-earner couples on marriage satisfaction. To this end, 369 married couples (369 wives, 369 husbands) who raise children under the age of 6 were surveyed on stress coping (problem-centered, social support, and positive thinking), work-family conflicts, and marriage satisfaction. Based on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the collected data verified six research models by distinguish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each of the three coping strategies from the direction of Work to Family conflict and Family to Work conflict. Interaction graphs were also presented to determine the pattern of significant buffering effects. As a result, first of all, the problem-oriented strategy of the wife buffer the negative impact of the husband's WFC on the husband's own and wife's marriage satisf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problem-oriented strategy that husband himself uses to buffer the negative impact of the husband's FWC on his wife's marriage satisfaction. Second, the pursuit of social support confirmed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the husband's WFC on the husband's marriage satisfaction were mitigated by the pursuit of social support used by his wife. Third, in the case of positive thinking, the effect of the positive thinking on the husband's WFC on the marriage satisfaction of the husband and wife was shown, and the positive response effect of the wife's FWC conflict was also show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갈등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6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맞벌이 부부 369쌍(아내 369명, 남편 369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문제중심, 사회적 지지추구, 긍정화), 일-가정 갈등, 결혼만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을 기반으로 세 가지 스트레스 대처 전략 각각의 조절효과를 일→가정, 가정→일 갈등의 방향을 구분하여 6개의 연구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스트레스 대처 전략의 조절효과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문제중심대처에서는 남편의 일→가정 갈등이 남편 자신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아내의 문제중심대처가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편의 가정→일 갈등이 본인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남편 자신이 사용하는 문제중심대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추구에서는 남편의 일→가정 갈등이 남편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아내가 사용하는 사회적 지지추구가 완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긍정화 대처의 경우에는 남편의 일→가정 갈등이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아내가 사용하는 긍정화 대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내의 가정→일 갈등에서도 아내가 사용하는 긍정화 대처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역할신념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유성경,방지원,임인혜,최보윤,김수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0 여성연구 Vol.10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역할신념이 어떠한 하위 집단으로 분류되는지 확인하고, 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무엇인지, 그리고 하위집단들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408쌍의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영유아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는 부모 역할에 대한 신념에 따라부부 진보형(PC:Progressive Couple), 남편 진보형(PH:Progressive Husband), 아내 진보형(PW:Progressive Wife), 부부 보수형(CC: Conservative Couple) 4개 하위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집단 분류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부인의 나이, 교육과 소득이었다. 유의미한 집단차이는 다음과같다. 1) PC형의 남편과 아내는 모두 결혼만족도가 높고, 가정-일 향상,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2) PW형의 남편들은 스트레스, 우울, 가정-일 갈등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가정-일 향상 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PH형의 남편들은 결혼만족도와 배우자 지지가 가장높고, 가정-일 갈등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3) PW형의 아내들은 낮은 배우자 지지와 결혼만족도를 지각하면서도 가정-일 갈등은 낮게 지각하였다. PH형의 아내들은 결혼만족도는 높지만 가정-일 갈등은 높게 경험하였다. 4) CC형의 남편과 부인들은 PW형 보다는 적응적이었지만, CC형의 부인들은 가장 높은 가정-일 갈등을 지각하였다.

      • KCI등재

        워킹맘의 일 가정 양립 촉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유성경,임영선,임인혜,김태원,정혜림,황민혜 한국여성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3 No.3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group counseling program supporting work-family reconciliation for employed mothers and verify its efficacy. It conducted a survey of 230 employed mothers and constructed a preliminary program. After the preliminary program was demonstrated, the present program was organized into four session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working moth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3 and 19 respectively and the study examined if the program reduced their stress, improved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increased life satisfaction, and enhanced work-family reconciliation.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ress of the employed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but their stress was reduced after two weeks. Second, their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ability after the program did not reveal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score was increased after two weeks. Third, their life satisfaction was increased after the program and the scor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Fourth, for those who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core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it did not last after two weeks. However, it was significantly high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present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the basic data to implement group counseling specialized for employed mothers and developed the structured program, which can be consistently updated.

      • KCI등재

        일-가정 양립 촉진적 자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은석,유성경,임인혜,박찬정,임지숙 한국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매일의 삶에서 일 영역과 가정 영역을 넘나들며 성공적인 양립을 촉진하는 개인의 특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탐색적으로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먼저, Clark(2000)의 경계 이론과 문헌 연구를 토대로 문항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30대, 40대 맞벌이 남녀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예비연구(N=300)를 통해 이러한 개인의 특성이 어떠한 요인으로 구성되는지를 확인하고, 본연구(N=500)를 통해 타당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가정 양립 촉진적 자기 특성이 자기와 상황의 조망, 주변의 도움을 활용, 유연한 경계 조정, 배우자와의 의사소통, 정서적 원동력의 5가지 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을 통해 최종적으로 이러한 5가지 요인을 측정하는 19문항으로 이루어진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성별에 따른 형태동일성과 측정동일성 검증 결과, 남녀 모두에게 동일한 척도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결과가 갖는 함의를 논의하였으며, 제한점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conceptua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 that facilitate successful work-family reconciliation, and to develope a scale that measures this construct. The itemswere developed based on Clark’s (2000) work/family border theory and other literature. A pilot study (N=300) and a main study (N=500) with dual-earner couples in their 30s-40s were conducted to validate the scale.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facilitating self for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comprised five factors, self and situational awareness, utilization of support from others, flexible border management, communication with spouse, and emotional motivation. The 19-item scale was finalized through test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results of the configural invariance test and metric invariance test suggested that the same scale could be applied to both men and women. Finally,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역할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조윤진(Cho Yoon Jin),임인혜(Lim In Hy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를 제한하거나 격려하는 어머니의 태도 및 행동을 의미하는 어머니 문지 기역할의 한국형 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Van Egeren(2000)이 개발 하고 Schoppe-Sullivan과 동료들(2015)이 수정한 어머니 문지기역할 척도를 번안한 뒤,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부부 11쌍을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여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역 할 척도의 예비문항을 완성하였다. 예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역할 척도 17문항(문 닫기 8문항, 문열기 9문항)의 최종 문항을 도출하였으며, 6세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 301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우수한 수준이었으며, 개발된 척도와 관련된 변인들과 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 역할 척도는 선행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것과 같이 아버지의 양육 참여를 제한하거나 통제하려는 ‘문닫기’ 와 아버지의 양육 참여를 지지하고 격려하는 어머니의 행동이나 태도를 의미하는 ‘문열기’의 2 요인 구조 가 추출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 로 한국판 어머니 문지기역할 척도 개발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maternal gate-keeping scale which measures the attitude or behavior limiting or encouraging the paternal parenting. To develop and modify the maternal gate-keeping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Van Egeren(2000) and modified by Schoppe-Sullivan (2015) was translated into Korean. Eleven married couples with young children age under 6 were interviewed in depth to design pre-question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preliminary item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pilot study, the final 17 items (8 items related to maternal gate closing, and 9 items related to opening) of maternal gate-keeping scale were selec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aternal gate-keeping scale was examined with 301 Korean parents with one child under the age of six at least. The result was as follows: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mong items was proficient. Since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cale and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alliance, and paternal parenting, the scale demonstrated clear concurrent validity, convergent and discrimi nant validity. As the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goodness of the Korean model which consisted of a two-factor model was proved as favorable. One of the two sub factors was the maternal gate-closing which means maternal attitude or behavior limiting and controlling paternal parenting. The other was the maternal gate-opening, which means maternal attitude or behavior supporting and encouraging paternal parenting.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goodness of fit of the Korean model consisted of two sub factors was proved as favorabl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 동기의 매개효과

        김아영,차정은,이다솜,임인혜,탁하얀,송윤아 한국교육개발원 2008 한국교육 Vol.35 No.4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arents' autonomy support on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wo types of children's self-determined motivation, i.e., motivation by autonomous regulation (autonomous motivation) and motivation by controlled regulation (controlled motivation). A total of 1375 4th through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around the nation completed perceived parents' autonomy support, self- regulation in lear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questionnaires.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goodness of fit of the two models: a partial meditation model and a full mediation model that depicted the direct and indirect (through autonomous motivation and controlled motivation) effects of parents' autonomy support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al mediation model was better fitted to the data than the full mediation model. Parents' autonomy support - an important home environment factor -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autonomous motivation. However, it had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controlled motivation. The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was partially mediated by autonomous motivation, but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controlled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s' autonomy support might contribute to changes in the type of students'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in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parental education to facilitate an autonomy-supportive home environment. 본 연구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학생의 자기결정 동기유형인 자율적 조절과 통제적 조절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자기조절학습효능감에 영향을 주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초등학교 4, 5, 6학년 1,375명의 부모의 자율성 지지 척도, 학습유형척도, 자기조절학습효능감 척도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학생들의 자율적 조절과 통제적 조절을 통해 개인들의 자기조절효능감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완전 매개모형과 부분 매개모형을 설정하여, 공변량 구조분석을 통해 모형의 양호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효능감에 직접효과와 학생들의 자율적 조절을 통한 간접효과가 다 유의하여 부분 매개모형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환경의 중요한 요소인 부모의 자율성 지지 정도는 학생들의 자율적 조절에는 긍정적 효과를 보였고, 통제적 조절에는 부정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학생들의 자율적 조절은 자기조절학습효능감에 직접적인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생들의 통제적 조절은 자기조절학습효능감과는 별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부모의 자율성 지지 효과가 학생들의 자기결정 동기유형과 효능감에 직, 간접적인 영향력을 보인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