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자연광 유입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정혜림,이지윤,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1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economic activity of women increased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dual-income families surged. Therefore, the number of cases where the responsibility of childcare was given to daycare centers has increased due to the nuclearized family. As such, the problem of childcare emerged. According to this demand, the number of daycare centers is increasing rapidly despite the physical environment not being properly prepared. Increasing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daycare centers, but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natural light environment is often overlooked. The introduction of natural light into the infant care environment is considered a condition that influences the physical and emotional well-being of each recipient, and thus must be considered in the daycare center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review the effects of natural light on infant development and to suggest a direction of design for the spatial inflow of natural light into children's homes through a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analysis. (Method) This study analyzes how natural lighting in indoor childcare areas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infants, including their ability to exercise, as well as their cognition, emotion, and spatial awareness. Types of natural lighting applied in daycare center interior spaces were classified. First, the visibility by visual element; second, the direction by the method of light inflow; third, the material by the quality of light; and fourth, the brightness by the amount of light. Based on this criteria, three daycare centers in Korea and Japan were selected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r applied natural lighting design elements to each space. (Results) As a result, both Korea and Japan were found to be good at mining for visual distinctions, but Japan used various sizes, locations, and window heights in their orientation. However, the results show a lack of spatial depth displays through brightness in both Korea and Japan, reflecting poor awareness of the various effects of natural light. (Conclusions) The inflow of natural light into the space of daycare center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positively influences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natural light is a design factor that must be considered as a basic requirement in daycare center space design. As little importance is placed on natural lighting in the construction of Korean daycare centers,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natural lighting as a significant design element in infant spaces. This study has a limit in its selection of a detached building in daycare center for study; therefore, future research on natural lighting in various types of daycare center spaces is needed. (연구배경 및 목적) 핵가족화와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로 맞벌이 가정이 급증함에 따라 가정에서 육아를 전담했던 예전과는 달리 아동 보육을 어린이집에 맡기는 경우가 증가하게 되면서 0세반이 증가하는 등 보육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인간의 발달에 있어 가장 결정적 시기인 0~6세인 영유아 시기의 물리적 보육환경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수요에 따라 물리적 환경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채 어린이집의 수만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점차 어린이집 시설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이 진행되어 왔으나 자연채광을 통한 빛 환경 조성의 중요성에 대해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영유아 보육 환경에 있어 자연광 유입은 인체의 신경을 자극하여 재실자의 신체와 정서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조건이라 사료되며 이에 본 연구는 자연광이 영유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어린이집의 공간별 자연광 유입의 공간디자인에 대한 방향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실내 보육 공간으로의 자연채광의 특성이 어떻게 영유아 운동능력·인지·정서·공간인지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한다. 어린이집 실내공간에서 자연채광이 적용된 유형을 분류하였다. 첫째, 지각적 요소에 따른 시각성, 둘째, 빛의 유입 방법에 따른 방향성, 셋째, 빛의 질을 통한 물질성, 그리고 넷째, 빛의 양에 의한 명도성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국내 및 일본의 어린이집 각 3곳을 선정하여 공간별 자연채광 디자인 요소 적용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 국내와 일본 모두 시각적 특징를 위한 채광에는 우수했으며 방향성에 있어서도 측창, 천창을 다양하게 사용하였지만 일본의 경우 다양한 크기와 위치, 용도로 채광창을 활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반면 국내 및 일본 모두 명도성을 통한 공간의 심도표현이 부족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자연광의 다양한 효과에 대한 인식이 다소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보육 공간으로의 자연광 유입은 영유아의 운동능력·인지·정서·공간인지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어린이집 공간디자인의 기본적인 요건으로 자연광 유입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디자인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어린이집 공간 건립에 있어 자연채광에 대한 중요도가 높지 않은 실정으로 본 연구를 통해 유아 공간에서 자연채광이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단독형 어린이집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나 앞으로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유형의 어린이집 공간에서 자연채광에 대한 공간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신경증, 집중적인 부모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관계에서 어머니 문닫기의 매개효과: 전업모와 취업모 비교

        정혜림 한국여성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7 No.2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gate-clos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among neuroticism, intensive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ing stress and its difference between full-time mothers and working mothers. A sample of 169 full-time mothers and 134 working mothers who had at least one preschool children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 survey measured neuroticism, intensive parenting attitudes, maternal gate-closing and parenting stress. Mplus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result revealed that higher neuroticism and more intensive parenting attitudes were related to more maternal gate-closing and increased parenting stress. Also, more maternal gate-closing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parenting stress. The result of comparisons of full-time mothers and working moth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dditionally, although full-time mothers adopted more intensive parenting attitudes, they did not show more gate-closing behaviors and more parenting stress. The mediation effect of maternal gate-closing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parenting str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research implied that parenting stress could be reduced through collaborative co-parenting by alleviating negative emotion and helping to think flexibly on their rigid parental role.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국내 감각통합치료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Ayres의 감각통합중재(ASI)를 중심으로

        정혜림,최연우,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3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1 No.2

        목적 :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감각통합중재에 관한 연구가 Ayres 감각통합치료의 원리를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 가를 체계적 고찰을 통하여 알아보고자한다. 연구방법 :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국가과학기술전자도서관(NDSL), 한국학술정보(KISS), 디비피아(DBpia) 를 사용하여 2000년부터 2012년까지의 국내학회지를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감각통합치료’, ‘감각통합중재’, ‘감각통합프로그램’, ‘감각통합 훈련’으로 하였으며, 최종 49개의 논문을 포함하였다. Ayres의 감각통합 충실도 분석은 중재방법에서 Ayres의 감각통합 원리를 설명한 경우로 하였으며, 각 대상논문에서 사용한 ASI의 원리의 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 근거의 질적 수준은 수준Ⅳ가 26개로 가장 많았고, 연구 대상 진단군은 지적장애(15개), 발달장애(발달지연, 14개), 자폐스펙트럼장애(13개) 순으로 많았다. Ayres의 감각통합 충실도는 항목 중 감각기회 제공(43개), 자세․ 안구운동․구강․양측 운동협응에 대한 도전과제 제안(37개)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다. 중재에서 5개 이상의 Ayres의 감각통합 원리를 사용한 논문은 26.5%(13개)였고, 8개 이상의 원리를 사용한 논문은 7개(14.2%)로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이었다. 결론 : 본 연구에 포함된 49개 연구 중 34개가 작업치료분야에서 이루어졌고 작업치료분야에서 Ayres의 감각통합중재 원리를 빈번히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감각통합치료에서 치료원리의 통일성과 치료분야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Ayres의 감각통합 원리를 사용하는 것은 중요하며, 앞으로 많은 연구를 포함하여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any studies for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n Korea reflect the principle of Ayers' sensory integration through a systemic review. Methods : The systemic review was executes using RISS, NDSL, KISS, DBpia. The key words for search wer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sensory integration program’,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to search the articles, published in 2000-2012. To analyze ASI fidelity of 49 studies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the numbers of items were calculated if the study describe the ASI principle. Results : The Ⅳ was the most levels of evidence, and the subjects for the studies were mental intellectual disability (15), developmental disability (14)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13) etc. It was described the most that presenting sensory opportunities (43), challenging postural, ocular, oral and/or bilateral motor control (37) of ASI fidelity. The studies using more than 4 ASI principle were 26.5%(13), and 7 studies using 8 or more than 8 were studied in OT. Conclusion : In OT, 34 of 49 studies performed, and they used several principles of ASI. To have unity for sensory integration principle and to improve therapy professionalism the study using various data and systematic review study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

        고유감각을 기초로 한 감각식이가 유아의 수면 패턴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정혜림,노금미,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2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0 No.2

        목적 : 고유감각을 기초로 한 감각식이가 유아의 수면패턴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의 지속 여부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단일사례 연구로서 2주간 14회기의 고유감각을 기초로 한 감각식이를 실시하고, 아동이 잠들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수면시간, 취침시각, 잠들기까지 하는 행동의 정도를 통해 수면 패턴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관찰기록은 사전에 연구자로 부터 교육을 받은 주양육자인 어머니가 실시하였다. 결과 : 고유감각을 기초로 한 감각식이의 적용 후 아동은 잠들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수면시간, 취침시각, 잠들기까지의 행동의 정도에 변화를 보였으며, 추적조사에서 잠들기 까지 걸리는 시간은 일정기간 유지되었다. 결론 : 고유감각을 기초로 한 감각식이가 유아의 수면 패턴의 안정과 관계가 있으며, 감각식이 활동의 효과는 수면 패턴의 유지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앞으로 일반화를 위해 많은 수의 유아를 대상으로 한 대조군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 The aim of the present single subject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nsory diet based on proprioception on toddler's sleep pattern and the continuance of the effect. Methods : The sensory diet based on proprioception consisted of 14 session was provided to a 13 months old girl for 2 weeks. The time taken to fall asleep, amount of sleep, bed time and severity of behavior before sleep were recorded by her mother who was taken the education about observation. Results : After the sensory diet, the child present change of time taken to fall asleep, amount of sleep, bed time and severity of behavior before sleep, and the effect on time taken to fall asleep, continued temporally. Conclusion : The sensory diet based on proprioception was related to stabilize the sleep pattern of a toddler, and the effect of the sensory diet continued temporally after the sensory diet. For future research, more subjects and methodical measure are need to generalize the result of sensory diet based on proprioception affecting to toddler's sleep pattern.

      • KCI등재

        High Incidence of Thyroid Dysfunction in Preterm Infants

        정혜림,신충호,양세원,최창원,김병일,김이경,김한석,최중환 대한의학회 2009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4 No.4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a repeat thyroid function test for preterm infants, and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thyroid function of preterm infants, thyroid functions of 105 infants born at <32 weeks’ gestational age were evaluated. Initial serum free thyroxine (fT4) and thyrotropin (TSH) levels were measured during the first 10 days of life, and repeated tests were performed more than 2 weeks apart. We analyzed the effects of gestational age, systemic diseases, and nutrition on the development of thyroid dysfunction. Thirty-one infants (30%) had low fT4 levels (<0.7 ng/dL) in the absence of elevated TSH levels (<7 μU/mL). Thirteen infants (12%) had hypothyroidism (fT4 <0.7 ng/dL, TSH ≥10 μU/mL) and mean age at diagnosis was 28±17 days. Twelve infants had moderately elevated TSH (TSH 10-30 μU/mL) with normal fT4 levels after 1 week of postnatal life. The history of undergone surgical procedure which needed iodine containing disinfectants was significantly frequent in the infant with hypothyroidism and transient TSH elevation. Repeated thyroid function tests are necessary for preterm infants, even though they initially show normal thyroid function, and are especially important for infants who have been exposed to excessive or insufficient levels of iod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