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쌓기놀이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비형식적 수학 경험

        임수빈(Su-Bin Lim),이은형(Eun-Hyung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쌓기놀이에서 나타나는 만 2세반 영아들의 비형식적 수학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S어린이집 만 2세반 남아 3명과 여아 2명 총 5명을 대상으로 쌓기놀이에서의 수학 경험에 대해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2년 3월 27일부터 7월 5일까지 3개월 동안 주 2회씩 총 26회 실시하였고, 관찰시간은 오전과 오후 실내자유놀이 시간을 고르게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영아는 교사 및 또래와 함께 수세기, 공간과 도형 개념 인식하기, 물체의 속성 비교하기, 단순분류하기, 간단한 규칙성 만들기 등의 수학적 개념을 경험하였다. 쌓기놀이에서 영아의 수학 경험에 영항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블록의 특성, 교사의 개입, 또래 참여 및 갈등 등이 나타났다. 먼저 블록은 크기, 모양, 조작 방법에 따라 수학적 경험을 촉진하는 구체물의 역할을 하였다. 다음으로 교사의 개입은 영아의 놀이를 지속시켜주고, 영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확한 수학적 용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또래 참여 및 갈등를 통해 영아는 혼자놀이에서보다 더욱 다양한 수학활동을 경험할 수 있었고, 서로를 모방하며 수학적 인식을 넓혀나갔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의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쌓기놀이 환경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nformal mathematical experiences of 2-year-old toddlers in the block area at a childcare center and factors influencing mathematical activities experienced at block pla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formal mathematical experiences are ‘numbering with peers and teachers’, ‘space and figure’, ‘comparing and understanding order’, ‘classification’, and ‘creating simple patterns’ in the block area. Two-year-old toddlers experience these kinds of experiences during block play. The block play helped to enrich the mathematical concepts and experiences of the toddlers. Second, during block play, characteristics of playing blocks, as well as peer conflict and participation and teacher intervention, were factors influencing the toddlers’ mathematical activities. Because blocks themselves are composed mathematically, they stimulated toddlers to have various mathematical experiences. When peers faced conflict or participated in individual play, the play became extended and deepened. Accordingly, toddlers could experience more various math activities than those of individual play. Furthermore, while having mutual reactions with peers, toddlers could use mathematical language. Finally, various interventions of teachers helped toddlers’ play to continue and enabled various math activities. Thereby, teachers’ intervention became a factor enabling toddlers to study mathematical contents systematically, otherwise they could experience them just by chance.

      • SCOPUSKCI등재

        결착제 종류에 따른 식물소재기반 패티 제조 및 품질특성

        임수빈(Su-Bin Lim),문태휘(Tae-Hwi Moon),선구(Sun-goo Yim),유예림(Ye-Lim You),한정아(Jung-Ah Han) 한국식품과학회 202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5 No.3

        본 연구에서는 1% 히알루론산과 카라기난, 구아검을 결착제로 첨가한 식물성 패티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색도평가시, 명도와 황색도에서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적색도는 대조군이 결착제 첨가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pH는 검을 첨가한 시료군이 대조군과 HA 첨가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수분함량과 가열수율은 HA, GG, HA+GG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직경감소율은 HA, GG, HA+GG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여 서로 상응하는 결과를 보였다.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패티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결착제 첨가군에서 결착제의 친수성 상호작용으로 인해 대조군에 비해 표면공극의 수가 감소하여 표면 개선에 도움을 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GG 첨가군은 높은 점성으로 인해 큰 공극이 형성되면서 불규칙한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감 측정결과 결착제를 첨가한 패티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경도와 씹힘성, 그리고 높은 탄력성을 보였다. 시제품 2종과 GG, HA+CG, HA+GG 첨가군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외관은 시제품 2종과 GG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향도 시제품 2종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보였다. 맛과 부드러움은 HA+GG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전반적인 기호도 또한 HA+GG와 HA+CG가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강도평가에서 촉촉함은 HA+GG, HA+CG 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시제품 2종은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으며, 조직감은 시료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식물성 패티 제조 시 히알루론산과 구아검을 결착제로 첨가하는 경우 패티의 수분함량과 가열수율은 향상시키고 직경감소율을 감소시켜 제품의 촉촉함과 부드러움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lant-based patties with different binders were developed as meat analogues, and their properties were compared. Hyaluronic acid, carrageenan (CG), guar gum (GG), and a mixture of the gums (HA+CG and HA+GG) were used as binders. Samples with HA, GG, and HA+G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oisture content and cooking yield and lower reduction in diameter after cooking than the control samples. In addition, microstructure analysi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howed that the samples with binders had an improved surface structure and smaller pores than the control, except for those with GG. Patties with binders also exhibited lower hardness and higher springiness than the controls. In the sensory evaluation, patties with HA+G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for taste, moistness, tende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than oth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A+GG can be used as an effective bin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plant-based meat analogue.

      • KCI등재

        참죽나무 열매의 항산화 및 Elastase, Collagenase, Hyaluronidase, α-Glucosidase 저해 효과

        임수빈(Su-Bin Lim),김명욱(Myung-Uk Kim),이은호(Eun-Ho Lee),김예진(Ye-Jin Kim),조은비(Eun-Bi Cho),박경일(Kyeung-Il Park),강인규(In-Kyu Kang),조영제(Young-Je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11

        본 연구에서는 참죽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및 elastase, collagenase 및 hyaluronidase 등의 효소활성 저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참죽나무 열매 추출물의 total phenolic contents(TPC)는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104.94 ㎎/g으로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열수 추출물의 경우 56.54 ㎎/g의 추출 수율을 나타내었다. 이를 동결건조 한 분말(Cedrela sinensis powder; CSP)의 TPC 함량은 390.73, 491.47 ㎎/g으로 높은 TPC 함량을 나타내었다. CSP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200 ㎍/mL 농도에서 CSWP와 CSEP가 각각 72.17%와 71.38%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200 ㎍/mL 농도에서 CSWP와 CSEP가 각각 99.11%와 99.16%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PF를 측정한 결과 200 ㎍/mL 농도에서 CSWP와 CSEP가 각각 1.75와 1.91 PF를 나타내었고, TBARS는 200 ㎍/mL 농도에서 CSWP는 38.72%, CSEP는 56.95%를 나타내었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BHT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PF와 TBARS의 경우 BHT보다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CSP의 elast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200 ㎍/mL 농도에서 CSEP에서 85.28%를 나타내었다. Collagen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200 ㎍/mL 농도에서 CSWP와 CSEP가 각각 29.38%, 56.66%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CSP는 elastase와 collagenase가 관여하는 주름 생성과정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CSP의 hyaluronidase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200 ㎍/mL 농도에서 CSWP와 CSEP가 각각 87.80%, 88.51%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α-Glucosidase 저해 효과를 측정해본 결과 200 ㎍/mL 농도에서 CSWP와 CSEP가 각각 92.17%, 99.06%로,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EGCG와 유사하거나 더욱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참죽나무 열매의 동결건조물은 항산화 효과, 주름개선 효과, 항염증 효과 및 α-glucosidase 저해를 통한 혈당상승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tion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edrela sinensis fruits on elastase, collagenase, hyaluronidase, and α-glucosidase. The total phenolics content (TPC) of C. sinensis fruits was 56.54 ㎎/g in the hot water extracts and 104.94 ㎎/g in the 50% ethanol extracts, which was the highest. The TPC in the freeze-dried powder of the hot water extracts and the 50% ethanol extracts were 390.73 and 491.47 ㎎/g, respectively.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C. sinensis fruits water extract powder (CSWP) and C. sinensis fruits ethanol extract powder (CSEP) were 72.17 and 71.38% at a 200 ㎍/m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of CSWP and CSEP were 99.11 and 99.16%, respectively, at 200 ㎍/mL. The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s (PF) of CSWP and CSEP were 1.75 and 1.91 PF, respectively, at 200 ㎍/mL.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of CSWP and CSEP were 38.72% and 56.95%, respectively, at 200 ㎍/mL. The DPPH and ABTS of CSWP and CSEP were higher than those of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but PF and TBARS were lower than those of BHT. The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of CSWP was not observed but the inhibitory activity of CSEP was 85.28% at 200 ㎍/mL. The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of CSWP and CSEP were 29.38% and 56.66%, respectively, at 200 ㎍/mL. Therefore, CSP was considered to be a potential source of cosmetic products for the wrinkle-improving function. The hyaluronidase (HAase) inhibitory activity of CSWP and CSEP as the biological activity for functional food were 87.80% and 88.51%, respectively, at 200 ㎍/mL.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CSWP and CSEP were 92.17% and 99.06%, respectively, at 200 ㎍/mL. CSWP and CSEP were similar or more effective than EGCG as a positive control. The CSP showed excellent of anti-oxidant, anti-wrinkle,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and helped decrease the blood sugar content through the 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These results show that extracts from C. sinensis can be used as a functional resource with anti-oxidant, anti-wrinkle, anti-inflammation, and anti-diabetes activities.

      • KCI등재

        빛의 조사 기간에 따른 세 가지 미세조류의 지질 함량 변화와 균체의 당화 전환율 비교

        임수빈 ( Su Bin Lim ),정지원 ( Ji Won Jeong ),연재성 ( Jae Sung Yeon ),이나경 ( Na Kyung Lee ),원종인 ( Jong In Won ) 한국화학공학회 2015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3 No.4

        본 연구에서는 빛의 조사기간을 변화시켜 세 종류의 미세조류(Nanochloris, Dunaliella tertiolecta, Tetraselmis)를 배양하고 이들의 성장속도 및 지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빛의 조사기간은 한국의 여름철과 겨울철의 일조시간을 반영해 각각 14.5시간과 7시간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지질 추출 후 남은 미세조류를 당화시켜 포도당 전환율을 비교함으로써 미세조류의 바이오매스로써의 가능성을 가늠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D. tertiolecta가 다른 두 종의 미세조류보다 빛의 조사기간이 7시간일 때 최대 38% 높은 성장속도를 나타냈으며 지질함량은 최대 43.6% 정도 높은 결과를 보였다. 포도당으로의 당화 전환율도 D. tertiolecta가 최대 22% 높은 결과를 보였다. Microalgae have the advantages of being able to utilize the solar energy and culturing at a low cost. In particular, microalgae have a great potential in the production of biodiesel due to the high lipid content. Lipids produced from microalgae are converted to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by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and FAME is called a biodiesel in general. In addition, microalgae can also be utilized as a substrate for ethanol fermentation after saccharification reaction.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microalgae (Nanochloris, Dunaliella tertiolecta, Tetraselmis) were cultured and their lipid contents were compared. In addition, the effects of lighting period on the growth rate and lipid content were studied. Finally, the amounts of glucose produced from each saccharified microalgae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we demonstrated that D. tertiolecta has 43.6% higher lipid content and 22% higher glucose conversion than two others.

      • KCI등재

        생마즙과 오디가 첨가된 오미자청 샐러드드레싱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

        김형돈,임수빈,오혜림,전혜련,김초롱,김나연,홍윤표,이지현,김미리,Kim, Hyung Don,Yim, Su Bin,Oh, Hye Lim,Jeon, Hye Lyun,Kim, Cho Rong,Kim, Na Yeon,Hong, Yoon Pyo,Lee, Ji Hyun,Kim, Mee Ree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2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8 No.5

        본 연구는 지방함량이 낮고 건강지향적인 고품질 오디 샐러드드레싱 개발을 위해 식초대신 오미자, 점도를 높이기 위해 생마즙을 사용하여 샐러드 드레싱을 제조하고 그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을 분석하였다. 샐러드 드레싱에 첨가되는 재료는 샐러드베이스(플레인 요거트:마요네에즈:생크림=8:1:1):오디분쇄물:오미자청:생마즙=4:4:6:1 또는 4:4:6:3 으로 첨가하였으며, 이때 첨가된 생마는 전체 샐러드 드레싱의 0,7, 18% 수준이었다. 샐러드 드레싱의 pH는 생마즙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며, 산도는 낮아졌다. 점도는 생마즙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은 83.20 cP로 낮았으나, 생마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생마즙 7%첨가군은 113 cP, 18% 첨가군은 125 cP 를 나타내었다(p<0.001). 유화 안정성은 생마즙 첨가량과 관계없이 49-50으로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색도 중 명도와 황색도는 생마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대조군이 0.087 mg/g 이었으며, 생마즙 7% 첨가 오디 샐러드 드레싱은 0.101 mg/g, 생마즙 18% 첨가 오디 샐러드 드레싱은 0.122 mg/g 으로, 생마즙 함량이 증가할수록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IC_{50}$ 값은 대조군이 34.4 mg/mL, 생마즙 7% 첨가군이 32.3 mg/mL, 18% 첨가군이 29.7 mg/mL으로 생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DPPH 라디칼 소거능의 $IC_{50}$ 값이 낮아져 샐러드 드레싱의 항산화능이 증가하였다.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의 $IC_{50}$ 값은 대조군이 16.556 mg/mL, 7% 첨가군은 14.297 mg/mL, 18% 첨가군은 11.812 mg/mL 으로, 생마즙 함량이 증가할수록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은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으로 기호도 검사 결과, 외관, 향, 맛, 조직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생마즙 첨가군이 높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7%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오미자와 생마즙을 첨가한 오디 샐러드 드레싱 제조시 7%의 생마즙을 첨가할 경우 윤기, 색, 점도, 맛, 향, 기호도면에서 우수할 뿐 아니라 항산화성이 우수하여 고품질 천연 샐러드드레싱으로서 상품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yam juic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alad dressing was evaluated. Salad dressings were prepared with the salad dressing base (plain yogurt:mayonnaise:fresh cream=8:1:1), mulberry, omija for acidity, and yam for viscosity in the ratios of 4:4:6:1 and 4:4:6:3. Fresh yam juice was added at the level of 0, 7, and 18% of the salad dressing. As the concentration of the yam juice increased, the salad dressing increased in pH and decreased in acidity. The Hunter color L (lightness), b (yellowness) and a (redness) values of the salad dressing decreased as the amount of yam juice increased. The viscosity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yam juice. The total phenol content also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added yam juice. The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and hydroxyl radical activity of the mulberry salad dressing increased as the amount of yam juice was increased. The sensory preferenc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alad dressings with added yam juice had higher scores in the color, flavor, taste and texture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In the overall preference, the 7% yam juice added salad dressing had the highest score among the treatments.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salad dressing with the added mulberry, omija for acidity, and yam juice for viscosity was a functional salad dressing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y.

      • KCI등재

        저장 기간 중 생마즙, 오미자 및 오디 첨가 샐러드드레싱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능의 변화

        김초롱 ( Cho Rong Kim ),임수빈 ( Su Bin Yim ),김형돈 ( Hyung Don Kim ),오혜림 ( Hye Lim Oh ),전혜련 ( Hye Lyun Jeon ),김나연 ( Na Yeon Kim ),홍윤표 ( Yoon Pyo Hong ),이지현 ( Ji Hyun Lee ),김미리 ( Mee Ree K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2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9 No.6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우수한 오디, 오미자, 생마즙(0, 7, 18%)을 사용하여 개발한 고품질 샐러드드레싱의 저장(5℃, 4주) 기간 중 품질 특성 및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PH 맟 산도는 생마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높아지고 산도는 낮아졌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PH는 다소 증가하고 산도는 감소하였으나 그 변화 폭이 적어 품질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점도는 대조군은 83.2 cP로 낮았으나, 생마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값이 증가하였으며(p<0.001) 저장기간에 따라 모든 군에서 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화안정성은 생마즙 첨가량과 상관없이 49~50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경과되어도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는 저장 초기 대조군에 비해 생마즙을 첨가한 실험군의 명도, 적색도, 황색도 수치가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군에서 명도, 적색도, 황색도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 라디칼소거능 IC(50) 값과 총 페놀함량을 통한 항산화성은 생마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성이 증가하였고, 저장기간에 따른 항산화성 저하는 관찰되지 않았다. 과산화물가는 저장 초기 1.51~1.12 meq/kg 이었으며, 생마즙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4주 경과 후에도 큰 폭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본 실험에서 제조한 생마즙 오미자 및 오디 첨가 샐러드드레싱은 항산화성이 우수한 고품질 샐러드드레싱으로 저장(5℃, 4주)중 산패 및 품질에 큰 변화가 없어 저장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여 진다.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ulberry salad dressing prepared with yam juice during storage at 5℃ for four weeks were evaluated. The salad dressing was prepared with a salad base, mulberry, omija, and yam (4:4:6:1 or 4:4:6:3). Fresh yam juice was added to the salad dressing at 0, 7, and 18% levels. After four weeks storage, the pH increased whereas the acidity decreased. As the yam concentration increased, the pH increased to 3.84 and the acidity decreased to 0.14%. The Hunter color L (lightness), b (yellowness), and a (redness) values decreased over the storage period. After four weeks storage, the viscosity increased from 83.2 to 158.5 cp according to the amount of yam juice that was added. The antioxidant activity, such as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salad dressing improved as the yam concentration increased. Moreover,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the peroxide value did not increas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ulberry salad dressing to which omija and fresh yam juice were added maintained its freshness with high antioxidative activity during storage.

      • SCOPUSKCI등재

        볶은 서리태를 첨가한 영양 스콘의 개발 및 특성

        문태휘(Tae-Hwi Moon),임수빈(Su-Bin Lim),한정아(Jung-Ah Han) 한국식품과학회 202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4 No.6

        밀가루를 대체하여 볶은 서리태 분말을 첨가(0-50%)한 스콘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반죽의 밀도는 서리태 분말 30%이상 첨가 시 증가하였으나 30-50% 첨가군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시료의 높이와 부피도 40% 이상 첨가 시 감소하였으나 40과 50% 첨가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굽기손실률은 서리태분말 20% 첨가군부터 감소하였으나 30-50% 첨가군 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수분함량은 대조군보다 서리태분말 10-40%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50% 첨가군에서는 대조군과 같은 수준을 보였고, pH는 서리태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색도는 껍질과 속질 모두 명도와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스콘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서리태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제조한 스콘의 경도는 30% 대체군까지는 유의적 차이가 없다가 40% 첨가군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응집성은 서리태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탄력성 및 씹힘성은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과 조직감은 20% 대체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나 향,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는 시료 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밀가루를 대체하여 볶은 서리태 분말을 함유한 스콘을 제조할 때, 30% 첨가수준까지는 제품의 부피나 조직감, 관능적 특성 등에 유의적 차이가 없으면서 항산화 활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서리태 분말 대체수준은 30%가 적합할 것으로 보이며 이 경우 단백질 강화효과(72.3% 증가)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cones were prepared using roasted seoritae powder (RS) as a substitute for wheat flour (from 0 to 50% RS content: RS 0, RS 10, RS 20, RS 30, RS 40, and RS 50). As the RS amount increased, the density of the dough and the protein content of the scone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the volume and baking loss decreased. The moisture content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for RS 50. In terms of the antioxidant properties, both the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the hardness and cohesiveness of the scon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RS content. In the sensory test, RS 20 was the most preferred in terms of appearance and textur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properties among the sampl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proper ratio of wheat flour replacement with RS was 30% for the scones; with this concentration, an increased antioxidant effect also can be obt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