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식품 내 바이오제닉아민 신속검출기술 개발 동향

        이재익(Jae-Ick Lee),김영완(Young-Wan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2

        BA은 치즈, 와인, 젓갈, 소시지, 된장 등 미생물에 의한 발효 과정을 거치는 식품뿐만 아니라 채소류, 과일, 육류와 같은 비발효 식품군에서도 발견된다. 식품 내 BA 오염에 대한 관리를 목적으로 제조공정 및 유통과정에서 신속하게 다량의 시료를 분석하고 제품에 대한 항시 모니터링 기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BA 특이항체 및 BA 분해효소를 이용하는 BA 검출 및 센싱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HisN 특이 항체를 이용한 ELISA 키트는 상용화되었으며 다양한 식품에 적용되고 있다. 산화적 탈아미노반응을 촉매하는 아민산화효소는 항체기반의 ELISA 방식에 비해 다양한 BA 분석에 사용되고 있으며, 효소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H<SUB>2</SUB>O<SUB>2</SUB>의 산화환원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BA의 함량을 정량할 수 있는 전류측정식 바이오센서 개발에 적용되고 있다. BA 신속검출을 위한 바이오센서의 개발 연구 동향에 발맞추어 국내 전통발효식품에 적합한 기술개발이 요구되며, 산업현장 적용 연구를 거쳐 국내 전통발효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Biogenic amines have been used as chemical indicators to estimate bacterial spoilage of foods, particularly fish and fish products, cheese, and fermented foods. So far many chromatography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detect biogenic amines in foods. Although these instrumental analyses exhibit good sensitivity, they cannot be used as rapid detection methods due to the chemical treatment of the samples and the time-consuming process involved. For the rapid and simple detection of biogenic amines,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s are commercially available. In addition, analytical systems with enzyme-based amperometric biosensor detection have been increasingly developed. The biosensors used to detect the biogenic amines are based on the action of either amine oxidases or amine dehydrogenases that catalyzes the oxidative deamination of biogenic amines to the corresponding aldehydes and ammonia. This review mainly focused on the principle,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the detection methods for rapid detection of biogenic amines in foods.

      • KCI등재

        장애인을 고려한 의료기관의 건축적 접근성에 관한 연구

        이동희(Lee Dong-Hee),이재익(Lee Jae-Ick),한규영(Han Kyu-Young)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5 No.4

        This study analyzes the architectural accessibility considering the handicapped, whose objects are 105 medical institutions located in Suncheon-city, Jeollanamdo province. The range of this survey is from sidewalk before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to exit of the medical institution. The survey items are widely divided into three parts which are intermediate space(sidewalk and access road, parking lot), outdoor space(entrance area, ramp and entrance door) and indoor space(corridor and pathway, indoor stairs, elevator and the door of an examination room). The base of this survey on architectural accessibility is set up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based on the code of convenience facility improvement. The result of this survey clearly shows that there are lots of obstacles on the way to medical institutions. There are quite a few pedestrian obstacles specially on sidewalks and access roads. Also some problems were found out such as a building has a door sill and wheelchair passing is impossible since there's no elevator in the building which is taller than second-story. Besides, those results are seen remarkably in clinics and old towns compared to hospitals and new towns.

      • KCI등재

        ICT를 활용한 독거노인 헬스케어서비스 실증 연구 - 송파구 지역을 중심으로 -

        이지연 ( Lee Ji Yeon ),이재익 ( Lee Jae Ick ),전지호 ( Jeon Ji Ho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1

        고령화 사회가 가속화되면서 2016년 기준 독거노인 100만 시대가 도래했다. 독거노인은 대부분 실내에서 시간을 보내고 있어 건강 혹은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행한 위험 상황에서 도움을 받기 어렵다. 이러한 독거노인의 낙상사고와 생활패턴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응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해 독거노인의 주 생활공간의 활동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해, 비상상황 발생 시 응급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설계하여 송파구 공동주택 거주 독거노인 20가구를 대상으로 8~10월, 두 달 간 서비스를 실시했다. 이번 연구에서 실증모델 구현 전, 사용자 중심의 면대면 맥락적 인터뷰를 통해 건강과 안전의 요구를 도출하여 서비스 모델 설계를 기획하였으며. 실증모델 구현 후, 낙상효능척도(FES), 병원 불안우울척도(HADS)를 T-test를 바탕으로 서비스의 효과를 확인했다. 실증모델 구현결과, 헬스케어 시스템과 사용자특성에 맞는 인터페이스와 서비스 운영 측면에서 개선점을 발견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서비스 개선안 및 서비스개발 방법론은 향 후 독거노인 및 헬스 케어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th the acceleration of aging, one million solitary elderly people have arrived. The solitary elderly spend the most time indoors, making it difficult to get help in a dangerous situation. It is time to develop a healthcare service that can detect an abnormality at an early stage and respond in case of emergency. Therefore, this study used ICT to monitor the living spac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o design a service that can cope with emergency, and conducted pilot operation for 2 months. In this study, the service model was designed by deriving the health and safety needs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empirical model, and then the service effectiveness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fall efficacy scale (FES) and the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HADS).Then I confirmed the effect of the service. As a result, we found interfa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system and users and improvement points on the service operation side. The proposed service improvement method and service development methodology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data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health care service.

      • KCI등재

        뉴실버세대의 모바일 헬스케어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GUI 가이드라인 제안

        조성배,이재익,Jo, Sung Bae,Lee, Jae Ick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18 스마트미디어저널 Vol.7 No.2

        최근 고령 사회로의 진입으로 헬스케어 서비스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노후를 능동적으로 준비하는 뉴실버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GUI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뉴실버세대는 일반적인 고령자들보다는 정보취득에 대한 거부감이 약하기는 하지만 40대 이하의 젊은 세대들과 정보습득능력의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의 GUI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의료소비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뉴실버세대가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GUI평가 가이드를 제안하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은 첫 번째, 문헌연구과 선행연구를 통해 뉴실버세대의 특성을 분석하여 모바일 헬스케어의현황을 파악하였고, 두 번째, 현재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각 분야에서 선호되는 시각구성요소를 분석하여 고령자의 특성에 맞게 모바일 GUI디자인의 사용성 평가 지표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 도출된 평가 지표를 사용하여 휴리스틱(heuristic)방식을 통하여 57세부터 65세까지의 뉴실버세대 8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뉴실버세대 사용자의 특성에 맞춰 GUI가이드를 제안함으로써 사용성 향상에 기여하기를 기대하며 동시에 헬스케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ly with the entrance to the aging society, the demand on health care services is being increased. However, there are still few GUI types of researc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new-silver generation progressively preparing for their golden(old) age. As the new-silver generation showed less reluctance to th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Internet comparing to general seniors, but it is urgent to conduct researches about GUI of mobile healthcare services considering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some guidelines of GUI evaluation so that new-silver generation being emerged as main consumer group in future medical consumption could efficiently use mobile health care services. As the research method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new-silver generation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nd understood the status quo of mobile health care services, and second, it analyzed the visual composition factors being preferred in each field of current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and drew out a usability evaluation matrix of mobile GUI design appropriate for elderly people's characteristics. Third, with the drawn evaluation matrix, this study conducted the usability evaluation of 8 subjects in new-silver generation ranging from 57 years old to 65 years old through a heuristic way. This study expects that it would be contributed in increasing the GUI usability by proposing some guidelines for GUI being appropriated for new-silver generation user's characteristics, and thinks that researches about developing health-care mobile applications will be continued in future at the same time.

      • KCI등재

        국가 R&D 산출물 성과관리 활성화를 위한 저작권 개선방안 연구

        양연경(Yang, Yeon Kyoung),이재익(Lee, Jae Ick),남현우(Nam, Hyun Woo)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1

        우리나라의 국가 R&D는 18조원 이상의 예산과 연간 4만 여 개의 과제를 통해서 수행되고 있으며,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 R&D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 및 저작권에 대한 문제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국가 R&D 산출물 저작권에 대한 기본적인 현황과 조사와 분석을 통해서 연구자의 연구결과물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이를 통해 R&D 성과활성화의 개선방안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R&D 산출물에 대한 저작권 선호도 및 인식수준을 조사하였으며, 국가 R&D 저작권 보호 실태와 유통현황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조사 및 분석결과, 국가 R&D 산출물에 대한 저작권 보호 기술은 많이 연구되어 있으나, 유통 및 이용의 활용성은 문제점이 많았다. 따라서 국가 R&D 저작권 기술 개발에 대한 효율적인 로드맵을 제안하였다. 또한 국가 R&D 저작권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서 SWOT, GAP 분석을 FGI를 이용하여 결과값을 제시하였다. 첫째, R&D 산출물의 성과활용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의 발굴이 필요하다. 둘째, 국가 R&D 산출물 관리시스템과 저작권과 관련된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 셋째, 표준화된 지침을 바탕으로 국가 R&D 산출물 저작권 관련 교육을 수행해야 한다. 넷째, 국가 R&D 저작권 관련 법과 제도 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국가 R&D에 대한 기반과 토대를 마련하는 연구이며, 연구자들의 R&D 산출물에 대한 저작권 보호와 분쟁방지 및 침해예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국가 R&D 저작권 활성화에 큰 역할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Korea National R&D has invested more than 18 trillion won budget,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an annual 40,000 different challenges, in order to enhance competitiveness growth was a great influence industry. Nevertheless, the issue of the ownership and copyright of the National R&D work is constantly occurring, so we are concerned about the lack of a clear solution to the disput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tect the results of research by the copyright status and basic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national R&D outcomes copyright, and also we will build the Improvement of R&D efforts enabled through this.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pyright of the National R&D output preference and awareness, national R&D copyright status, and distribution statu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national R&D output technology for copyright protection, but is much research,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the castle were used by this issue. In this study, we propose a Road-map for the National R&D technology copyrights. In addition to presenting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R&D copyrights, we presented the results using the FGI the SWOT, GAP analysis. Countries in order to improve the leverage R&D achievements, first of all, the excavation of the business model, it is necessary for the performance advantage of R&D outputs. Second, we must improve the national R&D and product management systems and Copyrights system. Third, we must do the national R&D output copyright-related education on the basis of standard guidelines. Fourth, the national R&D copyright laws and institutional regulations is essential. In conclusion, this study is based on research that laid the foundation for the country and R&D, we have been able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prevention of copyright infringement and conflict prevention and researchers in R&D output. Thus, it is expected to take a greater role in national R&D Copyright enabled.

      • SCOPUSKCI등재

        원발성 폐암 환자에서의 기관지 소매 절제술의 장기 성적

        조석기,성기익,이철,이재익,김주현,김영태,성숙환,Cho, Suk-Ki,Sung, Ki-Ick,Lee, Cheul,Lee, Jae-Ik,Kim, Joo-Hyun,Kim, Young-Tae,Sung, Sook-Wha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1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4 No.12

        배경 : 기관지 소매 절제술은 종양이 기관지 근위부를 침범한 경우 전폐 절제술 후 폐기능의 감소가 커서 시행할 수 없는 경우에 폐실질을 보존함으로써 폐기능을 유지 할 수 있는 술식이다. 하지만 수술 수기의 난해함과 술 후 위험한 합병증 때문에 전폐절제술의 대 안으로만 여겨져 왔으나, 최근 많은 보고들은 다른 절제술에 비해 낮은 사망률과 낮은 morbidity를 보이고 있어 하나의 표준치료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관지 소매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술 후 합병증의 발생률과 생존율을 분석하여 폐암 환자에 대한 기관지 소매 절제술의 타당성 여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부터 1998년 까지 서울 대학교 병원 흉부외과에서 기관지 소매 절제술을 시행받은 원발성 폐암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남녀의 비는 40 : 5이었고 평균 연령은 57.4$\pm$9.7(23 ~72) 세였다. 수술 후 조직검사상 세포형태는 편평상피암이 35명, 선암이 7명, 선편평상피암이 1명이었으며 기타 2명이었다. 수술부위는 우상엽이 24명, 좌상엽이 11명, 좌하엽이 3명, 우하엽이 1명, 우중엽과 우하엽이 3명, 우중엽과 우상엽이 2명, 좌 전엽이 1명이었다. 수술 후 병기는 stage Ib가 11례, stage IIa가 3례, IIb가 16례, stage IIIa가 13례, IIIb 2례였다. 결과 : 조기 합병증으로 무기폐의 소견을 보인 경우가 9례, 7일 이상의 공기유출이 있었던 경우가 7례, 14일 이상의 늑막 삼출이 7례, 폐렴이 2례, 유미흉이 1례, 문합부 파열이 1례에서 있었다. hospital mortality는 3례 있었으며 후기 합병증의 대부분은 문합부위 협착에 의한 폐 허탈이었으며, 총15명에서 외래에서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였고, 이 중 7례에서 문합부위에 섬유화, granuloma, 허혈등에 의한 폐쇄가 관찰되었고 1례에서는 내시경으로 치료를 시행하였고 1례에서는 조직검사상 재발이 확인되어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다 외래 추적 중 사망한 환자는 21례였으며, 흉곽내 국소 재발(동측 폐, 동측 종격동 임파선 전이)이 9례, 원격전이가 12례 있었다. 장기생존환자 42명의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35.5$\pm$29 개월이며 병기별로는 I 기 환자 11명은 모두 생존 중이며, II기 환자 19명의 3년 생존율은 63% 환자 13명의 3년생존율은 21%였으며 N stage에 따른 3년 생존율은 N0는100%, Nl은 63%, N2는 28%였다. 각 병기별 median survival time은 II기 59개월, IIIa기 16개월, Nl, N2는 각각 55개월, 22개월이었다. 결론 : 기관지 소매 절제술은 사망률이나 합병증의 발생률이 다른 술식보다 더 높지 않으며, 기능적인 면에서도 우수하여 폐기능이 나빠 전폐절제술을 견딜수 없는 일부 국한된 환자에서만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기관지 근위부에 위치한 폐암에서 적극적으로 시행될 것으로 본다. Background : Bronchial sleeve resection for centrally located primary lung cancer is a lung-parenchyma-sparing operation in patients whose predicted postoperative lung function is expected to diminished markedly. Because of its potential bronchial anastomotic complications, it is considered to be an alternative to pneumonectomy. However, since sleeve lobectomy yielded survival results equal to at least those of pneumonectomy, as well as better functional results, it became and accepted standard procedure for patients with lung cancer who have anatomically suitable tumors, regardless of lung function. In this study, from analyzing of occurrence rat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survival rate, we wish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sleeve resection for primary lung cancer. Material and Method :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1998, 45 bronchial sleeve resections were carried out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 included 40 men and 5 women, whose ages ranged from 23 to 72 years with mean age of 57 years. Histologic type was squamous cell carcinoma in 35 patients, adenocarcinoma in 7, and adenosquamous cell carcinoma in 1 patients. Right upper lobectomy was peformed in 24 patients, left upper lobectomy in 11, left lower lobectomy in 3, right lower lobectomy in 1, right middle lobecomy and right lower lobectomy in 3, right upper lobectomy and right middle lobecomy in 2, and left pneumonectomy in 1 patient. Postoperative stage was Ib in 11, IIa in 3, IIb in 16, IIIa in 13, and IIIb in 2 patients. Resul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s follows; atelectasis in 9, persistent air leakage for more than 7 days was in 7 patients, prolonged pleural effusion for more than 2 weeks in 7, pneumonia in 2, chylothorax in 1, and disruption of anastomosis in 1. Hospital mortality was in 3 patients. During follow-up period, bronchial stricture at anastomotic site were found in 7 patients under bronchoscopy, Average follow-up duration of survivals(n=42) was 35.5$\pm$29 months. All of stage I patients were survived, and 3 year survival rate of stage II and III patients were 63%, 21%, respectively. According to Nstage, all of N0 patients were survived and 3 year survival rates of Nl and N2 were 63% and 28% respectively.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is sleeve resection, which is technically demanding, should be considered in patients with centrally located lung cancer, because ttlis lung-saving operation is safer than pneumonectomy and is equally curative.

      • KCI등재

        세계유산 고인돌 유적지 공공시설물 디자인 개발 연구

        허진하(Jin Ha Hur),남현우(Hyun Woo Nam),임인동(In Dong Im),이재익(Jae Ick Lee),임영순(Young Sun 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는 고창, 강화, 화순 고인돌 유적지는 역사·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임기응변식의 안내시설물들의 설치로 인해 정보의 제공 및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고인돌 유적에 대한 안내판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유산의 품격에 맞는 고인돌 유적지의 안내판 디자인을 개발하여 문화·역사적 가치를 기반으로 한 디자인 방향을 도출하여 고인돌 유적지의 이미지를 수립하는데 있다. 이러한 공공디자인 개선을 통해 고인돌 유적지의 관람환경을 개선하고, 세계문화유산의 품격에 맞는 시설물로 인해 국내·외 관람객들에게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세계문화유산 안내판디자인은 고인돌 유적의 성역화, 신성화된 이미지로서의 공간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유적과 자연 경관의 조화를 우선시한 절제되고 품격있는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개발을 위해 크게 형태, 재질, 색상, 폰트를 기준으로 하여 접근하였는데, 형태적으로는 단순하고 절제되어 유적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고, 재질은 재질의 수명과 내구성 등 유적·자연과 조화를 이루되 고인돌 유적과 구별되도록 하였다. 색상은 사용범위를 최소화하였으며, 폰트는 문화재청에서 기존 개발한 기준값을 참조하여 한글서체는 윤고딕, 영문은 Universe 57Condensed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탁자식 고인돌을 디자인 모티브로 한 모던하고 절제된 Slanting type의 안내판 디자인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해 우리 문화유산의 공공디자인 개발과 활용 및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Dolmen sites of Gochang, Ganghwa and Hwasun registered as UNESCO World Heritage have been recognized of their historic and cultural values, but they are failing to perform the role as public areas due to reckless installation of facilities.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an international sympathy and reinforce competitiveness as World Heritage, a public design for dolmen sites must be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e a design course based on cultural and historic values and to establish the image of Dolmen sites for development of a public design for Dolmen sites. Through such improvement in public design, tour environment of Dolmen sites can be improved. By elevating Dolmen sites to the level appropriate for World Heritage, the author of this study aims to prepare an opportunity to renew the recognition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ourists on our cultural heritage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selected as Gochang, Ganghwa and Hwasun regions with domestic Dolmen sites that are currently registered as World Heritage. General status of Dolmen sites was studied based on various research data and papers, and public design status of Dolmen sites was investigated through field study. The part on cases of public design development for domestic cultural heritages was prepared based on policy and press data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focusing on palaces, royal tombs, ancient mounds and temples for which public designs are being developed. The course of design is configured accordingly and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guidance facilities. Based on the study contents, a practical public design for Dolmen sites is proposed. Through further studies, additional designs for convenience and protective facilities must be researched. Studies on guidance facilities considered in this study must also be follo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