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金)과 꽹과리의 전승 관계: 소금과 광쇠를 중심으로

        이숙희 ( Suk Hui Yi ) 세계음악학회 2014 음악과 문화 Vol.30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geum (a kind of Korean zither, (金)) and kkwaenggwari (a kind of Korean small gong) and explain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kkwaenggwari, and it also carries significance in clarifying relations with chwita (military camp music instruments) in terms of organ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al instruments. Geum was used in various court ceremonies and Buddhist services. Geum used in a royal court is classified by usage: family customary formalities,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and military honors. It is also divided into two by size; dae-geum and so-geum. So-geum (or small geum) is also classified by shape into small geum for family customary formalities and so-geum for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Kkwaenggwari used in Buddhist services is similar to so-geum for royal ancestral rites music, and it is also considered to resemble so-geum for royal ancestral rites music in terms of name, shape, size, material and performance techniques of musical instrument. Kkwaenggwari is generally known to be related to so-geum, but as performance tradition of Garye Nobu was cut off, it was difficult to discuss transmission of so-geum for customary formalities of a family, and geum was replaced with jeong (鉦) or jaeng (錚).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so-geum for royal ancestral rites music and kkwaenggwari in terms of shape of musical instrument, but it was hard to find the link transmitted to kkwaenggwari used by ordinary people. However, kkwaenggwari used in Buddhist services, a similar musical instrument to so-geum for royal ancestral rites music, was considered to b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transmission of kkwaenggwari as it was used by the Gutjungpae. The Gutjungpae was a private artist organization related to Buddhism, and it was the only private artist group where kkwaenggwari was used in Buddhist services that was similar to kkwaenggwari was played. As artists belonging to the lowest class of people joined the Soggogun in late Joseon Dynasty, chwita played in military camps was passed down to ordinary people, and as Gutjungpae that played kkwaenggwari used in Buddhist services accepted chwita such as a small jing and a 13-stringed musical instrument played in military camps that was similar to kkwaenggwari used in Buddhist services, kkwaenggwari used in Buddhist services, a musical instrument with a handle, was transformed into a kkwaenggwari without a handle. A small jing or a small jeang is the same as small geum in terms of its size and shape, material and performance techniques, and it is also identical to the small geum for royal ancestral rites music except for a handle and kkwaenggwari used in Buddhist services. Accordingly, so-geum for royal ancestral rites music, so-geum for family customary formalities, so-jeong and so-jaeng in military camps, and gwang-soi used in Buddhist services are considered as identical in terms of characteristics. The performance tradition of geum continued through so-jeong and so-jaeng, and the Gutjungpae transformed gwang-soi into a musical instrument without a handle such as so-jeong and so-jaeng and developing it into kkwaenggwari that a player could play in a free style, and it was expanded into nongak (traditional Korean music performed by farmers) and shamanistic music.

      • KCI등재
      • KCI등재

        용도와 연주자세에 따른 국악기의 형태와 그 변화 양상

        이숙희(Yi Suk hui) 국립국악원 2008 국악원논문집 Vol.18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yles and their transforma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depending on the uses and playing postures, and to identify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becomes a complete one when it is equipped with sound-producing parts and accessaries such as ornaments and supports, plus color and decorative patterns. Since Ak-hak-gwebeom(樂學軌範: an illustrated text on Korean traditional music), some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have been divided in terms of styles, depending on the uses or playing postures. However, as performance environments changed, sometimes instruments were played regardless of the intended uses, and some styles changed, while they were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ince such changes were not rightly identified, we often fail to understand the instruments, also leave their nature distorted. This study investigated how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whose styles had changed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s have transformed in reference to Ak-hak-gwebeom. The styles of musical instruments are divided in terms of intended uses, ritual worship music or royal banquet music, or in terms of playing postures, standing style or seating style. Those Instruments that are divided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s include pyeonjong (carillon), pyeongyeong (tuned stone chimes hung on a frame), geongo, and chuk. They were handed down in two styles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 one was for ritual worship music, and another was for royal banquet music. However, for pyeonjong, pyeongyeong, and chuk, their styles and uses do not correspond to the descriptions in Ak-hak-gwebeom. Geongo was used only at royal banquet music: at that time, both styles were used for ritual worship music and royal banquet music. Considering that geongo was not used for ritual worship music, it is presumable that the descriptions in Ak-hak-gwebeom might be incorrect. The styles of pyeonjong and pyeongyeong are for royal banquet music, while the style of chuk is for ritual worship music, all of them are still used today. Although geongo is not actually used, its style for royal banquet music in the late Joseon has been handed down. Banghyang(方響) is different in style depending on playing postures. Its standing style dis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instead its seating style was greatly enlarged as a standing style. However, the playing postures were handed down until the late Joseon, with sitting style for Jeonsang-ak (or deungga) and standing style for Heonga. Although, at present, the enlarged seating-style banghyang is used as wa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relation to playing postures, its standing style is used both for deungga and heonga at Jongmyo-jeryeo-ak(宗廟祭禮樂) as well as general settings. Today, the environment of the royal court music has changed. This study has found that, at the era of Ak-hak-gwebeom, different styles of musical instruments were used depending on the uses and playing postures. 이 연구는 국악기의 용도와 연주자세에 따른 형태와 그 변화를 살펴 국악기의 정체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국악기는 소리를 발생하는 부분과 장식 · 받침대 등 부속품 그리고 색상과 문양 장식 등 이 모든 것이 어우러져서 하나의 완성된 형태를 이룬다. 『악학궤범』 이후 국악기 중 일부 악기는 용도나 연주자세에 따라 그 형태를 구분하여 사용했다. 그러나 연주 환경 등이 바뀜에 따라 전승 과정에서 그러한 용도의 구분 없이 악기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악기의 형태가 변화된 경우도 있다 이렇게 변화된 사실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아 악기를 올바로 이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악기의 본질을 왜곡하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국악기 중 용도에 따른 형태가 변화된 악기를 『악학궤범』을 기준으로 그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악기의 형태는 제례악용과 연례악용의 용도에 따라 구분되는 것과 立式과 坐式의 연주자세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있다. 용도에 따라 악기의 형태가 구분되는 것은 편종 · 편경 · 건고 · 축이다 편종 · 편경 ·건고 · 축은 조선후기까지 제례악용 형태와 연례악용 형태의 두 가지가 전승되었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만 편종 편경 · 축은 r악학궤범」의 설명과 달리 악기의 형태와 용도가 일치하지 않았고, 건고는 연례악에만 사용했는데, 이때 악기의 형태는 연례악용과 제례악용의 두 가지 형태가 모두 사용되었다. 그리고 건고는 제례에는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r악학궤범」의 기 록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오늘날 전승되는 편종 · 편경은 연례악용의 형태이고, 축은 제례악용 형태이다. 건고는 실제 사용하지 않지만, 악기의 형태는 조선후기 연례악용 형태가 전승되고 있다. 연주자세에 따라 악기의 형 태 가 다른 것은 방향(方響)인데, 입식용(立式用) 방향의 형태는 조선후기에 전숭이 단절되었고 좌식용(坐式用)을 크게 확대하여 입식용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조선후기까지도 전상악(등가)에서는 앉은 자세로 연주하고 헌가에서는 선 자세로 연주하는 연주 자세가 이어져 왔다. 그러나 현재는 조선후기와 같이 좌식용 방향이 확대된 것을 사용하지만, 연주자세는 일반적인 연주는 물론 종묘제례악의 연주시에도 등가와 헌가 모두 서서 연주한다. 현재 궁중음악의 전승 환경이 달라졌지만, 『악학궤범』 당시에는 음악의 용도와 연주자세에 따라 악기의 형태가 다른 음악문화가 있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지당판(池塘板)의 구조와 성격

        이숙희 ( Suk Hui Yi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8

        이 논문은 지당판의 구조와 성격을 살펴 지당판의 공연사적 의미를 밝히는데목적이 있다. 지당판은 판(板), 호로병(葫蘆甁), 모란꽃 등의 지화(紙花) 혹은 채화(彩花), 등(燈), 대연화통과 연통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당판의 판(板)은네모 형태에 붉은색 혹은 녹색으로 채색되어 있으며, 조선후기에는 난간이 설치된 형태로 변화되었다. 모란꽃을 꽂는 호로병은 7개인데, 동병식과 가요식으로구분되었다. 지당판의 모란꽃은 종이로 만드는데, 침향산의 모란꽃은 비단으로만든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모란꽃은 지화 혹은 채화로 만든 것으로 보았다. 지당판의 등은 칠보등·대등·칠성등의 세 개의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조선후기에는 네모 형태의 등에 지붕이 얹혀 있는 유옥방등으로 변화되었다. 등의 좌우에 설치된 대연화통은 연화대의 동녀가 숨어있는 장소이자, 학무와 연화대를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당판의 구성요소 중 유일하게 기능을 띠고있다. 이러한 지당판의 구성 요소는 대개 나무나 종이 등을 이용하여 만들어 채색을한 것이다. 침향산이 가산형(假山形) 이동식 산대인 것으로 미루어 침향산과 동일한 용도를 가진 지당판도 산대로 해석했고, 지당판에는 침향산과 달리 바퀴가 없지만학무와 연화대를 연행할 때 사용하는 사용 형태로 미루어 이동식으로 보았다. 그리고 침향산은 지당에 봉래산이 있는 형태인데 비해 지당판은 지당에 등롱이나무처럼 설치되어 있는 형태인 까닭에 등수형(燈樹形)으로 해석했다. 즉 지당판과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침향산이 ``가산형(假山形) 이동식 산대``임에 반해지당판은 ``등수형(燈樹形) 이동식 산대``로 보고자 하였다. 또 산대가 도교적 성격을 띠고 있는 것에 근거하여 지당을 서왕모가 사는 요지로 해석했고, 지당판의 등(燈)은 도교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았으나, 산대 축조의 역사적 변천 과정에서 불교의 영향도 있을 수 있다고 보았다. 지당판은 학무 혹은 학·연화대 합설에 사용하는 장치인데, 학은 신선이 타고 다니는새이고, 연화대의 창사는 직접적으로 선계를 묘사하고 있어 학무와 연화대도 도교적 성격을 증명하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산대가 도교적 성격을 띠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지당판도 선계를 구현한 장치물이며, 왕의 거가환궁이나 궁중 나례 등에서 지당판을 설치하여 학무와 연화대를 연행하는 것은 왕의송수나 부귀 등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보았다. 학무와 연화대는 지당판의 대연화통을 중심으로 연결되는데, 이 두 춤이 합설된 시기는 고려시대이며, 지당판의 사용 시기는 『악학궤범』 이전으로 보았다. 지당판의 사용주체와 관련하여 『고려사』에는 대연화통이 연화대와 관련되어 있지만, 조선후기에는 학무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변화가 생겼다. 지당판의 사용방법면에서도 『악학궤범』에는 지당판 위에 설치된 대연화통에서 동녀가 출현한다고되어 있는데 비해, 조선후기에는 대연화통을 지당판에서 내려서 대연화통만 활용하는 방식으로 변화되었다. 지당판은 산대의 종 종류로서, 궁중의 학무에만 사용하는 장치물로서 의미가있지만, 이 밖에도 우리나라의 지화와 채화 문화, 등(燈) 문화, 화병(花甁) 문화등 다양한 문화적 전통을 보여주는 점에서 문화사적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Jidang-pan (池塘板) is a device used in the dance of a crane or the combined dance of a crane and a lotus flower, and it is assumed to have been used prior to Akhak-gwebeom (樂學軌範). Jidangpan has a structure where there is a square plate on 7 calabash bottles with a peony at the center surrounded with lotus flowers, lotus leaves and lotus strings, and chilbo-deung (七寶燈) or yuokbang-deung (有屋方燈) is placed at the center, and two daeyeonhwatongs (大蓮花桶) placed on yeontongban (蓮桶盤) are installed on either side of a hanging lantern and wood or paper was used to paint color. As jidang-pan would be moved for use, it was recognized as a moving performance stage, and as a hanging lantern was installed like a tree in jidang (池塘, which means a pond), it was called deungsu-hyeong (or tree lantern type). As signified in the component, it realized a fairyland based on use of Jidangpan. The word jidang is interpreted as Turquoise Pond in Kunlun Mountains where Xi Wang Mu (西王母) lived, and the lantern and lotus flowers installed in the Jidangpan occupy a prominent place in Taoism. It indicates that Jidangpan realized a fairyland. As the combined dance of a crane and a lotus flower based on installation of Jidangpan is related to a fairyland, Jidangpan is generally characterized by Taoism, and it is fundamentally concentrated on praising saintly virtue of a king and praying fortune. Although only the function of daeyeonhwa-tong in Jidangpan was emphasized and maintained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Jidangpan was installed as it was when other dances than a crane dance were performed, and it is considered that it was related to Taoist characteristics of dance performances in the Royal Court. Jidangpan is a kind of a performance stage, a fixture installation of a crane dance, and it carries significance not only in the history of performance related to stage setting but also in the history of culture by featuring diversified cultural tradition on the back of straw flowers, vegetable flowers and lanterns.

      • KCI등재
      • KCI등재
      • 계획행동이론에 기반한 예비퇴직교원의 퇴직기대 및 퇴직준비계획과 퇴직행동의도와의 관계

        이숙희(Lee, suk-hee),조영실(Cho, young-sil),이정경(Yi, jeoung-kyung)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교육문제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예비퇴직 교직원들의 퇴직기대 및 퇴직준비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교직원들의 개인배경 특성에 따른 퇴직기대 및 퇴직준비계획은 퇴직행동의도 예측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교직원들의 퇴직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무엇이며,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은 40세 이상으로 학교에 재직 중인 교직원 482명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량, 상관관계, 분산팽창계수(VIF)를 구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며, 단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직원들의 퇴직기대 및 퇴직준비계획이 퇴직행동의도 예측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퇴직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퇴직준비계획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지각된 행동통제가 높을수록, 주관적 규범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직원들이 퇴직준비를 위하여 사전에 은퇴에 대한 기대와 계획된 행동에 따라 퇴직준비를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필요성 제기를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tirement expectation and retirement preparation of pre-retirement school staffs by applying the planned behavior theor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expectancy or retirement preparation plan and retirement behavioral intention prediction accordiong to personal situations of school staffs? Second, what ar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retirement intentions of the school staff and what are the relative influences of each variables? The study object were 482 school staffs who over 40 years old. The analytical method is first, to obtain th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variance inflation factor(VIF), secon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ird, to us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tirement expectations and retirement preparation plan of school staff are significant effect on retirement behavioral intention prediction. Second,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according to the retirement preparation plan, the higher the effect on retirement behavior intention. The greater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the subjective norm, the higher the effect on retirement behavior intention. These result suggest that school staffs should actively prepare for retirement in accordance with expectation and planned behavior about retirement.

      • SCOPUSKCI등재

        리놀레산에 의한 인체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 및 암세포막 인지질 지방산 변화

        임선영(Sun-Young Lim),이숙희(Sook-Hee Rhee),이세윤(Seh-Yoon Yi),박건영(Kun-Yo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4

        MG-63 골육암세포 및 AZ-521 인체 위암세포 성장에 미치는 리놀레산(LA)의 성장 억제효과와 이때 암세포막의 인지질 유리지방산 조성 변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LA 첨가 농도 0.005%에서 MG-63 암세포와 AZ-521 암세포는 대조군에 비해 각각 54% 및 52%의 암세포 성장이 억제되었다. 또한 LA 첨가(0.01%)시 이들 암세포의 [³H] thymindine 결합능은 90% 이상이 억제되어 암세포의 DNA합성이 크게 억제되었다. 한편 LA(0.005%) 첨가시 각 암세포의 형태학적인 변형을 유발시켰으며 세포막의 인지질 지방산 조성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LA처리는 이런 세포의 형태적 변형과 함께 세포막의 인지질 중 16 : 0과 18 : 0의 지방산은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탄소수가 20 이상의 탄소수를 가지거나 불포화도가 높은 지방산(20 : 4, 22 : 6, 24 : 4)은 증가되었다. Linoleic acid(LA) was examined to evaluate its potential as a chemotherapeutic agent for MG-63 human osteosarcoma and AZ-521 gastric cancer cells. The treatment of LA(0.005% for 6 days) to the MG-63 and AZ-521 cancer cells inhibited growth of the cancer cells by 54% and 52%,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s. It also exhibited that LA with 0.01% concentration decreased the [³H] thymidine incorporation by more than 90% in the both cancer cells. In additions we observed morphological changes in MG-63 and AZ-521 cells under inverted microscope, and the changes in membrane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cancer cells when LA was added at the level of 0.005%. The treatment with LA revealed that the contents of 16 : 0 and 18 : 0 decreased significantly, but fatty acids that C numbers are more than 20 and unsaturated(20 : 4, 22 : 6, and 24 : 4) increased, concomitantly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cells were observed.

      • 보수유지 지원시스템의 통합에 관한 연구

        신영일(Y.I.Sin),이명재(M.J.YI),김경호(K.H.Kim),이숙희(S.H.Lee),김태균(T.G.Kim),우치수(C.S.Wu) 한국정보과학회 198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5 No.1

        소프트웨어 보수유지를 위해서는 문서화(documentation)가 필수적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 메타 시스템과 필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주어진 언어에 너무 의존적이다. 그러므로 여러 언어에 구애받지 않고, 좀 더 일반화된 방법으로 보수유지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필터 시스템과 메타 시스템 사이에 처리단계를 추가함으로써 일반화를 위한 정보를 추출하고자 한다. 이의 구현을 위한 포스트 프로세서와 이를 뒷받침하는 ER도를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