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드비쉬 음악에 끼친 동양의 전통음악과 일본의 미술작품의 영향력에 대한 고찰

        박선혜 ( Sun Hye Park ) 세계음악학회 2014 음악과 문화 Vol.30 No.-

        드비쉬(Claude Debussy, 1862-1918) 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이라 불리는 새로운 양식의 대표적 작곡가이다. 드비쉬는 자신이나 자신의 작품들이 인상주의라는 호칭에 적절하지 않다고 여겼으나, 그가 당시의 프랑스의 상징주의 문학과 인상주의 회화에 커다란 영향을 받아 인상주의 음악의 기틀을 세우고 그것을 꽃피운 작곡가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바이다. 본 논문은 드비쉬의 창작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동양의 전통음악과 미술품, 특히 이들의 어떤 요소들이 드비쉬의 작품에 접목되어 그만의 예술세계가 완성되는데 도움이 되었는지에 대해 논하였다. 드비쉬의 작품은 그가 인도네시아의 자바 지역의 가멜란(Javanese gamelan) 음악과 인도의 전통음악인 라가(raga)를 접하게 되면서 전환점을 맞게 되는데, 이 논문의 요지는 드비쉬가 이러한 음악들의-특히 가멜란-무엇에 매료되어 새로운 창작 법에 눈뜨게 되었는지 이다. 그는 서양음악의 조성과 구조로는 표현할 수 없는 음악적 느낌과 원초적인 청각의 차이를 동양의 음악인 가멜란에서 찾게 되는데, 그것들은 평소 기존의 음악과는 ‘다른 소리’를 추구해왔던 드비쉬의 의도와 들어맞았던 것이다. 드비쉬는 가멜란 음악이 산출하는 독특하고 다양한 음색과, 서양음악과는 전혀 다른 낯선 분위기를 불러일으키는 독특한 음계, 조성, 리듬 구조 등을 그의 작품에 도입하여 드비쉬 적인(Debussysm) 소리를 창조해 내었다. 드비쉬는 또한 인디아의 음악인 라가에도 심취하여 그것의 특별한 음계와 선법, 그리고 동양 악기들의 독특한 울림소리(sonority)를 도입, 자신의 작품에 접목시켜 청각적인 이미지를 산출하는 그만의 독특한 음악언어를 탄생시키게 된다. 또한, 당시에 큰 인기를 끌었던 일본의 미술작품인 우키요에(ukiyo-e)에도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불필요한 요소들은 제거하고 분명한 의도만이 강조된 우키요에의 화풍은, 작품이 내포하는 각각의 이미지가 간결하고도 필연적으로 표출되도록 창작된 드비쉬의 작풍에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마치 음악을 통하여 이미지(image)를 그려내듯이, 드비쉬의 작품은 그것을 들음으로서 마치 그림을 펼쳐 보는듯한 회화적 표현(picturesque expression)을 담아내는 창작품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드비쉬의 작품을 의미 있게 재현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선율을 조화롭게 연주하거나 또는 탁월한 기술적 능란함으로만 연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진정한 드비쉬의 작품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연주가는 작품에 내포된 이미지를 먼저 이해하고 그러한 음색을 만드는 적절한 터치 법을 연마하며, 더 나아가서는 청중과 혼연일체가 되어 그 이미지를 함께 감각 하는 연주를 함으로서 작품을 재창조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빌라로보스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1번과 2번> 초기 스타일 분석 연구

        강민선 ( Minsun Kang ) 세계음악학회 2018 음악과 문화 Vol.38 No.-

        에이토르 빌라로보스(Heitor Villa-Lobos, 1887-1959)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 중 문화유산이 풍부한 브라질을 대표하는 작곡가이다. 그의 초기 시절, 아버지영향과 브라질 아마존을 비롯한 각 지역을 여행하며 습득한 브라질의 민속음악에 대한 이해, 첼로를 공부하며 서양음악에 대한 이해, 기타리스트로서 자유로운 길거리 음악가로서의 삶, 브라질 음악장르인 쇼로(choro) 작곡의 길, 브라질의 모더니즘의 시작을 알리며 펼쳐진 모던예술운동(The Week of Modern Art)등의 요소가 그의 초기 스타일을 결성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빌라로보스가 남긴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는 총 4곡으로 모두 그의 초기시대인 1912, 1914, 1920, 1923 년에 각각 작곡되었다. 그러나 이에 관한 분석연구는 미미한 편으로, 본 연구는 이 네 개의 작품 중 널리 연주 될 가치가 있는 빌라로보스의 두 개의 소나타 <소나타 판타지아 1번-절망>과 <소나타 판타지아 2번>을 소개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그의 초기작품으로 1912년 작곡된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첫번째 소나타 판타지아>에서 볼 수 있는 그의 첫 번째 초기 스타일 특징은 19세기 후반 낭만파 음악 안에 프랑스의 인상주의적 요소로서 포스트 바그네리언의 특징과 온음음계사용, 드뷔시 영향을 통해 보여 지고 있다. 두 번째 브라질의 민속적 요소를 결합한 국민악파 특징으로 쇼로(choro)의 몬디나(Mondinha)스타일과 브라질 민속음악에 연주되는 만돌린과 반주와 같은 악기소리 모방을 지시를 통해 국민악파적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두 번째 소나타 판타지아>(1914)에서도 첫 번째 소나타처럼 후기 바그네리언 특징과 드뷔시의 영향을 받아 낭만주의적 특징과 프랑스의 인상주의가 첫 번째 소나타보다 더욱 발전되어 전개된다. 그리고 국민주의적 특징도 쇼로(choro)와 민속음악의 화음, 브라질의 민속 리듬, 아프리카계 브라질인의 댄스리듬, 인디언계 브라질인의 댄스리듬 등 다양한 리듬의 결합과 함께 잘 드러나 있다. 이러한 국민악파적 요소는 당시 브라질에서 퍼지기 시작한 모더니즘의 특징 중 하나로, 빌라로보스의 초기 스타일을 통해 작곡가의 모더니즘에 대한 영향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빌라로보스의 두 대의 소나타를 통해 볼 수 있는 초기스타일 음악형식은 전통과 함께 새로운 것을 추구해 나가듯, 소나타 형식 안에 자유로움을 추구하며 진행된다. 이 두 곡의 분석을 통해, 빌라로보스의 초기 스타일은 후기 낭만주의, 프랑스 인상주의, 국민주의를 나타내고 있고, 더불어 브라질의 모더니즘을 제시했던 한 작곡가의 선구자적 역할을 엿볼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기술세계가 열어놓은 21세기 음악학, 그 변화와 혁신의 흐름을 쫒다

        박미경 세계음악학회 2023 음악과 문화 Vol.- No.49

        . Music technology has emerg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has grown continuously, so its status in the 21st century music reality and its driving force in musicological research are already serious. In traditional musicology, wasn't the word 'skill' a concept that was only occasionally seen in performance techniques, composition techniques, etc.? As music was approached academically and the discipline established its own unique position and character, forming a group of scholars and their disciplines, music was conceptually recognized and approached as art from the beginning as an upright thing that created unique human creativity. There may have been objects that could be recognized as technology from the early stages of that trend, but there was no punishment for approaching them separately with the word technology. Beyond the first half of the 21st century, access to technology as an element within the world of music is now recognized as an unavoidable reality, but the world that is beginning to open before our eyes is enormous. Entering the 21st century, technological involvement in music has developed at an alarming speed and intensity, and the world opened up to a global environment has produced unprecedented results. In this development, more than anything, the accumulated results of historical research in musicology have become monopolistic and are losing their vitality. Can we leave the reality as is, where the essence of ‘music-making humanity’ should have been ecologically and culturally diverse and healthy? Will we be able to face a problem that has been unsolved for a long time, a phenomenon that has been revealed as a chronic disease, and find a direction for healing using the methodology opened up by technology? As we become a global society, music is changing all over the world, and proactive researchers are responding to the changes, but the music industry is lagging behind due to lack of power to keep up with the changes. Still, what can be done? It seems that we have no choice but to look at the changes again from the usual system of musicology and expand our understanding. First of all, the questions that come to mind are how technology enters the world of music, what the resulting environment is, and how we can better solve and move forward with the problems we face with the progress and results of musicology armed with technology.

      • KCI등재

        10호 기념 논문 : 우리의 음악문화: 세계 안의 한국, 한국 안의 세계

        박미경 ( Park Mi Gyeong ) 세계음악학회 2004 음악과 문화 Vol.10 No.-

        It became now a core concept in ethnomusicology that, if we are to study music, we should approach it in its context or as culture. In spite of such general acknowledgement, Korean scholarship on music had been extremely limited in terms of genre to Korean traditional music or Western classical music and in terms of approach to music as a product. Such limitations are not valid anymore. Contrary to this scholastic retardation, the Korean musical culture itself, free from its academically dichotomous paradigm, is slowly but steadily becoming multi-cultural. It is also recognized in our educational field that Multi-cultural approach is urgently needed. Korea now must face the world directly (not via America or Japan) and find her own perspective on the worldmusic. To to so, we should cultivate Korea in the world, and the world in Korea, We should be ready to value our changing and multi-cultural music scenes and to update our scholastic perspective to deal with them.

      • KCI등재
      • KCI등재

        서양음악사를 넘어 세계음악사를 향해: 그 구현을 위한 모색과 실천의 양상

        박미경 세계음악학회 2024 음악과 문화 Vol.0 No.50

        The system of Adler, a German scholar in the late 19th century who iniciated the scholarship of musicology, remains firmly established as the basis of our perception of musicology to this day. The framework of the system appeared to be a plausible logical entity encompassing the time and space through the distinction between historical musicology and systematic musicology. However, the system reflected the musicological reality of the time, with Western musicology at the center and other non-Western musicology at the periphery. Western musicology was a history of music that developed around works based on visible tools, called sheet music. Different from it, Non-Western music was not a culture that relied on visual tools such as scores or works but was an art of oral tradition that being never expected to be repeated due to its impermanency and improvisation. The History cannot be built up without visual results that reveal the flow of past musical culture. Thus, the study of non-Western music grew as researchers field work relied on what they saw, heard, and recorded. In Adler's system, these two disciplines appeared to correspond and balance each other, but they did not mix like water and oil. The academic value and status, research tools and methods, capabilities, and research infrastructure of each have changed significantly in different direction each other over a century. Nevertheless, such a reflective perspective on reality has consistently occupied a corner of musicologists' academic activities, and surprisingly, the pursuit of changes and innovation that have occurred as we enter the 21st century global society are even showing dynamism. Ultimately, we must innovate to face the essential challenge of writing the world music history when it will be not too late. Is world music history ultimately possible? At what point does the writing of world music history stand from drafting to implementation? Can East Asian music, and Korean music, studies truly contribute to this?

      • KCI등재

        변화하는 세계에서의 기대: 국악인들의 이야기

        힐러리핀첨성 ( Hilary V. Finchum Sung ) 세계음악학회 2010 음악과 문화 Vol.22 No.-

        이 논문은 현재 한국에서 `전통음악하기`(traditional music making)의 상황을 고찰한다. 특히, 근대 교육제도가 전통음악의 일반 틀 형성에 기여한 역할과 현재 활동하고 있는 일부 음악인들에게 준 내적 도전들에 주목한다. 현 음악 활동가들을 배양시킨 교육제도는 이 시대 전통음악하기의 성격을 규정하고, 음악가들 및 그들의 스승과 청중들이 전통음악활동에 거는 기대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이 글은 일인칭 서술을 통해 정통성과 재현에 대한 기대들에 대응해 나간 방식들을 이야기한 개별 행위자들을 주시한다. 이들의 서사를 통해 필자는 전통을 정의하는데 따르는 복잡성에 대해 보다 세심한 검토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현 음악세대들을 길러낸 것은 바로 이 복잡하고 다층적인 상황이다. 이 글은 전통 음악 문화에서의 세대간, 장르간의 간극을 형성한 교육제도에 대한 인터뷰와 검토를 통해 음악 전통을 변화 시키는 과정에서의 개인들의 분투와 꿈 둥 복잡한 양상을 강조한다.

      • KCI등재

        음악학의 21세기 전개: 각성과 도전을 통한 혁신적 변화의 양상들

        박미경 세계음악학회 2019 음악과 문화 Vol.0 No.40

        This paper asks what is happening in musicology in the 21st century. It is no different than asking how the flow of innovation – the shift of the paradigm based on philosophy and science around the 21st century, the fourth revolution of economy, capital and knowledge - is emerging in musicology. Since 1885, when musicology first entered the European academic world, it had formed a knowledge base of those days, over which the 150 years of activities of scholars have been accumulated. Musicological scholarship has developed eventually into a dichotomized system of disciplines: one is historical musicology focusing on the historical flow of Western art music and the other is ethnomusicology, covering stylistically heterogeneous non-Western music, thus having been struggling to search for common method to deal with all. The system maintained so long as such that, two disciplines became compartmentalized without any common ground competing for hegemonic power. With the reflection, retrospection, and critical discussions on this situation, 21st century musicologists are now setting new disciplinary goals with the spirit of the age of global society seeking creative activities rather than processing accumulated compartmental knowledge. Recognizing the huge gap in the accomplished knowledge, the 21st century musicologists are attempting to crossover the disciplinary boundary. They are also explores research that is relevant to the new age, mobilizes new methods and technologies, and connects and collaborates while working. This innovation movement in 21st century musicology is now calling for a new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for musicologists.

      • KCI등재

        종족음악학과 다문화음악교육: 그 만남의 지점 찾기

        박미경 ( Mi Kyung Park ) 세계음악학회 2013 음악과 문화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thnomusicology i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Korea, by examining through academic discussions. Korea has changed drastically to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nterest in multicultural music among music educators and scholars has been grown tremendously. Since the first appearance of the thesis on "conceptual approach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until 2001 one or even no thesis came out every year. At 2008, sudden increase to double digit began to appear. For last 3 years, over 70 theses were poured out. Similar amount of journal articles on multicultural music/music education were presented, the first one appearing at 1992. Significant increase of the journal writings began to be occurred around 2004. Such statistics and its currents allow us to forecast the present situation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term ``ethnomusicology`` on the other hand was introduced into Korea much earlier around 1982. While there was not-so-strong but constant line of its reference and research results in printed materials, the discipline had never settled in as a major study in Korean universities. Ethnomusicology was often regarded as an alternative methodic branch of the scholarship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had never been understood as a scholastic discipline of world music(s) in its full scale. While recently the issues regarding the need for and method-search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rise vigorously, there seems very little treatment of ethnomusicological literature in their writing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thnomusicology i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Korea,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f the pertinent data will be carried, especial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s and scholastic writings whose title contains the term multicultural music. In addition, the literature which contains the term such as cross-cultural, inter-cultural, world music will also be examined and analyzed. And finally further questions will be addressed in the paper regarding the relation of the two disciplines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reciprocal influence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