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메이지 일본의 ‘양처현모’론 탄생의 맥락— 도쿠가와시대 여성 담론으로부터의 연속과 단절 —

        이새봄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8 개념과 소통 Vol.0 No.22

        The notion of ryosai kenbo, the role of women as ‘good wife, wise mother’ was not simply a Confucian one, and Tokugawa Japan had no tradition of placing such a heavy emphasis on the role of women as wives and mothers, but neither was the concept completely new. Conversely, it cannot be understood simply as a modern construct resulting from the impact of the West. This paper explores the preexistent context in which such a complicated idea as ryosai kenbo develop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its appearance. The initial section examines the discourse on women in the Tokugawa period, focusing on the position of women and their role in the Samurai-dominated political order, and also the relation between the discussion of gender and the logic of the Le system. The latter section reviews a well-known early Meiji debate on equal rights for men and women (danjo doken);before going on to analyze Nakamura Masanao’s famous essay, “Creating a Good Mother” (1875), the seminal work informing the philosophical attitude of Ryosai kenbo: Nakamura’s essay is compared with the ideas of Samuel Smiles on the role of women. 근대일본에서 이상적 여성상으로 대두된 ‘양처현모’(良妻賢母)는 ‘양처’와 ‘현모’라는 한문 고전의 표현을 합친 개념이다. 유학적 여성관의 발현인 듯 보이지만, 당시 일본에서 이것이 전통적 여성관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또한 19세기 서양의 여성론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새로운 여성상의 제시라고 볼 수도 없다. 양처현모론은 도쿠가와시대의 여성을 둘러싼 담론과 메이지유신 이후서양과의 관계가 본격화됨에 따라 탄생하게 된 근대일본의 새로운 발명품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지유신 이후 양처현모 담론의 시발점으로 알려져 있는 나카무라 마사나오(中村正直)의 논설인 「좋은 어머니를 만드는 설」(善良ナル母ヲ造ル 説, 1875)이 등장하기까지의 과정을 도쿠가와시대의 여성론부터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쿠가와 정치체제의 무사사회적 요소가 여성 담론에 끼친 영향과 도쿠가와시대의 ‘이에’(家)제도의 특징과 그 안에서 여성이 차지했던 지위와 역할, 여성 교육의 문제 등에 관해 검토했다. 후반부에서는 ‘문명개화’(文明開 化)의 바람이 일본 전체를 휩쓴 메이지 초기의 사회 분위기 속에서 남녀 관계가어떻게 새롭게 규정되어야 하는지 고민한 당대 지식인들의 논의를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카무라가 제시한 여성 교육의 새로운 목표가 소위 양처현모론의 시초에 해당한다는 점을 확인하며, 그가 제시한 여성상이 어떠한 사상적 맥락들을 포함하고 있는지, 특히 새뮤얼 스마일스의 논의와의 관계에초점을 맞추어 분석했다.

      • KCI등재

        포스트-소라이학(徂徠学)의 맥락으로 읽는 도쿠가와 후기 사상사의 논점: 메이지 유학자들의 사상적 토대

        이새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비평 Vol.- No.19

        Confucian intellectuals in early Meiji Japan spent their younger days in late Tokugawa period. Naturally, their thoughts were established within the context of Tokugawa intellectual history. Therefore, to understand the thoughts of Meiji Confucian intellectuals, one should not overlook the significance of their connection with the discourse of previous period. It is widely known that the popularity of the Soraism had reached its peak and declined in the middle of eighteenth century. Although the Sorai School lost its popularity, its teachings left great influence on Japanese intellectual histor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rocess of history followed by the decline of Soraism and call it the context of ‘Post-Soraism’. I argue that there are three major points in the context of Post-Soraism. Firstly, the methodology of Soraism called the Ancient Rhetoric (kobunji), led to the unfolding of competitive market for letters in the late Tokugawa Japan. Second, Sorai’s emphasis on the actual political system led to the theory as Mito school’s ideas of kokutai. Third, the Kansei Edict can be construed as a result of anti-Soraism movement.

      • GPS 위치센서를 이용한 건강관리 앱 개발

        이새봄,정일홍 大田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13 산업기술연구소 論文集 Vol.24 No.1

        As the more common use of GPS position sensor and the spread of smart phone recently,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s and a variety of devices using location-based services are spreading gradually.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of a health management application for tracking the location using GPS, storing and displaying the real-time path, The App developed here calculates the moving distance and calories burned with it. It is designed to provide the exercise history, including the correct way to exercise such as displaying the path to move and calculating the calories burned. It is based on the path distance calculation by using Naver Open API. 최근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GPS 위치센서의 활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및 장치들의 개발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하고 실시간으로 경로를 저장,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경로와 거리, 칼로리 소모량을 계산하는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여기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네이버 Open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한 경로를 표시하고, 이동한 경로를 토대로 거리를 계산하여 소모한 칼로리를 계산 하는 등 정확한 운동방법과 운동내역을 제공하도록 설계하였다.

      • KCI등재

        신분제와 메이지유신: 후쿠자와 유키치의 ‘자유’론이 놓인 맥락

        이새봄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23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22 No.1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Meiji Revolution overthrew Japan’s hereditary class system and realized so-called civil equality. Of the many thinkers active in the early Meiji period, Fukuzawa Yukichi was perhaps the most sensitive to and profoundly affected by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 collapse of the hereditary status system.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that connects the dots between the principles on which the collapsed Tokugawa Japanese hereditary status system operated, why it collapsed in the mid-to-late 19th century, and how Fukuzawa’s thought evolved in the course of this collapse. Given the importance of his critique of hereditary status system in his thought on civilization, it would be worthwhile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is article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hereditary status issues and Fukuzawa’s thought, focusing on the process leading up to the writing of An Encouragement of Learning, one of Fukuzawa’s major works and the first step in his project to create a nation-state. Focusing specifically on the period leading up to the issuance of the abolition of feudal domains and establishment of prefectures (1871), the paper explains how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around the Meiji Revolution specifically influenced the formulation of his theory of civilization opening. In order to understand what he means by “Monbatsu system,” I will refer to the previous studies on Tokugawa period’s status system to reveal how the political and social orders we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what Tokugawa Japanese society sought to protect in that reality.

      • KCI등재

        메이지 전기 한학(漢學)의 유효성 논의 - 나카무라 마사나오(中村正直)의 논리 -

        이새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0 동방학지 Vol.191 No.-

        This article highlights how the introduction and prosperity of Western Learning affected the meaning of Chinese Learning in Meiji Japan. It focuses on the perspective of Masanao Nakamura (1832-1891), one of the greatest Confucian and Western Learning scholars of the time. After the Meiji Revolution, Western Learning education, which started at the end of the Tokugawa period, modified the traditional Chinese Learning-oriented education system from its origin. The academic mainstream quickly switched to Western Learning, and individuals had to learn it in order to succeed in society. However, this did not mean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existence of Chinese Learning disappeare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was inevitably accompanied by an increased demand for translations and a skyrocketing need for Chinese characters for translations. Moreover, as the literary style of official documents changed from Soro(候) to Kanbun Kundokutai(漢文訓讀體), there was a demand for a new level of sophistication and angle on Chinese Learning education. For this reason, Nakamura held that the basics of Chinese Learning were essential to learning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Western Learning. Nakamura's assertion of the effectiveness of Chinese Learning fundamentally differed from the opinions of Chinese scholars from the generation after his. In this article, we will examine Nakamura’s logic of correlation between his understanding of the West and the role of Chinese Learning. 이 글은 메이지(明治) 전기 일본에서 양학(洋學)의 도입과 융성이 한학(漢學)의 존재 의의와 어떠한 상관관계에 있었는지, 당대 최고의 유학자이자 양학자이었던 나카무라 마사나오(中村正直, 1832-1891)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도쿠가와 말기부터 시작된 양학 교육은 메이지 유신 이후 기존의 한학 중심의 교육 제도를 그 근간에서부터 바꾸어 버렸다. 학문의 주류는 빠르게 양학으로 바뀌어 갔고, 사회에서 출세하기 위해서는 양학을 배워야 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곧바로 한학의 존재의의가 소멸된 것은 아니다. 서양 문명의 도입이 필연적으로 동반하게 되는 번역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한자로 된 번역어가 급증했고, 공식 문서상의 문체가 소로(候)문에서 한문 훈독체(訓讀體)로 바뀌게 되면서 한학적 소양에 대한 새로운 각도에서의 수요가 발생하였다. 나카무라에 따르면 한학의 기본 소양 없이 언론이나 정치, 학문 영역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기는 어려웠다. 그는 일정 수준 이상의 양학 학습을 위해서도 한학의 기초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었다. 이처럼 사회의 변화를 직시하면서도 한학의 유용성을 주장한 나카무라의 주장은, 1880년대 후반 이후 그의 후속 세대 한학 혹은 중국에 관한 지식인들의 논의와 근본적인 차이를 보인다. 이 글에서는 도쿠가와 시대의 마지막 유학자 세대에 속한 나카무라가 전개한 서양 이해의 논리, 그리고 이와 표리를 이루는 한학의 유효성에 대한 확신의 이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