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극 안의 배우, 배우의 몸 - 이경성과 크리에이티브 바키(Creative VaQi)의 연극 미학

        이경미 ( Lee Kyung Mi ) 한국연극학회 2017 한국연극학 Vol.1 No.61

        이경성과 크리에이티브 바키(Creative VaQi)의 연극은 희곡의 재현이 아니라 `공간`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광화문이나 문화역 서울과 같은 일상적 공간 속에서 행해졌던 그의 작업은 이들 공간으로부터 고유의 장소성, 즉 그 공간에 축적된 역사적, 사회적 맥락을 드러냈다. 이후 그들은 일상적 공간으로부터 극장이라는 제도적 공간으로 중심을 옮겨 극장의 장소성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데, 이것은 연극이 무엇인가에 대한 자기질문이기도 하다. 이로써 이경성과 바키의 연극은 예의 그 `장소특정적 공연`의 카테고리를 벗어나 보다 더 미학적 지평을 확장해가고 있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그들의 작업을 공간과 함께, 좀더 시각을 달리하여 공간을 점유한 몸의 문제를 근거로 새롭게 논의할 수 있는 단초를 얻게 된다. 사실 공간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한 바키의 작업은 애초부터 그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배우의 몸을 배제하고는 논의할 수가 없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크리에이티브 바키의 연극을 배우, 배우의 몸으로부터 새롭게 논의하고자 한다. 통상적 연극과 다르게 그들은 연출과 배우 모두가 직접 공연 전 과정을 이끌면서 관련 자료를 조사하고 인터뷰하며, 여러 번의 발제와 토론 등의 과정을 거쳐 공연의 틀을 잡아간다. 이런 작업과정에서 배우는 어떻게 대상을 체험하는지, 그리고 체화된 감각을 바탕으로 무대를 그들 연극의 주요 화두인 공간과 시간, 더 나아가 타자에 대한 감각의 장소로 발생시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무대 위의 배우의 몸은 공간을 점유한 몸으로서 `여기`에 대해 질문하기도 하고, 시간을 점유하고 `지금`에 대해 묻는다. 그런가하면 보이지 않는 타자의 고통을 감각하는 몸으로서, 기억에 대해 묻기도 한다. 배우의 몸에 기반한 이경성의 연출미학을 풀어내는 이론적 근거는 몸과 지각의 문제를 중심에 둔 현상학에서 가져왔으며, 구체적인 사례들은 최근 2년 동안 발표된 이들의 작품들에서 찾아보았다. Lee Kyung-Sung and the theatergroup `Creative VaQi) have made their theaters focusing on space discourses. But for about last two years, most of their works have been performed not only in everyday spaces but also in various instituional theaterspaces. This is why the research about their theater aesthetics should be conduct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is study examines several recent works that Lee Kyung Sung and his VaQi have performed in institutional theatrical spaces. Actor`s bodies that occupy the space have been their theatrical interest that they have focused on from the beginning. What they emphasize is not how they make actors represent their drama roles. They see actors not as tools of theater but as productive subjects. Actors in their theaters stand on stage as themselves with their own identities. In other words, they reveal themselves on stages as persons who have their own thoughts about the world. This is due to their unique working style that are completed through thorough collaborative work, from data research to interviews,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Of course, actors are the center of all these processes. They constantly interact with objects and build their own viewpoint on them. The body itself is a performing body that creates events and forms the framework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This way of working is closely linked to the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Based on this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his paper examines how actor`s body is posing new questions about space and time. It tries also to look at how actor`s body occurs as a place of sensation for the other.

      • KCI우수등재

        ‘문명화’와 ‘동화’ 사이에서 주체되기: 근대 동아시아에서 르봉 수용과 이광수의 민족개조론

        이경미(LEE Kyung Mi) 한국국제정치학회 2021 國際政治論叢 Vol.61 No.1

        이 글의 목적은 이광수의 ‘민족개조론’이 귀스타브 르봉(Gustave Le Bon)의 ‘민족심리학’을 어떻게 수용했는지 살펴봄으로써 그의 논리체계가 갖는 독창적인 함의를 밝히는 데 있다. 식민지 조선의 사상을 알기 위해서는 그를 둘러싼 ‘복합적인 연쇄구도’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우선 르봉의 이론이 근대 동아시아에 전파된 과정을 살펴봤다. 특히 일본을 중심으로 번역이 이루어졌지만 그 양상은 복합적이었다는 점, 그리고 근대 동아시아에 있어 르봉의 수용은 ‘내셔널리즘’과 결부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민족개조론의 르봉 수용이 갖는 독창성을 일본에서 수용된 상황과 비교를 통해 밝혀냈다. 이광수는 민족성을 ‘근본적인 것’과 ‘부속적인 것’으로 나눈 르봉의 구분을 전유함으로써, 비서구사회의 ‘문명화’를 부정하는 르봉의 이론을 반박하는 동시에 이민족의 ‘동화’를 비판하는 르봉의 주장을 그대로 살려냈다. 즉 민족성의 변화를 ‘긍정’하는 동시에 ‘부정’하는 ‘모순적인 과제’를 하나의 텍스트 안에서 수행했던 것이다. 이는 ‘문명화’와 ‘동화’라는 상반된 과제를 ‘공존’시키는 언설행위였지만, 양자 사이에서 민족의 ‘주체화’라는 공통된 과제를 수행한 것이기도 했다. 그런 의미에서 본고는 이광수의 르봉 수용이라는 문제를 ‘내셔널리즘’이라는 프리즘으로 재조명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how Lee Kwangsu accepted Gustave Le Bon’s theory in colonial Korea. He translated part of Le Bon’s book, The Psychology of People and appropriate his theory to apply for his colonial situation. In order to understand intellectuals in colonial Korea, we must know the “complex chain of thoughts” surrounding them. Therefore, I first examined how Le Bon’s theory was spread to modern East Asia, especially Japan, China and Korea. Through this process, I tried to reveal not only the complex structure but also the linkage between Le Bon’s theory and nationalism in modern East Asia. Second, I described how Lee Kwangsu’s On the National Reconstruction (Minjok Gaejoron) accepted Le Bon’s theory. Comparing with the situation in Japan, he made a different conclusion from Le Bon, using the distinction of nationality as “fundamental” and “adjunctive”. In other words, unlike Le Bon’s interpretation to emphasize the invariability of the fundamental nationality, he argued that the adjunctive nationality is easy to change. His appropriation of Le Bon’s logic was to transform his conclusion to deny the “civilization” of the non-European n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Lee inherited Le Bon’ criticism against the “assimilation” of nation. In this respect, Lee’s article had a “originality”, that was not seen in Japan, as a nationalistic discourse in colonial situations. He aimed to establish Korean nation as a “subject or Juche” in it’s contradictory task between “civilization” and “assimil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韓),중(中),일(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뱀

        이경미 ( Kyung Mi Le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6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뱀은 우리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또한 인간과 함께 유구한 역사를 함께 해 오면서 때로는 두려운 존재로, 때로는 다산을 약속하는 풍요의 이미지로 사람들의 마음에 각인되어 왔다. 이러한 뱀의 이중적(二重的)인 이미지는 고대 신화와 설화 속에서도 그대로 재현되어 사람을 죽이는 치명적인 독성을 지닌 공포와 혐오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다산성과 가복(家福)의 화신이기도 하였다. 신화와 설화가 점차 문자화되면서 뱀에 대한 다양한 인식은 고전 문학 속에 그대로 투영되었고, 특히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특히 여성과 뱀간의 상호변이(相互變異)와 연결되면서 동양 특유의 유불교 사상에 기반을 둔 가부장체제의 남존여비사상과 중첩되어 다중적(多重的)인 이미지로 재현되게 되었다. 한중일 고전 문학 속에 나타난 ``뱀``과 ``여성``간의 다중적인 상관관계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형상들에 내재된 의미들을 분석해 보면, 먼저 다산과 풍요를 가져다주고 인간을 위해 희생하기도 하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다수의 문학 작품 속에서는 악의 이미지가 강하고 결말이 비극적인 경우가 많다. 특히, 불교에서는 여성을 남성의 성불(成佛)을 방해하는 주체로 이해하여, 그 이미지를 뱀과 연결 지음으로써 이러한 의식들이 작품 속에 자리 잡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부정적이라는 공통점 이외에, 한중일 고대 삼국의 역사, 문화적 배경의 차이로 인하여 문학작품 속에 형상화된 ``여성``과 ``뱀``의 상관관계간의 차이점도 어느 정도 존재하고 있었음을 살펴 볼 수 있다. For all ages and countries, snakes have been closely associated and from time immemorial with humans they are stamped as dreadful one, but sometimes carved as affluent image, guaranteing fecundity in our minds. This duplicated image has been described in ancient myths and folklores, in which snakes are subject that take human life with fatal toxin as fear and disgust itself as well as incarnation of fecundity and domestic happiness. Myths and folklores being formulated into written literatur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images of snakes are also projected intactly in ancient literature. Especially in ancient literature of East Asia including China, Japan and Korea, the multiple and complicated images have been reproduced in the male-dominated culture based o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tertwined with the mutation between women and snakes.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 and meanings of the snake and women shows the positive image which produce the fecundity and fertility and sacrifice for human at first. But on the other hand, negative image of the snakes are strongly demonstrated in many literature influenced by the male-dominated culture based on Confucianism and Buddhism, where the snake`s evil image dominated and the stories came to the tragic ending. Particularly in Buddhism the women`s images have been understood as disrupter having men`s attaining Buddhahood frustrated and they have been connected with negative one of the snakes, written in the literature fully. Despite of common ideas shown in East-Asia ancient literature, some differences to see the relation of women and snakes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s because these three countries have uniqu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n the different perspectives.

      • KCI등재

        전복과 해체, 재구성 -윤한솔의 연출미학

        이경미 ( Kyung Mi Lee ) 한국연극학회 2016 한국연극학 Vol.1 No.58

        희곡의 서사를 재현하는 기존 관습과 거리를 두고 연극 고유의 매체성을 토대로 수행적인 표현을 강조하는 연극이 최근 한국연극 안에서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작업을 일관되게 수행하는 대표적 연출가 중 한 사람인 윤한솔의 연출미학을 살펴보고, 한국연극 안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이 연극성이 갖는 의미와 미래적 가능성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윤한솔의 연출미학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그 스스로가 말하는 ``흩뜨리기`` 내지 ``욱여넣기`` 연출법이다. 그는 원전이 되는 텍스트의 원본성을 신뢰하지 않는다. 특정 인물이건, 특정 정치사회적 사건이건, 아니면 희곡을 포함한 구체적인 문학작품이건, 그 안에는 특정 작가의 언어, 담론의 언어에 가려 보이지 않는 수많은 다른 목소리, 다른 시각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그의 연출은 특정 언어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들 다른 목소리와 시선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그의 입장은 사실 들뢰즈나 바르트, 레만 등 연극 및 다른 학문을 막론하고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어 온 것이기도 하다. 윤한솔의 대표적 공연들은 그가 일관되게 수행하는 이러한 식의 연출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그는 텍스트 안에서 결함과 한계를 발견하고, 그것을 통해 자칫 보지도 듣지도 못할 수 있었던 텍스트 안의 다른 많은 목소리들의 존재를 드러내는 연출가다. 그런 점에서 그는 또다른 의미에서 텍스트를 섬기는 연출가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그가 차용하는 방식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는 자신이 발견한 텍스트의 결함을 무대 위에 현시하는 과정에서 그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수많은 자료들을 수집, 조사하고 이것을 원텍스트와 함께 무대 위에 그대로 함께 제시한다. 그 결과 그의 연극은 시작과 끝을 갖춘 미학적으로 통일된 유기적 단위체가 아니라 다양한 사례들이 병렬 교차하는 일종의 발제공간이 된다. 물론 이 과정에서 배우를 비롯한 연극의 매체들은 의미를 재현하고 전달하는 도구가 아니라, 그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질문자 내지 생산자가 된다. 그의 연극은 하나의 감각적이고 수행적 공간이 된다. 텍스트가 되었건, 연극적 표현방법이 되었건 우리에게 익숙한 감각의 틀을 해체하고 전복하는 윤한솔의 연출미학은 이 지점에서 정치성, 정치적인 것과 만난다. 특정 정치적 이슈를 재현하고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안에 존재한 다른 목소리와 존재들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그의 연극은 그 자체로 하나의 토론장이 된다. 마지막으로 2014년 공연되었던 < 이야기의 方式 노래의 方式 - 데모버전 >(2014)에 대한 이론적 분석은, 앞서 논의한 그의 반텍스트적 연출이 이 공연에서 어떻게 소리의 물질성과 만나 극장을 수행적이고 정치적 공간으로 확장시키고 있는가의 구체적 예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일련의 논의를 통해 작게는 현재 한국연극에서 윤한솔의 연출미학이 갖는 차별성을, 넓게는 향후 한국연극을 동시대적 지평 속에서 새롭게 조망하고 그 미래적 가능성을 모색하는데에 생산적 단초가 되기를 희망한다. Theater that emphasize performativity are growing among the recent Korean Theater. Yun Han-Sol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irectors who perform consistently such works.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his theatrical aesthetic in the academic dimension and to explore the meaning and potential possibilities that such theater practices can bring to South Korea plays. One of the most prominent features in Yoon Han-Sol`s productions is the ``dispersal`` or "anti-textual" approching. He does not trust the originality of original texts. Whether they are about persons, social problems, or literature including drama works, he thinks that there are different perspectives, other hidden voices behind the language of certain writers or discourse. Therefore he tries not to reproduce the particular pre-existed language, but to expose those other voices and gazes. At this point, his performances also encounter ``the political`` because they reveal different other voices rather than reproduce certain political issues. Actually this opinion has been also raised by many scholars like Deleuze, Barthes and Lehmann, etc. Performances of Yoon Han-Sol show us how he realizes his so-called ``anti textual`` productions consistently. He is the director who does not idealize advantages of texts but discover defects in them. Ironically, these defects are always the start points of his productions. We need to notice the way he borrows for them. He also exposures lots of material collections associated with flaws that he discovers in text. These documents are actually gathered together with his actors. As a result, his plays are not aesthetically unified organic monomer with a starting and a ending. They are a kind of presentation space where various cases are intersected in parell. All theatrical media, including actors, are also not tools to represent meanings any more. Lastly, theoretical analysis of the < The way of storytelling the way of singing - Demoversion > that has been performed in 2014, gives us an appropriate example of the directing aesthetics of Yoon Han-Sol.

      • KCI등재후보

        한국 연극의 새 발화주체 : 호모 사케르와 공적 영역의 복원

        이경미 ( Kyung Mi Lee ) 한국드라마학회 2014 드라마연구 Vol.0 No.43

        In den letzten Jahren haben die bisjetzt angesammelten verschiedenen politischen und sozialen Konflikten und Unruhen in unseren Gesellschaft gleichzeitig explodiert worden. In dieser Situation, einige Theater versuchen, die politisch und wirtschaftlich unterdruckte Leute auf die Buhne anzurufen und sie ihre Biografie mit ihren Korpern selbstsagen und handelen zu lassen. Dadurch kritisieren sie die verzerrten System, die unseren Leben steuern. In der Tat haben solche theatralische Experimente schon mehrmals in Ausland versucht worden. Der sogenannte Begriff "Theater von Experten im Alltag" meint die Tendenzen, die von den Theatergruppen wie ``Rimini Protokoll`` und ``SheShePop`` geleitet werden. Es sollte doch angemerkt werden, daß die Schauspielern auf der unseren Buhne nicht nur die Experten im Alltag, sondern auch die Opfer von den konkreten politischen oder wirtschaftlichen Gewalt sind. Sie sind "Homo Sacer" in unseren Gesellschaft. Dieser Aufsatz will deswegen Theater, auf der solche Leute erscheinen, "Theater von Homo Sacer" nennen. In den Theatern, die dieser Aufsatz unterschen will, treten die alte Frauen von ``Pyeongtaek Military Camp Town``, die Uberlebenden von dem ``Pusan Brother Welare Falicity`` und die entlassene Arbeiter aus dem ``Cort Cortact Firma``. Sie sind doch keine traditionelle Schauspieler mehr, die ihre Rolle reprasentieren, sondern die Menschen, die ihre unterdruckte Freiheit mit ihren Handeln und Worten vor anderen Leute wiedergewinnen wollen. Dadurch gewinnen auch die Theaterraume neue Bedeutung als offentlichen Raume, die in modernen Zeitaltern verloren worden haben. Die Korper von Homo Sacer verkorpern die Spuren von unseren pervertierten Gewalten auf der Buhne. Das ist eine von wichtigen Versuchen in unseren Theatern, diemit dem Name Theater die heutigen Gesellschaft kritisieren und den Thaterraum zueinem politischen Ort machen wollen. 최근 몇 년 사이 누적되어 왔던 온갖 정치, 사회적인 갈등과 혼란이 폭발적으로 표출되면서, 한국연극은 그 동안 정치, 경제적인 권력에 의해 억압되고 배제되어 있던 존재들을 적극적으로 무대로 소환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들을 통해 한국사회의 왜곡된 시스템에 대해 비판적으로 문제를 제기한다. 그 대표적인 공연은 2013년 변방연극제 참가 작품인 < 숙자 이야기 >와 < 우리는 난파선을 타고 유리바다를 맴돌았다 > 그리고 같은 해 연말에 공연되었던 < 구일만 햄릿 >이다. 사실 연극과 전혀 관계 없는 일반인들이 무대 위에서 자신들의 이야기를 직접 전달하는 공연은 이미 해외에서는 낯설지 않다. 그러나 최근 몇몇 한국연극의 무대 위에선 배우들 중에는 평택 기지촌 할머니들이나 부산 형제복지원 생존자들, 그리고 해고노동자들 등 과거부터 현재까지 왜곡된 정치, 경제시스템의 희생자들로서 권력으로부터 보호를 받지 못하고 배제된 사람들이 눈에 띈다. 그리고 이들은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국가권력의 희생자라는 점에서 동시대 해외연극의 실험에서 심심치 않게 회자되고 있는 소위 ‘일상의 전문가’로 통분되기에는 다소 아쉬움이 남는다. 이러한 이유로 본 논문은 이들 무대 위의 배우들을 기존의 ‘일상의 전문가’와 구별하여 ‘호모 사케르’로 정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들이 무대에서 행하는 말과 행위를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배우의 전문 연기가 아니라 한 인간이 인간으로서의 자신의 기본전제, 즉 자유를 획득하기 위한 행위로 접근해보고자 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극장 역시 전통적인 미학적 공간의 차원을 벗어나 새로운 정치적 의미를 갖게 된다. 다시 말해 시간이 갈수록 자유를 위한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는 공적영역이 상실되고 있는 상황에서, 극장은 한 개인이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존재를 현시하고 이를 통해 토론과 성찰이 가능하게 되는 능동적인 상호작용의 장소가 된다. 이러한 시각은 무수한 실험과 자기고민으로 점철된 오늘날의 한국연극에게 현실에 대해 동시대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가를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정치와 사회,예술에 대한 조르지오 아감벤과 한나 아렌트, 그리고 자크 랑시에르의 견해는 연극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동시대 연극, 그것도 호모 사케르들의 연극을 새로운 관점에서 구성하고 고찰하는 데에 중요한 이론적 토대가 되어주었다.

      • KCI등재후보

        보문 : 마우스에서 하수오 열수추출물이 발모관련 효소활성과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이경미 ( Kyung Mi Lee ),이재순 ( Jae Soon Lee ),김영철 ( Yung Chul Kim ) 대한미용과학회(구 한국두피모발미용학회) 2010 대한미용학회지 Vol.6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ygoni mulitiflori Radix water extracts (PMWE) on enzyme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 relevant to hair growth in C57BL/6 mice. Six weeks old female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including normal group (saline, N), vehicle control group (jojoba oil+100% ethanol+saline, VC), positive control group (3% minoxidil, PC), and experimental group (PMWE, E), and they were topically applied with an amount of 0.2mL experimental compounds once a day, 6 days a week for 4 weeks. Hair regrowth was evaluated by the gross examination. Also the activities of enzymes including ALP and γ-GT and the mRNA expression quantity of IGF-1 in the skin of mice were evaluated. Topical treatment of PMWE and 3% minoxidil to dorsal skin accelerated hair regrowth faster than N and VC groups. Skin ALP and γ-G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C and E groups compared with N and VC groups in week 4 (p<0.05). IGF-1 mRNA expression in the sk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 group compared with N, VC and PC groups in week 4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MWE effectively promoted hair growth in an animal model via increase in enzyme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 relevant to hair growth.

      • KCI등재

        연극치료에 대한 긍정적 자기질문 -리미널리티와 "타자의 윤리학"을 중심으로

        이경미 ( Kyung Mi Lee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3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3

        이 논문은 연극치료의 특정방법론이나 사례를 다루기보다는, 연극치료내지 연극치료사가 지향해야 할 궁극적인 자세가 무엇인가에 대한 또 하나의 자기점검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타자의 윤리’를 통해 인간이 세계와 교류하고 대화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 에마누엘 레비나스의 생각 및 연극의 제의적, 생산적 측면을 ‘리미널리티(liminality)’라는 개념으로 거듭 강조한 빅터 터너(Victor Turner)의 도움을 받고자 한다. 연극치료에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놀이/역할의 문제는 인간의 삶과 밀접한, 인간의 삶의 연장으로 바라보는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도 접근할 수있다. 그런 맥락에서 일찍이 인간의 삶을 ‘제의’와 ‘놀이’라는 두 개의 키워드로 접근했던 빅터 터너(Victor Turner, 1920~1983) 또한 현재 연극치료의 정체성 및 방향성을 굳힐 수 있는 또 하나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터너는 사회문화적인 여러 과정들이 작동하고 만나는 모든 지점에는 언제나 ‘연극(제의)’이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즉 정치와 종교를 포함한 모든 사회적 과정은 기존 제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위반의 과정부터 위기, 교정, 화홰 그리고 마지막 동의의 과정에 이르는 일련의 절차를 통해 수정되고 보완되며 또 완성된다. 이것이 바로 터너가 강조하는 사회극이다. 이러한 사회극의 과정 가운데 연극치료와 관련하여 가장 주목할 수 있는 부분은 교정단계이다. 이 단계는 기존 질서에 대한 단순한 이의제기 단계에서 벗어나 이전의 가치들과 동시에 이후에 도래할 가치들에 대해 객관적거리를 갖고 생산적인 극복의 가능성에 대해 고민하는 단계다. 터너는 이러한 일련의 경험을 리미널리티라는 용어로 설명한다. 그것은 사회극에 참여한 제의의 주체들이 이전까지 그들이 갖고 있던 일련의 사회적 가치들이나 관계들, 의무와 권리가 순간적으로 정지되는 상태이다. 그리고 아직 오지않은 어떤 것을 위해 지금까지 그들에게 친숙했던 이 요소들을 적어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고, 가능하면 새로운 양태로 결합시켜봐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는 공간이다. 이처럼 아직 도래하지 않는, 그러면서 아직 정해지지 않은 어떤 것을 위해, 기존의 질서들이 순간적으로 무너지거나 최소한 흔들리는 리미널리티 상태에서, 제의의 주체는 “자기 자신의 주체이자 동시에 객체”가 된다. 이러한 놀이, 그리고 그 안에서 얻어지는 성찰적인 경험을 통해 제의적 주체들은 이전보다 더 새롭고 안정된 위치로 돌아갈 수 있는 내적인 힘을 얻으면서 삶의 도정에서 좀 더 나은 차원, 즉 판 헤네프가말하는 “재통합”으로 들어서게 된다. 이러한 터너의 사회극, 무엇보다 리미널리티가 품고 있는 역동적이고 생산적인 경험은 연극치료의 전반적 과정과 연결될 수 있다. 조금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면, 연극치료의 궁극적이고도 본질적인 역할이 참여자에게 ‘생산적인 놀이의 공간’을 적극 제공하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개인적차원의 사회극을 수행하고 있는 참여자, 그것도 위기의 상황에 놓인 참여자를 놀이를 통한 리미널의 상태로 안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터너의 리미널리티와 결합된 연극치료의 새로운 화두는 레비나스의 타자의 윤리학과 다시 결합될 수 있다. 레비나스는 철학이건, 개인의 삶이건 이처럼 자신 외부의 것들에게 그것의 고유하고 독립적인 가치를 인정하지 않고, 오직 나의 대상으로만 인정하는 태도가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을 지적한다. 이러한 ‘인간의 주체화’, 즉 자아가 세계의 중심이라는 생각은 자유의 토대가 아니라 오히려 더 많은 갈등과 분쟁, 편견과 착취, 불만족의 원인이 되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는 레비나스는 인간과 세계의 관계를, 자아에 대한 타자의 관계, 타자에 대한 자아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함으로써 풀어내고자 한다. 이때 타자란 단순히 나의 밖에 존재하는, 나와 다른, 그리하여 오로지 나를 위해 존재하는 한에서만 나와 관계를 맺고, 결국 나의 관점으로 동화시켜야 하는 ‘대상’이 아니다. 그것은 섣불리 자아의 관점으로 통합되어 질 수 없는, 자아 만큼이나 고유하고 독립적인 존재이다. 그것은 자아 밖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 끊임없이 자아를 향해 ‘호소’하고, 이를 통해 자아가 자신의 아집과 편견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계기를 마련해주는 어떤 것이다. 이 지점에서 레비나스의‘타자의 윤리학’은 연극치료에 중요한 철학적 토대를 제공한다. 참여자는 제한된 자기의 틀 속으로 대상세계를 끌어들이고 판단하려는 과정에서, 이자기화가 실패함으로써 온갖 죄의식과 피해의식, 상처로 뒤덮여 있다. 연극치료/연극치료사는 바로 자기의 좁다란 존재성 속에 갇혀 경직되어 버린 참여자에게, 타자를 향한 열린 시각, 타자를 향해 나가려는 운동성을 제공한다. 아울러 레비나스는 자아와 타자 사이에 ‘얼굴’을 마주보며 나누는 ‘대화(dialog)’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여기에서 ‘얼굴’은 레비나스의 모든 철학적용어 가운데 타자를 설명하는 가장 신비로우면서 직접적인 것이다. 얼굴은 타자가 자아를 향해 모습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타자를 향한 열림의 상태, 즉 대화 속에서 드러나는 것이 바로 타자의 얼굴이다. 그 얼굴은 자아의 이성이 아닌 감성에 호소한다. 타자의 이 얼굴은 결코 개념화되거나 동일시될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결국 레비나스가 강조한 ‘대화’는 치료사에게는 참여자라는 타자, 타자의얼굴을 향해, 그리고 참여자가 자신의 내면 및 주변 세계라는 타자의 얼굴에 대해 ‘말하기’이다. “자아와 타자가 얼굴과 얼굴을 마주보면서 형성하는 관계(face-to-face-relation)”가 연극치료에서 치료사와 참여자가, 그리고 참여자가 자신의 타자와 만나는 방식이다. This study is a kind of self-monitoring about dramatherapy, especially about the role of dramatherapists. Especially, it is tied up with two famous philosophical concepts like the “Liminality” and “Ethics for Others”. First, Liminality, the key concept of Victor Turner’s cultural anthropology, is a special experience occurred in the process of his ‘Social Drama’. It means a kind of threshold experience that a social ritual subject can keep distance from the previous values/ norms as well as the new ones. Through this neutral and reflectual expierences, man secures a mental capability with that he can face all the social systems including politics, religion as a autonomous subject. This productive and dynamic experience can be related with the whole process of dramatherapy. We say generally that the final purpose of dramatherapy is to give all participants productive playing spaces in which they can face their individual problems and overcome them. The experiences in all these processes can be enough explained with liminaliy. It provides an individual as well as a society an important chances that help them to acknowledgy their real problems and to overcom them. Second, the “Ethics for Others” of Emmanuel Levinas can be also related with the methodologoy of dramatherapy. As you know, Levinas warns about a series of dangers that can be ocuured when we fall into strikt dichotomy without accepting any other different values. Beginning with this critical mind, Levinas tries to suggest the existence of Others as an alternative to solve all the problems with that we suffer today. Levinas says that Others is an self-existence that is absolutely independent from ourselves. It appeals to us so sincerely that we get out of closed minded situations. Discovering different values through Others is a key point of phenomenology of Levinas and can be also argued relating with dramatherapy. We can say that dramatherpy help eventually all participants to discover Others.

      • KCI등재

        초기 개발자를 통해 본 RFID 디지털 보드게임 개발의 문제점 및 전망

        이경미(Kyoung-Mi Lee),이경옥(Kyung-O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3

        컴퓨터 화면과 키보드나 마우스에만 의지하고 또 그에 익숙해져있는 사용자들에게 RFID를 이용한 인터페이스는 기존의 컴퓨터 게임을 확장하고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개발자가 RFID 칩과 리더기를 이용하여 손으로 조작하며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RFID 디지털 보드게임 콘텐츠를 소개한다. 개발된 RFID 보드게임은 총 4가지로, 3개의 게임은 화면을 보면서 RFID 칩으로 게임을 제어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화면을 배제할 수 있는 게임을 시도하여 보드판에 보다 몰입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초기 개발자들의 결과물들을 살펴보면, RFID를 사용한 단순한 사물인지 기술에 기반한 접근에서 확장하여 사물의 배치를 인지하는 것과 같이 RFID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한 게임 콘텐츠를 개발하여야 한다. 초기개발자의 개발 과정을 통해, 게임 기술개발자와 콘텐츠개발자 간의 공동협력 체계의 구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와 아동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조작할 수 있는 상호작용성이 최적화된 인터페이스의 설계가 필요하다. RFID-based games, which use a RFID reader and RFID chips, will expand existing computer games, which use a computer screen, a keyboard or a mouse. This paper presents 4 RFID digital board game contents which are conducted by initial developers; the three of them use the screen and control the games with RFID chips and, one is a different attempted game which can exclude the screen and be immersed to the board. While initial developers use object recognition of RFID, we need to develop game contents and game interface which can recognize positions of the objects. According to the initial developer's developing process, the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game technical developers and the contents developers should be necessary. Also, the interface should be developed for young children to participate and ope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