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극치료와 사이코드라마의 비교 연구 - 역할을 중심으로

        이선형(Lee Sun Hyung)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0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3

        역할은 연극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역할에서 자아가 생겨난다고 간주한 모레노는 사이코드라마에서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극적 역할을 통해 주인공 또는 참여자의 자아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았다. 사이코드라마의 역할론에 의거하여 연극치료의 역할모델을 개발한 랜디는 연극치료의 특징을 역할에 초점을 둔 것이라고 말한다. 이처럼 연극치료와 사이코드라마는 연극의 고유한 특성인 역할을 매체로 심리치료에 접근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맥락을 지니고 있다. 모레노에 의해 시작된 사이코드라마는 이후에 태동한 연극치료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연극치료와 사이코드라마의 비교를 통해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것이다. 둘째, 사이코드라마와 연극치료에서의 역할개념 및 모레노의 역할개념이 랜디의 역할모델에 미친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셋째, 이들 연구를 기반으로 연극치료와 사이코드라마에서 역할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탐색하고자 한다. The concept of a role in a theater is very important. Moreno and Randy, who claimed that ego comes from a role, focus on the roles, and believe that dramatic roles can change the ego of the main character or participant. Randy, who developed a role model for drama therapy based on the role of psychodrama, says the characteristic of drama therapy is that it focuses on the role. This research holds the same view that psychodrama and drama therapy approach to psychotherapy as a medium for theater. The psychodrama, initiated by Moren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bsequent drama therapy. There are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drama therapy and psychodrama, but there are considerable similarities. This study will first look a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the comparison of drama therapy and psychodrama. We will then look at the concept of the role of psychodrama and the role of drama therapy, and explore the impact of Moreno s role on Randy s role model and how the role is being used in drama therapy and psychodrama.

      • KCI등재

        < 왕의 남자 >에 나타난 연극의 치료적 기능 연구

        이선형 ( Sun Hyung Lee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5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5

        < 왕의 남자 >에서 왕은 연산군이다. 연산군이 어떤 이유로 폭군이 되었는지 한 마디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다만 눈에 띠는 역사적 사실은 친모인폐비 윤씨가 궁궐에서 쫓겨나 사약을 받아 사사되었다는 점이다. 어린 시절어머니의 죽음은 연산군의 성격형성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특히 아이의 성격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상을 주양육자로 간주하는 대상관계이론을 바탕으로 할 때 더욱 분명해진다. 어린 연산군에게 커다란 외상과 애정결핍이 생겨났고 그 결과 성인이 되어 왕좌에 올랐을 때 비합리적 정서와 충동적 성격으로 이어져 비윤리적이고 파행적인 행동이 생겨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영화 < 왕의 남자 >는 모성애의 결핍과 외상을 지니고 있는 최고의 권력자가 어떤 방식으로 불안과 분노를 노출시키는지 잘 보여준다. 특히 창기출신 유부녀인 장녹수를 후궁으로 삼아 치마폭에서 놀아나는 장면과 천한광대인 공길을 처소로 불러들여 동성애의 사랑을 보여줌으로써 권력자의 왜곡되고 삐뚤어진 성격, 그에 따른 불안한 정서와 고독이 잘 표현되고 있다. 그런데 영화에서 연산군은 연극놀이를 통해 비록 일시적이긴 하나 감정의 해소와 심리적 치료를 경험한다. 일반적으로 연극은 이야기 기능, 거리두기 기능, 허구의 기능 등을 통해 공연자나 관객 모두에게 자기를 점검하고 미해결 문제에 대해 숙고하도록 하여 변화와 문제의 해결책을 위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나아가 무의식 속에 깊숙이 숨어있던 외상을 안전한 거리에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현실에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던 상처를 치료할 기회를 마련한다. 이러한 연극적 기능을 본격적이고 구체적으로 치료에 활용하는 것이 바로 연극치료다. 연산군은 탈놀이, 인형극, 그림자극을 펼쳐 보이는 공길로부터 위로를 얻고 스스로 연극 무대로 들어와 현실에서 불가능했던 감정을 표출한다. 허구의 연극으로부터 진실을 밝히고 외상을 치료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던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산군이 생모 사건으로 어린 시절 외상을 입었을 것으로 가정하고 영화 속 연극의 치료적 기능으로부터 외상이 완화되거나 치료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에서 연산군의 성격형성을 살핀다. 둘째, 연산군이 공길과의 만남 이후 광대놀이, 탈놀이, 그림자연극 등을 통해 감정의 정화된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연극이 지니는 치료적 효과를 탐색한다. 이처럼 연극의 치료적 기능을 확인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연극치료의 지평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The cinema < King and the Clown >, adopted from the play < Yi >, is praised for marking a trace in Korean cinema history. In this cinema, the king is Yeonsangun. He is a Joseon dynasty king who is branded as a cruel tyrant. It is not easy to say in a word why he has become a tyrant. At least, one thing is historically certain; when he was young child, his biological mother, dethroned queen Yoon, has been ejected from the palace and killed. Perhaps the tragic death of his mother ha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his personality. It becomes more obvious considering the object relation theory, in which main caregiver definitively influences to the personality of child. His mother’s death remains a trauma for young Yeonsangun, so that he becomes a king who has irrational affection and impulsive nature. His behaviour was unethical, unconventional, unpredictable. < King and the Clown > shows well how a supreme power having a trauma exposes anxiety and anger: his behaviors for Jang Noksu, Gong-gil, and others. However, the king Yeonsan experiences, in this film, some kind of psychological healing through the theatrical play, even if it is temporal. This film shows the therapeutic function of drama. In general, the theatre provides clues for solving difficulties by checking the self to spectators through functions such as story, distanciation, fiction, and so on. Furthermore, it provides the chances to heal the traumas that influence continuously and negatively by safely expressing his trauma in dista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of healing and/or attenuation of trauma of Yeonsan through the therapeutic function of theatre appeared in < King and the Clown >. In this article, we explored the formation of personality of Yeonsan in perspective of object relation theory and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theatre. Since Yeonsan met Gong-gil, he experiences therapeutic emotions through performances, masque plays, shadow plays, etc. Thus it will be able to broaden the horizons of drama therapy by identifying the therapeutic function of the drama.

      • KCI등재

        연극치료에서 발달변형모델(DvT) 연구

        이선형 ( Sun Hyung Lee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3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3

        현재 연극치료에는 다양한 치료모델이 존재하고 있고, 여전히 새로운 모델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연극이 지니는 종합예술의 특징과 전문가들의 치료 기법 및 성향에 따라 연극치료 모델은 지속적으로 생겨날 전망이다. 그가운데 존슨의 주도로 연구되어 온 발달변형모델은 그 동안의 연구와 성과에 힘입어 명칭이 공식화 되었고, 실제 임상에서도 자주 적용되고 있다. 존슨은 정신병동을 방문하여 정신분열이나 치매와 같은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과 접하면서, 그들이 자아를 회복할 수 있도록 즉흥적인 연극놀이와 역할연기를 실시하면서 연극치료에서 발달변형모델의 잠재력을 발견하였다. DvT는 기존 연극론은 물론 종교, 철학, 심리학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존슨은 발달심리학, 정신분석학, 인본주의 심리학 등을 연구하였고, 현존재의 문제를 다루는 실존주의와 불변의 진리를 해체시킨 해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도 사유의 근거를 두고 있다. 또한 불교사상의 제행무상(諸行無常)의 영향을 받았으며, 몸과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춤 치료에도 주목한다. 연극과 관련된 것으로는 그로토프스키 가난한 연극론과 스폴린의 연극놀이에 힘입은 바 크다. 발달변형모델은 다음의 사항을 중시한다. 첫째, 각 치료회기는 전적으로 치료사와 참여자 사이에서 연극적이고 즉흥적인 상호작용으로 구성된다. 연극과 즉흥성을 교합하면 즉흥극이 된다. 즉 DvT는 치료사와 참여자가 즉흥극을 만들어가는 형식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둘째, 치료사는 연극놀이 (play)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치료사는 촉진자나 안내자이기보다는 스스로 몰입상태가 되어 참여자의 연극놀이 공간에 개입한다. 셋째, 연극놀이는 참여자가 지니고 있는 근원적인 불안의 심리적 구조를 완화시키거나 없애도록 하는데 활용된다. 연극놀이는 연극을 일종의 놀이로 작용시켜 참여자의 유쾌한 에너지를 확장시키고 심리적 저항감을 완화시킨다. 넷째, 치료가 제대로 진행된다면 참여자는 스스로 정서적 건강을 이끌어내는 자연스러운 과정에 믿음을 갖게 된다. 참여자는 치료사와 즉흥적인 연극놀이를 하면서 자신에게 해당하는 발달과정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술적으로 보면 DvT는 체현과 만남 그리고 연극놀이에 장애를 겪고 있는 것을 치료하는 것이된다. 이처럼 DvT의 핵심 용어는 변형(Transformation), 체현(Embodiment), 만남(Encounter), 연극놀이공간(Playspace)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변형모델이이들 용어와 종교, 철학, 심리학과 어떻게 연관을 맺고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Aujourd’hui, les modeles du theatre-therapiese sont tres divers. Dans la mesure ou le theatre est un art composite, le nouveau modele du theatre-therapie sans cesse va paraitre. Un des modeles que l’on peut remarquer, c’est la transformation de developpement(DvT), etudie par David Read Johnson. Il a decouvert la potentialite du Dvt, en appliquant pratiquement dans la clinique et en rencontrant avec des malades de psychose, de demence senile, de dissociation mentale. Avec eux, il pratiquait le jeu du role, le jeu du drame. Le Dvt subit des influences non seulement des theories du theatre etablies, mais aussi des religions, des philosophies, des psychologies. Par exemple, Johnson etude la psychologie genetique, la psychologie d’humanisme, la psychanalyse dans le domaine de la psychologie et l’existentialisme, le deconstructivisme, le postmodernisme dans le domaine de la philosophie. D’ailleurs, il fixe les yeux sur la danse-therapie qui fait attention aux mouvements du corps. Et ce qui concerne le theatre, il est influence par le ‘theatre pauver’ de Jerzy Grotowski et le ‘jeu dramatique’ de Viola Spolin. D’ailleurs, les elements suivants dans le Dvt sont tres importants. En premier lieu, chaques sessions se composent des interactions improvisees et dramatiques entre le theatre-therapeute et le participant. Autrement dit, le Dvt consiste en formes de l’improptu entre deux. Par la, la regle de libre association va se realiser. En deuxieme lieu, le therapeute participe activement au jeu theatral. Il fait entierement corps avec le participant dans l’espace therapeutique au lieu d’etre simplement le guide ou le promoteur. En troisieme lieu, on use du jeu theatral pour faire disparaitre ou diminuer l’angoisse psychologique du participant. Dans le jeu actif, on fait elargir l’energie du participant ou bien adoucir de ses resistances de son ame. En quatrieme lieu, si le traitement marche bien, le participant va donner naturellement creance a soi-meme dans les procedes du Dvt. Il va arriver normalement le processus du developpement correspondant a son age. Par consequent, dans la mesure ou le Dvt traite principalement celui handicape en employant des techniques de l’incarnation, de la rencontre et du jeu theatral, la transformation, l’espace du jeu, et l’objet du jeu sont des mots-cles dans le Dvt.

      • KCI등재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를 바탕으로 한 연극치료의 상징분석과 진단적 가능성 모색

        조희진 ( Hee Jin Cho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2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2

        이 논문은 질베르 뒤랑(Gilbert Durand)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을 연극치료 작업에서 이미지와 상징의 흐름과 구조 파악의 분석틀로 사용하여 보고, 그것이 연극치료에서 진단적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극치료 작업에서 참여자가 표현한 다양한 이미지들은 그의 내면세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적 정보이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참여자에 대한 진단과 연극치료 작업의 방향 설정 및 치료사의 개입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을 이용하여 연극치료 실제 작업에서 참여자가 표현한 이미지를 분석하고 그 흐름과 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년 3월 9일부터 6월 2일까지 진행된 총 9회기의 연극치료 작업에 참여한 연구자 본인이다. 작업 전체를 하나의 큰 흐름으로 볼 때 프로그램이 대상의 내면에 대립되는 이미지들을 통합하고 성장시키는 종합적 구조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구체적인상상계의 구조가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해 환자는 상상계의 어느 한 영역에 고착되어 있거나 왜곡된이미지를 보여줄 가능성이 많은 반면, 건강한 사람은 때에 따라 다양한 상상의 영역을 오가며 이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뒤랑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이 연극치료 작업에서 참여자를 진단하고 개입할 수 있는 세부적인 정보와 작업의 목표 및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큰 구조적 틀을 제공하는 중요한 체계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기존 심리학 이론의 선형적이고 유형화된 틀을 벗어나 인간 존재를 온전히 이해할 수 있는 의미론적 맥락의 진단 근거를 제시하였다. 둘째, 역동성과 다의성으로 인해 논리적인 학문영역에서 배척당하고 문학이론으로 치부되어온 상상계의 방법론이 실제인간 심리를 다루는 치료 영역에서도 그 의미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셋째,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의 구조들을 통한 연극치료 작업 분석 결과, 연극 활동에서 상상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과정이 심리치료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aim of this study is to utilize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created by Gilbert Durand as an analysis frame of the image and symbolic representation and then, to examine its feasibility how it could be utilized in the drama therapy process. Due to the fact that an accurate understanding on various images expressed by a participant is crucially symbolic information to show the participant’s inner side, it is an essential point for a participant’s diagnosis, a design of the drama therapy and therapist treatments in the drama therapy. This study thus is to analyse participant’s images and to figure out its flow and frame in the actual work via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An object of this study is a researcher’s own who participated 9 times drama therapy from March 9th to June 2nd in 2010.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a detail imaginary structure was progressed in the working process. In overall process, it can be shown that this study made conflicting images proceed into a synthetique construction to integrate and develop them. Throughout the analysis, it can be known that a patient tend to set in an area of the imaginary and show distorted images, while a sound person is able to freely explore over the imaginary and suitably express it. As previously mentioned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created by Gilbert Durand is able to be a systematic approaches to precisely diagnose participants and come up with a frame of detail information and an accurate working aim to a therapist in a drama therap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cludes: 1) To come up with the sematic context basis to precisely understand human beings beyond the linear and stereotypic territory of previous psychological theories 2) To offer proof that a methodology of the imaginary, that is only keeping alive within a literary theory apart from the logical academy areas due to its being polysemy and dynamic, could be applicable as a treatment in the psychological area. 3)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highly imaginary usage process in a drama activity based on a result from a drama therapy via the Gilbert Durand’s imaginary structures systematic and logical.

      • KCI등재

        치료적 공연의 제작 및 상연에 관한 사례 연구

        김지선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1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

        본 논문은 치료적 공연 ≪오리와 공주≫ 사례를 중심으로 제작 과정 및 상연과정을 구조화하여 공연에 참여하는 연극치료사(연출, 배우, 안내자)와 관객에게 미치는 치료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치료적 공연 ≪오리와 공주≫ 제작 및 상연 과정에 참여한 연극치료사(연출가, 배우, 안내자) 20명과 청소년 및 쉼터 청소년과 이주여 성, 미혼모, 빈곤모자가족, 우울증 여성 등의 소외여성과 연극치료 및 치료 적 공연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과 예술치료 및 상담치료 종사자 등의 관 객 899명이다. 치료적 공연의 제작 및 상연과정 분석은 ‘질적 연구 방법’을 택하여 참여 자로 임한 연구자가 직접 체험한 과정을 연극치료의 관점에서 그 의미를 밝히는 내러티브 방식을 취했다. 치료적 공연의 제작 및 상연과정 분석을 통해 알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치료적 공연은 연극치료 작업과 같은 형태, 즉 극장 체험(웜업)-연 극보기 표현하기(본 활동)-만남 나눔(마무리)의 구조를 취하며, 거기서 관 객은 수동적 관찰자가 아니라 직접적인 참여자로서 무대의 주인공이 된다. 둘째, 치료적 공연의 제작 및 상연과정은 연극치료사의 역량 강화 및 성 장의 계기로 작용한다. 연극치료사(연출자, 배우, 안내자)는 개인의 실제 이 야기를 허구의 보편적인 이야기로 확장하고 또한 관객과 직접 만나 소통하 면서 연극치료사로서 직관력과 포용력과 순발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치료적 공연의 상연에 참여한 관객은 자기 인식 및 회복을 경험했 다. 일반 연극 공연에서와 달리 객석에 앉아 수동적으로 극을 소비하는 대 신 능동적으로 공연 과정에 개입하여 자기 자신의 경험을 성찰하고 변형하 는 치유의 여정을 겪어냈다. 넷째, 치료적 공연은 일반 연극 공연과 연극치료 작업이 창조적으로 어 우러진 새로운 공연 양식을 창출했다. 관객이 연출자 및 배우와 함께 적극 적인 행위 주체로서 극적 현실을 공동 창조하고 다채로운 의미를 생산해내 는 흥미로운 연극 형태를 가능케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인 치료적 공연 『오리와 공주』은 기존의 극장 연극과 연 극치료 이론을 근거로 여러 가지 방법을 구체적으로 모색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더 나은 치료적 공연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관객의 공감과 극적 참여를 끌어낼 수 있는 방식에 대한 다양한 이

      • KCI등재

        『시학』과 연극치료

        박미리 ( Mi Ri Park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1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

        본 연구는 연극치료의 실제 작업을 『시학』과 관련하여 점검하고자 하는것으로, 연극치료가 연극 그 자체의 과정임을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공연 전반과 다르지 않음을 밝혀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론에서는 『시학』에서 언급하고 있는 플롯, 모방, 감정, 언어의 측면이 연극치료 작업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았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하였다. 첫째, 연극치료 과정은 전체와 매 회기에 있어 각기 플롯의 흐름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는 연극치료사들이 각별히 유념해야 하는 것으로, 그 안에서 상승과 하강이 있고 급전과 발견이 이루어질 때 효과적이다. 둘째, 모방은 우리의 본능이며, 경험과 쾌감 그리고 인식과 관련된다. 즉 모방은 경험을 근거로 하며, 모방의 결과물인 예술을 접할 때 실제와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는 법을 배우며 그 결과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모방은 자연적으로 거리두기의 기능을 한다. 셋째, 감정의 순화인 카타르시스는 연극의 목적인 동시에 연극치료에서도 목표가 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연민과 두려움이라는 감정이며, 이 둘의 균형은 곧 건강함을 뜻한다. 감정은 연극치료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고, 다양한 투사 활동을 통해 진실로 느낄 수 있게 된다. 넷째, 언어는 치료에 있어 그 자체로 은유가 되어 거리두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process of drama therapy with regards to Aristotles`` Poetics. It ultimately seeks to define that drama therapy itself is the theatrical process, and that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performance in general. The main body observes how the aspects mentioned in 『Poetics』, such as plot, mimesis, emotion, and language, are applied to the workings of drama therapy. As a result, the following arguments have been confirmed: 1. The drama therapeutic process must be proceeded along with the flow of the plot of every and each term. The drama therapists must keep this fact in mind, since it is more effective when crisis and revelation appear within the flow of rising and falling. 2. Mimesis is part of our instincts, and is related to experience, pleasure and recognition. It is based on experience, and when people face art as the result of mimesis(imitation), they learn to recognize things by comparison with the reality, and feel joy. Mimesis plays the role of naturally distancing oneself from another. 3. Catharsis, purification of emotion, is the purpose of drama as well as of drama therapy. Sympathy and empathy are the important points in here, and the balance of these two means being healthy. 4. Language, as the expressive tool in cure, becomes itself a metaphor and carries out distancing.

      • KCI등재

        거울전이를 적용한 연극치료 기법 고찰 -우울증 여성을 위한 단기연극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박미리 ( Mi Ri Park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2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2

        이 논문은 하인즈 코헛이 말하는 자기심리학의 치료 이론을 우울증 환자의 단기 연극치료 작업에 적용하여 살펴본 것으로, 이를 통해 연극치료의 치료적인 측면을 보다 명확하게 밝히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코헛의 자기심리학의 기본 개념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 다음으로 거울전이를 중심으로 우울증 환자 연극치료의 전체 작업 과정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연극치료 세 가지 주요기법 즉 신체 움직임, 투사 활동, 극 활동이 거울전이의 세 단계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 작업에서 신체 움직임은 공감과 원시적 융합을, 투사 활동은 쌍둥이 전이 단계로 자기대상과의 동일시를, 극 활동은 좁은 의미의 거울전이 단계로 과대자기의 확장과 더불어 이상화 전이 단계로의 이동을 경험하도록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즉 변형적내재화라는 극복과정으로서의 거울전이는 연극치료에서 참여자가 극 활동을 통해 사랑스럽고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자기 이미지를 체득하는 과정과일치하며, 따라서 본 사례 대상자는 과대자기 확장을 통해 우울 상태를 극복할 수 있는 자신감을 획득할 수 있었다. 예술 장르 중에서 우리의 삶을 반영하는 것은 연극이다. 그리고 연극치료는 이러한 연극 그 자체를 매체로 활용한다. 무엇보다 연극치료는 참여자와 치료사가 몸을 통해 직접적으로 만나는 만큼, 치료로서의 기능과 효과를 그대로 보고 듣고 느끼면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치료로서 유능함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보다 과학적인 언어로 전체 과정과 효과를 설명하고 입증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연극치료의 치료적 과정을 설명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는 데 있어서 심리학이 유용한 이유는 그 학문이 인간의 마음을 볼 수 있는 구조와 작동방식들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개념화하였기때문이다. 자기심리학은 무엇보다 치료사의 ‘공감’을 바탕으로 자기대상 전이를 통해 건강한 자기구조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hort-term drama therapy case for a depressed woman by the self psychology of Heinz Kohut, and to validate the therapeutic properties of drama therapy.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briefly the basic concepts of self psychology. Second, it looks at the whole processes of short-term drama therapy for a depressed woman in relation to mirror transference. We find a similarity between three drama therapeutic methods-physical movement, projection, dramatic play- and the three types of mirror transference. We can understand especially the effect of empathy and archaic merger through physical movement, identification of self-object in twinship transference through dramatic projection, expansion of grandiose self to transfer to idealizing transference in second mirror transference. The transmuting internalization of mirror transference is very similar to the process of drama therapy where the clients can get the positive, amy and powerful self image, so does the depressed woman in this case. She can finally get the self-confidence to shrink aside her depression. Drama as art can reflect the real life itself and drama therapy uses the drama as medium. Its advantage is that we can confirm the therapeutic methods and effects as a direct physical collision between clients and therapists. But we need to validate its effect and to explain its whole processes more scientifically for the power of drama therapy. For this, psychology is very useful, because it conceptualizes the system and inner workings of human mind. Above all, self psychology shows how we can construct the healthy self structure through self-object transference based upon the empathy of therapists.

      • KCI등재

        원형적 역할의 활용과 치료적 의미 -스테판 스노우의 치료적 연극을 중심으로-

        김숙현 ( Suk Hyun Kim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4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4

        본 연구는 ‘수행적 연극치료 모델’을 성립시킨 스테판 스노우의 연극치료를 중심으로, 제의와 연극치료간의 상호연계성을 토대로 원형적 역할의치료적 의미와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제의와 신화간의 상관성을 캠벨의 단일신화를 통해 이해하고, 그로부터 도출된 영웅서사구조와 역할유형이 한편으로는 통과의례와 연동되고 있음을 확인하며, 이를 발판삼아 연극치료에 적용될 재구된 원형적 역할을 논구하고 있다. 원형적역할은 참여자의 ‘재생의 제의’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기에 중요한데, 특히 본 연구는 스노우가 참여자의 개별성과 특수성에 따라 텍스트의 구성이나 그 취택을 서로 달리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결국 본 연구는 공연중심의 ‘치료적 연극’을 만드는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원형의 환기와 체현이 중요한 치료적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과정지향의 연극치료 뿐만 아니라 공연 중심의 ‘치료적 연극’을 실제화하고자 하는 치료사들에게 원형적 역할이 갖는 치료적 의미와 그 가치효과에 대한 이해를 정초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chetypal roles regarding the effects in Drama Therapy focused on Stephen Snow``s therapeutic theatre. Stephen Snow has studied the origins of ritual theatre based on the anthropology which is established by Victor Turner, Richard Schechner.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performative drama therapy model’ and the ‘ritual theatre therapy’ which Stephen Snow has established, the ritual has a deep affinity with the myth.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rchetypal roles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monomyth/hero-myth which Joseph Campbell suggested. In addition, it examines the archetypal roles that Steve Mitchell developed to search a method that becomes a therapeutic factor. The method of composition of the text related to clients’ distinct characteristics for Snow``s therapeutic theatre production is equal to the mode faced with the archetypes, roles accordingly. The evocation and embodiment of archetypes in the construction and enactment of various kinds of performances can be a healing ritual drama for clients/actors. Consequently, the archetypal symbolic roles in performative drama therapy, within a ritual theatre therapy context, are served as containers and they can help the wounded self-concepts to be reconstructed.

      • KCI등재

        파괴성을 활용한 연극치료적 개입

        정은선 ( Eun Sun Jung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5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5

        본 연구는 연극과 심리학적 이론에 내포된 파괴성의 의미를 바탕으로, 연극치료 치료적 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파괴성의 치료적 의의와 파괴성을 활용한 개입으로 참여자의 긍정적 변형을 가져오는 작동 방식을 자기파괴성향 참여자의 연극치료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간은 사회적 관계와 적응상의 문제로 인하여 발생한 파괴성의 결과인 갈등, 고통의 원인과 책임 소재를 외부에서 찾게 되면 그 대상에 대하여 의심하고 분노하는 등의 감정적 역동이 일어나며, 그 결과 외부의 대상에 대하여 심리적이거나 물리적인 공격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파괴의 방향이 자기 내부를 향하는 경우는 여러 가지 심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수치심과 죄책감을 동반하는 우울이나자해, 자살시도, 극심한 불안에 의한 강박행동, 약물 과다복용, 섭식 장애 등에서 볼 수 있는 자기파괴적 행동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멜라니 클라인의 이론을 비롯한 대상관계 심리학 이론은 초기유아기에 경험하는 대상과의 관계불안을 기초로 이러한 병리적 현상즉, 과도한 공격성과 관계적 회피를 포함한 자기파괴적 성향의 발생근거를 잘 설명해준다. 선과 악이 고정되어 있거나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이며, 사회에 의해 조건화된 것과 마찬가지로 ‘파괴성’ 또한 개인의 도덕적 완고함, 비타협성, 관계의 회복과 변화의 여지를 외면하는 경직된 비합리적사고를 무너뜨리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견고함이 주는 억압적 ‘폭력성’을 ‘파괴’한다거나 상징적으로 ‘죽음’을 ‘죽이는’ 행동을 통하여 결과적으로 파국으로의 방향에서 돌이켜 ‘삶’과 ‘자유’를 향한 가치의 전도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가치의 전도 즉, 파괴성의 긍정적활용성은 인간의 심리적 건강과 사회적 적응을 지향하는 연극치료의 작업과정에서도 치료적 개입으로 작동할 수 있다. 연극치료 작업 과정중에 나타나는 ‘파괴성’은 현실 생활 속에서 파괴의 결과가 야기할지도 모르는 두려움과 고통스러운 결과의 실제적 감내 없이, 극적 공간에서 필요성(치료적 목표)에 따라 계획된 의도적인 과정으로 충분히 경험함으로써 참여자로 하여금 이러한 파괴가 주는 긍정적 측면을 안전하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한다. 자기 파괴 성향의 변형을 위한 치료적 과정은 자기 안에 억압되어있던 파괴적 감정과 그 대상에 대한 파괴적 욕구의 명확한 인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참여자는 자기 안의 파괴성을 인정할수 있게 되고 파괴적 에너지가 의식 안에 허용되며, 통제되고, 변형될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대부분의 경우 행동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파괴적 행동화 과정은 대상과 감정을 명확히 인식할 수있도록 돕는 것과 더불어 행동을 통하여 파괴의 방향을 내부에서 외부로 바꾸어 내는 기능을 한다. 극적 공간은 마치 유아가 엄마에게 의존해 있는 공간처럼 우리가 무엇을 하거나 성취해서가 아니라 우리 자신으로서 수용 받는 공간이다. 파괴적인 힘을, 다른 사람이나 우리 자신에게 미치게 될 부정적 영향(처벌이나 완전한 파괴)을 걱정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추구하는 충분한 욕망으로 경험한다. 그 과정을통해서 문제적 감정과의 지나친 밀착에서 벗어나 문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그 해결 방법을 모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파괴 욕구의 충분한 성취는 비로소 자기와 타인사이의 욕망의 간극을 인정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며, 참여자로 하여금 자신과 타인의 감정적 진실에 눈을뜨게 하고 과잉 불안에서 벗어나 실존적 대상과의 신뢰에 기초를 둔건강한 관계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요컨대 연극치료 과정 안에서의 파괴성은 물리적 폭력에 관련된 측면보다는 견고한 이미지의 고착과 억압을 흐트러뜨려 재구성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데 초점이 있다. 이는 특히 경직된 신체 움직임과 투사적 이미지, 고착된 역할 인식에 구체적으로 개입하여 변화를 이끌어내고 파괴성의 방향을 바꾸어 냄으로서, 참여자로 하여금 유동적인 사회적 갈등 안에서 자기 안에 잠재된 파괴적 에너지를 통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하여 적대적 관계를 공감과 소통이 가능한 관계로 재인식하게 하고, 불필요한 방어와 부정적 파괴에 낭비되었던 에너지를 창조와 재건 에너지로 바꾸어 사용하여 참여자가 보다 건강한 삶을 살 수있도록 돕는다. Based on the meaning of the destructiveness implicit in theatre and psychological theory,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on the therapeutic significance of the destructiveness made within the therapeutic process of dramatherapy and works to bring positive variation of the participants in utilizing the destructiveness through the dramatherapy cases of the participants having self-destructive tendencies. Once searching for the caus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conflict and pain arising from the destructiveness from the outside, the emotional dynamics of doubt and anger against a subject occurs, and, as a result, it can be subjected to psychological or physical attack against it. Furthermore, if the direction of the destruction turns inwards, it can be caused severe psychological problems. Also, it can be appeared in a self-destructive behaviors seen in various somatoform disorders, including obsessive-compulsive behavior, drug overdose, eating disorders caused by depression or self-harm, suicide attempts, severe anxiety accompanied by shame and guilt.. Like good and evil are relative and conditioned, the destructiveness can provid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break down the individual moral stubbornness, flatfootedness, rigid and irrational thinking evading the recovery of the relationship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The positive utilization of the destructiveness can work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in the course of the dramatherapy aiming treatment of human mental health and social adjustment. That is, destructiveness may make the participants securely integrate the positive side of destruction by experiencing the planned process for the treatment purpose. Treatment process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self-destructive tendencies start from a clear recognition of the destructive emotions repressed in own``s inner and the destructive desire against it. Through this process, participants are able to recognize the self-destructiveness, allow the destructive energy to stay in their consciousness, control and modify it. Therefore, the destructive process of action helps to clearly recognize the target and emotions and functions as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destructio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Dramatic space is the place where we can be accepted as our own like where an infant is received by his/her mother. Thus, without worrying about negative affect of destructive power, the participants can experience sufficient desire to pursue what they want. Through this process, away from excessive adhesion, they can understand objectively their problems and seek their solutions. Furthermore, sufficient fulfillment of the destructive desire can provide room to admit the gap between the desire of themselves and others, and it helps them open their eyes to the emotional truth of themselves and others, escape from excessive anxiety, and encourage to recover a healthy relationship based on trust with real person. In brief, the destructiveness in the process of dramatherapy can act to reconstruct by breaking up suppression and sticking of solid images. Consequently, it makes the participants recognize by switching over from the hostile relationship to the empathic and communicational and helps them healthily live by changing over from the energy wasted on unnecessary defenses and the negative destruction to the energy of the creation and reconstruction.

      • KCI등재후보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 연구 - 지역사회·대학교 협력모델 제안 -

        이태승(Lee, Tae Seung),이지홍(Lee, Ji Hong),윤선희(Yoon, Sun Hee)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0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2-1

        본 연구는 노년과 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안정적·지속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의 지역사회·대학교의 협력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의 가치는 무엇이며, 세대교류를 통한 기대효과는 무엇인가? 둘째,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 연극교육의 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지역사회·대학교 협력 전략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사례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한 사례연구로, 예술교육 관련 문화예술단체 2인, 대학협력 관련 문화예술단체 3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했으며, 2020년 현재 지역사회와 대학교의 협력을 중심으로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 연극교육을 기획하고 있는 지역 문화예술단체와 지역 활동가, 주민, 인근 대학 예술학과 학생 등 지역 문화예술 네트워크 20명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면접을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대교류의 가치’, ‘연극교육 전략’, ‘지역사회·대학교 협력 방향’이라는 3개의 주제와 이에 따른 8개의 하위주제와 2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사례연구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의 가치는 서로의 세대가 공존하고 있고 세대 간 차이의 존중을 통하여 교감하고 소통할 수 있다. 둘째, 연극교육의 경험을 통한 세대 간 만남은 서로 다른 문화에 대한 배움과 경험적 삶의 지혜를 통해 서로에게 필요한 사회적 관계망 형성이 가능하다. 셋째, 대학 문화예술 자원을 지역사회와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청년 예술가로서 자긍심을 고취하는 한편 현장 체험을 통한 직업 탐색을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 넷째, 지역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안정적 협력은 시민 예술의 자생력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동력을 제공한다. 사례연구에서 도출된 28개의 개념을 Communities of Practice의 원칙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의 지역사회·대학교 협력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의 기관과 대학, 예술가의 협업을 통하여 청년과 노년의 세대교류를 위한 역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협력모델은 지역사회·대학교 간의 협력을 통한 노년·청년 간의 세대교류에 보다 효율적인 진행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ways to promote drama-theatre education for generation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ng, Moreover, it established a cooperative model of the university-community of theater education for generation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th as a strategy to realize it stably and continuously. Three study questions were set up to realize these research objectives. Firstly, what is the value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old and young people, and what are the expected effects of generational exchange? Secondly, what is the strategy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old and young people and drama-theatre education? Thirdly, what is the community/university cooperation strategy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qualitative case studies(Stake, 2000),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candidates as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related to art education and three candidates as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related to university cooperatio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candidates as local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including local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local activists, residents, and students of art departments at nearby universities. As a result, three themes, Value of Generation Exchange , Active Education Strategy and Direction of Community and University Cooperation , and eight sub-topics and 28 concepts were derived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value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th is that each other s generations coexist and can communicate and correspond through respect for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Secondly, intergenerational encounters through the experience of drama-theater education can form the social networks necessary for each other through learning about different cultures and the wisdom of empirical life. Thirdly, it is possible to create jobs for young people through job search through field experience while promoting self-esteem as a young artist, expecting to be able to share university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with the local community. Fourthly, the revitaliza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community with stable cooperation can supply of power for strengthening the self-sustaining power of civil art. The 28 concepts derived from case studies were analyzed by practice in the principles of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the community-university cooperative model of drama-theater education for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young people was proposed. Accordingly, the cooperation of local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artists resulted in the role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young and old age. This cooperative model will enable more efficient progress in the generation exchange between young and old age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ommunities and univer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