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육기 흑염소의 유지를 위한 조단백질 요구량 결정에 관한 연구

        윤영식,장세영,성혜진,당옥교,정우령,박재현,문상호,Yun, Yeong Sik,Jang, Se Young,Seong, Hye Jin,Tang, Yu Jiao,Ding, Yu Ling,Park, Jae Hyun,Moon, Sang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7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7 No.2

        본 연구는 단백질 균형시험에 의한 흑염소의 1일 유지 단백질 요구량을 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평균체중 $31.78{\pm}4.54$의 8개월 령의 비육기 수컷 흑염소 6두를 공시하였고, $3{\times}3$ Latin square design 방법으로 처리구별 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을 달리하여 흑염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 기간은 2014년 10월 12일부터 2014년 11월 21일까지 40일간 이천의 흑염소 농장에서 진행하였다. 사료의 조단백질 수준은 처리구별로 13%(T1), 16%(T2), 19%(T3) 이며 TDN은 66%로 하여 배합한 TMR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1일 사료급여량은 체중의 1.5%를 오후 5시경에 급여하였다. 처리구별 건물섭취량은 T1구가 925.14g/d, T2구가 966.67g/d, T3구가 936.08g/d으로 T2구에서 가장 높았고, 일당증체량은 T2구가 167.13g/d으로 T1과 T3구의 각각 109.26g/d, 118.98g/d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건물 소화율은 T1과 T2과 T3구 각각 73.68%, 71.81%, 73.77%로 처리구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조단백질 소화율은 T3구가 82.42%로 T1과 T2구 각각 72.73%, 65.72%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조지방 소화율은 처리구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ADF 소화율은 69.13%로 T1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CF와 NDF 소화율은 46.88~59.76%, 63.29~73.73%의 범위로 처리구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조단백질 섭취량은 T1과 T2과 T3구에서 각각 128.78g/d, 154.57g/d, 181.23g/d로 사료 내 단백질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대사 체중 당 CP 섭취량과 CP 축적량과의 관계식에서 CP 균형이 0이 되는 X축 절편은 $1.63g/BW^{0.75}$이었다. 본 연구결과 8개월 령 수컷 흑염소에게 필요한 유지 조단백질 요구량은 $1.63g/BW^{0.75}$이며 흑염소의 사양표준 설정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유지 단백질 요구량에는 성장단계 및 사양방법, 성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그러한 요인들을 기준으로 한 흑염소 단백질 연구가 단계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tein requirement for maintenance of fattening Korean black goat (Capra hircus coreanae). Six male goats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BW) of $31.78{\pm}4.54kg$ and an average age of 8 month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 had a replicated duplicated $3{\times}3$ Latin square design for balancing carryover effects.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each of Black goats were fed three diets that were formulated to contain T1 (13%), T2 (16%) and T3 (19%) levels of crude protein (CP). A 14-day diet adjustment period was followed by a 5-day collection period. Dry matter intake (DMI) of groups fed diets with T2 was 966.67g/d which was higher than group fed diets with T1 and T3 were 925.14g/d and 936.08g/d each. Average daily gains (ADG) of black goats were the highest in T2(167.13g/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ietary protein levels affected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CP (p<0.0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P intake among treatments and goats receiving T3, T2, and T1 recorded 181.23, 154.57, and 128.78g CP/d, respectively. This was excepted because CP intake is proportional to CP content of diet, which from highest to lowest was as follows: T3 (19%) > T2 (16%) > T1 (13%). Intercept of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CP intake and CP balance indicated that maintenance CP requirement was 1.63g/BW0.75.

      • KCI등재

        저항성 턱 열기 운동과 저항성 턱 당기기 운동 수행 시 목뿔위근과 목뿔아래근의 근 활성도 차이 비교

        윤영식(Yeong-Sik Yun),장기연(Ki-Yeon Chang),심선화(Sun-Hwa Shim),우희순(Hee-Soon Woo)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저항성 턱 열기 운동과 저항성 턱 당기기 운동 수행에 따른 목뿔위근과 목뿔아래근의 근 활성도를 확인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기위해 시행되었다. D광역시에 거주 중인 건강한 성인 48명을 대상으로 두 운동을 적용하였으며 운동 수행에 따른 목뿔위근과 목뿔아래근의 근 활성도는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운동 수행 간 측정된 목뿔위근과 목뿔아래근의 근 활성도는 대응표본 T 검정을 통해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두 운동 간 목뿔위근의 근 활성도에 있어서 통계학적 차이를 보였으며(p<.01), 목뿔아래근의 근 활성도에서는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1.00). 본 연구결과 저항성 턱 열기 운동과 저항성 턱 당기기 운동 모두 목뿔위근의 근 수축을 유도할 수 있으며 목뿔위근의 보다 많은 근 수축을 유도할 수 있는 운동은 저항성 턱 열기 운동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뿔아래근의 근 수축은 통계학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이러한 결과는 두 운동간 목뿔아래근의 유사한 근 수축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추후 목뿔위근과 목뿔아래근의 근약화를 가지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다음의 두 운동의 효과를 비교한다면 명확한 이론적 근거가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muscle activity of the supra-hyoid muscle and infra-hyoid muscle during Jaw Opening Agasinst Resistance Exercise and Chin-Tuck Against Resistance Exercise. The two exercises were applied to 48 adults living in City D. The surface electromyogram of the supra-hyoid muscle and infra-hyoid muscle were measur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the supra-hyoid muscle and infra-hyoid muscle in accordance with the exercises were compared using a corresponding sample t test. The stud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supra-hyoid muscle (p<.01), while there was no such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infra-hyoid muscle (p=1.00). The findings show that both resistant lower Jaw Opening Agasinst Resistance Exercise and Chin-Tuck Against Resistance Exercise can lead to muscle activation in the supra-hyoid muscle and the infra-hyoid muscle. Jaw Opening Agasinst Resistance Exercise was found to encourage more muscle activation in the supra-hyoid muscle. While there was no statistcial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ation of the infra-hyoid muscle,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wo exercise can encourage similar muscle activation in the infra-hyoid muscle. A more clear theoretical basis can be provided if the the effects of the two exercises are compared in patients with muscular weaknesses in the supra-hyoid muslce and infra-hyoid muscle.

      • 진행성 골화성 섬유이형성증 - 성인 1례보고 -

        윤영식,Yun, Yeong- Si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0 No.1

        진행성 골화성 섬유이형성증은 매우 드문 유전적 질환이기는 하나 영유아 초기에 경부나 두부의 종괴에 동반하여 나타나는 특징적인 양측성의 족부 모지의 선천성 기형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그러나 오진으로 인한 잘못된 치료와 그로 인한 합병증이 병의 진행을 더 악화시킬 수 있으며 불필요한 처치를 행할 수 있어 처음 진단에 주의를 요하는 질환이다. 이에 저자는 이질환의 자연적 경과와 더불어 잘못된 치료로 인해 발생한 성인에서의 양상을 보고하는 바이다. Fibrodysplasia ossificans progressiva is a very rare genetic disorder, but is possible to diagnose with mass on neck or scalp in early neonate or child and accompanying characteristic congenital malformation of great toe. But because inappropriate treatment and complications from misdiagnosis may aggravate the progress of the disease, so the disorder require careful inspection for accurate diagnosis. We describe a case that was misdiagnosed properly and treated inappropriately and the natural history of the disease in adult.

      • KCI등재

        육성 암컷 흑염소 방목 야초지에서 사료가치, 사초 건물 수량 및 방목 강도의 계절별 변화에 관한 연구

        윤영식,성혜진,장치만,정상욱,이가을,박재현,장세영,이진욱,김관우,문상호,Yun, Yeong Sik,Seong, Hye Jin,Zhang, Qi Man,Chung, Sang Uk,Lee, Ga Eul,Park, Jae Hyun,Jang, Se Young,Lee, Jin wook,Kim, Kwan woo,Moon, Sang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야초지에서 흑염소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 사료가치, 적정 방목강도 규명 및 가축생산성 분석을 통하여 야초지의 이용성을 평가하고 흑염소 방목 사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평균체중 14kg 전후의 4개월 령 육성기 암컷 흑염소 10두로 방목실험을 실시하였다. 방목 시 보충사료는 체중의 1.5%로 추가 급여 하였으며, 물은 자유 급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야초지의 건물함량은 봄에서 가을로 갈수록 건물함량이 증가하는 보고와 비슷하게 6월과 9월에 각각 $24.9{\pm}0.56%$, $24.4{\pm}0.89%$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함량 11%~12%를 유지하여 처리구간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야초지의 사료가치는 일정수준으로 영양소 함량이 유지되었으나 계절별로 생산되는 야초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방목 시 사초생산성은 야초의 경우 대부분 C-4형 식물이기 때문에 기온이 높은 여름철인 6월부터 8월까지 생산성의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8월의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p<0.05). 8월 이후 생산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봄철과 가을철에 급격하게 생산성이 저하되는 야초지의 특성을 보였다. 방목 초지의 월별 생산성과 흑염소의 채식량을 기준으로 분석을 통해 월별 방목 강도를 설정하였다. 계산된 방목 강도는 8월에 55두/ha 로 가장 높았으며,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인 9월에 21두/ha로 가장 낮았다. 평균 방목강도는 37두/ha로 이를 기준으로 보충사료의 양을 조절하여 방목 흑염소에게 부족하거나 과잉된 영양소 공급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흑염소 생산성의 계절별 변화는 증체량이 80.2 g/d 이었다. 방목구에서 안정적인 증체의 결과는 방목 후 추가로 농후사료를 보충급여 함으로써 흑염소의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시켰기 때문이며,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에 적절한 방목강도 조절과 필요 영양수준에 맞춘 보충사료를 급여 한다면 가축의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야초지의 효율적인 활용기술 및 흑염소 방목기술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유기축산 및 산지생태축산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n forage productivity, feed value, grazing intensity and livestock productivity in growing Korean native female goat grazing in native pasture. Its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14.10{\pm}3.6kg$ and an average age of 4 months were used in this study. Dry matter content of native pasture was the highest at $33.48{\pm}2.56%$ in June, and the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spring to autumn (p<0.05). Crude protein was maintained between 11% and 12% on average. Nutrient content wa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in native pasture, but there were differences due to the different types of wild grasses produced in each season. The productivity of forage crops increased from June, but decreased after August and showed a characteristic of grassland where productivity decreased rapidly in spring and autumn. The average grazing intensity are 39 head/ha. Black goat average daily gain was 80.2g/d. The stable weight gain in grazing is that the nutrient requirement of the black goat was met by supplementing the concentrated feed during grazing. study, can be expected that the productivity of livestock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proper feeding of supplementary feed and maintenance of grazing intensity.

      • KCI등재
      • KCI등재

        제주지역 조릿대의 사초생산성 및 사료가치평가

        정상욱,성혜진,윤영식,이가을,오영균,백열창,이슬,문상호,Chung, Sang Uk,Seong, Hye Jin,Yun, Yeong Sik,Lee, Ga Eul,Oh, Young Kyoon,Baek, Youl Chang,Lee, Seul,Moon, Sang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제주조릿대의 사초생산성과 사료가치평가를 진행하여 조릿대의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현재 한라산에서 발생하고 있는 조릿대로 인한 식물종 다양성 감소문제를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조릿대의 사초생산성은 실험결과 5월과 6월기간에 비교적 우수한 재생력을 보였으나, 예취가 반복 될수록 재생능력이 감소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릿대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조단백질은 가을철 함량보다 봄철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6월에서 $8.64{\pm}0.20%$로 다른 기간에 비해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낮은 NDF, ADF의 함량은 6월에서 각각 $77.90{\pm}0.25%$, $42.33{\pm}0.49%$로 나타나 섬유소 함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조릿대는 NDF와 ADF의 함량은 높으나, 볏짚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가축의 특성에 맞추어 급여한다면 이용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조릿대를 사료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섬유소 분해능력이 좋은 흑염소 같은 가축 또는, 조릿대에 대한 기호성이 우수하고, 소화율이 비교적 우수한 말에게 급여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조릿대의 사료화를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축종을 대상으로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 of Sasa borealis (S. borealis) in Jeju Island in order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Sasa borealis and to help mitigate the problem of reduced plant species diversity caused by S. borealis in Hanlla Mountain. To investigate the forage production, three quadrat structures were installed in the S. borealis natural community in the middle part of Hanlla Mountain. From May to October 2017, S. borealis in quadrats was cut at a fixed time of each month, and then forage production and regenerated acidity per kg/ha were evaluated. For the evaluation of feed value, composi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monthly samples. In vitro diges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cannula mounted Hanwoo. In vitro neutral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IVNDFD) and in vitro acid detergent fiber digestibility(IVADFD) were measured after the experiment. Forage production of S. borealis showed relatively good regeneration ability in May and June, but the regeneration ability decreased as the cutting was repeated. In order to use S. borealis as a forage, it is considered efficient to feed black goats with good fiber decomposition or horses good palatability to S. borealis and relatively good digestibility.

      • KCI등재

        육성기 염소의 유지에너지 요구량 결정연구

        정상욱,장치만,장세영,윤영식,문상호,Chung, Sang Uk,Zhang, Qi-Man,Jang, Se Young,Yun, Yeong Sik,Moon, Sang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2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40 No.2

        가축의 영양사양에 있어 우리나라 고유의 환경에 맞게 적정 영양소 요구량을 제시하는 것은 가축생산성 향상 및 최적화된 영양공급을 유도하기 위한 필수요소이다. 국내에선 영양소 요구량 및 사양표준 제정에 대한 연구는 한우, 젖소, 돼지, 가금 등 4대 주요 경제동물에서만 진행되었으며, 염소에 대해선 성장단계 별 사양표준이 확립되지 않아 염소 사육농가에서 정밀사육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개량종 육성기 염소의 유지에너지 요구량을 결정하여 적정 에너지 급여체계를 확립하고 염소 농가의 사료비 절감과 가축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이후 정밀사양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실험은 3개월령 개량종 염소 32두를 공시하여, Latin Square 설계를 이용하여 4개의 처리구를 두고 3개월 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일당증체량은 사료의 에너지 수준을 NRC+10%로 처리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료요구율은 6.3g~7.3g의 범위로 나타났다. 처리구 간 소화율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에너지 수준을 NRC+10%로 처리한 처리구에서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등의 소화율이 다른 처리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군 사양실험을 통해 얻은 에너지 섭취량과 증체량 값의 회귀식(Y=0.5439X+111.51, R<sup>2</sup>=0.712)을 통해 육성기 염소의 유지에너지 요구량은 111.51kcal/kgBW<sup>0.75</sup>로 추정되었다. 염소의 에너지 요구량에는 성별, 성장단계, 사양방식, 계절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국내 환경에 맞는 염소의 사양표준제정을 위해선 여러 요인을 산정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maintenance energy requirements of growing goats in order to establish an appropriate energy benefit system, to reduce feed costs and improve livestock productivity of goat farmers, and to present basic data for detailed specifications afterward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s a group specification test for a total of 3 months, with 32 goats of three months age and conducted by four treatments with different energy levels (T1: NRC+0%, T2: NRC+10%, T3: NRC+20%, and T4: NRC+30%). The average daily gain was the highest in the treated with NRC + 10% of the energy level of the experimental diet, and the feed conversion ratio was in the range of 6.3 g to 7.3 g in the group feeding experiment.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gestibility between treatments,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as higher in T2 treated with NRC + 10% than the other treatments. Through the regression equation of the values of MEI and ADG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 (Y=0.5439X+111.51, R<sup>2</sup>=0.712), the maintenance energy requirement of the goat in the growing period was estimated to be 111.51 kcal/kgBW<sup>0.75</sup>.

      • KCI등재

        국내 중부지역에 있어서 기후변화에 따른 사료용 옥수수의 생산성 및 기후영향취약성 평가

        정상욱,성시흥,장치만,정종성,오미래,윤영식,성혜진,문상호,Chung, Sang Uk,Sung, Si Heung,Zhang, Qi-Man,Jung, Jeong Sung,Oh, Mirae,Yun, Yeong Sik,Seong, Hye Jin,Moon, Sang Ho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9 No.2

        본 연구는 중부지역 사료용 옥수수 생산성 조사를 위해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과 충청남도 청양군 운곡면에 각각 시험포장지를 조성하여 2017년부터 2018년까지 2년간 실시하였다. 사료용 옥수수의 공시품종은 국내 육성품종인 광평옥을 사용하였고 초고, 엽수, 병충해, 생물수량, 건물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기후자료는 기상청의 기상관측소의 일평균기온, 일최고기온, 일최저기온, 월평균기온, 일강수량, 일일 일조시간 등의 관측자료를 참고하였다. 과거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옥수수 생산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를 선정하여 1999년부터 2018년까지 두 지역에 대한 기후영향취약성 시범평가를 진행하였다. 시험포를 조성한 2년간 옥수수 건물수량은 최근 20년 평균 수량인 21,193 kg/ha보다 낮았다. 특히 2018년의 충주시와 청양군의 옥수수 건물수량은 각각 6,475 kg/ha과 7,511 kg/ha으로 나타나 2017년에 비해 절반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20년간의 전국 평균과 비교해도 절반 이하의 수준을 나타냈다. 2018년 충주와 청양의 평균기온 및 최고기온은 두 지역 모두 평년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2018년 생육기간동안 일조시간은 충주지역 873.7시간, 청양지역 942.1시간으로 나타나 과거 30년 동안 생산량 상위그룹의 생육기간 동안의 평균 일조시간 689.8시간을 크게 상회했다. 2018년 옥수수 건물수량의 급격한 감소는 당해 여름철 고온현상, 장기간의 가뭄 및 강수량 부족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산정한 조건으로 기후영향취약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충주와 청양지역 모두 과거에 비해 최근에 취약성이 높아진 경향을 나타냈다. 옥수수의 생산성에 있어서 보다 정확한 기후영향취약성 평가를 위해서는 토양수분, 습도 등의 다양한 기후요인을 산정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 two-year study was conducted from 2017 to 2018 by the establishment of a test field at Chungju-si and Cheongyang-gun.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insects and diseases, and fresh and dry matter yields for corn hybrid('Kwangpyeongok') were investigated. Daily average,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monthly average temperature, daily precipitation, and sunshine duration during the growing season were investigated. We selected climate-critical factors to corn productivity and conducted an evaluation of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from 1999 to 2018 for both regions. In 2018, the dry matter yield of forage corn was 6,475 and 7,511 kg/ha in Chungju and Cheongyang, respectively, which was half of that in 2017. The high temperature and drought phenomenon in the 2018 summer caused the corn yield to be low. As well as temperature, precipitation is an important climatic factor in corn production. As a result of climate impact vulnerability assessment, the vulnerability has increased recently compared to the past. It is anticipated that if the high temperature phenomenon and drought caused by climate change continues, a damage in corn production will occur.

      • ITU에 제안된 한국의 IMT-2000 기술분석

        방승찬,심재룡,김태중,채명식,최안나,이동도,구준모,윤영식,김영기,Bang, Seung-Chan,Sim, Jae-Ryong,Kim, Tae-Jung,Chae, Myeong-Sik,Choe, An-Na,Gu, Jun-Mo,Yun, Yeong-Sik,Kim, Yeong-Gi 대한전자공학회 1998 전자공학회지 Vol.25 No.10

        본 논문에서는 한국이 ITU-R에 제출한 DS-CDMA 방식의 TTA proposal I과 II의 특징 및 제안된 기술 중 역방향 변조방법인 OCQPSK(orthogonal complex QPSK), 역방향 공통패킷채널 전송방법인 AISMA(acquisition indication sense multiple access), 그리고 순방향 고속전력제어 알고리즘을 살펴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