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간관리능력이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우희순(Hee-Soon Woo),최유임(Yoo-Im Choi)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시간관리능력이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대상자는 J지역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213명이었다. 시간관리능력 및 심리사회적 요인(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측정은 시간관리척도, 자기효능감척도 및 학교생활만족도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간관리능력과 심리사회적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시간관리능력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모든 영역은 시간관리능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관리능력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는 시간관리능력 중 목표세우기 및 실행하기, 평가하기의 하위 영역이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 영역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능력은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지지를 위해 시간관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제공할 필요가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ime management skills on psychosocial factors in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213 high school students in a high school located in J area. The measurement of time management ability and psychosocial factors (self - 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using time management scale, self - efficacy scal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ability and psychosocial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time management ability and self-efficacy showed that all areas of general self-effica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ime management abilit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management ability and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sub - domain of goal setting, execution and evaluation of time management abi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ub -domain of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ime management abilit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plan and provide appropriate programs to improve time management ability for high school students psychosocial support.

      • KCI등재

        감각처리유형이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우희순(Hee-Soon Woo),최유임(Yoo-Im Choi)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감각처리유형이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대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감각처리유형은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고,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 적응은 대인관계변화척도, 대학생활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감각처리유형과 대인관계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감각찾기는 대인관계의 친근감과, 감각회피는 대인관계의 민감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나머지 감각처리유형과 대인관계 사이에서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감각처리유형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감각처리유형 중 감각찾기는 대학생활 적응의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대학환경 적응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의 감각처리유형 중 감각찾기와 감각회피가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요인(대인관계 및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환경에 대한 자극 추구 정도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및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건강을 위해서는 적절한 감각자극 추구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나 교육프로그램을 고려하는 것이 의미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ensory processing type on the psychosocial factors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170 college students,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of college students wer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 sensory processing type used the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llege life adaptation used the Interpersonal Change Scale, and the Student Adaptation College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sensory processing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nsory seeking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affinity and sensory avoiding with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other types of sensory process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processing type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ensory seeking was correlated with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and college environment adaptation of college life adap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sory seeking and sensory avoiding among the sensory processing types of college students were related to the psychosocial factors(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respectively. Therefore, for the psychosoci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sider environment or education programs that can provide appropriate sensory stimulation pursuits.

      • KCI등재

        실행증의 작업치료

        이희령(Hee-Ryoung Lee),우희순(Hee-Soon Woo) 대한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2 No.1

        서론: 실행증이란 운동 및 감각 저하, 이해력의 손상, 협응의 문제가 없음에도 이전의 친숙한 과제나 학습된 행동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광범위한 신경학적 증상을 말한다. 이러한 실행증은 클라이언트의 기본적 및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능력, 사회 참여 및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에 부정적 영향을 유발하기 때문에 작업치료의 대상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증 클라이언트의 효과적인 작업치료 시행을 위해 실행증과 관련된 포괄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론: 실행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지시에 따라 흉내 내기, 흉내 내는 것 보고 모방하기, 다단계 작업 완료하기 등 임상 관찰을 통한 평가와 Test of Upper Limb Apraxia (TULIA) 및 Apraxia Screen of TULIA (AST)와 같은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실행증을 위한 대표적인 근거 기반 중재로는 제스처 훈련과 전략 훈련이 있고, 아직까지 근거는 부족하나 가상현실이나 거울을 이용한 중재도 실행증 치료에 도입되고 있다. 최근 작업치료의 인지재활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기능적 인지 개념을 이용한 중재 역시 실행증의 치료로 적용할 수 있다. 기능적 인지 중재로는 작업수행기반의 실행증 평가와 과제/습관 훈련, 전략 훈련, 보호자 교육 및 활동/환경 수정과 같은 간접 중재 등이 있다. 결론: 실행증은 의도적인 움직임을 수행하려고 할 때 어려움을 유발하여 클라이언트의 기능적 활동 수행능력을 저하시킨다. 이에 실행증이 있는 클라이언트의 개별 중상에 맞춘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정보는 실행증에 대한 근거 기반 작업치료 시행에 의미있게 사용되길 기대한다. Purpose: Apraxia is a target of occupational therapy because it negatively affects a person ability and independence in performing basic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person’s social participation. We aimed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related to apraxia to effectively provide occupa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apraxia. Subjects: Diagnosis of apraxia involves evaluation through clinical observation, such as the ability to pantomime, imitate, and complete multi-step tasks, and standardized evaluation tools, such as the Test of Upper Limb Apraxia (TULIA) and the Apraxia Screen of TULIA (AST).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apraxia include gesture and strategy training. Although evidence is still lacking, interventions using virtual reality or mirrors are also being introduced to treat apraxia. Interventions based on functional cognition concepts can also be applied to the treatment of apraxia. Functional cognitive interventions include tasks/habits and strategies and indirect interventions. Conclusion: Apraxia can cause difficulties when attempting to perform intentional movements, thereby reducing a participant's ability to perform functional activities. Accordingly, implementing pat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tailored to the special needs of patients with apraxia is necessary.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for the implementation of 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apraxia.

      • KCI등재

        한국판 건강문해력 측정도구(HLS-EU-Q47) 개발 및 노인 대상 적용

        한희원(Han, Hee-Won),박성지(Park, Sung-Ji),강지숙(Kang, Ji Sook),문경숙(Moon, Kyoung-Suk),김지희(Kim, JI HEE),황종남(Hwang, Jongnam),오종묵(Oh, Jongmuk),우희순(Woo, Hee-Soo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4

        목적 : 건강정보에 대한 이해․적용․판단․접근에 기반한 건강문해력의 개념을 다루고 있는HLS-EU-Q47의 한국판을 개발하고, 노인들을 대상으로 본 도구를 적용하여 국내 노인들의 포괄적인건강문해력 수준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HLS-EU-Q47의 번안 과정을 거쳐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문항을 확정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Korean–HLS-EU-Q47(K-HLS-EU-Q47)을 지역사회 노인 254명을 대상으로 내적일치도 및 신뢰도 분석과 일반적 변인에 따른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노인들을 대상으로한 본 도구의 내적일치도는 Cronbach s α .81∼.91로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교 성별과 연령에 따른 건강문해력의 차이를 보였는데, 남성이 여성에비해 건강문해력이 높았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건강문해력의 저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노인의 포괄적인 건강문해력 수준을 확인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K-HLS-EU-Q47을 소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한 노인들의 건강문해력 수준의 이해를 통하여노인들이 보다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들의 모색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HLS-EU-Q47 that deals with the concept of health literacy based on the understanding, apply/use, process/appraisal, and access/obtain to health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level of comprehensive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in Korea using this tool. Methods : After going through the Korean interpretation process of HLS-EU-Q47, the items were confirmed through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by experts. The completed Korean–HLS-EU-Q47 (K-HLS-EU-Q47) was applied to 254 elderly people in the local community to analyze the degree of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Furthermore,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general variables was conducted. Results :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is tool for the elderly yielded Cronbach s α of .81~.91, indicating a high level of reliability. There was a difference in health literacy according to sex and age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Men had higher health literacy than women, and with increasing age, health literacy decreased.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K-HLS-EU-Q47 was developed to assess the comprehensive health literacy level of the elderly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 search for ways to maintain a healthier life for the elderly through understanding the health literacy levels of the elderly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come more active.

      • KCI등재

        행동관찰 기반 치매 식이 평가 도구의 한국판 개발

        서상민(Seo, Sang-Min),우희순(Woo, Hee-Soo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1

        목적 : 본 연구는 치매로 인한 이상행동으로 인하여 음식물의 섭취에 영향을 보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행동관찰에 기반하여 식이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국외의 체계화된 평가 도구들을 소개하고, 전문가 집단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한국화 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 : 폭넓은 관련 문헌 검색에 기초한 수차례의 회의를 통하여 최종으로 한국판으로 개발할 평가 도구 3종(Eating Behavior Scale; EBS, Edinburgh Feeding Evaluation in Dementia Scale; EdFED, Feeding Difficulty Index; FDI)을 선택하였다. 수정된 평가 도구 3종은 연구진들에 의하여 1차 번역되었으며, 9인으로 구성된 전문가팀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검증 하였다. 결과 : EBS 내용타당도 산출 결과 6개의 질문 항목 및 1개의 응답 항목 모두에서 CVI가 0.9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항목의 수정 없이 모든 항목을 한국판 EBS에 수록하였다. EdFED 내용타당도 산출 결과 11개의 질문 항목 모두에서 CVI값 0.9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항목의 수정 없이 모든 항목을 한국판 EdFED에수록하였다. FDI의 내용타당도 산출 결과 19개의 질문 항목 모두에서 CVI값 0.8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항목의 수정 없이 모든 항목을 한국판 FDI에 수록하였다. 결론 : 국외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치매 환자 대상의 행동 관찰기반 식이 평가도구 인 EBS, EdFED, FDI의 한국판을 개발하였다. 관찰기반의 한국판 평가 도구를 통하여 치매 환자들의 식이 관련 문제점들을 조기에 판단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은 환자의 영양섭취 강화와 보호자의 부담 저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introduces domestic and overseas systematic assessment tools that can identify eating problems of dementia patients based on abnormal behavior observations and turns them into Korean through the verification of content placement by expert groups. Methods : Three types of assessment tools were selected for final development in Korean version through several meetings based on a wide range of relevant literature searches. The 3 selected assessment tools were first translated by the researchers, and a 9-person expert team was use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Index. Results : The EBS content equivalence calculation shows that all 6 questions and 1 response item had a CVI value 0.9, and all items were included in Korean EBS without modification. The EdFED content equivalence calculation showed that all 11 questions had CVI value 0.9, which was included in the Korean edition of EdFED without modification. The content equivalence calculation of the FDI showed that all 19 questions had a CVI of 0.8 or higher, and all items were included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FDI without modification of the item. Conclusion : Korean versions of the EBS, EdFED and FDI, which are based on behavioral observation and diet tools for people with dementia, have been developed. Early determination of problems related to diet in dementia patients and providing proper intervention through observational Korean version assessment tools is vital in terms of strengthening patient nutrition and reducing caregivers burden.

      • KCI등재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낙상예방 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장기연(Ki-Yeon Chang),우희순(Hee-Soon Woo)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3

        지역사회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노인들의 낙상 예방을 위한 작업치료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립보행이 가능하고 균형에 영향을 주는 약물 복용을 하지 않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험군 13명, 대조군 13명으로 분류하여 낙상 예방을 위한 교육과 운동을 병행한 6주 간의 작업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균형 능력 평가는 Berg 균형척도와 Tetrax 낙상지수가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Berg 균형척도는 6주간의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48.38에서 50.69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p=.017). 실험군의 Tetrax 낙상지수 또한 6주간의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46.77에서 35.54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나타내었다(p=.000).대조군의 Berg 균형척도와 Tetrax 낙상지수는 모두에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낙상예방 교육과 운동을 병행한 낙상예방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6주 간의 적용이 노인의 균형 능력증진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았으며, 추후 낙상 예방 교육의 효과만을 다룬 연구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effectiveness of fall-preventive occupational therapy of elderly by clarifying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therapy applied to female elderly in the community upon balance ability. A 6-week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including both training and exercise for prevention of fall down was applied by dividing into 13 persons of experimental group and 13 persons of control group for female elderly aged more than 65 years who were capable of independence gait and have not taken any drug to adversely affect balance. For balance ability assessment, the Berg balance scale and the Tetrax fall index were used. The Berg balance scale in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to be 48.38 to 50.69 through the 6-week program, indicating changes in significance level(p=.017). The Tetrax fall index in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to be 46.77 to 35.54 through the 6-week program(p=.000). Changes in significance level were not found for both the Berg balance scale and the Tetrax fall index in control group. As see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6-week application of the fall-preventiv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including fall prevention training and exercise was effective for promotion of elderly's balance ability, and further studies just on the effect of fall prevention training are required to be made.

      • KCI등재후보

        재활의료기관 시범사업에서의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일상생활훈련 개선방안

        송영진(Song, Young-Jin),우희순(Woo, Hee-Soo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8 재활치료과학 Vol.7 No.3

        목적 : ‘재활의료기관 지정운영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기관 내 작업치료사 및 환자들에 대한 설 문을 통하여, 시범사업 안에서의 작업치료가 환자들의 가정 및 사회로의 복귀를 위한 적절한 지원 체계를 확립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시범사업을 운영 중인 전국 13개 기관의 작업치료사 293명, 환자군의 응답을 허가한 8개 기관 의 환자 296명의 응답지를 대상으로 설문분석 하였다. 치료사용 설문에는 일상생활활동 관련 평가 도구 및 적용하는 중재에 관한 항목들로 구성되었으며, 환자용 설문에는 퇴원 후 직업복귀 여부 및 이를 위한 희망 중재 활동을 묻는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 ‘재활운영 지정운영 시범사업’이 환자들의 빠른 사회복귀를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음에도 이를 위한 가장 중요한 수가이며 치료적 목표인 일상생활활동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의료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건강보험 수가를 본 시범 사업에서도 그대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적인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및 직업재활을 위한 평가 및 중재의 기반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시범사업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대상자들의 조기 사회복귀를 통한 삶의 질 향상과 불 필요한 사회적 지출 감소를 위한 실제적인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Questionnaires complet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and patients in institutions conducting a “Pilot Project of Rehabilitation Medical Institutions”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occupational therapy was able to establish appropriate patient support systems for return to home and community. Methods :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93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13 institutions conducting pilot projects and 296 patients from 8 institutions who were able to respond. Results : Although the Pilot Project of Rehabilitation Medical Institutions is being implemented to enable early return of patients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most important therapeutic goal is not efficiently applied. In addition, since the health insurance systems utilized in medical institutions are applied as in the pilot project, there is no basis for evaluation and mediation of practical daily activiti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actual return to the community. Conclusion : Through a detailed review of the pilot project,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early return of patients to social activity, and to make practical improvements to reduce unnecessary societal expenditures.

      • KCI등재후보

        보건소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연하재활 실태 조사 : 인식, 참여, 교육을 중심으로

        민경철(Min, Kyoung Chul),김은희(Kim, Eun-hee),우희순(Woo, Hee-soon)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3 No.1

        목적 : 본 연구는 보건소 근무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연하재활치료 관련 실태 및 현황을 확인하여 지역사회 연하재활에서의 작업치료사의 역할 및 관련 업무 시행을 위한 기초적인 근거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내 보건소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해 배포 후 응답한 설문지를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 연하재활 시행 및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높게 나타났다. 보건소 내 지역사회 연하재활담당자는 작업치료사가 가장 많았으며, 주요 목표는 연하재활치료 관련 교육, 보호자 교육, 식이관리 등이었다. 대상은 성인 뇌신경 질환, 근육질환, 파킨슨병, 노인, 치매 순이었고, 소아 뇌신경질환 대상자도 포함되어 있었다. 대상자의 인식, 기관장의 이해도, 작업치료사의 인식 저하, 다양한 업무 참여로 인한 추가프로그램 운영 역량 부족 등의 이유로 지역사회 연하재활 서비스 참여 수준과 앞으로의 참여 계획은 낮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사회 작업치료 분야에서 연하재활은 매우 필요한 분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적극적인 시행과 참여가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이에 노인, 치매, 만성질환 등 다양한 대상에게 전문적이고 포괄적인 지역사회 중심 재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역사회 연하재활치료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사회 내 다양한 전문 업무 참여를 위한 교육 및 질 관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community-based dysphagia therapy at a public health center. Methods : Seventy-seven questionnaires from a nationwide public health center were analyzed. Knowledge about community-based dysphagia therapy and status was anla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ducation and the implementation about community-based dysphagia therapy were high. Occupational therapists are a major component of dysphagia therapy in public health centers. The major goals of dysphagia therapy were education, diet control, oral control, and referral to another institution. Clients had adult neurologic disease, Parkinson’s disease, dementia, frail elderly and pediatric neurologic diseases. Participation and planning in community-based dysphagia therapy was low because of low awareness among clients, heads and superiors, and a lack of extra time for new programs. Conclusion : The status of community-based dysphagia therapy was assessed in this study. Active participation was low for various reasons even though it is a very important area in community-based OT. To provide professional comprehensive community-based dysphagia therapy, additional efforts to increase the awareness and quality of community-based dysphagia therapy are needed.

      • KCI등재후보

        보건소 근무 작업치료사의 지역사회 관련 교육 및 지식 수준 조사

        민경철(Min, Kyoung Chul),김은희(Kim, Eun-hee),우희순(Woo, Hee-soon)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3 No.2

        목적 : 보건소에 근무하는 지역사회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작업치료 관련 교육 이수 현황 및 지식 보유 수준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역사회 작업치료 관련 업무 수행을 위한 질 향상과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보건소 근무 작업치료사들의 교육 및 지식 수준과 전문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체 개발한 설문지를 전국의 보건소 소속 작업치료사들에게 이메일을 통해 배포하였으며, 최종 77부의 설문지를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 응답자들은 지역사회 작업치료 수행에 있어 지속적 교육과 근거중심 치료가 중요하다고 하였으나, 학부 교육을 포함한 관련 교육의 기회가 적다고 응답하였다. 지역사회 작업치료를 위한 전문가적 자질인 자문, 교육, 상담, 지역사회 자원 활용 등에 대한 추가적인 심화교육 과정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보건소 근무 작업치료사들의 지역사회 작업치료 관련 교육과 지식 수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였다. 응답자들은 지역사회 작업치료 영역에서 학교에서의 기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변화되는 지역사회 환경에 맞는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질 유지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더불어 지역사회 전문가적 자질에 대한 심화 교육의 요구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지역사회 작업치료사들의 요구도를 반영한 전문적이고 심화된 다양한 교육과정이 개발되기를 바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related knowledge and education level regarding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and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quality and developing related education programs. Methods : A total of 77 e-mailed responses from community-based OTs were analyzed. Results : Respondents believed that continuing advanced education and evidence-based treatment is very important. The chance of receiving education (including college) was not enough. Additional advanced education on counseling, education, consultation, and the use of community resources is essential. Conclusion : The status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related knowledge and education level was identified. Additional advanced education based on basic college education is needed to keep track of current changing situations and environments. In particular, education on professional expertise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is important.

      • KCI등재

        구강운동촉진기술: 1 부-이론적 배경과 기초 요소

        민경철(Min, Kyoung Chul),서상민(Seo, Sang Min),우희순(Woo, Hee-soo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1

        서론 : 구강 운동 기능은 태아기에서 유년기 발달로 이어지는 감각 탐색, 음식 섭취, 의사소통 표현의 기초가 되는 기능이다. 구강 운동 기능에 문제가 발행하면, 구강 내 음식 처리 어려움, 삼킴 및 섭식기능 저하, 의사소통 기능 감소, 구강 위생 능력 저하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 치료를 위한 구강운동 치료는 구강 내 감각 정상화, 자세 조절, 구강 움직임 증진, 구강 운동 기능 향상을 목표로 제공되는 치료법이다. 본론 : 구강운동촉진기술(OMFT)은 1) 구강 및 안면 근육계의 해부생리학적 이해; 2) 감각·적응·행동·인지의 통합적 접근; 3) 도수적 접근을 통한 감각 및 운동 자극; 4) 운동 조절과 운동 학습 이론에 기초한 구강운동의 4가지 주요 특징을 바탕으로 전반적이고 통합적인 구강 기능 증진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OMFT는 근거 중심의 새로운 치료 프로토콜로써 아동 및 성인, 신경계 및 근골격계의 구강 기능에 문제를 보이는 모든 이들에게 적용이 가능한 치료 기법이다. 결론 : 본 논문은 OMFT의 개발에 따른 이론적 배경 및 OMFT의 실제적 적용에 따른 기초 요소를 소개하는 것이 목표로, 본 논문을 통해 임상 전문가들이 정확한 이론적 배경과 치료법을 바탕으로 대상자에 맞는 전문적인 치료 제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Introduction : Oral motor function is basic function of sensory exploration, feeding, and communication, that develops from the fetal stage to childhood. Problems with oral motor function result in difficulty within handling food in the oral cavity, decreased swallowing and feeding skills, difficulty with communication, and problems with oral hygiene. To treat these symptoms, oral motor therapy is provided for normalizing sensory adaptation in the oral cavity, and increasing postural control, oral movement and oral motor function. Discussion : The 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 was developed for increasing general and integrated oral motor function based on the following: 1) understanding orofacial muscular physiology; 2) a comprehensive approach to sensory·adaptation·behavior·cognition; 3) sensorimotor stimulation by a manual approach; 4) motor control and motor learning theory. The OMFT is a new evidence-based treatment protocol, for children and adults with neuromuscular and oral motor problems. Conclusion :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OMFT development and the basic concept for the clinical application of OMFT. We hope that this article will help oral motor therapy experts to provide effective therapy in a more professional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