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도체 레이저의 Side-band Injection-Locking을 이용한 광학적 60 GHz 신호 생성

        유혜승,서영광,최우영,Ryu, Hye-Seung,Seo, Young-Kwang,Choi, Woo-Young 한국광학회 2003 한국광학회지 Vol.14 No.2

        Master laser(ML)의 직접 변조로 생성된 여러 개의 side-bands 중 두 개의 target band게 두 개의 Slave laser(SL)가 각각 lock이 되도록 하는 side-band injection-locking 방법을 이용하여 광학적 60㎓의 밀리미터파 신호를 구현하였다 ML에 lock이 된 두 SL의 output들은 photo detection시 서로 beating하여 안정적이고 매우 깨끗한 60㎓ 신호를 생성하였다. Optical 60 ㎓ millimeter-wave (MMW) signal generation is demonstrated using the sideband injection-locking method in the master/slave configuration, where two slave lasers are locked to two among several side-bands produced by the direct rf-modulation of a master laser. These two locked slave laser outputs beat against each other in the photo-detector and produce stable and very pure 60 ㎓ signals.

      • KCI등재

        마인풀니스 및 자기통제력과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

        유혜승,김병석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self-control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 survey, with criteria including mindfulness and self-control, was conducted at four 4-year colleges, located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rea, with 347 students. In order to support the authors thesis, the influence between academic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controlled statistically. Mindfulness and self-control (impulsiveness, simple task, pursuit for adventure, egocentrism, and anger) were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academically, socially, personally, environmentally) was the dependent variable. To obtain R square and the relative importance, it was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18.0 program. First of all,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c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fter statistically controlling the effects of academic satisfaction and academic adaptation, it was seen that students adapted better academically,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as mindfulness was higher, even after the factors of self-control were later put in effec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However, there was no noticeable effect on personal adaptation to college life even after the factors of self-control were put into effec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Secondly,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adaptation to college was scrutinized, self-control still thoroughly explained the adaptation even after influence from other factors (academic satisfac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mindfulness) were statistically controlled. Thirdly, the study looked 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ubfactors of mindfulness and self-control on adaptation to college. For adapting academically, explanatory power of mindfulness was higher than that of self-control and for adapting socially and personally and environmentally, explanatory power of self-control was higher than that of mindful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s that mindfulness, the cognitive ability to flexibly think of and continuously search for alternative possibilities, and self-control, as the personal inner-psychological variable, together have positive effects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Lastly, the limitations and the succeeding research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활적응을 돕는 변인으로 마인풀니스(mindfulness)와 자기통제력과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충청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 4개 학교 347명의 대학생들에게 개인관점척도, 자기통제력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학과만족도와 학업성적의 영향을 통계적으로 통제한 후 마인풀니스와 자기통제력(충동성, 단순과제, 모험추구, 신체활동, 자기중심, 화기질)을 독립변인으로, 대학생활적응(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을 종속변인으로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설명력과 상대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마인풀니스와 대학생활적응과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만족도, 학업성적에 대한 효과를 통계적으로 통제한 후 추가적으로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투입한 후에도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응, 사회적응, 대학환경적응에서는 마인풀니스가 높을수록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정서적응에 대해서는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자기통제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는 학과만족도, 학업성적, 마인풀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대하여 갖는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통제한 후에도 자기통제력은 대학생활적응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인풀니스와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설명력을 살펴보았다. 학업적응에서는 마인풀니스의 설명력이 자기통제력의 설명력보다 높았고,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에서는 자기통제력의 설명력이 마인풀니스의 설명력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융통성있게 대안적인 가능성을 생각하며 끊임없이 탐색해가는 인지적 능력인 마인풀니스가 개인의 심리내적인 변인으로서 자기통제력과 함께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의식과 성취동기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유혜승(柳慧承),신명희(申明熙)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발표불안과 관련한 개인적 특성에 초점을 두어, 인지적 특성인 자의식과 정의적 특성인 성취동기가 발표불안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그 상호관계를 분석하고 자의식이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취동기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총 272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의식은 발표불안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이며, 발표불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동기는 발표불안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이며, 발표불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표불안을 예측하는 데 있어 성취동기는 자의식에 비해 대학생의 발표불안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의식이 발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취동기는 조절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발표불안을 예측하는 변인으로서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성취동기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consciousness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college students" speech anxiety,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peech anxiety. To achieve the purpose,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300 college students and 272 respons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in several steps using SPSS 18.0: descriptiv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consciousness was a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speech anxiety.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verall self-consciousness and speech anxiety. Second, achievement motivation was a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speech anxiety.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and speech anxiety. Third, the influence of achievement motivation was greater than the influence of self-consciousness on speech anxiety. Fourth,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speech anxiety.

      • KCI등재

        토레다비드를 통해 바라본 사회적 공간 생산요소의 특성 연구 -앙리르페브르의 공간론을 중심으로-

        유혜승 ( You Hyeseung ),윤재은 ( Yoon Jea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기능과 용도를 잃어 노후화되고 방치된 도시의 유휴공간들은 사회의 자본만을 추구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이러한 사회적 모순을 무차별적 개입을 통한 개발이 아닌 사회적 문제에 대응하며 공간에 에너지를 부여하고 생산 가능성이 있는 방안으로 공간재생 문제에 대하여 해결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앞으로 계속 생산될 사회적 모순에 대해 대응하려면 사회적 모순이 극대화된 해외 건축 사례를 고찰하고 공간에 나타나는 사회 현상을 앙리 르페브르‘공간의 생산’관점으로 분석하여 사회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 공간의 현상을 알아보고 현대 도시 공간의 재생 및 활성화 방법에 대해 이론적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공간에 대한 사회적 이론을 연구하고 토레다비드 안의 비어있는 공간에 사용자들의 참여가 이루어 지면서 형성된 각 공간의 사회성을 도출해낸다. 두 번째로, 공간생산론을 기반으로 공간 건축술에서 나타나는 요소와 특성을 연구하여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토레다비드 공간에서 나타나는 사회성과 공간생산 요소의 도출을 통한 종합적 분석으로 공간에 나타나는 인간의 사회적 역할로 인한 재생 및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여 제시한다. (결과) 토레다비드의 각 공간에서 나타나는 사회성의 요소와 르페브르의 공간생산 이론을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사회참여가 일어나지 않는 공간은 비어있는 공간 자체이며 사용 주체가 없으며 가치를 구현하지 못한다. 따라서 모든 공간에는 사용자 활동으로 인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생산되며 공간에 사회성이 많이 나타날수록 공동체적 응집력을 나타내며 공간을 활성화하려면 사용자의 자발적 참여와 사용자의 필요에 맞는 공간에 대한 유연성과 접근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모든 공간에는 물리적, 정신적, 사람의 실천을 통한 지각적인 요소가 나타나며 물리적 요소와 정신적 요소가 극적으로 나타날 때 비로소 새로운 공간 또는 변화된 공간이 창출될 수 있다. 즉, 공간에 사회적인 개입이 생기면서 공간에 대한 이접성, 모순성이 생기며 모순성에 대한 탈피를 위하여 사용자들은 기존과 다른 새로운 공간을 생산하려는 가능성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공간은 사용자의 행동이 중첩되어 중심적인 장소가 될 수 있고 비어있는 형태를 취한 공간에 새로운 에너지를 부여하는 공간이 생산된다. (결론) 유휴공간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문제에 대응하려면 무차별적인 개입이 아닌 사회적 개입이 선행되어, 사회적 참여와 실천이 결합 된다면 생산적이고 사회적인 요소로서 공동체적 가치를 통한 소통과 응집력으로 사회의 문제를 공간으로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suggests that idle spaces in cities that are now obsolete and neglected due to loss of function and use are spaces formed by seeking only social capital, and that these social contradictions should be addressed by responding to social problems, not by indiscriminate intervention, and by giving energy to the space and solving the problem of space regeneration in ways that are possible for production. In order to respond to the social contradictions that will continue to be produced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analyze the social phenomena that appear in space in the context of Henri Lefebvre 'La production de l’espace' and present theoretical methodologies on how to regenerate and revitalize modern urban spaces. (Method) First, study the social theory of space and derive the sociality of each space formed by social participation in the empty space in Torredavid. Secondly, based on the theory of spatial production,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spatial architecture are studied and derived. Finally, a comprehensive analysis through deriving sociality and spatial production elements appearing in the space of Torredavid suggests a plan for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due to human social role appearing in the space. (Results) According to an analysis based on the social factors that appear in each space of Torredavid and Lefebvre theory of space production, the first is that the space where social participation does not occur is empty space itself, and there is no subject of use and does not realize value. Therefore, every space is produced with a sense of purpose due to user activity, and the more social it appears in the space, the more community cohesion it represents, and in order to activate the space, it must have the user'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flexibility and accessibility to meet the user's needs. Second, all spaces are presented with perceptual elements through physical, mental, and human practice, and only when physical and mental elements appear dramatically can new or changed spaces be created. Thus, social intervention in space creates inconsistency, and the possibility of users producing a new space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in order to break away from the inconsistency. Finally, the new space is a space where the user's behavior overlaps to become a central location and gives new energy to the empty space. (Conclusions) In conclusion, in order to cope with the social problems of idle spaces, social intervention, not indiscriminate intervention, can be preceded, and if social participation and practice are combined, social problems can be solved as spaces through communication and cohesion through community values as a productive and social factor.

      • KCI등재

        부부의 동거여부에 따른 가족건강성 영향변인 탐색

        유혜승(Yu Hyese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적으로 중요해지고 있는 가족건강성이 최근 변화되고 있는 가족형태 중 부부의 동거여부에 따른 가족건강성 영향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2015년에 발표된 여성가족부의 3차 가족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총 2,516명이며. 이 중 동거부부는 2,360명, 분거부부는 156명이다. 연구방법은먼저 동거부부와 분거부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각 요인 간의 상관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동거부부와 분거부부 집단의 가족건강성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거부부의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에서는 성별, 교육수준, 연령, 경제상태, 소득이었으며, 부부관련 변인으로는 의사소통 만족과 부부관계 만족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부부갈등 변인인 부부갈등과 가사 및 육아갈등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녀관련 변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거부부의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서는 성별, 연령, 경제상태, 취업여부, 맞벌이 여부로 나타났으며, 부부관련 변인으로는 부부관계 만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부갈등 변인과 자녀관련 변인은 분거부부의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부의 동거여부에 따른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변인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추후 부부관계향상이나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whether the family Strength impact factor is affected by the cohabitation state of couples, which is a recently changing form of family that has become socially important. The data from the 3rd family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in 2015 was utilized for this study. A total of 2,516 people were analyzed in this study. Of these, 2,360 were cohabitation couples and 156 were separated. The research method first confirmed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couples of both states. The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s. Furthermore, a step-by-step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impact factors of family health in the cohabitating and separated state group. This research’s key analytic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ffecting family health on couples of cohabitation state were identified as gender, education level, age, economic status and income. For marital related variables,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For marital conflict variables, marital conflicts, housework and parenting conflicts were identified to have a negative effect. However, children-related variables were identified to have no effect. Second,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ffecting the family health of separated couples were gender, age, economic status, employment status and dual-income status. For marital related variables,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as ident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other hand, marital conflict variables and children-related variables had no effect to the family health of the separated couples.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onfirms that the cohabitation state of a couple differentiates factors that affects family health and to provide basis information in development of programs aiming to enhance couple relationship status and family health in the future.

      • KCI등재

        난관 불임술에 따른 자궁외 임신 및 자궁내 임신 18예

        유혜승(HS Yoo),안영준(YJ Ahn),이상태(ST Lee),장문기(MK Chang),김창이(CY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3

        저자들은 가톨릭 의대 보속 성 바오로 병원에서 1979년 1월부터 1981년 12월까지 3년간 발생한 난관붙임술기왕력이 있는 환자에서 17예의 자궁외임신과 1예의정상 자궁내 쌍태임신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며 최근 인구증가의 대응책으로 권장되고 있는 난관붙임술이 자궁의임신을 일으킬 수 있는원인이 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난관붙임술은 반드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 시술되어야 하며 또한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실패의 위험성이 내포되므로 시술 후 최소한 2년간의 관찰이 필요함을 주지해야할 것으로 여겨진다. In a consecutive study of 139 women of ectopic pregnancy confirmed by histologic examination from Jan.1,1979 to Dec. 31, 1981, at the Dept. of Obst. and Gynec., St Paul Hospital, Catholic Medical College,17 women were found to have had pre- ⅵous history of tubal sterilization, and intrauterine twin pregnancy occured in one patient. We had reⅵewed the failure cases of tubal sterilization surgery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14 cases of these failure cases the type of tubal sterilization was laparos- copic eletrical coagulation of the tube, in 3cases, was by Falope ring, and one case by Pomeroy procedure. 2. ln our series 7 out of 18 cases could be considered as the failure resulting from recanalization of the tube. The cause of sterilization failure were in order of frequency, recanalization(7 cases), technical error(6 cases),fistula formation(5 ca- ses). ln one intrauterine twin pregnant woman who were delivered by abdomen, the type of sterilization was laparoscopic one and recanalization of the tube was confirmed histologically. 3. Pregnancy after tubal sterilization occured in half of the patients(50%) within 2 years, with the shortest interval beimg 3 month and the longest 69 months. 4. ln all of the cases, the site of tubal sterilization was isthmic portion of the tube and it is significant that in 13 out of 17 ectopic pregnancy was located in the distal tubal segment. The location of ectoplc pregnancy were in order of frequency, 12 patients in the ampullar, 3 patients in the cornual,1 patient in the isthmic por- tion and another patient in the fimbrial portion of the tube. 5. The marked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ancy occuring after a previous sterilization procedure is of particular significance and the percentage of ectopic pregnancy in our study was 12.2%, This suggests that the increasing impor- tance of previous sterilization as an etiologic factor in ectopic pregna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