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탈을 동반한 과립 난포막 세포종 1예

        김창이(CY Kim),황세영(SY Hwang),최진주(JJ Choi),김윤호(YH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7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6 No.1

        자궁탈을 동반한 과립 난포막 세포종 1예 A case of granulosa theca cell tumor combiend with uterine prolapse in a 57 year old postmenopausal woman was presented and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on granulosa theca cell tumor was made.

      • KCI등재

        Steroid 복합체 ( Regulen K - I ) 투여에 의한 월경주기 및 배란 조절

        김승조(SJ Kim),김경태(KT Kim),나종구(Rha CG),정구윤(KY Chung),강성원(SW Kang),김창이(CY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7

        가톨릭의과대학 부속 성모병원 산부인과 내분비크리닉에서 월경장애 환자 31명(불규칙 월경주기의 15예, 희발성 월경의 9예와 무월경의 7예)에게 배란을 억제하지 않고 월경주기를 일정하게 할 수 있으며 오히려 배란을 유발시켜 불임증을 칠료할 목적으로 Regulen K­ I을 고안하여 투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월경장애별로 Regulen K­I 투여시 월경주기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보면 불규칙 월경주기의 15예에서 모두 27∼30일 사이로 월경주기가 정상적으로 복귀하였고 28일 형이 관찰된 25월경주기중 18월경주기(72%)로 가장 많았으며, 희발성 월경과 무월경의 예에서도 25∼45일 일사이로 월경주기가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2. Regulen K­I 투여시 무월경의 2예를 제외한 29예(93.5%)에서 이상성 기초체온곡선을 나타냈다. 3. 배란 추정일을 기초체온곡선의 이상성을 기준으로 Regulen K­I 투여 첫 날부터 조사하여 본 결과 9∼16일 사이였으며, 가장 많은 배란 추정일은 불규칙 월경주기의 예에서는 9∼10일 사이였고, 희발성 월경과 무월경의 예에서는 11∼12일 사이였다. 4. 소퇴성 출혈일을 Regulen K­I 투여가 끝나는 날 부터 조사하여 본 결과 불규칙 월 경주기의 15예에서 모두 5일 이내에 소퇴성출혈을 보였으며 4∼5일 사이가 관찰된 25월 경주기중 17월경주기(68.0%)로 가장 많았다. 희발성 월경주기의 9예는 11일내 모두 소 퇴성 출혈을 보였으며 관찰된 14월경주기중 4∼5일이 7월경주기(42.8%)로 가장 많았고, 무월경의 7예는 모두 15일내에 소퇴성 출혈을 보였으며 관찰된 18월경주기중 6∼7일이 7월경주기(38.8%)로 가장 많았다. 5. Regulen K­I의 투여 환자중 4예에서 혈중 FSH치와 LH치를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여 본 결과 3예에서 배란이 억제되지 않았음을 추측할 수 있었으나 더 확실한 Regulen K­I에 대한 FSH치와 LH치의 반응은 전월경주기중 일일변화 및 일중변화를 측정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Regulen K-I is a combination of drugs arranged for daily intake for over 21 days for the purpose of menstrual cyclic regulation. This is done through, the induction of ovulation, based on the normal physiology of a menstrual cycle. The regulen K-I is composed of 21 capsules; 4 capsules of 0.1 mg premarin, 7 capsules of placebo and 10 capsules of 0.25 mg d-norgestrel combined sith 0.05 mg dthinyl estradiol. This clin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ffect of Regulen K-I upon menstrual disorders. The authors administered Regulen K-I to 31 women who had menstrual disorders. These were 15 cases of irregular menstruation (25 menstrual cycles), 9 cases of oligomenorrhea (14 menstrual cycles) and 7 cases of amenorrhea (18 menstrual cycles).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Regulen K-I, the BBT curve was checked in all the cases. Radioimmunoassay of serum FSH and LH was performed in 4 ca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nstrual intervals in the 15 irregular menstrual cases who received Regulen K-I ranged from 27 days to 30 days, and the most common menstrual interval was 28 days, In the cases of oligomenorrhea the menstrual interval recovered to the range of 25 days to 40 days. In the 7 cases of amenorrhea, menstrual intervals recovered of the range of 25 days to 45 days. 2)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Regulen K-I, biphasic curves of BBT were observed in 29 cases (93.5%). Two cases showed monophasis BBT; one of them was a case of uterine hypoplasia, and the other was a case of female hermaphroditism with virilization. 3) During the administration of Regulen K-I, the suspected ovulaton day was observed between the 9th and 16th day from the beginning of the administration. the most common suspected ovulation day in the cases of irregular menstruation was about the 9th to 10th day and in the cases of oligomenorrhea and amenorrhea about the 11th to 12th day. 4) The most common withdrawal bleeding after completion of Regulen K-I administration appeared in the cases of irregular menstruation and oligomenorrhea on the 4th day to 5th day and in amenorrhea on the 6th to 7th day. 5) Radioimmunoassay of serum FSH and LH showed no evidence of the ovulatory suppression by administration of the Regulen K-I.

      • KCI등재

        과립막세포종의 1례

        김영환(YW Kim),권오석(OS Kwon),김창이(CY Kim),오원섭(WS 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4 No.5

        과립막세포종의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Since Von. Werdt`s original description in 1814, much information on granulosa-theca cell tumor of ovary has been recorded such as a gross and microscopic pathology. Three aspects of this tumor remain to be solved which are the histogenesis, the production of estrogen and their potentiality for malignancy. We reviewed the literatures on the granulosa-theca cell tumor with a case of patient in reproductive age.

      • KCI등재

        산부인과 질환에서의 섬유소 용해효소의 변동

        황순경(SK Whang),김창이(CY Kim),허필형(PH Hur),나종구(Rha CG),이헌영(HY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9

        1) 정상임신부에서 섬유소 용해효소는 비임신부에 비해 임신중에 현저히 증가되나 분만중과 분만후에는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2) 자간증 및 중증 전자간증 환자에서는 플라스미노젠의 전량이 정상임신부에 비해서 임신중, 분만중과 분만후 모두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3) 산후출혈 환자에서는 섬유소 용해효소가 정상분만 산모에 비해서 현저히 낮은 수치 를 보였다. 4) 기능성자궁출혈환자에서는 플라스미노젠의 감소가 현저하였고 2예중 1예에서는 활 성플라스민이 검출되었다. 5) 패혈성 복막염환자에서 섬유소용해효소가 거의 소모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experimental study was planned to detect the changes of fibrinolytic system in the obstetric and gynecological patients. In this strdy, ENZO-DIFFUSION, fibrin plate Test was used to examine the 3 components of fibrimolytic system; available plasmin (fibrinolytic potential), active plasmin (fibrinolysin) and total plasminogen (profibrinolys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normal pregnancy, profibrinolysin was markedly increased in alte pregnancy,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in labor and after delivery. fibrinolysin was not detected and fibrinolytkc potential was normal in level in late pregnancy and labor and after delivery. 2) In pre-eclampsia and eclampsia; Fibrinolytic potential was normal in level and fibrinolysin was not detected in late pregnancy, in labor and after delivery. But profibrinolysin was less than that of normal pregnancy. 3) In patient with postpartum hemorrhage, profibrinolysin was markedly reduced in level compared to normal postpartum woman. But fibrinolytic potential was normal in level and fibrinolysin was not detected. 4) In two patients with 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 although fibrinolytic potentkal was normal in level, profibrinogen was markedly decreased in % activtty and in one of these, fibrinolysin was detected. 5) In a patient given radical hysterectomy for carcinoma of cervix, profibrinolysin was reduced and fibrinolysin was detected on the lst postoperative day. 6) In a patient with hyaline degeneration and suppuration of myoma uteri and panperitonitis profibrinolysin could not be detected pre-and postoperatively, and also, fibrinolytic potential was absent.

      • KCI등재

        고령초산부에 대한 임상통계학적 고찰

        황순경(SK Whang),김창이(CY Kim),전정일(CI Chun),오원섭(WS O),최광영(KY Choi)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12

        가톨릭의대 산하 8개 병원에서 만 5년간에 분만한 35세이상의 고령초산부 204예를 임상적으 로 중요한 항목을 같은 수의 대조군과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생빈도는 0.49%(204예)였으며 지역별 차이는 없엇다. 2. 이상태위가 26%(53예)로 대조군의 약 2배이며 이상두위 18.1%(37예) 와 둔위 6.4%(13예) 였다. 3. 분만방법은 술식분만이 62.7%(128예)로서 30.4%(62예)가 제왕절개분만이었고 27.5%(56예) 가 흡입 분만이었다. 4. 제왕절개분만의 적응증은 아두골반불균형과 협소골반의 33.8%(21예)와 선택적 수술의 33.8%(21예)가 가장 많았고 태아가사상태가 19.5%였으며 임신중독증이 8.1%(5예)이었다. 5. 신생아 체중은 평균 3061gm으로 대조군보다 125gm정도 적으며 조산아는 8.7%(18예)를 보였다. 6. 주산기 사망률은 4.9%(10예)로 대조군의 2.9%(6예)보다 높았으며 원인으로는 조산아가 가 장 많았다. 7. 선천성 기형은 1.9%(4예)로 대조군의 0.9%(2예)보다 높앗다. 8. 산전 모성합병증은 대조군에 비하여 약 3배가 많았고 임신중독증, 자궁기증부전, 아두골 반불균형의 순이며, 산후 모성 합병증은 약 2배가 많앗고 경관열상, 산욕열, 산후출혈 및 요 도감염의 순이었다. In this study 204 cases of elderly primiparae among 41272 parturient seen at the Dept. of Obsterics and Gyunecology eight Hospital including. st Mary`s Hospital affiliated catholic medical college from January 1. 1970 to December 31. 1974 were clinically observed and statistically reveiw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umber of elderly primiparae was consisted of 204 cases among 41272 parturient. Its incidence was 0.49%. 2. Malpresentation was showed in 26.0% among them the most common type was abnormal vertex and breech presentation. 3. In mode of delivery, operative delivery rate was 62.7% including cesarean section (30.4%) 4. In the view of the indication for cesarean section elective cesarean section was the most common (33.8%) other indications were CPD (29.0%) fetal distress (19.5%) and toxemia (8.1%) in order 5. The average birth weight of infant was 3061 gm and 8.7% of prematurity was encountered. 6.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4.9% 7. congenital fetal anomalies were seen in 1.9% 8. Antepartum complications were 3 times and postpartum complications were twice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e former was the pre-eclampsia uterine dystocia and CPD etc., and the latter was the laceration puerperal fever and urinary infection etc.

      • KCI등재

        임신중 기형종의 복강내 파열 1례

        이충훈(CH Lee),김태응(TE Kim),김진우(JW Kim),배석년(SN Bae),김창이(CY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7 No.10

        저자들은 비교적 희귀한, 임신중에 동반된 기형종 파열 1례를 경험하였기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case of intraperitoneal rupture of benign cystic teratoma during pregnancy is one of the most unusual and tragic accident in obstetrics. Little has been done to improve the diagnosis of this condition, which presents high risk to the mother. Authors present a case of it,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available.

      • KCI등재

        포상기태 임신시 혈청내 Progesterone Estradiol-17B 및 Prolactin 값의 관찰

        이명우(MW Lee),박혜동(HD Park),김창이(CY Kim),정구윤(KY Chung),송승규(SK Song),이헌영(HY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2

        포상기태 임신시의 병태생리중 호르몬분비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1978년 6월부터 1979 년 12월까지 가톨릭의대 부속성모병원 산부인과에 입원치료한 무월경 10-20주의 포상기태 환자 25예의 혈중 Progesterone, Estradiol-17B and Prolactin을 측정하여 정상임신군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임부의 혈중 Progesterone, Estradiol-17B and Prolactin 농도는 임신주수에 따라 증가 하였으나, 포상기태군에서는 임신주수와 무관하게 불규칙하였다. 2. 태반조직의 완전 포상기태화 16예의 혈중 Progesterone, Estradiol-17B and Prolactin 은 정 상 임신군보다 높았고, 불완전 포상기태화 9예에서는 정상임신군보다 낮았다. 3. 포막황체낭종을 가진 예에서는 혈중 Progesterone, Estradiol-17B and Prolactin 의 농도는 낭종을 안가진군보다 모두 높았다 4. 요중 hCG가 높은 예들은 낮았던 예들보다 혈중 Progesterone, Estradiol-17B and Prolactin 의 농도가 높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포상기태 환자의 혈정 Progesterone 및 Estrogen의 증가는 포상기태 화 하지 않은 일반 태반의 존재여부, 포막황제낭종의 동반 여부 및 요중 hCG값의 인자와 밀접한 인과관계가 있으며, prolactin은 이들 증가된 호르몬의 자극으로 분비 증가된 것으로 추측된다. Serum Progesterone, Estradiol-17B and Prolactin level in the patients of Hydatidiform Moles registered at Trophoblastic Disease Clinic in Catholic Medical Center from June, 1978 to December, 1979 were measured by radioimmunossay serum Progesterone, Estradiol-17B and Prolactin during the clinical course of 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erum Progesterone, Estradiol-17B and Prolactin levels in normal pregnancie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to increasing gestational weeks. But those of hydatidiform moles revealed irregular levels during the experiment. 2. Serum Progesterone, Estradiol-17B and Prolactin levels were higher in the group of `complete` molar change of placenta and lower in the group of `incomplete` molar change of placenta than normal control. 3. Serum Progesterone, Estradiol-17B and Prolactin levels in the patients of hydatidiform moles with theca lutein cyst were higher than in those without theca luteiin cysts. 4. Serum Progesterone, Estradiol-17B and Prolactin levels of hydatidiform moles with high 24 hours-urinary hCG titer were higher than those with low 24 hours-urinary hCG titer. considering abov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erum Progesterone, Estradiol-17B in hydatidiform mole may be influenced by the degree of molar change of placenta, theca lutein cyst, and 24 hours-urinary hCG titer and the prolactin levels were supposed to b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change of those hormones.

      • KCI등재

        포상기태 제거후 혈중 B-hCG값의 감소양상과 예후인자들

        이태순(TS Lee),송기창(KC Song),김창이(CY Kim),배석년(SN Bae),정재근(JK Jung),김대훈(DH Kim),김승조(S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0

        가톨릭의과대학 부설 융모성질환 연구소에 등록된 포상기태 환자 275예를 대상으로 혈중 B-hCG 경쾌기간에 따라 포상기태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는 인자들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연령의 증가에 따라 혈중 B-hCG 경쾌기간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는 없었다. 2. 기왕분만 횟수가 증가할수록 혈중 B-hCG 경쾌기간은 유의하게 길어졌다. 3. 부분 포상기태에서는 혈정 B-hCG 경쾌기간이 짧은 반면에 재발성 포상기태에서는 혈중 B-hCG 경쾌기간이 길었다. 4. 임신주수에 비하여 자궁의 크기가 클수록 혈중 B-hCG 경쾌기간은 길었다. 5. 포상기태 제거전 뇨중 hCG값이 높을수록 혈중 B-hCG 경쾌기간은 길었다. 6. 혈중 B-hCG 경쾌기간이 긴 경우에 존속성 융모성 빈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론으로 보아 혈중 B-hCG 경쾌기간이 길어질수록 예후가 나빴으며 고위험군에 대한 조기 화학요법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1. There appeared to be a tendency of increase is regressin period according to age,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2. Regression period became prolonged with increased number of parity 3. There was an incarese in regression period in complete mole group and a sincindence increase in regression period in recurrent mole group when compared with that of partial mole group . 4. In relation of uterine size to gestatinal months there was significantly increase in regression period in large for dates group when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and small for dates group 5. There was significantly increase in regression period in the higher initial hCG titer group than the lower group 6. frequency of persistnat gestational trophoblastic tumor was higher with those who showed prologed B-hCG regression period.

      • KCI등재

        자궁경부에 발생한 Behcet 증후군 1예

        배석년(SN Bae),김열회(YH Kim),유영옥(YO Yoo),김창이(CY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8

        Behcet disease는 다양한 임상증상과 특이한 검사소견이 없으므로 초기에 정확한 진단을 하는 것이 쉽지 않고, 이번 증례에서 보듯이 환자는 임상증상이 나타나는 부위에 따라 임상각과를 순회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된다. 따라서 이 증후군은 어떤 한 부위만을 중점적으로 볼 것이 아니고, 전신적인 질환으로써 진단하고 치료해야 할 것이다. 본 증례는 자궁경부에 커다란 궤양이 단일적으로 나타난 예로써 여타의 질환과 구별이 어려웠으므로 이를 보고하고 아울러 간단한 문헌을 고찰 보완하였다. Behcets syndrome has been originally recognized by a diagnostic triad of the recurrent ulceration of the mouth and ulceration in the genital region and inflammatory ocular lesion. But now, the spectrum of entity appears to be a systemic disease involving many other organs. We report a case of Behcets disease with aphthous stomatitis, cervical ulceration, polyarthralgia and ocular inflammatory lesions and review the literatures as well.

      • KCI등재

        융모성질환에서 초회화학요법후 b-hCG변화에 따른 예후 관찰

        황인수(IS Hwang),김진홍(CH Kim),강병철(BC Kang),이진우(JW Lee),김창이(CY Kim),김수평(SP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7 No.14

        저자들은 1973년 1월부터 1983년 10월까지 가톨릭중앙의료원의 융모성질환연구소에 융모성질환으로 등록되어 화학요법을 받은 484에의 환자들 중 본 연구소의 예를 대상으로 시행한 역행성조사를 통해, 치료전 b-hCG의 기초수준값이 초회화학요법치료후 1 log.이하로 감소한 경우를 "양호" b-hCG의 기초수준값이 초회화학요법후 뚜렷한 감소는 있으나 1 log. 이하로 감소가 되지 않은 경우를 "보통" b-hCG의 기초수준값이 초회화학요법후 변화가 없거나 증가한 경우를 "불량"한 반응군으로 분류하여 이러한 종양의 반응이 화학요법의 횟수와 기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융모성질환의 기별 분류에 따른 초회화학요법후 종양의 반응은 융모성질환 제 I기군의 "양호"와 "보통 반응군의 백분율이 각각 38.8%와 37.1%, 융모성질환 제 II기군. "보통"과 "불량"한 반응군의 백분율이 각각 50.0%와 30.2%를 보여 융모성질환 제 I기군의 반응이 가장 좋았다. 2. 융모성질환의 각기별 위험군의 분류에 따른 초회화학요법후의 반응은 융모성질환 제 I기군의 저위험군과 중등도 위험군에서 "양호"와 "보통"반응군의 백분율이 가장 높았고 제 III기군에서는 각 위험군에서 모두 "보통"과 "불량"한 반응군의 백분율이 높았음을 보였다. 3. 융모성질환의 각 기별 초회화학요법후 종양의 반응에 따른 경쾌수준까지의 화학요법의 평균 회수는 융모성질환 제 I기군의 "양호"한 반응군이 3.58+-1.34회였으며, 융모성질환 제 III기군의 "불량"한 반응군은 7,75+-2.27회였다. 4. 융모성질환의 각 기별 최회화학요법후 종양의 반응에 따른 경쾌수준까지의 화학요법의 평균기간은 융모성질환 제 I기군의 "양호"한 반응군이 8.58+-3.74주였고, 융모성질환 제 III기군의 "불량"한 반응군은 23.06+-7.80주를 보였다. 5. 융모성질환의 위험군의 분류에 의한 초회화학요법후 종양의 반응에 따른 화학요법의 평균횟수는 융모성질환 제 I기에서는 위험군에 따라 변화가 없었으나, 융모성질환 제 II기와 제 III기에서는 저위험군에서 고위험군으로 될수록 화학요법의 평균횟수가 증가하였다. 6. 융모성질환의 위험군의 분류에 의한 초회화학요법후 종양의 반응에 따른 화학요법의 평균기간은 융모성질환 제 I기군과 제 II기군은 중등도의 위험군까지는 위험군에 따라 치료기간이 길어지지 않았으나, 융모성 질환 제 II기군의 고위험군에서부터 융모성질환 제 III기군에서는 고위험군으로 될수록 화학요법에 평균기간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융모성질환의 치료와 예후는 초회화학요법후 b-hCG의 측정값의 변화에 크게 좌우되며, 융모성질환의 치료전에 본 질환의 기별분류와 예후접수에 따른 위험군의 분류를 철저히 시행하여 적절한 화학요법제를 선택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attempt to evaluate the effect of tumor response on the outcome of trophoblastic disease after initial chemotherapy, we studied on the subjects of 336 patients registered at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Trophoblastic Disease in Catholic Medical College from January, 1973 to October, 1983. We measured tumor markder, hCG b-subunit values, by using RIA and observed changes of hCg b-subunit values after initial chemotherapy according to the stage and risk group of each stage. We also observed the effects of the changing grade on outcome until remission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tumor response after initial chemotherapy was good in stage I compared to stage III. However, there was no such relationship among other stages and risk groups of each stage. 2. In all stages of the cases of good tumor response after initial chemotherapy, the number of courses until remission was and period of treatment was also short. 3. In all risk groups of the cases of good tumor response after initial chemotherapy, the number of courses until remission was less than the bad cases and period of treatment was shor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