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여성 하위주체 초옥(楚玉)의 정(貞)의 재전유와 그 의미

        유해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2 고전과 해석 Vol.37 No.-

        본 글은 초옥이란 모순적 인물의 통합적 이해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재전유의 관점에서 인물의 모순적 행위를 분석했다. 먼저 貞이라는 관념의 다양한 용례를 고찰하고, 어떤 맥락에서 간통과 접합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초옥이 전유한 貞의 의미를 명확히 했다. 초옥은 貞이란 관념을 貞節이라는 육체적 순결을 의미하는 고정적 개념이 아닌, 올바름이라는 추상적 가치 판단의 의미로 전유했다. 그리고 올바름의 貞을 志와 行을 분리시켜 논의함으로써 간통이 곧 貞行이라는 모순된 논리를 만들어 냈다. 따라서 초옥의 전유는 정절 이데올로기의 해체가 아닌, 志와 行이 하나로 결합해 당위적 가치로 제시되던 기존 관념들에 대해 회의할 수 있는 틈을 만들었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다음으론 재전유의 단계를 살폈다. 초옥은 志 중심으로 貞의 의미를 변경하여 재전유의 단계로 나아갔다. 초옥이 새롭게 정의한 貞은 곧 知己 관계였다. 知己 관계는 信義를 바탕으로 한 수평적 관계로 신분과 젠더의 구분으로 이루어진 유가 윤리 체제에 대한 강한 정복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貞을 知己로 재의미화한 초옥의 재전유는 기존 체제의 전복으로 이어질 것이라 기대됐다. 그러나 초옥의 재전유는 미천한 처지의 하층여성과 구별되는 특별한 존재임을 증명하고자 하는 ‘구별 짓기’의 욕망의 개입되면서 관념과 실상이 분리된 채 진행됐다. 그 결과 초옥의 재전유는 知己와의 마음 교류가 아닌 구별 짓기의 욕망을 해소할 수 있는 문장의 교류로 구성되며 관념 층위에 내포된 전복성을 모두 상실해 버리고 말았다. 초옥의 재전유에 내포된 전복성이 모두 상실된 까닭은 재전유가 관념적 차원에서만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관념과 실상의 분리는 초옥의 구별 짓기의 욕망이 개입되면서 이루어졌기에 초옥의 재전유는 행위 차원의 문제에서 초옥이란 인물 개인 주체 차원의 문제로 전이됐다. 知己에 대한 초옥의 자의적 정의를 중심으로 인물의 문제를 고찰했는데, 초옥이 정의한 知己에는 마음이 아닌 타인의 시선만이 존재했다. 결국 초옥이 貞을 知己로 재전유하며 남은 것은 貞‧知己‧志라는 자기 자신은 부재하고 타인의 시선만이 존재하는 텅 빈 기표들 뿐이었다. 따라서 초옥의 재전유는 초옥이 욕망의 주체가 아니라, 기표를 좇는 욕망의 객체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행위였다고 의미를 정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삼한습유』의 인물 형상화 방식의 특징과 그 의미

        유해인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0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8 No.-

        This study examined the way that 『Samhansbyu』 embodied Hyang-rang. Through this, it was aimed at setting up a new logical system that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Kim-Sohaeng and the character Hyang-rang. First, through preface and a postscript, I recounted the writers' reaction to the Hyang-rang drawn by Kim-Sohaeng and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creation. Next, 『Samhansbyu』 examined the way in which Hyang-rang's contradictory figure were handled in an epic way, and finally discussed the context in which Hyang-rang's contradictory figure appeared. As a result, 『Samhansbyu』 created various literary tangles in a playful situation, and it has led us that the tangle of such literary customs created the Hyang-rang. The reason why a contradictory and problematic character named Hyang-rang was able to appear in our literary history was that it did not start from serious thoughts but from an atmosphere somewhat free from the existing notion that it was a situation of amusement. Thus, existing discussions on evaluating 『Samhansbyu』 and Kim-Sohaeng's writer consciousness from the figure of Hyang-rang needed to be reconsidered. 이 글은 『삼한습유』가 향랑이라는 인물을 형상화하는 방식에 대해 고찰했다. 이를 통해 작가 김소행과 인물 향랑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새로운 논리 체계를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먼저 지작기 및 서․발문을 통해 김소행이 그린 향랑에 대한 문인들의 반응과 창작 당시의 상황을 재구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삼한습유』가 향랑의 모순적 형상을 서사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살폈고, 마지막으로는 향랑의 모순적 형상이 출현하게 된 맥락에 대해 논했다. 그 결과 『삼한습유』는 유희적 상황 속에서 다양한 문학적 엉킴을 만들어 냈고, 그러한 문학적 관습의 엉킴이 만들어 낸 존재가 향랑임을 알 수 있었다. 향랑이라는 모순적이고 문제적인 인물이 우리 문학사에 출현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것이 진지한 고민으로부터 출발한 것이 아니라 유희의 상황이라는 기존 관념으로부터 다소 자유로울 수 있는 분위기에서 출발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향랑의 형상으로부터 『삼한습유』와 그것을 창작한 김소행의 작가 의식을 고매한 것으로 평가하는 기존의 논의는 재고될 필요가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어면순』 소재 성소화의 서사 논리와 그 의미

        유해인 민족어문학회 2019 어문논집 Vol.- No.86

        This is a study by 『EoMyenSun』 that reveals a device of discrimination that utilizes human sexual desire and examines its narrative consciousness. 『EoMyenSun』 features a diverse group of people, including shi-da-fu, wife of shi-da-fu, soldier, gisaeng, buddhist priest and ordinary people, all as "gender beings". However 『EoMyenSun』 adjusts the effect of laughter by varying the mood of laughter depending on who is the object of human desire. In order to examine that, this study first looked at ways to utilize women's sexual desire. The story of a coward and a jealous woman were representative. In the story of a coward, women's libido was used as an epic device to turn a coworker into a barn. In the story of a jealous woman, jealousy was soon replaced by a woman's libido, which was resolved in a cowardly manner. This confirmed that the sex drive of women, highlighted in both types of stories, was used as a way to contribute to male pleasure. Next, this study looked at how men's desires were handled. In the case of men appearing as main characters in the sex funny stories in 『EoMyenSun』, their pornographic stories became the epicenter of laughter. However, the epic response to pornographic stories differed depending on who the subject was. In the case of the four masters, the theme of "pornographic stories" was meant to evoke a warm smile and evoke a sense of complicity among men of the four masters. On the other hand, the pornographic stories of the soldier and the buddhist priest were painted negatively. The above discussion confirmed that 『EoMyenSun』 operates the narrative of sexual desire in different ways according to its target. This was the result of Song Se-rim's hierarchical consciousness, which he wrote about. In the end, the laughter generated by the sex funny stories in 『EoMyenSun』 was the preserve of men, most of the man who is shi-da-fu. 이 글은 『어면순』이 인간의 성욕을 활용하는 차별의 장치를 밝혀 그것의 서술 의식을 살핀 연구이다. 『어면순』에는 사대부, 사대부의 처, 무인, 기생, 승려, 일반 백성 등 다양한 인물군이 모두 ‘성적 존재’로 등장한다. 그런데 『어면순』은 인간의 욕망을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웃음의 정조를 달리하며 웃음이 발휘하는 효과를 조정한다. 이를 살피기 위해 먼저 여성의 성욕을 활용하는 방식을 논하였다. 겁간에 관한 이야기와 질투하는 여성의 이야기가 대표적이었다. 겁간에 관한 이야기에서 여성의 성욕은 겁간을 화간으로 둔갑시키는 서사 장치로 활용되었다. 질투하는 여성의 이야기에서 질투는 곧 여성의 성욕으로 치환되었고, 그것은 겁간의 방식으로 해소되었다. 이를 통해 두 유형의 이야기에서 강조된 여성의 성욕이 모두 남성의 쾌락에 이바지하는 방식으로 활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남성의 욕망에 반응하는 태도에 대해 논하였다. 『어면순』 소재 성소화에서 남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할 경우, 그들의 호색이 웃음의 진원지가 되었다. 그러나 호색에 대한 서사적 반응은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주체가 사대부일 경우, 호색이라는 주제는 온정적인 웃음을 자아내며 사대부 남성 간의 공모의식을 환기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반면 무인과 승려의 호색은 부정적으로 그려졌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어면순』이 성적 욕망에 대한 서사를 그 대상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운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곧 그것을 찬술한 사대부 송세림의 계층적 의식에 견인된 결과였다. 결국 『어면순』 소재 성소화가 자아내는 웃음은 남성, 그 중에서도 사대부 남성의 전유물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을 통해 본 귀족적 영웅서사에 대한 지향 -환몽소설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유해인 민족어문학회 2023 어문논집 Vol.- No.99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meaning of the public’s negative reaction to the controversial ending of The Youngest Son of the Chaebol Family, a Korean drama series aired by JTBC, in comparison with how hwanmong-soseol, a sub-genre of the classical novel, unfolds. To begin with,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Youngest Son of the Chaebol Fami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rama series had a well-organized narrative that effectively conveyed the theme of the protagonist Yoon Hyun-woo's repentance in a tightly set hwanmong-soseol (returning to reality from dream) structure as opposed to how it was evaluated by many critics. Next, this study analyzed the reasons behind the negative reaction to the ending of the drama series in comparison with how hwanmong-soseol unfolds. While The Cloud Dream of the Nine, one of the most well-known hwanmong-soseol works in Korea, embodies different themes depending on the version, the narrative most familiar to the public is the one in which the protagonist's ordinary life continues after waking up from a dream. From the public’s perspective, the essence of the hwanmong-soseol structure was not some sort of realization through life after waking up from a dream but the resolution of desires which could not be fulfilled in reality through the imaginary world of a dream. This hwanmong-soseol structure from the medieval period was adapted into a structure of hoebinghwan (regression, possession, and reincarnation) in today’s world, which gained enormous popularity among the public as a chaebol genre. The Youngest Son of the Chaebol Family, which highlights life after waking up from a dream, was the narrative that betrayed the public’s expectations, and the public’s negative reaction to its controversial ending suggested the aristocracy-oriented nature of the public, which was reflected in hwanmong-soseol and hoebinghwan novels. Considering that the aristocratic heroic narrative of hwanmong-soseol was an immensely popular narrative in a caste system where it was not possible to move up in social class, the current generation's pessimistic outlook on social mobility can be found in the popularity of hoebinghwan and the public’s reaction to The Youngest Son of the Chaebol Family.

      • KCI등재

        음악의 화음 전개 수준에 따른 감상자의 정서 지각 연구

        유해인,최진희,정현주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22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articipants’ perceived emotion following harmonic changes in music. In this study, 144 participants, aged 19 to 29 years, listened to music online that included low to high harmonic progression in tonal music (major-minor). After listening to each piece of music,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4 items using a 7-point Likert scale: emotional potency, arousal, degree to which the harmony impacted the listener’s emotions, and listener’s preference for the music.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of the four items upon the level of harmonic progression. Whe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e., those with a background in music and those with no background in music),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emotional potenc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This study confirmed that various emotional responses in listeners can be induced by controlling the exogenous variables in musical excerpts.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harmonic progression level can be provided to the client to be used as an effective therapeutic tool in music therapy interv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화음의 전개 수준에 따라 감상자가 지각하는 정서 차이를 비교하는 데 있다. 만 19세-29세 사이 음악 전공자 73명, 음악 비전공자 71명의 성인 144명을 대상으로, 조성(장조-단조)과 화음 전개 수준(낮음-높음)이 서로 다른 총 네 가지의 음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 음악에 대해 정서적 역동감, 각성, 화음이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 선호도의 총 네 가지 항목을 리커트 7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화음 전개 수준과 조성에 따라 감상자가 지각하는 정서적 역동감, 각성, 화음이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 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공 배경을 기준으로 하여 음악 전공자와 음악 비전공자로 그룹을 나누고 화음의 전개 수준 차이에 따른 그룹 간 정서 지각을 분석하였을 때, 정서적 역동감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각성,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 선호도에서의 그룹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조성, 감상자의 외생 변인을 통제하여 제공한 음악에서 화음의 전개 수준에 따른 감상자의 다양한 정서 반응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내담자의 필요에 따른 음악 선곡 시, 화음의 전개 수준을 다르게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황릉몽환기>에 나타난 여성 비애담의 특징과 그 의미

        유해인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9

        This study examines the function of the female character's biaedam in Hwangreungmonghwagi, shedding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eamer and the in-dream character. Biaedam (sad story) was about the fortune and sadness which were not highlighted in the life of Yeosa praised as a virtuous woman, and different issues and arguments raised by the dreamer, who triggered a dream, resulted in a narrative disconnect. Consequently, the status of the dreamer shifted from an active participant to an observer in the dream world. Biaedam, however, mediated the ideological bond between the dreamer as a commoner and the in-dream character as a saint, and shifted the status of the dreamer back into a participant. In conclusion, Hwangreungmonghwagi was not a woman-centered narrative but a dreamer-centered narrative, and biaodam served as a narrative device to maximize the unsettling awareness of skepticism against the way of the heaven.

      • KCI등재
      • KCI등재

        <오후강전>에 나타난 하위주체에 대한 관심과 그 성격

        유해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3 고전과 해석 Vol.40 No.-

        이 글은 <오후강전>에 나타난 하위주체에 대한 관심의 성격을 규명한 논의다. 이를 위해 먼저 관심의 양상을 살폈다. <오후강전>은 하위주체를 결연의 주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인물이 겪는 갈등의 양상이 상층여성이 결연의 주역으로 등장했던 기존의 애정 서사와 차이를 보였다. 첫째, 여성이 겪는 성적 수탈의 위협이 남녀 주인공의 열정적인 애정을 드러내기 위한 서사적 장치가 아닌 실질적인 위협으로서 형상화되어 있었다. 둘째, 강한 이념적 지향성을 지닌 여성이 겪는 심리적 갈등이 사실적으로 형상화되어 있었다. 이는 모두 <오후강전>이 결연의 주역으로 내세운 인물이 상층여성에 비해 서사화의 제약이 강하지 않았던 하위주체였기 때문에 재현될 수 있었던 여성 수난의 일면들이었다. 다음으로는 하위주체 오후강의 소설적 형상과 현실 반영성이 높은 야담에 등장하는 하위주체의 형상을 비교하여 <오후강전>에 나타난 하위주체에 대한 관심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했다. <오후강전>은 과부 오후강의 개가 서사가 이야기의 중심축이기에 동시기 향유된 청구야담 소재 과부담 및 개가담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야담에서 과부의 개가는 성적 욕망의 해소나 성적 수탈의 위협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한 지극히 현실적인 문제에서 선택되는 사안이었다. 그러나 <오후강전>의 경우, 오후강이 하위주체로서 겪는 현실적 문제보다는 오후강과의 결연을 욕망하는 김해갑의 애정 문제가 강조되며 결연의 대상으로 그 형상이 굴절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첩이라는 오후강의 신분적 지위를 중심으로 살폈을 때 더욱 두드러졌다. 첩은 상층여성과 달리 성적 개방성을 지닌 존재였다. 그러나 오후강은 강한 이념성을 지닌 인물로, 실제 첩의 면모와는 거리를 지닌 굴절된 형상을 하고 있었다. 이를 보았을 때, <오후강전>에서 하위주체에게 보인 관심은 하위주체라는 실체적 존재 자체에 대한 진지한 관심에서 출발한 것이라 보기 어려웠다. 이에 <오후강전>이 하위주체에 대한 관심을 서사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분석해 관심의 실체에 접근하고자 했다. 그 결과 <오후강전>에 나타난 하위주체에 대한 관심은 상층여성을 대상으로 한 결연 서사가 더 이상 통용되기 어려웠던 19세기의 서사 환경에 의해 촉발되었고, 재현된 고난의 일면들은 하위주체가 결연 대상으로 설정되었을 때 서사의 흥미를 추동하기 위해 설정된 장치들에 의해 수반된 부수적 효과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후강전>은 지극히 남성 중심적인 애정 서사의 전통을 잇고 있는 작품으로, 하위주체 오후강의 이야기가 아닌 하위주체와 결연하고자 했던 상층 남성 김해갑의 이야기였던 것이다. <오후강전>에 재현된 하위주체 오후강의 고난은 김해갑의 욕망 추구 서사에 한시적으로 소비되고 만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지녔다.

      • KCI등재

        <여와전>의 비평적 성격에 대한 재고 - <투색지연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유해인 (劉海仁) ( Yoo Hae-i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2

        이글은 <여와전>의 비평적 성격을 <투색지연의>를 중심으로 재고한 연구이다. <여와전>은 <투색지연의>의 투색전을 서사의 발단으로 삼고 있다. <여와전>은 문창성의 인물 품평을 통해 투색전으로부터 부여된 작위의 문제를 사건화 한다. 문창성은 각 인물의 덕행과 절행을 중심으로 인물을 품평함으로써 <투색지연의>의 제재인 장편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에 관한 미색의 문제를 서사에서 사라지게 한다. 더하여 사건의 주 무대를 황릉묘라는 상징적이고 구체적인 공간으로 설정함으로써 서사의 출발이 되었던 투색의 의미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결국 <여와전>은 <투색지연의>가 장편소설의 여성 인물에게 드리운 색정적 시각을 탈각시키는 방향으로 서사를 구성했던 것이다. 이는 장편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에 대한 당대 향유층의 윤리 의식이 반영된 결과이다. 따라서 문창성을 중심으로 전개된 일방적인 인물 품평은 <투색지연의>가 위반한 금기를 회복하기 위해 창안한 서사 기법의 산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reconsidered the critical nature of < Yeowachon > by focused on relationship with < Toosaekjiyeoneuy >. < Yeowachon > is beginning from "a battle for beauty" which is main material of < Toosaekjiyeoneuy >. But < Yeowachon > is not turn into a event the "a battle for beauty" of < Toosaekjiyeoneuy >. < Yeowachon > is turn into a event the "title of nobility" which was dubbed through the battle for beauty by MoonChangsung. MoonChangsung has characterized each character's virtue. By doing so, the matter of beauty about the female characters in a long novel, which is the main material of < Toosaekjiyeoneuy >, has disappeared from the narrative. Furthermore, by relocating the narrative space to a symbolic and concrete place called "Hwangneungmyo", < Yeowachon > is able to away from the < Toosaekjiyeoneuy >. < Toosaekjiyeoneuy > is an narrative that retains the sexual desire about the female characters in a long novel. < Yeowachon > has formed as a narrative to deflect this view. The one-sided character review centered around MoonChangsung is the product of the narrative technique invented to erase the mistakes made by < Toosaekjiyeoneuy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