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세경본풀이>, <차사본풀이>에 나타나는 노현자(老賢者)의 역할과 의미

        구태운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5

        본고는 국내 문학작품의 인물 분석에서 본격적으로 주목되지 않았던 노현자(老賢者) 이미지의 양상을 제주 무속신화 <세경본풀이> <차사본풀이>의 서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세경본풀이>와 <차사본풀이>는 모두 제주 큰 굿에서 구연된다. 농경의 풍요와 망자의 천도를 위해 불리는 이 제의적 서사들은 신들의 근본과 좌정담(坐定談)을 푸는 본풀이 형태의 서사무가(敍事巫歌)이다. 본풀이의 주인공은 각각 농경신 ‘자청비’와 저승차사 ‘강림’이다. 이들의 신격(神格) 획득과 이계(異界)의 체험에 앞서 등장하는 조력자는 늙고 성스러운 존재들이라 할 수 있다. 작품 내 늙은 현자의 존재는 입사의례를 앞둔 주인공들의 입문(入門) 안내자로서 중요한 서사적 기능을 수행한다. 이들은 안내자이자 매개자로서 주인공을 임시 양육하거나 문제해결의 단서를 제시한다. <세경본풀이>의 조력자 ‘주모할망’은 장인적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주인공 자청비를 수양딸 삼아 가르치는 두 번째 어머니(이중부모)이다. <차사본풀이>의 조력자 ‘문전할으방’과 ‘조왕할망’은 본래 강림 부부와 같은 생활 공간을 공유하는 가택신들이 현현한 형태로 미성숙한 강림이 나아갈 길을 제공하는 길잡이 역할을 수행한다. 노현자의 상은 융(Carl Gustav Jung)의 원형이론을 기반으로 형성된 대표적 이미지이기도 하다. 융의 분석심리학(分析心理學)은 그 보편성이 인정되어 여러 연구 분야의 학제적 연구 기준이자 분석의 틀이 되어오기도 했다. 늙은 현자는 신비하고 지혜로운 조력자로서 주인공의 성장을 보조하면서도 이면의 파괴적인 속성을 지니며 대가를 요구하는 모습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우리 문학에 늙고 지혜로운 조력자 캐릭터들이 어떻게 묘사되며, 어떤 이미지와 속성을 갖고 서사를 이끌어가는 힘을 가졌는지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 19세기 말~20세기 초 한(韓)·중(中) 서화가들의 교류와 오세창(吳世昌)의 전각(篆刻)

        김소영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1

        19세기 말~20세기 초 금석학이 하나의 학문영역으로 성장해가면서 전각과 서예 방면에 각각 새로운 장이 열렸다. 이 시기 상해 서화단에서 활동하던 오양지, 조지겸, 오창석 등은 금석학에 밝고 서화뿐만 아니라 전각에도 능했던 화가들로, 해상화파 가운데서도 ‘금석파’라 칭하였으며 이들은 특히 조선 말기와 한국 근대 화단에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영향을 끼쳤다. 상해 서화단은 조선 말 서화단과의 활발하고 적극적인 교류를 통하여 한국 근대 전각에 많은 영향을 끼쳤는데, 그 가운데 한국 근대 전각의 종조라 불리는 오세창의 전각은 특기할 만하다. 19세기 연행을 통해 형성된 청과 조선의 문인들의 교류는 조선 말기와 한국 근대 서화단에 다양한 문화적․예술적 성과로 나타났으며, 금석문자에 관한 자료와 지식을 바탕으로 전서와 전각 등에서 오세창은 선구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다. 오세창은 부친 오경석으로부터 수집되어 들여온 중국의 각종 각석문(刻石文) 탁본과 인보를 통해 금석파의 각풍에 접근하였으며, 청대의 여러 인보들을 통해 전각의 기법들을 습득하였다. 등석여, 서삼경, 오양지 등의 전각의 영향을 토대로 다양한 각풍을 형성해 나갔다. 특히 오창석 각풍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오세창이 소장하고 있던 『오창석인보』에는 오창석의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한 전각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오세창의 <고구려신라각석실주인>이나 성명인인 <오세창인> 등이 그러하다. 청대 전각의 영향과 더불어 오세창의 전각은 표현영역에 있어서 상형고문, 금문, 소전뿐만 아니라 인물, 송죽매까지도 인면에 집어넣고 있고, 종류도 성명인, 아호인을 비롯 길상인, 사장인, 장서인 등을 각(刻)하고 있다. 오세창은 금석문자에 대한 자료와 지식을 바탕으로 광범위한 자법을 통해 조형성을 극대화하였으며, 완벽하고 정확한 도법으로 작품을 완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마틴 부버의 ‘나와 너’에 나타난 교육적 세계관

        박주희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1

        Human beings are alone but at the same time always live with others. It seems so natural that human beings themselves are formed in the relationship formation with others. The scholar who theoretically organized this is Martin Buber. Buber thoughtfully conceptualized and organized the concept of meeting. As we go back in history and live in modern society as well as in the past, modern society has to wonder what the natural questions and existential encounters with humans are and why education is needed. Different countries and cultures have different aspects of education and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but it is worth considering beyond the age, gender, and culture in the immediate problem of human existence. Incorporating this into the educational situation, theorizing and explaining the main concepts of Buber's meeting with you, the traditional educational theory, and further modernization.

      • KCI등재후보

        계절이주노동자의 노동환경과 안전보건 문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마티,신지원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9

        This study examines the key dimensions of health and safety issues affecting seasonal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including working and living conditions, health and safety protection, training, and legal and policy frameworks. In order to understand the nuances of these challenges, it examines some cases that illustrate the experiences of seasonal migrant workers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study highlights that despite the positive changes the program has brought to the local agricultural sector, there are still an alarming number of health and safety issues that require continuous policy improvement and effective implementation to establish a systematic program. It calls for the assignment of a government agency dedicated to and focused on the Seasonal Workers Program to monitor, evaluate and inspect the compliance of key units of the Program.

      • KCI등재후보

        산드라 스테인그래버의 『믿음을 갖기』에 나타난 모성 윤리와 돌봄의 보편화 가능성

        김주원,강의혁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9

        This paper analyses Sandra Steingraber’s Having Faith: An Ecologist's Journey to Motherhood by mobilizing two key words: motherhood and care. Traditional discourses surrounding motherhood and care have constantly played crucial role in defining femininity as confined within the private arena. Especially discourses on women’s bodily experience such as pregnancy, delivery, and nurturing have been maintaining and perpetuating the asymmetrical power relations between man and woman, reason and emotion, and civilization and nature. This paper argues that Steingraber radically departs from these traditional discourses; instead, she re-interprets motherhood as the fundamental experience of the other, and care as the universal experience of the human beings’ inter-dependency. In doing so, Steingraber opens up a possibility for a new thinking by deconstructing the dichotomy of (individual) body and nature.

      • KCI등재후보

        ‘나주 어향론(御鄕論)’과 고려 혜종에 대한 재평가

        김병인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9

        나주가 어향이라는 인식의 출발점은 혜종의 모후인 장화왕후의 고향이라는 사실에 기인한다. 그러나 현종대 피란과 목 설치, 팔관회 개최, 흥룡사와 혜종사 건립 이후 나주가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는 점을 추가로 설명함으로써 ‘나주 어향론’을 강화시켜 왔다. 이는 혜종에 대한 기존의 낮은 평가와 무관하지 않다. 즉, 어향의 근거가 되는 혜종에 대한 평가가 좋지 않기 때문에 현종대 이후 변화상을 덧붙여 어향 나주의 입지를 강화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어향 나주의 진면목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혜종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혜종의 국왕으로서의 자질과 능력이 입증된다면, 그 자체로 ‘나주 어향론’은 탄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혜종은 어렸을 적부터 군주의 풍모가 있었고, 7세 때에 세자[정윤]가 된 이후부터 예비국왕으로 자질을 함양하였으며, 건장한 신체를 갖고 있었던 바, 후삼국전쟁의 과정에서 박술희와 함께 상당한 군공을 쌓은 까닭에 태조 왕건의 신임을 얻었다. 특히 태자 시절에 국가기무를 결재하였으며, 신하와 사신 접대에도 능숙하였다. 즉위한 다음에도 덕정을 쌓았으나, 왕규의 난을 겪은 다음에 의심이 많아져서 실정을 하다가 병에 걸려 재위 2년 5개월 만에 세상을 떠났다. 장화왕후가 왕건을 만나기 직전 용꿈을 꾼 것은 신성가문 출신 왕건과 재지세력 오씨가문의 결합을 상징하기도 하지만, 오씨가문의 딸이 신성가문의 자식을 잉태하기 위한 사전 준비단계였다. 태자 무는 ‘진용자’로서 ‘계통지덕’을 갖췄지만 다른 형제들과의 후계 구도가 복잡하였으므로, 태조의 명을 받은 박술희의 도움을 통해 후계자의 지위를 지켜냈다. 태조는 맏아들인 혜종이 왕위에 오를 만한 자질을 갖추었다고 판단하고 그를 왕위계승권자로 결정하였다. 이후 왕위계승권자로서 경험을 쌓게 함으로써 자질을 더 키워나가게 했으며, 그를 지지할 후원세력을 만들어 줌으로써 안정적으로 왕위를 계승하도록 하였다. 최승로는 정종에서 광종으로 이어진 왕위계승을 정당하다고 보았기 때문에 왕규의 난에 대한 혜종의 초기 조치에 대해서 큰 도량 운운하다가, 시위군 보강과 장사 포상에 대해서는 체통을 잃었다고 비난하였다. 고려 후기 이제현은 당시 혜종이 왕규를 내치지 않은 것을 ‘소인을 멀리하지 못함’에 비교하여 경계했어야 할 일로 규정하였다. 때문에 혜종이 왕규의 난 이후 실정을 했다는 혜종 총서의 기록이나 최승로의 평가는 그대로 수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결론적으로 혜종에 대한 평가는 태몽에서부터 성장 과정, 태자 시절과 즉위 과정에 대한 평가에서 압축적으로 제시된 ‘진용자’와 ‘계통지덕’을 갖춘 군주로서의 자질과 위상을 온전하게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혜종은 숙종대 한 차례를 제외하고 고려시대 내내 태묘에 봉안되었다. 이는 태조-혜종으로 이어지는 고려 왕실의 정통 계보가 후대까지 의심없이 받아들여졌다는 방증이다. 즉, 혜종의 군주로서의 위상에 대한 평가는 당대에서부터 후대에 이르기까지 크게 달라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나주 어향론’을 전개하는 데에 있어서 혜종에 대한 온당치 못한 평가 때문에 주저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홍계월전>의 가족각본, 수용과 위배

        황지현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9

        이 글은 여성 주인공의 경계를 넘나든 삶을 그린 조선 후기 영웅소설 <홍계월전>을 “가족각본”이라는 개념을 통해 독해한다. 가족각본은 젠더에 따라 상이한 역할을 기대 받고 그것을 수행하는 고정적인 인식을 지칭하는 것으로 오늘날까지 한국 사회에서 정상가족 신화를 지탱하고 있다. 가족 내에서 상이한 역할들을 넘나들면서 홍계월이 경험하는 질곡을 통해 일상 속에서 비가시화되기 쉬운 가족각본의 실체가 드러난다는 점에서, <홍계월전>은 “각본 없는 가족”에 대한 모색이 필요한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홍계월전>의 가족각본을 분석하는 작업은 기존의 젠더 중심 관점에서 이탈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보다 예각화한 접근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가족의 탄생을 중심으로 <홍계월전>의 가족서사를 살펴보았다. 이 작품에서는 원 가족, 입양 가족, 혼인으로 인한 가족이라는 총 3번의 “가족의 탄생”이 이루어진다. 각 경우에 따라 관련 인물들의 다양한 인식과 목적이 교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홍계월에게 어떤 가족각본이 주어졌는지를 검토하였다. 홍계월은 견고한 가족각본의 경계를 오가면서 균열을 만들어내고 때로는 가족각본이 지닌 모순을 노출시켰다. 물론 그의 행적이 온전히 저항적인 것은 아니며 가족각본에 불만을 품으면서도 억지로나마 그것을 이행하려는 모습도 보였다. 하지만 그로 인해 가족각본의 실체를 감지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홍계월의 삶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가정으로 복귀할 수밖에 없는 여성영웅들의 결말에 아쉬움을 느낄 수 있지만 조선 후기에 대중적인 인기를 구가한 여성영웅들의 삶을 통해 오늘날까지 견고하게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가족각본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글에서는 <홍계월전>에 한정하여 논의를 전개하였으나 추후 여성영웅소설군의 가족각본에 대한 확장적인 논의도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공동체에서 인간과 인공물의 연결에 대한 검토와 제안: 도교적 이론과 사례를 참고하여

        김덕삼,이경자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9

        This article explores connection in community, especially human-machine connection, from a Taoist perspective. To this end, the text first discusses the need for connec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objects of connection. It emphasizes that humanity exists in connection and that the problems facing humanity must be solved through connection. It also points out the importance of connection with human-made artifacts in modern society, unlike in the past, and proposes an expansion of the objects to be connected. Next, as a theoretical basis for connection, it identifies the idea of connection in Taoism and the practice of connection in Taoism, and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human-machine connection in them. Based on these discussions, we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human-machine connectivity and the direction it should take. These discussions emphas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nnection within a community. In addition, by attempting to review Taoist ideas about connection, we will also discuss the contrast of problems faced by humanity in relation to connection, and in particular, we hop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take an active and proactive approach to the human-machine connection faced by modern humanity.

      • KCI등재후보

        포토보이스 활동을 통한 고려인 아동의 일상생활 경험과 의미: 가정・학교・지역사회 생활을 중심으로

        김나경,김경학,강영신,김수정,선봉규,정종민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9

        This study, carried out through photovoice activities, explores the everyday experiences of Koryeoin children in their homes, schools, and communities. By investigating the contexts of places, relationships, and activities, the research aims to pinpoint implications for the healthy growth and social adaptation of Koryeoin children in Gwangju. Six Koryeoin children residing in the Koryeoin-town area of Gwangsan-gu, Gwangju Metropolitan Cit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Speaking through Photos> initiative. They captured and shared images portraying their preferred places, people, activities, and objects. The analysis revealed three key themes for each context. In the context of home life, the identified themes include ‘special family moments,’ ‘my own place and activity,’ and ‘goal-oriented challenges.’ In the context of school life, the themes comprise ‘creating remarkable school experiences,’ ‘interaction with teachers and peer,’ and ‘a day I feel excited about going to school.’ Finally, the themes associated with community life encompass ‘a joyous neighborhood,’ ‘heartwarming gatherings with smiles,’ and ‘new and exciting experience.’ Based on these findings, recommendations for the healthy growth and stable adaptation of Koryeoin children include fostering a sense of place across homes, schools, and communities for identity discovery and overall well-being. Promoting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and mutual interests is suggested to expand and strengthen social relationships.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systematic, ongoing attention, and support to acquire and utilize educational resources for Koryeoin children.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의 가족 형태에 따른 낙인 경험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연관성

        김란영,주승섭,엄윤정,류도향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가족과 커뮤니티 Vol.0 No.9

        This study assessed the distribution of stigma based on family structure and examined their association with self-rated health among adults aged 25-55 in South Korea. After age 19, they experienced family structures other than legally married couples. Also,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tigma experiences based on family structure and self-rated health. We analyzed a nationwide cross-sectional online survey of 1,278 Korean adults. Stigma experience based on family structure was measured with 8 items, such as ‘I heard disparaging or bad about my family,’ and ‘I was qualified to apply for a job, but I gave up.’ If the participants never experienced stigma, they were classified as ‘never experienced,’ and if they experienced more than one type of stigma, they were classified as ‘experienced.’ Self-rated health is classified as ‘good’ and ‘poor’.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appli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tigma based on family structure and self-rated health. As a result of this study, 56.2% experienced stigma based on family structure. Participants’ three most common family structures after age 19 were single-person households, cohabitation, and single-parent families. Among the types of stigma experiences, the most prevalent type of stigma was ‘I tend to be careful not to hide or reveal the family situation.’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stigma based on family structure were 1.47 times (95% Confidence Intervals: 1.07-2.02) more likely to have poor self-rated health than those who never experienced stigma based on family structure. Considering the results, policy interventions are needed to reduce stigma based on family structure and remove family stig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