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학급 음악치료에 대한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의 인식 조사

        김정란,Kim, Jeong Ran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3 No.1

        미국에서는 1975년 장애아동교육법(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이 시행되면서 특수교육 프로그램에서 일하는 음악치료사의 역할이 확대되기 시작하였고, 학령기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역사는 반세기가 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에 개정된 특수교육계획에서 특수교육이 필요한 학생의 치료교육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각 지역 교육청별로 특수교육 지원센터를 두어 치료교육 교사를 배치 시행하는 안을 발표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보급이 시작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 특수교육계획이 시행된 지 6개월 정도 지난 시점에서 초등학교 음악치료와 관련된 특수교사들과 음악치료사들의 의견과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현황 및 실태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개선점이나 문제점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과 문헌들을 조사 검토하고, 2005년 10월 18일부터 11월 2일에 걸쳐 특수교사 65명과 음악치료사 3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의 음악치료 현황과 인식도, 기대도 등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기술통계 처리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는 초등학교의 음악치료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며 음악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기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악기 및 음악치료실의 완비가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국가나 학교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행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특수학교나 특수학급을 비롯한 지역사회 복지관, 조기교육 현장 등 장애아동이 있는 모든 곳에서 치료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요구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치료와 교육을 접목시킨 음악치료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음악치료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It has been passed more than 50 years of the history of music therapy on school aged children since there had been enforced the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e' in United states 1975, which had made an important role of music therapist augmented.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rough reforming the law on March 2005 that therapist educator has to be allocated on the special class in general school, at least, patrol teacher is charged on that, which made possible to start music therapy as initial stage was realized in realistic way on the spot of school. This research has primary concerns as following. The one thing is intended that figuring the opinions of special educators and music therapists involved with the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other thing is intended that making a investigation of actual condition on the spot of existing school, moreover, pinpointing at issue and suggesting the change for the better than now. In order to undertake theses intentions, I examined preceding researches and existing data,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involved the music therapy of elementary school to the people who are composed of special educators-65 persons and music therapists-30 persons from 18th October to second of November, and analyzed colle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it says that special educator and music therapist know well about the necessity of music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and its effectiveness is manifested in positive way. Moreover, in order to systemize and promote a program of music therapy, what is most urgent thing is the completion of instrument and music therapy room and there are needed strong supports at the level of nation and institution. It has become pervasive on the demand of therapy education by parents in all of the places involved with disabled children such as special school, special class, local welfare community, and early educ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how therapy and education was connected as music therapy on the spot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music therapy.

      • KCI등재

        음악치료 국가자격증에 대한음악치료사의 인식도 조사

        박하현,박혜영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21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usic therapists’ awareness of the music therapy national certification (MTNC). On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usic therapist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and 143 completed survey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7 questions (background information,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MTNC, expected effects of national certification, and qualificatio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collected data, music therapists reported that they were highly aware of the necessity for MTNC.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excessive issueing of private licenses might deteriorate the quality of music therapy services and job opportunities. As alternatives to address private license-related issues,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Given that participants did not have enough knowledge of MTNC and the MTNC may have both pros and cons, the results should be generalized with caution. Still,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rther discussion on the establishment of MTNC.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 국가자격증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인식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문 참여에 동의한 전국의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한 후, 143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음악치료사의 배경정보 10문항, 음악치료사 국가자격증 필요성 인식 11문항, 기대효과 8문항, 자격관리 7문항, 기타 의견 서술 1문항, 전체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음악치료사들은 음악치료사 국가자격증에 대해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특히 채용기관 관계자들의 음악치료 인식도가 낮다고 느낄 때 국가자격증의 필요성을 절감한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들은 민간자격증의 남발이 음악치료 전문성 및 서비스의 질을 낮출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직업 환경이나 처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국가자격증을 사회적 인식 제고 및 음악치료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본 연구의 참여자가 국가자격증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보유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는 점과 단일화된 국가자격증으로의 전환이 야기할 수 있는 제한점 등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신중하게 해석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국가자격증에 대한 논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직업전문성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인식

        최주애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3 No.2

        This study investigated how music therapists percei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ofession. A total of 98 certified music therapists completed the online survey for a 46.7% response rate, and 78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usic therapists show a high level of standards for music therapy professionalism in general. Meanwhile, the respondents gave their lowest rating on the perception of their occupation as a social service addressing the needs of societ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rated the level of their professionalism as high and they tended to identify individual competenc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professionalism depending on the length of clinical practice and level of edu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quality of training may contribute to a high level of perception on professionalism. Also, lower levels of perception on social aspects of the professionalism support the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ism. Given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ism in enhancing the quality of care for clients and expanding the profession,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music therapy professionalism and propose strategies for maintaining the professionalism of music therapists.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설문 참여에 동의한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전체 210부의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한 후 98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미완성된 응답을 제외한 7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음악치료사의 기본 정보 10문항, 전문성 인식 27문항으로 전체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음악치료사들은 직업전문성에 대해 높은 인식 수준을 가지고 있는 반면, 직업전문성 하위영역 중 사회적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점수가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직업전문성 인식 점수를 교육정도에 따른 집단 간 비교 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직업전문성 인식 점수와 경력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사 전문성에 대한 자기평가는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음악치료사가 전문성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개인적 측면과 관련한 답변이 가장 많았다. 본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 인식이 개인적 측면 외에도 조직적, 사회적 측면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교육과정 내에서 높은 수준의 음악치료 교육이 전문성에 대한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음악치료사들의 전문성 인식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강화 방향과 전문성 관리를 위한 재교육의 필요성의 중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2014년 보건복지부 지정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 내 음악치료 현황

        김은정,김경숙,최윤선,김원철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3 No.1

        This study provides numerical data on the status of music therapy practices in 54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in Korea. Two different questionnaires for music therapists and coordinators were sent to 54 coordinators via email, and 47 (87%) hospitals and centers replied by email or post. The survey period was October 30 through December 5, 2014. Music therapists were asked to respond to 65 questionnaire items regarding working conditions, environment, session process, and personal competence. Coordinators were asked to complete 28 questionnaire items regarding the status of music therapy in their perspective setting. Twenty-two (46.8%) hospitals and centers were running music therapy programs with 28 music therapists, and 19 (67.9%) of these music therapists majored in music therap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usic therapists (M=3.43, SD=0.96) and coordinators (M=2.73, SD=0.77) regard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 of music therapy sessions (p<.05).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for music therapy are inadquate for optimal implementation of music therapy practice. However, the perceived benefits of music therapy by coordinators suggest that music therapists do play an important rol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is research provides the first quantitative baseline data of music therapy statu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부에 의해 지정된 54개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음악치료에 대한 수치 기반의 현황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54개 기관의 코디네이터에게 E-mail로 설문지를 발송하여 총 47개 기관(87%)의 음악치료사와 코디네이터로부터 E-mail과 우편으로 회신을 받았다. 조사기간은 2014년 10월 30일부터 12월 5일까지였으며, 음악치료사 대상 설문지는 근무조건/처우, 음악치료 환경, 진행 및 개인역량 등 총 6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코디네이터 대상 설문지는 각 기관의 음악치료 시행 여부 및 코디네이터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음악치료의 현황과 개인정보 등 총 2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47개 기관 중 음악치료 시행 기관은 22개 기관(46.8%)이었으며, 음악치료사 28명 가운데, 음악치료를 전공한 음악치료사는 19명(67.9%)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션 준비, 수행, 평가와 관련해 음악치료를 진행하기에 적합한 환경이 갖추어져 있는지를 묻는 문항에 대해 음악치료사(M=3.43, SD=0.96)와 코디네이터(M=2.73, SD=0.77)의 응답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의 음악치료는 현재 시행 기관이 많지 않고 환경이 열악하지만,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결과를 볼 때 향후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기관에서의 음악치료 현황에 대한 최초의 정량적, 통계적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국내 성인지적장애인 음악치료 중재 현황

        오지은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3 No.2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music therapy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by conducting a survey of music therapists. Completed surveys from 32 certified music therapists were included for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8 items that asked about the participants’ background, work environment and music therapy implementation experience (including assessment, goal establishment, intervention strategy and difficul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music therapy for adults with ID was practiced in diverse facilities. Enhancing social interaction was the most frequently set goal by music therapists, whereas facilities mostly required the music therapy services for emotional stability. Also, instrument playing was used most among music activities, and musical structure was considered most when choosing music for therapy. Among the influential institutional factors,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were considered most frequently, and the level of functioning was the most considered in terms of client-related factors. To advance the effective use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with adults with ID,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assessment tools and more active communication with facility staff were also suggested when working with this popu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 음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국내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임상중재의 현황과 중재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인지적장애인 대상으로 음악치료제공경험이 있고 설문 참여에 동의한 음악치료사 39명 가운데 정규 자격증을 취득한 음악치료사 32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음악치료사의 배경정보, 성인지적장애인 음악치료 환경, 형태, 음악치료 진단, 목표설정, 중재전략,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의 어려움에 대해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성인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는 사회복지시설, 병원, 음악치료센터 등 다양한 시설에서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음악치료사들이 설정한 주된 음악치료 목표는 상호작용 향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기관 담당자의 의견과는 일치했지만 음악치료가 소속된 기관의 서비스 항목인 정서 안정과는 일치하지 않았다.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에서 상호작용 향상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된 활동은 악기연주로 나타났고, 음악치료 내에서 음악을 사용할 때 가장 많이 활용한 음악 요소는 형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중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기관 관련 요인은 기관의 특성이었고, 대상 관련 요인은 기능수준으로 나타났다.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중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성인지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진단도구 개발과 기관 담당자와의 원활한 소통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악치료가 성인지적장애인 대상으로 효과적인 중재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향후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국내 음악치료 전문 학술지 연구 현황 분석

        조현아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3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urrent trends in music therapy literature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the groundwork for future research. Therefore, 122 articles from 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KJMT) from 1999 to 2012 and 76 articles from the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JMHB, formerly known as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from 2004 to 2012 were analyzed. Analysis was performed by identify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following items: type, population, topic, and methodology of published articles. In addi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between these two publications.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high prevalence of descriptive studies (KJMT, 46%,; JMHB, 45%), applied research (KJMT, 51%; JMHB 66%), and quantitative studies (KJMT, 82%; JMHB 37%). In addition, ordinary people with no particular diagnosis were the most often studied population (34%). Differences were found in that a historical study was only found in KJMT whereas a philosophical study was published only in JMHB.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JMHB included a higher proportion of applied research than KJMT. In KJMT, quantitative research was appeared twice as often as qualitative and mixed-method research combined. On the other hand, a similar number of each of the three methodological types of studies appeared in JMHB.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more effort should be made to increase the quant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professional publications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 학술지 연구의 현황과 미래 방향성에 대한 기초 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999년에서 2012년까지의 한국음악치료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KJMT) 122편과 2004년에서 2012년까지의 인간행동과 음악연구(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JMHB. 전, 음악치료교육연구,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76편의 총 198편의 논문을 유형, 대상, 주제 및 방법에 따라 연도별 게재 현황과 비율을 고찰하고 각 영역별 비율에 대한 두 학술지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유형 중 기술연구가 46%(KJMT), 45%(JMHB)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연구대상에서는 두 학술지 모두 일반대상에 대한 연구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34%). 연구주제에서는 학문연구가 51%(KJMT), 66%(JMHB)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에서는 양적 연구가 82%(KJMt), 37%(JMHB)를 보이며 각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차이점으로 KJMT에 게재된 연구유형에는 역사연구가 있었으나 철학연구는 없었던 반면, JMHB에는 철학연구는 있었으나 역사연구는 없었다. 연구주제에서는 KJMT보다 JMHB에서 학문연구의 비율이 높았으며 연구방법에서는 KJMT에서 양적 연구가 질적, 통합적 연구보다 2배 이상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면, JMHB에서는 각 연구가 유사한 비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음악치료 전문 학술지 연구동향을 파악 할 수 있으며 향후 음악치료 학문발전을 위한 연구의 양적 확대와 질적 제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예술치료교육의 개념 정립과 정의

        정현주(Chong, Hyun Ju)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8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5 No.2

        예술치료교육은 예술치료의 하위개념으로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새롭게 개념화 되고 있는 영역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 중심의 예술치료교육의 대상, 목표, 예술매체의 치료적 특성을 살펴보고 개념 정립과 정의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예술치료교육은 음악, 미술, 그리고 운동/동작 등의 예술매체를 사용하여 아동의 심리․정서적 문제에 대한 치료를 바탕으로 심리사회적 문제를 극복함으로써 교육적 잠재력을 실현시키고 전반적 성장을 돕는 통합적이고 전인적인 접근이다. 예술치료교육은 예술치료와 학교라는 현장성, 학교의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며, 이에 따른 치료 목표도 타 임상 현장과는 다른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방과 후 학교에서부터 시작되어 증가하고 있는 수요에 따라 예술치료교육 전문성 강화 방안과 활성화에 필요한 전략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Arts Therapy Education is an area under major arts therapy field which focuses on the children in school setting who ha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 and the need of it has been increasing as for after-school programs. The study purports to delineate arts therapy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elements that differentiate from the major arts therapy approaches, respectively. Arts therapy education is an integrated approach which focuses on primarily alleviating children s emotional problem through therapeutic experiences of arts, and then secondarily helping them to actualize their potentials in learning and achieve educational outcomes. It is also examined that arts therapists working in school setting who need to acquire knowledge in education related theories and further be able to work with emotional, psychological issues from ecological factors. Also it is needed to seek efficient strategies to promote professionality of arts therapy education.

      • KCI등재후보

        음악치료 접근을 통한 특수학교음악교육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지적장애 중·고등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

        배지혜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3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효과적인 음악 수업을 위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였다. 지도안 구성 시 특수교육 분야에 관련서비스로써 역할을 해 온 음악치료 영역을 음악 교과 수업 장면에 접목시켰다. 지도안은 2008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음악과에서 각 영역별로 주제를 재구성하여, 제재를 한 가지씩 선정하였고 교육적, 치료적인 목적에 따라 학생들의 기능 수준별로 나눈 3단계의 학생활동과 교사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지도안은 특수음악교사 3명과 음악치료사 3명의 검증을 거쳐 1차와 2차 피드백을 받아 내용을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지각, 표현, 감상 영역에 따른 단계적이고 연속적인 교육활동을 위하여 개발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바탕으로 총 20차시의 지도 계획표와 한 학기 분량의 월별 지도 계획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지적장애 학교에서의 효과적인 음악 수업을 위한 자료 개발과 향후 개정 교육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더불어 음악치료적 접근을 중심으로 음악 수업환경을 제공하는 새로운 방법론적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usic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second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based on music therapy approach. Designed lesson plans included three learning domains based on the guidelines from 2008 amendments to the special education music curriculum: Perception, expression, and appreciation. Within the domains, instruction topics and its corresponding contents were re-structured as considered more appropriate and effective for implementing music classes for this population. With consideration of therapeutic goals as well as educational goals, student activities and teacher activities were designed and the activities were presented at three levels depending on students' functional levels. Integrating these instructional components into an actual plan, this study presented yearly (for 20 hours of classes) and monthly lesson plans. The developed lesson plans were reviewed and verified by related professionals including special class teachers and music therapists. As systematic and well-organized lesson pla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ould provide basic music education resourc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It would also enable the discussion on the music therapy-based teaching-learning program as new methodological and strategic ideas applicable to future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말기질환 아동을 위한 환경적 지지모델(The 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에 근거한 음악치료사례연구

        전미혜,Jun, Mi Hye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5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2 No.2

        Terminal pediatric patient include congenital metabolic abnormalities, chromosome aberrations, congenital anomalies, neuromuscular diseases and other incurable conditions as well as malignant tumors. One third of these diseases are cancers, and two thirds of cancers are lymphadenoma and leukemia. Terminal pediatric patient may feel fear, anger and frustration against treatment process in hospitals, lose control of themselves and stay in helplessness due to restrictions within controlled hospital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ized childrens behavior and music using 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erapya theory stating therapeutic music environments possess three elements of Structure, Autonomy support and Involvement, and increase childrens active engagement. Focused on these three therapeutic elements, this study analyzed music therapy cases of terminally ill childre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behavior and music as environmental supportive medium in the environment. This study is on a single case case subject, a 10-year-old girl with acute lymphocytic leukemia. Nine sessions of music therapy activitie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method. Focusing on three therapeutic elements of Contextual Support Model, analysis of sessions was made on the basis of activitie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is study. Main music therapy activities included singing while playing musical instruments, singing while listening to music through CD player, making up songs, and searching for song li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in terms of Structure, music therapy suggested a direction for effective musical activities for terminally ill children by providing environments where child can sing, play musical instruments and make up songs; b) in terms of Autonomy support, music therapy encouraged childs voluntary participation by giving her chances to make choice while singing 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c) in terms of Involvement, child could gain positive approval of the therapist and conduct musical activities in cooperation with the therapist. Music therapy serves as supportive medium in the environment, develops spontaneity and self-reliance in emotionally depressed children, and promotes voluntary attitudes in the restricted hospital environment. Based on the positive effects of music therapy, mor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approach to more various terminal pediatric patients. 아동에게 있어서 말기 질환의 범위는 악성종양을 비롯하여 선천성 대사이상, 염색체 이상, 선천성 기형, 신경근육계 질환, 기타 다른 불치의 상태까지 포함한다. 병원환경에서 이러한 말기 질환 아동은 질병의 치료 과정과 관련하여 공포심, 분노, 좌절감을 경험할 수 있으며 통제된 병원 환경안에서 자율성을 제한받기 때문에 통제감을 상실하고 무기력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지지 모델(Contextual Support Model of Music Thterapy)을 중심으로 음악치료가 병원환경에 있는 말기질환자들의 정서 및 기능 변화에 긍정적 변화를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환경적지지 모델 음악치료는 음악 환경의 구조적인 특성(structure),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그리고 참여(involvement)라는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치료적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음악 환경은 아동의 활동을 지지하고 격려하도록 도와준다. 이 세 가지 치료적 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본 연구는 말기질환 아동과의 음악치료사례를 분석하여 말기 질환 아동의 행동이 환경적 지지 역할을 하는 음악 안에서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10살의 급성 림프성 백혈병 여아로 총 9회의 세션을 통한 음악 치료 활동 내용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내용분석은 환경적 지지모델의 세 가지 치료적 요소 중심으로 본 연구자가 설정한 행동들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환아와의 주 음악 치료 활동은 악기 연주하며 노래부르기, CD플레이어로 노래 들으면서 노래 부르기, 노래 만들기, 노래 가사 탐색하기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적인 구조적 특성(Structure) 측면에서는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를 수 있는 환경과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음악 만들기 활동을 할 수 있는 준비를 해줌으로써 아동이 성공적으로 음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주었다. 자발성 지지(Autonomy support) 측면에서 음악치료는 노래를 부르거나 악기를 연주할 때 여러 가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참여(Involvement)의 측면에서는 치료사가 아동에게 긍정적인 강화를 제시함으로써 아동이 긍정적으로 경험하고 공유된 활동 안에서 치료사와 상호 협력적으로 음악활동을 진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음악치료는 환경적으로 지지 역할을 하며 정서적으로 위축되어있는 아동에게 자발성과 독립성을 개발시켜주고 병원 환경이라는 제약된 환경 안에서 자율성을 촉진시켜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음악 치료의 효과를 근거로 하여 입원 환경에 있는 아동들을 위한 더 다양한 접근 방법의 음악치료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3-6세 유아의 영역별 발달 촉진을 위한 단계별 음악치료교육 활동 연구

        이수연,Lee, Su yeon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3 No.1

        유아기는 발달의 가소성이 높은 시기로써, 이 시기에 적절한 발달 과정을 거쳐서 성장한 유아들은 학령기에서 성인기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을 할 때 발달 특징을 충분히 이해하고, 단계별로 진행되는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유아가 균형적이며 전인적인 발달을 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 유아를 교육할 때는 신뢰를 형성하고 유용한 관계를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즐거움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음악은 즐거운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음악의 다양한 요소를 활용한 음악 활동은 유아의 각 영역별 발달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음악치료에서는 이러한 음악의 효율적인 사용을 통해서 대상자의 연령별 수준에 맞는 음악 활동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계획하여 대상자로 하여금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성장을 돕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유아는 운동, 인지, 언어, 사회성과 정서 영역에서 각각 발달의 특징을 보이며, 각 영역의 발달을 위한 음악적 접근 방법이 많은 선행 연구들에서 모색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유아의 영역별 발달 단계를 구분하고, 각 발달 단계에 따른 세부 목표를 설정하여 목표 달성과 발달 촉진을 위한 음악치료 교육 및 음악적 접근 방법을 적용한 음악치료 교육 활동을 연구, 개발하였다. 연구방법은 크게 문헌 조사와 검사지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 조사는 유아의 영역별 발달 특징과 음악적 접근을 모색한 선행 연구를 파악하는 단계에서 활용 되었으며, 이를 실제 유아의 발달 단계에 적용하여 적합한 음악치료 교육 활동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전문가의 검토를 받는 검사지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활동들은 관련 영역의 전문가 5명으로부터 타당도를 검토 받았으며, 검토 분석 결과, 유아의 영역별 발달 단계와 각 단계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음악 활동의 구성이 적합하고, 현장에서 활용하기에 유용성과 효율성이 있으며, 유아의 영역별 발달 촉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각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음악치료 교육 활동을 수정, 보완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유아를 교육하는 현장에서 유아의 발달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음악치료를 하는 현장에서는 치료사들이 장애아동을 치료하는데 단계별 수준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arly development of an infant is crucial due to the enormous impact it has throughout an infant's lif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 infant and provide a high-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so that an infant can progress at an innate pace to learn how to exercise, understand, speak, socialize, and empathize as well as having a balanced growth. When educating an infant, joy is a substantial factor in the formation of trust and development of relationship that makes education efficient. Music can be an effective means to offer a fun atmosphere vto the infant in which it stimulates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fant and development of a variety of dimensions to the infant's development. Also, the purpose of music therapy education is utilizes to plan for the different age groups'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 and allow the infant to have a positive experience and develop proper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to examin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infant' developmental steps thoroughly, to suggest interventions using music therapy education to stimulate development of an infant, to prove that infants age 3 to 6 obtain the necessary ability and skill through the effective educational therapy through music, and finally to create a music program for educating infants or music therapy. This study has examined theories of the music approach targeting infants age 3 to 6 and made character observations of infant' Motor, Cognition, Communication, Socialization, and Emotions. With the basis of the above theory, the different levels of development has been divided, specific goals has been set up according to the levels, and various music therapy education for infants have been created. The music therapy education activity has been approved by five professionals who are renown in their specific field. They made comments that the development levels were properly divided in the paper. They also commented that the music program is adequate for achieving the goal of each developmental level and it stimulates the different levels of an infant's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study reflects that the approach of music therapy education stimulates the different levels of infant development. Music therapists can utilize this music program to help handicapped children identify characteristics of progress and develop at their own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