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접점과 횡단

        이명현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3 고전과 해석 Vol.39 No.-

        This study examined the fusion points and scopes of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to expand the research areas of classical literature. There should be methodologies to overcome differences in time distance, genre, and medium in order to include classical literature content in the research area of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ers have proposed such methodologies including transmedia storytelling, narrative Possible Worlds theory, and content-based old novel research methodology. Each of them has a different starting point in a theoretical design, but they all engage in academic searches to jump over time distance with a focus on similarities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and overcome differences in genre and medium between literature and content. The multiple identities of classical literature should be recognized to traverse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cultural content in terms of genre. Classical literature is not only the legacy of people’s spiritual culture, but also contains fantastic and unrealistic story elements. It offers multi-layered hybrid outcomes with diverse and heterogeneous elements accumulated in them. It is needed to take an approach in rhizomatic derivation and expansion and three-dimensional development through contact and differenti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multiple identities of classical literature and their variations as cultural content. These research methods should be necessarily oriented toward interdisciplinary fusion researches and pursue an expansion from literature study to culture study. Cultural content with classical literature as a material is not called classical literature, but it is for certain that it offers cultural content including elements of classical literature’s variations according to times. When a classical literary man approaches it by traversing genres, he can find the most appropriate object of research. 이 논문은 고전문학 연구 영역의 확장을 위해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융합 지점과 범위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고전문학콘텐츠를 고전문학 연구 영역으로 포함하기 위해서는 시간의 거리, 장르와 매체의 차이 등을 극복할 방법론이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내러티브 가능세계이론, 콘텐츠 기반 고소설 연구 방법론 등이 제시되었다. 각각은 이론적 설계의 출발점은 다르지만,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시간적 거리를 뛰어넘고, 문학과 콘텐츠라는 장르와 매체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학술적 모색이다.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장르적 횡단을 위해서는 고전문학의 다중 정체성을 인정해야 한다. 고전문학은 민족의 정신문화 유산일뿐만 아니라 환상적이고 비현실적인 이야기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다양하고 이질적인 요소들이 집적된 다층적이고 혼종적인 결과물이다. 고전문학의 다중정체성과 문화콘텐츠로의 변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리좀적인 파생과 확장, 접촉과 분화를 통한 입체적인 전개 등의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 방식은 필연적으로 학제 간 융합연구를 지향해야 하고, 문학연구에서 문화연구로의 확장을 추구해야 한다. 고전문학을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는 고전문학은 아니다. 하지만 고전문학이 시대에 대응하여 변주된 요소를 포함한 문화콘텐츠이고, 고전문학자가 장르 횡단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연구 대상이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후반 식민지 조선 문단의 맥락과 양주동 고전시가 연구의 시공간적 상상

        박영재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1 No.-

        본 논문은 양주동(梁柱東, 1903~1977)의 고전시가 연구를 그의 연구가 진행되었던 일제강점기 후반, 즉 1930년대 후반~1940년대 전반의 식민지 조선 문단이라는 맥락 속에서 새롭게 조망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온 그 문화사적 의의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일제강점기 ‘민족문학 연구’의 기치를 높이 세웠다고 평가받는 양주동의 고전시가 연구가 제국주의의 엄혹한 서슬 아래에서 과연 어떻게 실존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여, 종국에는 국문학 연구사 초반 ‘고전문학’ 담론의 형성 과정을 톺아보려는 작업이다. 양주동의 고전시가 연구는 식민지 조선의 문인들이 신라를 한국사(조선사)의 ‘고전적 고대’로 상정하던 1930년대 후반의 문단 풍토에서 산출되었는데, 이러한 당대의 분위기는 사실 1910년 이전부터 신라의 역사와 문화를 대상화해온 일본의 문화 제국주의와 동전의 양면을 이루고 있었다. 신라 애호라는 문화사적 유행 이면에 이른바 ‘일선동조론’이나 그 연장선에 있는 ‘내선일체’의 논리가 자리했던 것이다. 한편 중일전쟁을 전후한 1930년 후반, 식민지 조선 문단에는 일본의 문화 제국주의와 ‘신체제’ 구상 속에 조선어와 조선어문학이 소멸의 기로에 처했다는 위기감이 팽배했다. 그리고 《문장》 안팎의 문인들은 식민지배의 질서 내부에 ‘조선어’와 ‘조선문학’을 구성해냄으로써, 베네딕트 앤더슨식으로 말하자면 ‘상상’해냄으로써 이러한 상황에 대응했다. 이러한 맥락과 더불어 고어 어휘론에 천착했던 양주동의 연구 경향에 주목하면, 당대 조선어의 한계로 여겨지던 어휘의 부족 문제를 해소하려 한 양주동의 면모는 제국 일본의 내부에 ‘상상의 조선어’를 정초하려 한 《문장》파의 지향과 잇닿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고전문학’ 담론의 향배에 초점을 두고 양주동의 연구를 조명하면, 그의 고전문학 인식은 시간적이고 질적인 구획을 통해 시조-고전문학의 위상을 상정한 이병기의 시각과는 다소 궤를 달리하는 것이었다. 그는 시조-고전문학을 시간적으로는 ‘과거의 것’, 공간적으로는 ‘조선=동양의 것’으로 설정하는 한편, 두 속성을 결부함으로써 시조-고전문학이 ‘과거=조선=동양의 것’이기에 ‘문학적으로 가치있는 것’이라는 고전문학 담론의 함수를 구성해냈다. 이는 첫째로 향가가 향유되었던 시대의 ‘羅語’와 근세조선어를 시간적 연속성으로 묶는 시간적 상상, 둘째로는 고려가요와 ‘麗語’ 연구를 위해 만주·몽골어 등 북방어 이해가 필요하다는 발화 속에서 조선어의 계통적 확장 및 재정립을 꾀하는 공간적 상상을 통해 만들어졌다. 양주동 고전시가 연구의 이 ‘시공간적 상상’은 제국주의 지배담론의 체계에서 삭제되었던 식민지 조선의 자리를 제국 일본의 ‘동아시아’ 안에 호명하여, 식민지 권력의 예속적 관계들 내부에 균열을 도모했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 문화이론에서 말하는 ‘저항’에 상응하는 행위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Yang Ju-dong(1903~1977)’s research on the Korean classical poetry, focusing on its contexts of the ‘Korean Parnassus’ group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of Korea, from the late 1930s to the early 1940s. At the time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writers of “Munjang”, a popular coterie magazine founded in 1939, tried to ‘invent’ the language and literature of Joseon(Korea). Yang Ju-dong’s research on the Korean classical poetry, particularly interested in lexicology of ancien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related to such tendency of Munjang and its writers at that time. Concerning the discours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Yang ju-dong conceived double boundaries of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e diachronic ‘past’ and the spatial ‘Korea=Orient.’ By fusing these concepts of time and space, he organized a singular ‘function’ of space-time of the Korean literature, that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as valuable because it came from the past(classical antiquity), which meant it preserved Korean=Oriental aesthetics very well. These imagined boundaries and their function relied on two inventions. The first was the invention of the continuity of Korean language, from the language of Silla dynasty to the modern Korean. The second was the invention of the genealogical extension of Korean language toward Manchurian or Mongolian, based on the hypothesis of ‘Ural-Altaic language family.’ It seems that Yang ju-dong’s research internalized, to a certain degree, the logic of Japanese Imperialism, especially on its Orientalism or direction of ‘post/anti-westernization.’ To quote Homi Bhabha’s words, however, the invention of Yang ju-dong’s research can be analyzed as ‘resistance,’ because it interpellated Joseon(Korea), which was completely eliminated, into the Japanese imperialistic initiative of ‘Greater East Asia’, and therefore, implied “the signs of cultural difference and reimplicate them within the ‘deferential relations’ of colonial pow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김태준의 고전문학론

        장경남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2 고전과 해석 Vol.12 No.-

        본고는 김태준이 남긴 백여 편의 논저 가운데 문학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해서 고전문학에 대한 인식과 고전문학 연구방법론에 대해 논한 글이다. 김태준은 조선문학을 국문문학에 한정지으면서 그 범위를 서양의 분류법인 서정ㆍ서사ㆍ극에 적용하여 가요ㆍ소설ㆍ희곡으로 한정하였다. 그런데 여기에 적용할 수 없는 신화, 전설, 고사, 야담류를 따로 분류해 실질적으로는 4분류 체계를 세우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서구의 문학 유형에 입각한 분류가 이루어졌지만 조선문학의 특수성을 반영한 결과인 셈이다. 김태준은 세계사적 보편성에 입각해 조선 사회를 바라보려는 시각을 견지하고 있었다. 문학의 개념이나 분류에서도 서구 중심의 문학이론에 맞추어 조선문학을 해석함으로써 세계사적 보편성을 획득하려고 했던 것이다. 이것이 근대화이고 식민지를 벗어나는 길이라고 여긴 것이다. 문학 연구방법 또한 세계사적 보편법칙을 따르다 보니 사회주의적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전통적인 문학연구방법에서 벗어나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찾았고, 그 방법이 바로 사회경제사적 입장을 바탕으로 한 사회주의 문학사관이었다. 이 연구방법은 현실 생활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겼고, 그에 따라 문학 연구에 있어 실천적 자세를 견지한 것이다. This manuscript discusses research methodology of classical literature and understanding on classical literature of Taejoon Kim. By limiting literature in Joseon Dynasty in Korean literature, Taejoon Kim applied the range to lyric writingㆍnarrationㆍplay, which is a Western classification system. But as he separately classified myth, legend, ancient history and unofficial historical tale that cannot be applied there, there are actually 4 classifications system. Fundamentally the classification was based on Western literature type but it also relfect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in Joseon Dynasty. Predicating upon global universality, Taejoon Kim held fast to the viewpoint to Joseon society. On literary concept or classification, as he interpreted the literature in Joseon Dynasty in accordance with Western literary theory, Taejoon Kim attempted to acquire worldly universality. he considered that is modernization and a way to be rid of being a colony. Following universal rules, research methods of literature also sticks to a socilaistic viewpoint. Deviating from traditional method of literary research, Taejoon Kim found scientific research method, and that method is a socilaistic view of history on literature based on socio-economic perspective. This research method wa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real life therefore it maintained a practical attitude toward literary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