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5世紀韓中傳奇小說的還魂母題比較研究 - 以『金鰲新話』與『剪燈余話』為中心 -

        王夢 열상고전연구회 2015 열상고전연구 Vol.52 No.-

        생자필멸(生者必滅)이라는 말처럼 모든 생명이 있는 것들은 언젠가 죽음을 맞이한다. 이러한 거스를 수 없는 법칙에 대하여 사람들은 늘 문학작품을 통해서 영생불멸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망을 표출하군 하였다. 괴테는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내면에 불멸의 증거를 담고 있다고 하고, 노자는 사이불망(死而不亡)이라고 하며 장재는 형궤반원(形潰反原)이라고 하였듯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은 영생불멸에 대해 끊임없이 생각하고 있었다. 영생불멸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고 본다. 하나는 영원히 살아서 죽지 않는 것이고 하나는 죽었다가 다시 부활할 수 있는 것, 즉 환혼을 말한다. 따라서 본고에서 필자가 주목한 것은 바로 환혼의 경우이다. 필자는 환혼의 종류를 4가지로 나뉘었다. 첫째, 부활(復活), 즉 개체가 죽은 후, 개체의 영혼이 개체로 떠났다가 다시 개체로 돌아오는 경우이다. 둘째, 차시환혼(借尸還魂), 즉 죽은 개체의 영혼이 다른 죽은 이의 시체를 빌려 재 부활하는 경우이다. 셋째, 투태(投胎), 즉 개체의 영혼이 다시 모태에 들어가 재차 세상에 태어나는 경우이다. 넷째, 회생(回生), 즉 죽은 개체의 영혼이 저승으로 떠났다가 다시 이승으로 돌아오는 경우이다. 다만 다시 개체로 돌아오지 않고 영혼의 상태로 이승에서 존재한다. 그동안 한국의 『금오신화』와 중국의 『전등신화』에 대한 비교연구는 많이 진행되어왔지만 『전등신화』의 적류(嫡流)로서의 『전등여화』와의 비교연구는 부족하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금오신화』가운데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과 같은 성격의 문헌인 『전등신화』 가운데 「가운화환혼기(賈雲華還魂記)」, 「추천회기(秋千會記)」, 「봉미초기(鳳尾草記)」를 검토하여 5편의 작품을 읽었을 때 쉽게 찾아볼 수 있었던 환혼 모티프와의 대비를 통해 드러나는 변별점과 공통점들을 제시한 동시에 이런 점들이 발생한 이유에 대해 살폈다. 『금오신화』의 환혼 모티프와 『전등여화』의 환혼 모티프의 공통점은 세 가지를 발견했다. 첫째, 여주인공이 남자로 환혼한 경우가 있다. 둘째, 환혼을 이루게 하기 위해 종교의 힘을 빌리는 경우가 있다. 셋째, 남주인공이 여주인공에 대한 사랑의 깊이는 환혼을 하게 되는 종류의 설정에 대하여 어느 정도 결정 작용을 한다. 이처럼 공통점을 갖고 있는 동시에 세 가지 면에서의 변별점도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금오신화』의 환혼 모티프와 『전등여화』의 환혼 모티프의 차이점은 주로 여주인공 사망의 원인, 환혼의 종류와 환혼의 이유에서 현저히 드러난다는 사실 알 수 있다. 『전등여화』에서는 그녀들의 비극이 봉건예교(封建禮教)의 진부한 누습, 가정의 몰락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지만 『금오신화』에서는 여주인공이 전란으로 죽고 한을 품고 있는데 이는 조선 초기 정치적 혼란이 심각했던 사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 하나의 차이점으로 들 수 있는 것은 『금오신화』의 경우 일시적 환혼을 위주로 하는 반면에 『전등여화』의 경우에는 영구적 환혼을 위주로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금오신화』중에 나타난 환혼을 이루게 한 힘(환혼의 이유나 방법)은 모두 천명(天命)인데 『전등여화』의 대부분은 천명이 아닌 지극한 사랑이라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두 가지 사이를 해명하기 위해 두 작가의 신분과 그들의 사상(특히 귀신론)을 살펴서 이유를 도출했다. Geumoshinhwa(『金鰲新話』) which was written by Kim Si-seup(金時習 1435~1493)in the early Joseon Dynasty(about 1465~1472), and Jeondeungyeohwa(『剪燈余話』)which was written by Li Chang-qi(李昌祺) in the 18th year of the reign of Ming Emperor Yongle(about 1419). One is a Korean work, one is a Chinese work. It seems far away from each other, however, if we pay further attention to these two works, we'll find that there exists a subtle attachment between each other. For example, the two works were both written in fifteenth Century(the founding period of two dynasties), both underwent Jeondengshinhwa(『剪燈新話』)'s influence. So there are a lot of same themes and motifs between Geumoshinhwa and Jeondeungyeohwa. One of the most obvious motif that can be found in these two works is the motif of 'the return of the dead sprit'. This article mainly talks about 'the return of the dead sprit' motif of Geumoshinhwa and Jeondeungyeohwa. Regardless of national differences of China and Korea in these two works, 'the return of the dead sprit' motif based on its universal symbolic has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hich is well worth us to study. The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these two works can also explain the reasons for thi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paper summarizes three similar points. Firstly, in these two works, there is a same type that the heroines can reincarnate in the form of males. Secondly, the means of religion are found used in the process of resurrection. Thirdly, to a certain extent, the heroines’long-cherished wishes when they are alive play a decisive part in deciding the type of resurrection. This paper also summarizes three different points. Firstly, the difference in the cause of death. Secondly, the difference in the type of 'the return of the dead sprit'. Thirdly, the difference in the reason of 'the return of the dead sprit'.

      • KCI등재

        韓中 ‘井’ 意象的比較考察 - 以15世紀之前的文獻記錄為中心 -

        王夢 동아시아고대학회 2017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7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 중의 하나인 『주역(周易)』에서는 “읍국(邑國)은 바꿔도 우물은 바꿀 수 없다(改邑不改井)”는 말이 있다. 이처럼 옛날 사람들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우물은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할 뿐 만 아니라, 또 많은 역사와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다. 같은 동양 문화권에 속해있는 한국과 중국의 역사문헌이나 설화 작품 속에서 “우물”의 이미지는 보편성을 바탕으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표출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충분한 비교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 필자가 주목한 것이 바로 “우물” 이미지의 상징적 의미와성격이다. 현재까지 한·중 양국에서 “우물”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진행되어왔지만, 이런 연구의 기초로 검토되어온 자료의 수량도 충분하지 않을 뿐 더러비교연구도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하여 본고에서는 15세기 전의 양국의 역사문헌(한국의 『삼국사기』, 『고려사』와 중국의 『사기』, 『신당서』, 『원사』 등), 문헌설화(한국의 『한국유사』와 중국의 『태평광기』, 『수신기』, 『유양잡조』 등)에 대해검토를 진행하여, 해당 자료들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었던 “우물”의 이미지와의대비를 통해 드러나는 변별점과 공통점들을 제시하는 동시에 그 이유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양국 “우물”의 이미지에서는 4가지의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양국의 해당자료에서 “우물”은 모두 위대한 인물의 탄생 공간이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음에서 유사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양국의 해당 자료에서 “우물”은 모두 다른 공간을 연결시켜주는 통로의 역할을 갖고 있는 경우가 있다. 셋째, 양국의 해당 자료에서 “우물”은 모두 국운을 점칠 수 있는 공간이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넷째, 종교와 관련된다. 이와 같은 “우물”의 공통점과 더불어 또 4가지의 변별점도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양국의 해당 자료에서 “우물”은 위대한 인물의탄생 공간이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음에서 유사성을 보여주었지만 한국의 경우위대한 인물은 보통 군왕이나 왕비이었다는 반면, 중국의 경우 군왕이 아닌 종교의 인물이라는 것으로 그 뚜렷한 차이점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런 차이점은 한국의 건국신화는 시조의 탄생을 중요시하고 중국의 건국신화는 시조의 탄생보다건국과정에서의 투쟁을 중요시한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양국 건국신화에 있어서의 근본적인 차이는 결국 후세의 한국문헌 속 “시조의 탄생”에 대한 편향으로 작용되었다. 중국의 경우, 매우 발달한 신선체계와 다양한신선이야기가 일정한 면에서 역사문헌에 대해 영향을 주었을 뿐 만 아니라, 이러한 영향 속에 더불어 민간이야기에서도 신선의 탄생에 관한 것이 상대적으로 편중되어 기록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통로의 역할을 함에 있어서 한국의 우물보다 중국의 우물은 연결시킬 수 있는 공간의 종류에 있어서 보다 다양하다. 예를 들면, 중국에서 우물은 현세와 저승을 연결시킬 수 있는 반면, 한국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이점의 존재는 결국 중국 문학사에서 지괴소설의 발전과 긴밀한 연관을 갖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한국 “우물”의 이미지는 보통 불교와 관련되어 있는 반면, 중국의 경우 도교와 관련된 것이 보다 많다는 것이다. 넷째, 점칠 수 있는 공간의 역할을 할 때에도 한국의 “우물”은 보통 “용(龍)”과 같이 나타나는데, 이는 결국 왕권의 정통성을 강조하는 의도에 기인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As said in the The Book of Changes, “changing the city instead of the well”, for the survival of the ancient people, the well is irreplaceable. It is because the well is closely related to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mankind, the image of the well is not difficult to find in the ancient and modern literary works. Especially for China and Korea, which are both in the Asian cultural circle, whether in the documentary literature, or oral literature, many records and stories about the well can be found. This article aims at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iterature, using parallel research techniques, taking well image as the object of study, discuss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of the well, and analyzing the further reason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istorical documents (Samguk sagi and Goryeosa for Korea, Historical Records, New History of the Tang Dynasty and History of Yuan for China) and documentary stories (Samguk Yusa for Korea and TaiPing Collection for China and In Search of the Supernatural and Miscellaneous Morsels from Youyang) of China and Korea before the fifteenth century. There are four similarities in the well image between the two countries. First, there are images of the space of great people; Second, both have the function of connecting channels; Third, there are examples that as the object of divination and as a sign of the well image; Fourth, both have a large number of images related to religion. In addition to the four similarities, there are four differences. First, the well in the two countries both have examples of great figures, but in Korea often refers to the monarch or his concubine, and religious figures for China rather than the monarch, this has to do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s founding myth; Second, although the wells of both have examples as channels, the wells in China are much wider than in Korea, such as sheol. It’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ed China mystery novels; Third, in terms of divination objects, the image of wells in Korea is often associated with dragons; Fourth, many parts of Korea’s well imagery are related to Buddhism, while China’s well imagery is related to Taoism.

      • KCI등재

        한․중 역병(疫病) 귀신 이미지의 비교 고찰-고전 서사 문학을 중심으로-

        왕몽 열상고전연구회 2022 열상고전연구 Vol.78 No.-

        In the face of the epidemic disease, the ancient Korean and Chinese people had the same behavior of praying to gods and ghosts because they were unable to have a scientific pathological understanding of this disease. To the ancient Korea and China, both in the East Asian cultural circle, what were the images of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se two countries, and what were the cultural genes behind them? With the above questions, this paper took the Korean and Chinese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as the research materials, and ma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images of gods and ghosts of epidemic disease between the ancient Korea and China. This paper is main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ith the appearances of the men or women, and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ith the appearances of the elderly or children.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 ancient Korea and China which are both in the East Asian cultural circle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est. Although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se two countries look terrible, their images are sometimes pitiful. In addition, the gods of the epidemic disease are the gods who spread the epidemic and kill human beings, as well as the gods to cure the human beings.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of the two countries not only have this similarity, but also show obvious differences because of the distinctions in the types of main stream religions, the types of civilizations, people's path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epidemic disease and other aspects. In the ancient Korea, the gods with the appearances of the men are often portrayed as the majestic type or the Confucian type, while the gods with the appearances of women are mostly beautiful and young. In the aspect of character, the narrative does not particularly emphasize the good side or the bad side of their characters. In other words, their characters have several different dimensions. In the ancient China, if they are the Gods of plague, they are often portrayed as the heartless and majestic type. At the same time, their often have specific appearance elements such as red hair and blue face and so on. If they are the Gods of pox, they are often portrayed as the sage-like type Taoists. The gods with the appearances of women are mostly beautiful and young. For human women, an important condition for becoming a goddess of the epidemic disease is whether they have done good deeds before death. However, the ancient Korean did not regard this as an important condition for becoming a goddes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 aspect of their characters, the characters of the Chinese gods of epidemic disease with the appearances of the men or women are flat and lack of vitality. In addition, "the Visitors from other places " is also one of the images of the god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 ancient Korea, but this feature is relatively rare in the ancient China. The narrative of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ho are in human form in the ancient Korea and China is not as diverse as the narrative of the gods, and there are no great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s of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and the traditional ghosts in these two countries. In the narrative of these two countries, if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appear as an old woman or a child, their are not the gods of the epidemic disease, but rather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Furthermore, in the Chinese narrative, there is a unique image of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ho often wear yellow clothes and carry a bamboo suitcase on their backs to spread the epidemic disease. In fact,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ancient Korea and China often appear with the nonhuman forms, and a comparative study of this theme will be carried out as a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17世紀韓中古典文學中的女性譚比較研究 - 以『於于野譚』與『聊齋誌異』為中心 -

        王夢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1 No.-

        『어우야담』은 유몽인에 의해 편찬되었고, 조선 중ㆍ후기(약 1622년 경)에 완성되었으며, 『요재지이(聊齋誌異)』는 포송령(蒲松齡)에 의해 채록되어 편찬되었고, 강희(康熙) 18년(약 1679년)전후 완성되었다. 지금의 시각으로 보면 하나는 한국의 작품이고 하나는 중국의 작품이라 거리가 멀지만, 꼼꼼히 따지고 본다면 묘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양자는 모두 양국의 마지막 봉건 왕조 때 편찬된 작품집이고, 민간의 짧은 이야기를 채록하여 편집된 것이다. 즉 갈래의 특성 면에서 매우 유사한 것이다. 특히 두 작품 속에 여성과 관련된 이야기가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필시 주목할 만하다고 본다. 이들 여성의 신분도 귀족, 평민, 기생, 노비, 무녀, 여승 등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이 두 작품집에 수록된 여성의 이야기 가운데 일부는 부모나 시부모를 잘 봉양하는 효녀, 난을 당하여 자결로 정조를 지키거나 오랜 세월에 걸쳐 고난과 싸우며 수절하는 열녀, 아이들을 잘 가르치는 현모 등과 같이 전통적인 여성상을 다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 작품집 속에서 절대 다수의 분량만은 아니더라도 늦은 밤에 담을 넘어 자신이 사모하는 남자에게 고백하는 여성,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살인까지 저지르는 여성, 출가했음도 불구하고 곤경에 처한 자신의 집안을 지키기 위해 원수와 끝임 없이 투쟁하는 여성, 사통하는 여성 등의 이야기도 꽤 존재하는 편이다. 이처럼 다양한 신분과 다양한 성격의 여성들을 다루는 『어우야담』과 『요재지이』는 조선 중․후기와 중국 청대 여성들의 생활양상과 편찬자의 여성관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 자료로서 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한․중 양국에서 각각 『어우야담』의 여성담과 『요재지이』의 여성담에 대한 연구는 따로 많이 진행되어왔지만 비교연구면에 있어서는 여전히 매우 부족하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어우야담』의 여성담과 『요재지이』의 여성담을 검토하여 양국의 여성담의 대비를 통해 드러나는 변별점과 공통점들을 제시하는 동시에 이런 점들이 발생한 이유에 대해 살폈다. 즉 조선 중ㆍ후기의 여성과 동시대의 같은 동아시아 유교문화권에 속한 중국 청대의 여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조선 중ㆍ후기 여성의 특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어우야담』의 여성담과 『요재지이』의 여성담에서 공통점을 아래와 같이 네 가지를 발견했다. 첫째, 인간 여성의 이야기와 비인간 여성의 이야기가 모두 존재한다. 둘째, 유교와 관련된 이야기 외에 불교, 무교 등 다른 종교와 관련된 이야기도 없지 않다. 셋째, 여성의 성적인 욕망에 대해 회피하지 않는다. 넷째, 여성의 신분은 상층부터 하층까지 다양하다. 이처럼 공통점을 갖고 있는 동시에 네 가지 면에서의 변별점도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양국의 작품집에 비인간의 여성담이 모두 존재하지만, 『어우야담』의 비인간 여성담은 전체 여성담의 12.7%를 차지하는 반면 『요재지이』의 비인간의 여성담은 전체 여성담의 54.3%를 차지한다. 이와 같은 차이점의 존재는 결국 신선ㆍ요귀에 대한 편찬자의 관념, 그리고 편찬자의 편찬 동기와 긴밀한 연관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양국의 여성담에는 유가 사상 외에 다른 사상과 관련된 이야기가 있다는 점에서 유사성을 지니지만, 한국의 경우 도가와 관련된 여성담이 없는 대신 무녀의 이야기가 종종 발견되는 반면, 중국의 경우 무속이 아닌 도가와 관련된 여성담이 종종 발견된다는 점에서 뚜렷한 차이가 드러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차이점은 도교가 그 당시 조선에서 백성들의 신앙에 영향을 미쳤다고 해도 민간에서 한국본토의 무교처럼 널리 보급될 수 없었다는 사실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요재지이』에서는 정욕을 추구하는 여성의 성적인 욕망은 『어우야담』보다 노골적으로 묘사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전자 속에 악처들의 이야기도 후자보다 편수도 많을 뿐만 아니라 악처들의 악행의 수단도 더 폭력적이다. 넷째,『어우야담』속에는 사족 여성, 평민 여성, 기생의 이야기들이 고루 포함되어 있고, 『요재지이』속에는 평민 여성의 이야기의 비중에 있어서 다른 신분 여성 이야기의 비중을 훨씬 능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생에 관한 이야기의 경우 『어우야담』에서는 세 번째로 높은 비중인 30.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요재지이』의 경우 해당 이야기의 비중은 2.5%에 불과하다. 이는 청나라 기생문화의 특징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Eouyadam (『於于野譚』) which was written by Ryu Mong-in(柳夢寅)in the late Joseon Dynasty(about 1622), and The Strange Tales of Liao Zhai(『聊齋誌異』)which was written by Pu Songling(蒲松齡) in the reign of Qing Emperor Yongle(about 1679). One is a Korean work, one is a Chinese work. It seems far away from each other, however, if we pay further attention to these two works, we'll find that there exists a subtle attachment between each other. For example, they are all wrote in seventeenth Century, and they are all short story(folktales) collected from the people. It is worth noting that the two works have concentrated female related stories, their identity varied from the aristocracy to the civilians, from the family women to prostitutes, from the madams to slaves, covering almost all sectors of society. These Women's Stories are very useful to study how did the women liv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article mainly talks about Women's Stories of Eouyadam and The Strange Tales of Liao Zhai. Regardless of national differences of China and Korea in these two works, Women's Stories based on its universal symbolic has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hich is well worth us to study. The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these two works can also explain the reasons for thi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paper summarizes four similar points. Firstly, the two works both focus on human women and non - human women. Secondly, although the stories of women which are about Confucianism accounts for the vast majority, but there are also some stories about Buddhism, Taoism, and witchcraft. Thirdly, the two countries work on women's desire are not avoid. Fourthly, the status of women in various nobles, wives, daughters, meid, prostitutes and so on. This paper also summarizes four different points. Firstly,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human women and non - human women. Secondly, the difference in the story of the women's desire. Thirdly,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prostitutes. Fourthly, the difference in the story of Religion.

      • KCI등재

        한ㆍ중 역병(疫病) 귀신 이미지의 비교 고찰 - 고전 서사 문학을 중심으로 -

        왕몽 열상고전연구회 2022 열상고전연구 Vol.78 No.-

        역병(疫病)은 예로부터 인류에게 커다란 공포의 대상이었다. 의학기술이 발달하지 못하고 역병에 대한 과학적 사유가 자리 잡기 어려웠던 과거 시절에 한ㆍ중 양국의 고대인은 역병을 역신(疫神)이나 역귀(疫鬼)가 일으킨 조화로 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같은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해 있는 양국의 고대 역병 귀신(본고에서는 역신과 역귀를 가리킴)은 어떤 형상을 하고 있는가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본고는 한ㆍ중 고전 서사 문학을 연구 자료로 삼아 ‘남성화’ 및 ‘여성화’와 ‘노년화(老年化)’ 및 ‘유년화(幼年化)’의 두 부분으로 분류해서 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양국 고대의 ‘인간화(人類化)’된 역병 귀신 이미지의 대비를 통해 나타난 이미지의 차이점과 공통점들을 제시함과 동시에 이와 같은 점들이 발생한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같은 동양권 국가인 한ㆍ중 양국의 역병 귀신은 서양의 역병 귀신과 큰 변별성을 가지며 동양 역병 귀신만의 독특한 이미지를 보이고 있다. 역귀는 공포스러운 모습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때로는 불쌍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역신은 인간에게 역병을 감염시켜 살해하는 질병의 신임과 동시에 인간을 치료해주는 의술의 신이기도 한 것이 동양 역신의 특징적 모습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양국의 ‘인간화’된 역병 귀신은 이와 같은 유사성이 보이는 동시에 양국의 주류 종교의 유형, 문명의 유형, 사람들의 역병에 대한 병리학적 인식 등 여러 방면의 차이로 인해 양국의 역병 귀신의 이미지는 뚜렷한 상이함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인간화’된 역신 중에 남성 역신은 주로 위엄스런 모습이거나 선비형이고 여성 역신은 대부분 아름답고 젊은 이미지로 그려져 있다. 신의 성격 면에서는 선한 면이나 악한 면만 집중적으로 강조하여 드러낸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입체적이면서 생동감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중국 역신의 경우, 남성 역신 중 압도적인 카리스마를 지닌 온신(瘟神)은 비정하면서도 ‘붉은 머리’, ‘파란 얼굴’, ‘빨간 옷’ 등 뚜렷한 외모와 옷차림을 하고 있는 반면 두신(痘神)은 일반적으로 선풍도골(仙風道骨)의 도사 이미지로 나타난다. 여성 역신은 대부분 곱고 젊은 이미지이며 여성이 역신이 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는 선행(善行)의 실천 여부인 반면 한국은 이러한 점을 신격 부여에 중요한 조건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신의 성격에 있어서는 중국의 역신은 성별과 관계없이 뚜렷한 흑백논리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생동감이 결여되며 다소 단일한 편이라고 본다. 또한 ‘이방인’도 한국의 ‘인간화’된 역신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중국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비교적 드물다. 양국의 ‘인간화’된 역귀의 서사는 역신의 서사처럼 다양성이 보이지 않고 서사에 등장한 역귀는 양국의 전통적인 원귀(怨鬼) 이미지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양국 서사에서 역병 귀신이 노구 혹은 어린이의 모습으로 등장하면 그들의 신분은 역신이 아니라 대부분 역귀이다. 또한 중국 서사에 노란 옷을 입고 대나무 상자를 등에 메고 역병을 전파하는 귀차(鬼差)의 이미지가 등장하는 것도 독특하다. 사실상 양국의 역귀는 ‘비인간화’된 모습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대한 비교 고찰은 후속 과제로 기약하도록 한다. In the face of the epidemic disease, the ancient Korean and Chinese people had the same behavior of praying to gods and ghosts because they were unable to have a scientific pathological understanding of this disease. To the ancient Korea and China, both in the East Asian cultural circle, what were the images of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se two countries, and what were the cultural genes behind them? With the above questions, this paper took the Korean and Chinese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as the research materials, and ma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images of gods and ghosts of epidemic disease between the ancient Korea and China. This paper is main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ith the appearances of the men or women, and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ith the appearances of the elderly or children.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 ancient Korea and China which are both in the East Asian cultural circle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est. Although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se two countries look terrible, their images are sometimes pitiful. In addition, the gods of the epidemic disease are the gods who spread the epidemic and kill human beings, as well as the gods to cure the human beings.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of the two countries not only have this similarity, but also show obvious differences because of the distinctions in the types of main stream religions, the types of civilizations, people's path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epidemic disease and other aspects. In the ancient Korea, the gods with the appearances of the men are often portrayed as the majestic type or the Confucian type, while the gods with the appearances of women are mostly beautiful and young. In the aspect of character, the narrative does not particularly emphasize the good side or the bad side of their characters. In other words, their characters have several different dimensions. In the ancient China, if they are the Gods of plague, they are often portrayed as the heartless and majestic type. At the same time, their often have specific appearance elements such as red hair and blue face and so on. If they are the Gods of pox, they are often portrayed as the sage-like type Taoists. The gods with the appearances of women are mostly beautiful and young. For human women, an important condition for becoming a goddess of the epidemic disease is whether they have done good deeds before death. However, the ancient Korean did not regard this as an important condition for becoming a goddes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 aspect of their characters, the characters of the Chinese gods of epidemic disease with the appearances of the men or women are flat and lack of vitality. In addition, the Visitors from other places is also one of the images of the god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 ancient Korea, but this feature is relatively rare in the ancient China. The narrative of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ho are in human form in the ancient Korea and China is not as diverse as the narrative of the gods, and there are no great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s of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and the traditional ghosts in these two countries. In the narrative of these two countries, if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appear as an old woman or a child, their are not the gods of the epidemic disease, but rather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Furthermore, in the Chinese narrative, there is a unique image of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ho often wear yellow clothes and carry a bamboo suitcase on their backs to spread the epidemic disease. In fact,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ancient Korea and China often appear with the nonhuman forms, and a comparative study of this theme will be carried out as a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白蝙蝠取經記》文字與語言單位不完全對應現象研究

        陳永生,王夢雅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19 한자연구 Vol.0 No.24

        The phenomenon of incomplete correspondence between writing and language units is widespread in the Dongba Scripture The White Bat’s Search for Sacred Books. This paper makes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the incomplete correspondence in the Scripture, and then summarizes several common types and gives examples. This paper hopes to provide a reference for scholars to understand Chinese characters and other mature hieroglyphs in the early stag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학습자의 수업 참여 측정도구 개발

        차민정,김창민,권혜정,조형대,이주영,정수정,박은아,문유,왕몽,서종원,지종민,장문,박미선,이예다나,김규동,이림,박하식,유세종,김정주,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에서 학습자 참여의 개념을 규명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해 학습자 참여를 정 의하고 참여를 측정하는 도구의 예비 문항들을 만들었다. 예비 문항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서 5가지 요인을 도출한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과정을 거쳤다. 분석 결과 5요인의 특성을 갖는 학습 자 참여 측정도구가 제안되었으며, 이 도구는 전체적으로 안정적이고,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 등 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도구가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최종적으로 수업에서 학습자의 참 여에 관한 정의와 이를 측정하기 위한 5개 요인, 수업준비하기, 수업활동하기, 의사표현하기, 수업 확장하기, 수업 열정 등과 16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측정도구가 제시되었다.

      • KCI등재후보

        DACUM법을 이용한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강사 직무분석

        박용호 ( Yong Ho Park ),조대연 ( Dae Yeon Cho ),홍순현 ( Soon Hyun Hong ),김벼리 ( Byu Ri Kim ),노유경 ( Yu Kyeong Roh ),왕몽 ( Meng Wang ),정희정 ( Hi Jung Ju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1 HRD연구 Vol.13 No.1

        학교교육과정 이외에 다양하고 창의적인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평생교육의 거점으로서 학교의 역할을 재정립 해온 방과후학교 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방과후학교 강사의 양성과 질 관리 점검 및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강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어떤 일(책무 및 과업)을 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직무주제전문가들을 대상으로 DACUM 방법을 통해 직무모델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직무모델을 검증하가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DACUM 워크숍을 통해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강사의 7개 책무와 51개 과업을 도출하였다. DACUM 결과를 타당화하기 위한 설문분석을 통해 7개 책무와 50개 과업이 확정되었다. 부가적으로 DACUM 워크숍에서 방과후학교 강사의 직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식, 태도, 장비, 미래의 경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천적 함의점을 제안하였다. Given the fact that after school system is different from the formal school education system which is not diverse and ingenuine, after school system has been paid much attention since it changed school`s role as the local base for life-long education. Meanwhile, it proposes that after school teachers, who directly manage the after school institution, are necessary to be cultivated and improve their performanc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after school teachers do.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explore the job model consisting of duty and tasks through DACUM process. Furthermore, based on the job model, we put questionnaire into effect. The questionnaire is used to verify each task. Consequently, the result of job analysis for after school teachers includes 7 duties and 51 tasks. In accordance of the incumbent teachers` confirmation,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what the teachers actually do. Finally, we suggest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up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