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흥보씨>의 흥부전 변용 양상과 패러디의 의의

        신찬경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고전과 해석 Vol.30 No.-

        본고는 채만식의 <흥보씨>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텍스트에 형상화된 세계의 특징을 분석하고, 도덕적 당위성과 의미가 중지됨으로써 발생하는 패러디의 의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흥보씨>에는 작가의식과 직결되는 가치의 대립이나 당위적 가치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밝히고, 작가가 ‘어떤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느냐’ 혹은 ‘문제 제기에 성공했느냐’의 여부가 아닌 다른 지점으로부터 패러디의 의의를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흥보씨>의 제비박 화소의 활용과 아감벤이 말한 “새롭고 가능한 사용”으로서의 놀이를 환유적 관계로 해석하여 패러디로서의 <흥보씨>의 가치에 접근하였다. 흥부전의 제비박 화소가 <흥보씨>의 제비삽화로 변용되는 과정에서, 제비가 땅에 떨어지는 사건이 계기가 되고, 선량한 마음씨가 동기가 되어, 제비를 다시 둥지 위로 올려준다는 행동의 형식은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나 사람의 손길이 닿으면 제 새끼라도 둥지 밖으로 밀어내버리는 제비의 습성이 새롭게 설정됨에 따라 그러한 형식이 ‘제비의 보은’으로 표상되던, ‘착한 사람은 복을 받는다’ 혹은 ‘선에 대한 권면’이라는 의미와 맺고 있던 관계는 해체되어 새로운 맥락에 위치한다. 특정한 행위나 존재는 기존의 서사적 기능으로부터 해방되고, 고전소설 흥부전을 통해 계승되던 도덕적 가치의 교훈적·정치적 효용은 중지된다. 즉, 고전서사의 문법에서는 원인(善)으로부터 결과(福)에 해당하는 의미가 도출되는 과정 자체가 규범화되어 ‘착한 사람은 마땅히 복을 받아야 한다’는 의미 질서가 고정되어 있었다면, <흥보씨>는 그러한 문법의 효용을 중지시키고 새로운 의미의 가능성을 획득한 작품이다. 이에 <흥보씨>에서는 형식이 의미와 맺고 있던 관계가 해체됨에 따라 ‘~해야 한다’는 실천적 의미는 낯선 것으로 대상화되며, 고전의 교훈적이고 정치적인 의미 체계에 대한 비판적 거리가 발생한다. 이때 <흥보씨>는 다른 패러디 텍스트처럼 원본 텍스트에 대한 기존의 이해를 반전 또는 반대로 재확인시키거나 그에 대한 재성찰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전형적인 것이든 독자적인 것이든 기존 해석의 효용 자체를 무의미한 것으로 만듦으로써 원본 텍스트의 교훈성 및 정치성에 대한 비판적 거리를 발생시키는 데서 패러디의 의의를 흭득한다. 즉, <흥보씨>는 가치판단의 척도가 무화됨으로써 흥부전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가능하게 하는 텍스트로, 텍스트 해석이 고전에 대한 단순한 ‘다시 읽기’나 ‘새롭게 보기’가 아닌, 기존의 독자적이거나 전형적인 해석에 대한 ‘비판적 거리 유지’에 기반할 때 패러디 텍스트로서의 의의는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ing out the aspects of parody in <Heungbossi>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arody resulting from the suspension of its moral justification and meaning. There is no conflict of values or party value directly related to the author's consciousness in <Heungbossi>. Instead of eliminating economic conflicts in <Heungbu-jeon>, differences between ‘Mr. Hyun’ and ‘Mr. Kim’ is highlighted, but it does not imply another conflict that reflects the Japanese colonial era. Also, it is hard to say that there exists a social conflict in <Heungbossi>, given that the ‘Mr. Kim’ does not have representation as an offender who persecutes Koreans. ‘Mr. Hyun’ is also a person who, despite his negative aspects, is as human in his relationships with children and animals. But his warm nature is not the value of being established through retribution, as in <Heungbu-jeon>. Heungbu's virtue was shaped by values that overwhelmed other negative aspects, such as economic incompetence. In <Heungbossi>, however, the valuation on the virtue of ‘Mr. Hyun’ is held back by the swallow plot. This led us to believe that we need to derive the significance of the parody from a point other than ‘what kind of problem did the author have’ or ‘Did he succeed in raising the question?’. To this end, we sought to approach the value of <Heungbossi> as a parody by interpreting the use of the swallow motif and what Agamben called “new and possible use” as a metaphorical relationship. The swallow in <Heungbossi> has the habit of pushing even its own offspring out of the nest when touched. Thus, the relationship that the previous ‘virtue of main character’ had with the connotation of swallow’s repay-‘good will be blessed’ or ‘encouragement to virtue’-is placed in a new context. In other words, if the process of deriving meaning from the causes(virtue) was in order and the meaning ‘good people deserve good fortune’ was fixed in the grammar of classical literature, <Heungbossi> was able to escape from the grammar and acquire the possibility of a new meaning. The significance of this parody can be found in that moral imperativeness of virtue has not been fulfilled, suggesting a new level of use beyond the practical meaning of ‘should’.

      • KCI등재

        최인훈의 <달아 달아 밝은 달아>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본 철학적 부조리-<심청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신찬경 한국공연문화학회 2023 공연문화연구 Vol.- No.47

        By comparing Choi In-hoon’s play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with Simcheongjeon, this study aim to identify the aspect of the irrational world embodied in the work and to explore the realm of “absurdity” that arises between the pursuit of individual consciousness towards rationality and the irrational world that remains silent in the face of rational demands. The characters surrounding Simcheong are characterized by a series of desires that exploit her, and the destructive aspect of this magnified desire poses a lack of narrative justification. Simcheongjeon depicts an ideal and rational world through the structure of characters’ personal growth and narrative rewards, establishing a punitive justice. On the other hand,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embodies an irrational world where moral causality does not operate effectively by taking the shape of a fixed character without personal change and a narrative structure without moral causality. Amidst contemplating the divide between the irrational world portrayed in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and the rational realm of Simcheongjeon and recognizing the state of isolation between Simcheong’s illusion and her experienced reality, the audience comes to experience the emotion of absurdity that emerges when human appeals meet the irrational silence of the world. However,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paradoxically depicts a human figure who resolves absurdity through the leap of an illusion, thereby revealing the inherent harshness and insurmountable nature of the absurdity existing between Simcheong and his life. This is ultimately silenced by human consciousness in pursuit of rationality. Dear Moon Dear Moon Bright Dear Moon serves as a metaphysical realm of thought by making one aware of the absurdity born between a world not governed by moral causality and the human inclination for rational pursuits. It leads to an acknowledgment of the challenge of facing and confronting absurdity, guiding the senses and thoughts towards the perception of absurdity, and thus holds significance as a venue for metaphysical contemplation. 본고는 최인훈의 희곡 <달아 달아 밝은 달아>를 <심청전>과 비교하여 작품에 형상화된 비합리적 세계의 양상을 규명하고, 합리성을 추구하는 개인의 의식과 합리성의 요구에 침묵하는 불합리의 세계 사이에서 탄생하는 ‘부조리’를 조명함으로써 작품이 가능하게 하는 사유의 영역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심봉사와 뺑덕어미, 매파, 색주가의 손님, 해적 등 심청의 주변 인물들은 심청을 착취하는 욕망을 매개로 연쇄된다는 특징을 지니는데, 이를 통해 극대화되는 욕망의 파괴적 양상은 서사적 당위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심청전>은 인물의 인격적 도약과 서사적 보응의 구조를 통해 복선화음의 질서가 구축된다는 점에서 이상적이고 합리적인 세계를 그린다. 반면 <달아 달아 밝은 달아>는 인격적 변화가 부재한 고착화된 인물 형상과 도덕적 인과가 부재한 서사구조를 취함으로써, 도덕적 인과율이 작동하지 않는 불합리한 세계를 형상화하고 있다. 작품에 나타난 불합리의 세계와 <심청전>의 합리적 세계 사이의 간극을 응시하고 심청의 환상과 심청이 경험한 사실 사이의 절연 상태를 인지하는 가운데, 수용자는 인간의 호소와 세계의 비합리적 침묵이 대면할 때 탄생하는 부조리의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그런데 <달아 달아 밝은 달아>는 환상이라는 도약 작용을 통해 부조리를 해소해버리는 한 인간의 모습을 그려냄으로써, 역설적으로 심청과 그의 삶 사이에 존재하는 부조리가 정신적 비약으로 빠지지 않을 수 없을 만큼 가혹하고 불가해한 것임을 드러내고, 합리성을 추구하는 인간의 의식에 끝내 침묵한다. <달아 달아 밝은 달아>는 도덕적 인과법칙의 지배를 받지 않는 세계와 합리성을 추구하는 인간의 지향 사이에서 탄생하는 부조리를 인지하게 하고 부조리에 대한 응시와 직면의 어려움을 깨닫게 하며 부조리에 대한 감각과 사고를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형이상학적 사유의 장으로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심봉사’의 욕망을 통해 본 희곡 「심봉사」(1936·1947)의 비극적 의미

        신찬경 ( Shin Chan-kyung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1

        본고는 채만식의 희곡 「심봉사」(1936·1947)가 지닌 비극성을 심봉사의 욕망과 관련 지어 대비적으로 해명함으로써 작품의 의의를 재평가하고자 하였다. 「심봉사」에 나타난 심봉사의 형상과 욕망은 1936년의 7막극과 1947년의 3막극이 상이한 양상을 드러내며, 그에 따라 결말부 자해 행위의 구체적인 성격과 작품의 비극적 의미가 달라진다. 심봉사의 자해 행위는 일종의 서사적 징벌로서 당위성에 입각한 인과응보의 성격을 지니며, 서사 내적으로는 심봉사의 자책과 참회에 기반한 자기 징벌의 의미를 지닌다. 그런데 그 구체적인 양상은 비중이나 설득력의 정도에 있어서 작품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는 것이다. 7막극에 그려진 심봉사의 최후에서는 인과응보의 성격보다는 자기징벌적 의미가 강화되며, 작품의 비극성은 심봉사의 욕망이 심청의 희생을 동반함으로써 심청에 대한 곡진한 마음과 모순을 일으키는 데서 비롯된다. 욕망의 한 목적이 애정의 실현에 있을지라도, 상황에 따라 타인의 희생을 제물로 삼는 욕망의 속성으로 인해 그것은 사랑하는 대상을 희생시킬 수 있음을, 7막극은 심청에 대한 애정을 지닌 심봉사를 통해 제시하고 있었다. 3막극에 나타난 심봉사의 최후는 응보의 논리에 기반한 자업자득적 성격을 강하게 지니며 자기 징벌의 의미는 오히려 약화되고, 작품의 비극성은 암흑의 상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이 오히려 욕망의 주체를 암흑의 상태로 되돌려놓는 모순으로부터 찾아진다. 욕망을 과도하게 추구할수록 제어가 어려워지며 오히려 욕망의 대상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는 역설을 3막극은 이기적이고 몰지각한 심봉사를 내세워 보여주고 있었다. 채만식의 희곡 「심봉사」는 효 이데올로기의 작동이 중지된 세계를 그린다. ‘어둠→빛→어둠’으로의 이행 구조는 善의 논리가 어떻게 무용해지는지를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심청전을 지배하는 초인간적인 힘이 효 이데올로기의 논리에 해당한다면, 희곡 「심봉사」에서 그것은 욕망의 논리로 치환되면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7막극과 3막극의 서사를 지배한다. 요컨대 「심봉사」는 욕망이 야기하는 모순과 역설을 통해 사랑하는 대상을 희생시키거나 주체를 파멸로 몰아넣는 욕망의 본성을 문제 삼고, ‘어둠→빛→어둠’으로의 이행 구조에 기반하여 욕망을 지닌 개인이 처할 수밖에 없는 비극적 운명을 제시한다. 그리스 비극의 ‘피할 수 없는 운명’과는 또 다른 필연의 사슬을 그려냈다는 점에서 채만식의 희곡 「심봉사」는 비극으로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채만식은 ‘욕망하는 심봉사’의 창조를 통해 욕망의 문제에 천착함으로써 고소설 심청전에 투영된 기존의 세계관에 의문을 제기한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의문을 극의 형식으로 풀어내는 과정에서 「심봉사」는 심청전의 현실성을 갱신하며 패러디로서의 의의를 획득했다고 평가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tragedy of 「Shimbongsa」 (1936·1947), created by ChaeManshik, in relation to Shimbongsa’s desire and to reassess it’s significance. The characters and desires of Shimbongsa in 「Shimbongsa」 reveal different aspects of the seven-act play in 1936 (A) and the three-act play in 1947 (B). As a resul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pecific nature of self-harm and the tragic meaning of the work. Shimbongsa’s desire in A does not function only as a cause for Shimcheong’s death, taking off the charge of greed, as it relates to the various psychologies that exist inside him. On the other hand, A shows a world in which characters act according to their own interests and desires, and Shimbongsa’s desire exists as a clear cause of Shimchung’s death. In the end of A, the meaning of self-punishment is strengthened rather than causal retribution, and tragedy arises in that Shimbongsa’s desire contradicts his love for Shimcheong due to Shimcheong’s sacrifice. Even if one purpose of desire lies in the realization of affection, it can sacrifice loved ones due to the nature of desire to sacrifice others’ sacrific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 shows this through Shimbongsa, who loves Shimcheong. The ending of B is based on causal and the meaning of self-punishment is weakened. The tragedy of B arises from the contradiction that the desire to escape from the dark state rather brings the subject of desire back to the dark state. B shows the paradox that the excessive pursuit of desire makes it difficult to control and rather moves away from the object of desire through selfish Shimbongsa. 「Shimbongsa」 depicts a world in which filial ideology has stopped working. The implementation structure of ‘Dark→Light→Dark’ effectively shows how it becomes useless. If the superhuman power that dominates Shimchungjeon corresponds to the logic of filial ideology, in the 「Shimbongsa」 it’s replaced by the logic of desire and dominates the narrative of the seventh and third acts in different ways. In short, 「Shimbongsa」 issues the nature of desire that sacrifices loved ones or destroys the subject through contradictions and paradoxes caused by desire, and presents a tragic fate that an individual with desire has no choice but to face based on the structure of ‘dark→light→dark’. 「Shimbongsa」 is meaningful as a tragedy in that it depicts a chain of inevitability different from the ‘inevitable fate’ of Greek tragedy.

      • KCI등재

        <몽금도전>의 구조적 특징과 문학사적 의미

        신찬경 ( Shin Chan Kyung ) 판소리학회 2022 판소리연구 Vol.54 No.-

        본고는 <몽금도전>이 개작자의 비판의식을 토대로 확보한 새로운 서사적 맥락과 그러한 비판적 의식이 형성된 사회문화적 배경을 탐색하고, <몽금도전>의 서사와 논평을 ‘근대’가 고전 서사를 선별하고 활용했던 맥락에 비추어 이해함으로써 작품의 의미 확장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몽금도전>에는 기원 행위에 대한 비판이 두드러지는데, 개작자가 강조하는 ‘효’에 기반한 행위라 할지라도 비판적 시각은 예외 없이 적용되어 심청이 축원을 드리는 정성은 오히려 부녀관계에 무익한 것으로 형상화된다. <몽금도전>에 형상화된 효는 초월적 대상에게 기원하는 정성이 아니라 실질적인 도움의 정도에 근거하여 평가되는 실천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심봉사의 ‘개안’은 기원 행위 자체가 부정되는 맥락에서는 현실화되지 않는 것이 <몽금도전>이 내세우는 효의 논리에도 부합한다. 이에 용궁 화소와 개안 화소가 삭제됨에 따라 <몽금도전> 후반부 서사는 <심청전>의 서사와 비교하면 ‘효행-보응’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단순화된다. <몽금도전>은 ‘효행-보응’의 단일 구조를 바탕으로 효행 설화의 원형적 주제의식을 집약적으로 구현한 서사이며, ‘효도 배양에 대한 의지’는 <몽금도전>의 서사를 견인하며 작품의 주제의식과 구조를 형성하는 핵심적인 동력에 해당한다. <몽금도전>에 나타난 개작 의식은 20세기에 전개된 판소리의 통속화와 풍속 개량론,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특수성, 박문서관의 역사 등을 고려하여 그것이 형성된 맥락과 상황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근대 단형서사 양식인 ‘서사적 논설’과 ‘논설적 서사’가 ‘서사’를 활용했던 방식은 <심청전>이 <몽금도전>으로 개작되는 과정에서 ‘효’가 어떻게 재맥락화되었는지를 고찰하는 데 참고점이 되었다. 근대의 관점에서 <심청전>이 담고 있는 ‘효’는 그 자체로 이념적 지배력을 지닌 가치로서 근대에도 여전히 유의미했을 뿐만 아니라, 감동과 계몽의 효용을 지니고 있어 출판업의 측면에서는 대중성과 공익성을 동시에 견인하는 요소였다. 이러한 이유로 <심청전>은 ‘당대의 출판업체에 의해 선별’되어 <몽금도전>으로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이었고, 효도의 본지를 살리기 위해 작품에 나타난 그릇된 풍속을 바로잡으려는 의식 역시도 풍속 개량의 문제가 사회적 화두로 존재하며 일본 제국주의와 조선 민족주의가 충돌하던 상황에서 ‘시대적으로 요청되고 승인’된 대상이었다. <몽금도전>은 <심청전>의 효에 의해 전통과 근대가 매개되어 탄생한 작품으로, <몽금도전>의 계도적이고 비판적인 목소리는 <심청전>의 효가 공익적 가치로 재맥락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러한 효의 재맥락화는 고전 서사를 선별하고 승인하는 근대적 가치관과 효녀 서사로 전승되어 온 <심청전>에 내재한 전통적 가치관의 교차점으로서 <몽금도전>이 갖는 위상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sought to expand the meaning of the work by exploring the new narrative context secured by Monggeumdojeon based on its critical consciousness and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and understanding the narratives and comments of Monggeumdo-Jeon considering the context in which “modern era” selected and utilized classical narratives. The filial piety embodied in Monggeumdojeon is not a sincerity that wishes for transcendental objects, but a practical concept that is evaluated based on the degree of practical help. Therefore, it is consistent with the logic of the filial piety of Monggeumdojeon that A does not become a reality in the context in which the act of origin itself is denied. As the Yonggung and Open-eye pixels are deleted, the narrative in the second half of Monggeumdojeon is relatively simplified in the structure of “filial piety-reward” compared to the narrative in Simcheongjeon. Monggeumdojeon is a narrative that intensively implements the fundamental theme of the story of filial piety based on the single structure of “filial piety-reward.” The “will to cultivate filial piety” is a key driving force for the narrative of Monggeumdojeon and forms the theme consciousness and structure of the work. The significance of critical consciousness and lesson in Monggeumdojeon is better revealed than when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modern era when the work was created and the context in which the modern era summoned and utilized classical narratives. The “filial piety” of Simcheongjeon was not only meaningful in the modern era but also had the utility of emotion and enlightenment, which was a factor that drove both popularity and public interest in the publishing industry. In addition, the method in which the modern short narratives used the narrative became a reference point for examining the re-contextualization of “filial piety” in the process of Simcheongjeon converted into Monggeumdojeon. The enlightening and instructive voice of Simcheongjeon arose from the meeting of modern era and traditions through the medium of “filial piety.” This shows the status of Monggeumdojeon as an intersection of the modern values that select classical narratives and the traditional values inherent in Simcheongjeon which has been passed down as a filial daughter narrativ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