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장애 진단 및 선정을 위한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원의 전문성과 지원 요구 분석

        이예다나,손승현 한국학습장애학회 2021 학습장애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fessionalism and support needs of teachers related to the diagnosis and placement proces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for efficient operation based on this. A total of 25 answers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for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s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ze that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is not progressing well, and related expertise is insufficient and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eligibility are recognized as being absent. Second, regarding diagnosis and evaluation, the level of self-awareness of professionalism is low, bu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y are collecting the latest information and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ir work. It was suggested that demands and opportunities for high-quality training should be expanded and criteria for determining eligibility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findings,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with LD, comprehensive approach and educational support for eligibility rather than diagnosis are needed.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학습장애 대상자 진단․평가 업무와 관련한 교원의 전문성과 지원 요구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평가 담당 교원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응답한 25명의 결과를 기반으로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학습장애 진단․평가가 잘 진행되고 있지 못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관련 전문성이 부족하고 적격성 판단 기준이 부재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진단․평가와 관련하여 전문성에 대한 스스로의 인식 수준이 낮으나, 업무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최신 정보를 수집하며 직무 연수에 참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전문성 함양을 위하여 질 높은 연수에 대한 요구와 기회를 확대하고 적격성 판별 기준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학습장애 진단․평가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더 많은 학생들에게 교육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다양한 특수교육적 요구가 있는 학생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 나아가 학교 교육의 맥락에서 교육적 지원에 초점을 둔 선정 방향으로 적격성 판정을 넘어 진단검사 결과와 교육이 연계될 수 있는 포괄적이면서도 개별화된 규정이 제안되어야 한다.

      • KCI등재

        프로젝트 학습 기반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대학 교양교육의 지식융합 가능성 탐색: K대학의 사례를 기반으로

        이예다나,손승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This study de veloped an integrated curriculum to convergence-based education, confirmed an exemplary case thorough task analysis, and criticized individual thinking and perception. For this study, K university had opened the clas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Future Society’ on the second semester of 2014. This curriculum consisted of lectures workshop, discussion, and final report based on projected learning. Especially, lectures had been done by professors from diverse areas like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majors. As a results, this study provided ways for cultivating innovative insights and capabilities by reflecting various aspects. This research pro vided a necessary con vergence-based education curriculum, reviewed compatencies, and suggested a guide line of establishing basis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학습 기반의 융합 교양교과목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운영사례를 과제분석을 통해 확인한 뒤 그에 따른 대학생들의 사고와 인식의 확장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미래사회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이라는 교과목을 핵심교양 교과목으로 개설한 뒤 운영하였다. 본 과목은 프로젝트 학습 방법을 기반으로 5분 발표, 팀티칭, 성찰일지 작성, 프로젝트 수행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5분 발표는 학생들이 스스로 주제를 선택하여 정보를 탐색하고 사회, 경제, 환경과 연관시켜 현 사회의 직면한 문제들을 탐색하고 발표하였다. 강의는 사회, 경제, 환경 영역의 관점에 따라 전공이 다른 교수자가 강의를 진행하였으며, 워크숍은 매 수업 시간마다 전공별로 다양한 관점으로 주제에 접근하여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최종보고서는 프로젝트 학습 절차에 따라 과제를 선정, 계획, 수행, 평가하는 모든 과정을 학생들 스스로가 수행하고 그 결과물을 제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상이한 주제에 대하여 현 사회 문제 혹은 현상들에 대하여 학문적 관점과 시각을 총체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나아가 융합교육과정 수업 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융합적 사고를 위하여 대학생들이 갖춰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 살펴본 후 향후 융합교육과정 개발에서 고려해야 할 실천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학업저성취 대학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예다나,고혜정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vent college students from dropping out and establish an academic support system by exploring domestic research trends targeting underachieving college students.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 keyword network analysis based on 338 keywords derived from a total of 70 studies conducted from 2012 to 2022. Textom and UCINET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rough this, general research trends,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s, and centrality between keywords were examined. Results: First, from 2012 to 2022, on average, seven studies were steadily published every year, in particular,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2018. Second, academic warnings, effectiveness analysis,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shown in relation to underachieving college students, and TF-IDF weight analysis results also showed similar results. Furthermore, the N-gram analysis also showed a high rate of 'academic warning' and 'university students' appearing at the same time. Finally, in the analysis of degree centrality, academic warnings, effectiveness, and qualitative studies showed high degree centralit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basic data for university educators to establish support plans for underachieving college students.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업저성취를 보이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 동향을 탐색함으로서 대학생들의 중도탈락을 예방하고 학업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수행된 논문 총 70편에서 도출된 338개의 키워드를 토대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Textom과 UCINET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일반적인 연구동향 및 주요 키워드의 빈도분석, 키워드 간의 중심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2012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적으로 매해 7편의 논문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었다. 특히 2018년 이후에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업저성취 대학생과 관련하여 학사경고, 효과성분석, 질적연구 등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TF-IDF 가중치 분석 결과 또한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나아가, N-gram 분석에서도 '학사경고'와 ‘대학생’이 동시에 출현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에서도 학사경고, 효과성, 질적연구가 높은 연결 정도 중심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의 교육자들이 학업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지원계획을 수립할 때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의사소통 중재연구의 질적 지표 분석

        이예다나,송건 한국특수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학연구 Vol.5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verall trends and quality indicators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studie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total of 28 articles published in accredited and Korea Citation Index(KCI) journals from 2010 to 2019 were sele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widely selected subjects of study was elementary students, and this was usually performed in the classroom. The intervention was performed 10 to 74 times for 12 to 27 weeks. Multiple probe designs were the most widely used, and the most widely selected dependent variable was communication skills. The most widely selected independent variable was AAC intervention and the interventions of all studies was effective for improving dependent variables. Second, the quality indicator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and experimental and internal validity were between 60% and 80%. Other quality indicators scored less than 60%. Based on these results, we presente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국내 학술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의사소통 중재연구의 일반적 특성 및 효과크기, 질적 지표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10년간 발표된 중재 논문 28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교실에서 중재를 수행한 연구가 10편 이상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구의 총 회기 수는 10회기∼74회기, 연구 기간은 12주∼27주로 나타났다. 연구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 결과 모두 각 연구의 종속변수에 대한 발달장애아동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기초선 대비 중재 구간에서 대부분 90% 이상의 높은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질적 지표 분석 결과 세 영역(독립변수, 종속변수, 실험통제 및 내적 타당도)의 충족 여부 평균이 60% 이상∼80% 미만 정도의 충족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대상자, 기초선 및 사회적 타당도의 질적 지표 충족도는 60% 미만의 낮은 충족 수준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의사소통 중재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읽기에 관한 연구동향: 다문화 학생을 중심으로

        이예다나,손승현,임보라,송징징 한국학습장애학회 2016 학습장애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trends of reading related research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and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by analyzing theses related to ‘muticultural and reading’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or analysis, each article was coded by grade level of participants, type and topic of the study. For this, we selected 61 articles related to reading for multicultural student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or last ten years from 2006 to 2015. The results show the increasing trends of researches afte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in Korea(2006). Results from this study demonstrate that 52 articles (about 70%) of those 61 studies targeted students who are preschoolers and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More studies examine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the most (49%). In case of research topics, 36 articles(about 57.2%) of studies dealt with the developmental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lso, in the results of examining researches on characteristics and intervention researches by classifying them in accordance with types of reading, the vocabulary-related researches were 33 articles (about 38.3%) while researches on phonological awareness were 20 articles (about 23.5%). This verifi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researches on diverse areas and age groups as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es were related to learning for reading. In relation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risks of academic underachievement due to the linguistic differences. Moreover, it aims to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support reflecting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nd contexts should be performed.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실시된 다문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읽기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고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다문화가족 지원법이 시행된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최근 10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다문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읽기와 관련된 61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문헌 분석을 위하여 국내 전자 데이터베이스의 ‘이중 언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 한국어교육, 읽기, 어휘, 유창성, 음운인식, 독해, 단어, multicultural, reading, dual language’의 키워드를 넣어 논문을 검색 및 수집하였다. 논문 분석을 위하여 읽기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분석틀을 수정하고 재구성하였다. 그 뒤 연구문제에 따라 선정된 논문의 일반적 특징을 기술하고 연구 유형 중 특성연구와 중재연구에서 제시하는 연구들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61편의 논문 중 연구들의 52편(약 70%)이 취학 전과 초등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으며 연구 유형으로는 특성연구가 49%로 가장 많았다. 또한 연구주제의 경우 35편(약 57.2%)이 발달능력 및 특성을 파악하고 있었다. 둘째, 읽기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특성연구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읽기 유형 중 어휘 관련 연구가 33편(약 38.3%), 음운인식 연구가 20편(약 23.5%)이었다. 특성연구들은 대부분 일반학생과 다문화학생의 읽기 특성을 비교하고 있었으나, 대부분 비공식적인 검사 도구를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중재연구의 경우 사전·사후 집단 설계와 단일대상연구설계 중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로 연구를 실시하고 있었다. 중재연구 역시 어휘와 관련된 연구의 수가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러나 중재 회기 수, 중재시간, 중재 장소 등에 대한 정보들이 충분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학령기 다문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과 관련된 읽기 연구가 좀 더 다양한 영역에서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다문화 학생들이 특수교육영역에서 논의되기 위하여 이 학생들의 학업적 특성을 파악하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맥락이 반영된 교육적 지원이 수행되어야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재반응모델(RTI)을 활용한 진전도 모니터링 활용과 읽기학습장애 위험군의 어휘 중재 효과 분석 연구

        이예다나,손승현 한국학습장애학회 2017 학습장애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읽기학습장애 위험군 학생들에게 어휘 영역에서 중재반응모델을 적용한 뒤 그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초등학교 2,3학년 학생 400명에게 총 12주간 어휘 중재를 실시하였다. Tier 1단계에서는 어휘 중재를 실시하기 위해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로 주 1회, 총 4회의 교육과정기반 어휘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검사 결과 하위 28%에 해당하는 학생들을 읽기학습장애 위험군으로 선별하고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 학생들에게 총 8회, 1주일에 2회 어휘 직접교수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ier 1과 Tier 2 단계를 시행하면서 모든 학생들에게 교육과정기반 어휘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휘 중재를 받은 학생들은 Tier 2 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어휘 성취를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vocabulary intervention within RTI framework for students who are at risk in read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otally 400 elementary students in grade 2 and 3 as received vocabulary intervention during 12-week. Tier 2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for the students who scored were below 28 percentile on CBA vocabulary assessment during 4-week. To examine the effects of vocabulary intervention, students who are experiment group students received Tier 2 vocabulary intervention using direct instruction for eight weeks. And another at risk students who are control group received the general language instruction. Vocabulary CBA assessment is implemented to all students and reported the resul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ier 2 intervention.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received Tier 2 intervention significantly achievement result.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for educational practice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

        읽기 학습장애 위험학생 진단도구개발 연구: 교육과정중심사정을 기반으로 한 어휘검사

        이예다나,손승현 한국학습장애학회 2017 학습장애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vocabulary CBA based on an analysis of Korea’s language curriculum in the 1st and 2nd grades of school. To do this study, vocabulary CBA was develop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properties of vocabulary CBA were assessed using Rasch model an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 was confirmed using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Pearson r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594 students completed the tests, and results showed promising evidence of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Limitation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are discussed.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어휘 영역에서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조기에 선별할 수 있는 교육과정중심 어휘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예비 검사를 통해 문항 적합도와 신뢰도,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593명의 학생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문항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Rasch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내적문항신뢰도와 탐색적요인분석과 피어슨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과정중심 어휘평가의 문항 적합도와 난이도는 위험군 학생들을 선별하는 데 적합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는 모두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정책 분석 연구: 국외 지원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이예다나,손승현 한국학습장애학회 2022 학습장애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upport system for improved basic proficiency by comparing the concept of Basic Learning Skills, related laws and policies on basic education of Korea and international cases. This study examined the policies and laws related with basic education support and compared support systems of international cases, including the U.S., Canada, Ireland, France, England and Finland. The results of analysis presented the diagnostic and evaluation methods of basic education proficiency, curriculum consideration and school support system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details of ways to support improved basic learning skills in policies, conceptual and perspective changes in basic learning skills, 3-tiered systematic and individualized support system, and empowerment of teacher competencies to support individual student’s needs. 본 연구는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정책 제도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논문과 법령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초학력의 개념과 관련 정책을 살펴보고 국외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기초학력 보장제도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국내에서 시행된 기초학력 관련 정책들을 살펴보고 국외 기초학력 보장 정책 및 주요 내용을 비교하기 위해 국외 사례로 미국, 캐나다, 아일랜드, 프랑스, 핀란드 영국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국외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기초학력 관련 법령과 기초학력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방안과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과정과 학교교육 내에서 기초학력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분석하였다. 국내와 국외의 기초학력 보장 관련 정책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기초학력 보장에 대한 상세한 규정의 필요성, 기초학력 개념과 관점의 변화 필요성, 3단계 모델과 같은 중층적이며 체계적인 맞춤형 지원 실시의 필요성, 그리고 교사의 역량 강화의 필요성에 대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설명하는 글쓰기 전략이 쓰기 학습장애 학생의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예다나,손승현,마지성,정광조 한국학습장애학회 2014 학습장애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설명하는 글쓰기를 위하여 효과성이 증명된 쓰기 전 략인 비교-대조 전략과 범주화 전략을 교대로 실시함으로써 글의 질적 향상과 양적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서울 H중학교 특수학급에 배치 된 5명의 학생들로 쓰기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 결과 효과성이 입증된 두 가지 전 략을 교대로 적용하였을 때 글의 질과 양에 높은 수행향상을 보인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쓰기 중재 후 20일이 경과한 유지 단계에서도 성공적으로 유지되었을 뿐 아니라 기초 선과 중재 단계보다 쓰기 능력의 향상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설명하는 글쓰 기 전략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