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기술인력 부족의 결정요인 분석

        엄미정 ( Mi Jung Um ),박재민 ( Jea Min Park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7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5 No.2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shortage of the Korean science and engineering workforce is a key issue in enterprises` competitiveness. The Korean government has conducted various surveys and research projects to deter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its causes. Nevertheless, the surveys report different results, and, to date, very few in-dept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actors that lead to such a shortage.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factors that cause the shortage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workforce by looking at a recent survey on the actual employment conditions in manufacturing and major service industries. The study also estimated the determinant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on 5,967 enterprises. Particularly, the probability of the workforce shortages are defined as a logistic probability function, which includes a diverse number of explanation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an enterprise and its internal demand conditions on workforce. The findings showed that key determinants include not only the factors that have been recognized by previous studies, but also research propensity and competitiveness aw well as the enterprises` internal demand conditions on human resources. In other words, an enterprise is more exposed to the problem of workforce shortage when it performs its R&D more proactively and its innovative activities are more organized. It has been further analyzed that the R&D and internal demand variables are more eminent to the shortage problem on skilled workers, which proves the shortage of workforce is not only caused by the quantitative aspect but also hold qualitative aspect characterized by skill obsolescence and mismatch in the labor market.

      • 과학기술인력 정년에 관한 이슈와 정책대안

        엄미정(Mi-Jung Um),성경모,정성철,이윤경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정책연구 Vol.- No.-

        Our society is certainly in the era of aging population and social concerns about the diminution of productive population and deterioration of potential growth rate are major issues in these days. In this context, "The Prohibition of Age-Discrimination in The Employment and The Employment Promotion Law for The Aged" was revised on May 2013. Since then, institutional framework for the use of older workers has been established. The retirement at 60 is applied to companie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and the public sector from this year. The studies about the late-career path fo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human resources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2000s. However, they just focused on distinct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human resources, the necessity of their deferred retirement and possible functions for the aged researcher from internal point of view. There is still no active debate on the imbalance of age structure in organization and labor policies such as wage system and career transition etc. Recently,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are forced to implement the wage peak system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in depth with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community. They have a difficulty to react to this question. Therefore, we need to find labor market derived factors which may affect the science and technology community and policy measures on the basis of discussions of the retirement and the career transition. This study has purposes to analyze changes in labor market that can occur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community and identify policy challenges for reactions in the era of legislated retirement at 60. The analysis in this study mainly focus on cases of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This report is composed of seven chapters.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of this study. The chapter 2 and the chapter 3 are discussions of general retirement system. The former mentions about the legislation process of the retirement at 60. The latter summarizes Japanese case. In the chapter 4, we find the settlement process of retirement system and major issues about retirement in the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We analyzes about reasonable age of retirement in the chapter 5 and changes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career development for the aged researcher in the chapter 6. Finally, we propose future policy plans to change actual situations.

      • 과학기술 발전에 따른 기술인력 직무 변화 추세 진단과 대응방안

        엄미정(Mi-Jung UM),서지영,조가원,이원경,박기범,진설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9 정책연구 Vol.- No.-

        In the recent rapid technological change, called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engineers and technicians are expected to make big change in their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spect that what kinds of challenges Korean engineers and technicians will face, and to find ways for engineers to respond appropriately to recent technological changes. Based on oversea cases, many engineers tasks are changing to simulation, and data-base analysis and planning is expected to increase. And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any changes in the maintenance work due to the increase in the distance monitoring. In response to these change, continuous training is emphasized. Korea has been responding to various technological changes, but has been concentrating on cultivaing engineers and scientists in the new technology and establishing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job losses and transition. Meanwhile, Korean legal framework for continued training of engineers is scattered among the various laws and is not systematic. Governmental vocational programs that support engineers are limited and, the education of engineers depends heavily on compan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prepare a policy that responds to the work of engineers due to rapid technological chang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tudents for changes in engineers" career and task. We have to invest in reform in curriculum,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research infrastructure of higher education, and supporting career development.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have a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for engineers.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지원 · 육성 현황 및 개선 방향

        엄미정(Um, M.J),김정호(J.H. Kim),황은혜(E.H. Hwang)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1 STEPI Insight Vol.- No.283

        □ 연구의 배경과 목적 ● (연구의 배경) 과기정통부는 2014년부터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을 지정하고 이 직업들을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시책을 추진 중이나 시간이 지나 새로운 환경에 직면 - 지정된 직업별로 담당 부서가 있으나 전체 직업에 대한 통합적인 점검이 필요 * (’14년 8개 직업 지정) 연구실안전전문가, 연구장비전문가, 연구기획평가사, 소셜미디어전문가, 감성인식기술전문가, 빅데이터전문가, 인공지능전문가, 과학커뮤니케이터 * (’15년 2개 직업 지정) 미디어콘텐츠창작자, 3D프린팅운영전문가 ● (연구의 목적)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육성의 현황, 성과, 한계 등을 점검하고 육성책의 개선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지속적인 발굴과 전주기 지원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특징과 현황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특징 - 각 직업에 필요한 지식의 난이도와 기술적 전문성의 수준에 따라 교육훈련을 통해 신직업을 육성할 수 있는 정도가 크게 차이 남 - 기술의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요구되는 기술적 전문성이 깊어질수록 신직업 종사인력에 대한 수요도 확대되고 이들의 활동도 활발해짐 - 기술과 산업의 변화가 빨라질수록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종류와 기대 역할도 빠르게 변화되므로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지원사업의 탄력적 대응이 필요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이 발생하는 메커니즘 - 기술과 산업 상황이 변하면서 새로운 과학기술기반 신직업이 발생하게 됨 1) 세부 직무로 전문화 : 관련 종사자 증가에 따라 세부 직무가 전문화되어 각 직무 담당자들이 독립적인 직업으로 주목받음 2) 기술 발전에 따라 세부 기술들로 분화 : 신기술이 개발되면서 세부 기술별로 직업이 세분화됨 *인공지능 전문가 → 인공지능 개발자 → 머신러닝 엔지니어 3) 산업의 가치사슬 확장 : 신기술이 연구개발 단계를 넘어 생산, 유통 단계로 확대됨에 따라 개발, 설계 직업에서 생산엔지니어, 유통 관련 직업이 새롭게 등장 * 바이오의약품 CMO기업 증가 - 바이오공정엔지니어, GMP 지식 보유자 4) 기술의 적용 분야 확장 : 인공지능, 신소재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되는 기반기술들은 적용분야가 확대되면서 해당 적용분야에 특화된 전문직 수요도 증가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육성의 성과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은 공공수요기반형과 민간수요기반형으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음 ● 공공수요기반형 신직업*은 주로 공공 R&D를 지원하는 전문서비스직으로 구성되며, 정부지원에 맞춰 발전하는 특징이 있고, 현재 상당한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음 * 연구장비전문가, 연구실안전전문가, 과학커뮤니케이터, 연구기획평가사 등 - 공공부문에서 관련 업무를 따로 규정해서 의무적으로 채용하고 이 직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도록 함에 따라 전문서비스 분야 신직업의 활성화에 기여 - 향후 신직업의 교육 · 훈련 수요 증가가 예상되나 지속적인 정부지원이 없으면 수요 기관이 자체적으로 교육 · 훈련 시스템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임 ● 민간수요기반형 신직업*은 직업 간 활성화 수준의 차이가 크고, 향후 인력의 수요 · 공급 수준도 유동적일 것으로 전망됨 * 3D프린팅운영전문가, 인공지능(AI)전문가, 빅데이터전문가, 감성인식기술전문가, 미디어콘텐츠 창작자, 소셜미디어(SNS)전문가 등 - 유관 산업이 존재하거나 기존 업무 종사자가 재교육을 통해서 신직업의 직무 역량을 습득할 수 있는 경우 신직업 종사자 수가 유의미하게 증가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에 대한 진입장벽(기술적 역량과 전문성)이 높을수록 단기간에 신직업 인력을 대규모로 육성하는 것이 어려움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지원 사업의 한계와 문제점 ● 일정한 기준을 설정하지 않고 그저 관심이 증가하는 특정 기술분야에 개발자, 전문가등을 붙여 신직업으로 선정하고 있어 신직업의 기준과 범위가 임의적이고 모호함 - 신직업 개념이 불명확하여 지원 및 관리 방안 마련이 어렵고 변화를 수용하기도 여려움 - 범위가 명확하지 않아 신직업 종사자 현황 파악과 신규 인력 모니터링이 어려움 ● 각 신직업의 교육 난이도와 비용의 차이를 반영하지 않고 사업을 평가하는 문제 - 배출 인원, 취업률, 만족도 등의 일괄적인 기준으로 신직업 육성사업을 평가하여 소수인원을 대상으로 고난이도 교육과 실습이 필요한 고급인력 대상 신직업은 불리함 ● 신직업 선정 후 지원 성과를 모니터링하여 사업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부족 - 직업 활성화 정도, 애로사항, 목적 달성 여부 등을 파악하여 지원책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부족 □ 정책 제언: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단계별 지원 방향 과제 1.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발굴 및 육성을 위한 기준 명확화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정의(안) - 과학기술 기반의 제품 및 공정의 개발 · 활용 · 지원과 관련하여 과학기술 직무를 수행하는 직업 - 직무 수행에 있어서 과학기술 전문지식(STEM 지식)이 상당히 요구되는 직업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선정 기준(안) 1) 전문성 : 해당 직무 수행을 위해 과학기술 전문지식이나 관련 학위 등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함 2) 업무독립성: 직무 내용 · 범위의 구체화, 직무 독립성에서 기존 직무와의 차별성이 명확함 3) 일자리창출 기여도: 신직업 지정으로 직무 전문화가 이뤄지거나 생산성 제고가 기대되어 궁극적으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직무 과제 2.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단계별 지원 · 육성책 [그림본문참조] ● (지원 초기 단계) 업무독립성 · 차별성, 인력수요, 기술적 진입장벽, 관련 기술 · 산업 수준 및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을 발굴하고 지원 - 일정 수준 이상의 신규인력 양성과 유사 직업 재직인력에 대한 교육 · 훈련을 병행 지원하고, 기존 민간사업이 있는 경우 정부지원을 강화 * (공공 부문) 신직업 관련된 지원 예산 또는 지원 범위 확대, 신직업 종사자(재직자)의 재교육 지원 * (민간 부문) 신직업 전문인력 수요가 대폭 확대될 수 있도록 신직업의 기반이 되는 과학기술의 발전 · 산업화 적용 지원, 성공사례 발굴 ● (성장 · 지원 중기단계) 중급 이상 전문인력 양성 확대, 신직업 인력양성과 신직업 기반 기술의 고도화(연구개발) 및 적용(산업화)사업 연계 - 신직업 관련 통계체계 점검 및 현황을 파악하고, 모니터링을 강화함 ● (성숙단계) 정부지원 없이 신직업이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토대 지원 - 신직업 종사 인력의 유형과 활성화 수준을 구분하여 정부지원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육성 · 지원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민간부문의 투자와 자발적 성장을 유도 - 신직업의 업무역량 체계와 훈련방법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 국가공인자격증 신설. 단 기반 지식을 확인하는 이론적 자격이 아니라 실무역량 향상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국가공인자격증을 설계 과제 3.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발굴 및 지원을 위한 기반 구축 ● 산업 및 연구현장에 대한 기술인력 직무 모니터링 확대 - 신직업의 대두에 따른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의 발굴 및 지원을 위해서는 산업 및 연구현장에서 기술인력의 직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실태조사의 주기적 시행 필요 ● 과학기술 기반 신직업 지원 · 육성 시 고려사항 - 대학(원) 교육과 비학위과정 교육(정부지원 인력 양성 · 훈련사업 포함)의 병행 필요 - 기술인력 양성과 기술개발 □ Introduction ● Since 2014, the Korean government has designated and fostered new jobs to create new jobs. 10 of the new jobs selected by the government are classified as ‘new S&T-based jobs’. ● This study intends to search policy implications by analysing the current situation of new S&T-based jobs and getting obstacles to prevent job expansion. □ Status of S&T-based New Jobs ● New S&T-based jobs are different in that they require expertise in STEM knowledge. It is also unique in that it changes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employees in new jobs and operators of governmental program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to which designated new jobs were settled down as new job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jobs in which the public sector is a major consumer, the government has supported new occupations through efforts such as compulsory employment, and the number of employees has increased. In the case of jobs mainly engaged in the private sector,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and degree of use of related technologies. □ Policy Implications ● It is evaluated that the criteria for selecting a new job are unclear and the government were unable to respond flexibly to labor market conditions. ● Therefore,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were proposed. 1) New S&T-based jobs should be clearly defined and selection criteria should be established. New S&T-based jobs should b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expertise required in S&T knowledge. 2) A support policy should be prepared in stag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new jobs are activated. In the initial stage of new jobs,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emphasized to foster new manpower and convert incumbents. In the growth stage, support for market expansion and nurturing of middle-level or higher manpower should be expanded. Lastly, in the maturity stag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nstitutions so that jobs can be settled in the labor market. 3)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infrastructure for discovering and supporting new S&T-based jobs. Surveys are needed to launch to observe changes in the jobs of scientists and engineers.

      • 첨단·신기술분야 고급 인력의 육성 및 성장 지원방안

        엄미정(Mi-Jung UM),이혜선,백대현,조가원,홍성민,박정호,황은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1 정책연구 Vol.- No.-

        This study focused on the attributes of the new emerging technologies(NET) which are recently received attention such as AI and new material. NET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old technologies, and the nature of NETs changes the demands of engineers’ skills. Therefore, the training of engineers should also change. The feature of NET that this study focused on is ‘enabling’ attribute, which is to create new value by combining with other domains or systems. Due to this feature, the demand for engineering workforce faces the following changes. First, the demand for domain knowledge, which NET applied to, increases. Due to rapid technological change, the companies preferred the engineers with NET knowledge and also the applied domain knowledge. Second, the demand for high-level engineers in NETs increases. Third, the demand of engineers changes rapidly and the uncertainty of changing direction grows. Because the period to train engineers s takes a long time, it is necessary to change policies for cultivating a new engineers. In response to the changed technological features, this report suggests the following policies. First, as an alternative to reinforcing domain knowledge, a business association (association, etc.) should prepare a place for students to experience each domain knowledge outside the university (or at the school center). Second, in order to foster high-level engineer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growth path of advanced engineers. Third, constant monitoring is required to respond to rapid changes and grown uncertainties of NET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자궁근종이 있는 여성에서 자궁근종용해술 전후 성기능과 임상 증상에 대한 연구

        최은영 ( Eun Young Choi ),엄미정 ( Mi Jung Um ),김수아 ( Soo Ah Kim ),정혁 ( Hyuk Ju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9

        목적: 자궁근종이 있는 환자에서 고주파 자궁근종용해술 후 성기능과 임상 증상의 개선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조선대학교 산부인과에서 고주파 자궁근종용해술을 시행 받은 54명의 환자들에서 수술 전과 6개월 후의 성기능과 임상 증상에 대해 설문조사 하였다. 결과: 고주파 자궁근종용해술 후 성교통, 생리통, 월경과다, 복부 통증, 복부 압박, 허리 통증, 다리 통증, 빈뇨 등의 임상 증상이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개선되었으며, 자궁근종의 크기도 평균 4.41.6 cm 감소하였다(P = 0.043). 그러나 성욕, 성교 횟수, 오르가즘 빈도, 오르가즘 강도는 고주파 자궁근종용해술 전 후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 고주파 자궁근종용해술은 성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자궁근종의 임상 증상을 개선시키고 근종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시술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sexual functioning and clinical symptoms after radiofrequency (RF) myolysis of uterine myomas. Methods: Fifty-four patients who had undergone RF myolysis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t Chosun University Hospital were surveyed regarding changes in the number, diameter, volume of myomas, sexual functioning and clinical symptoms before and 6 months after the procedure.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43 ± 4.048 years. The following clinical symptoms (dysmenorrhea, menorrhagia, abdominal pain, dyspareunia, pelvic pressure, back pain, urinary frequency and leg pain) were improved significantly 6 months after RF myolysis (P < 0.001). The results following parameters of sexual function (desire for sex, frequency of sex, frequency of orgasm and strength of orgasm) were no signifi 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RF myolysis. The diameter and volume of myomas were significantly reduced 6 months after than before RF myolysis (P < 0.05). Conclusion: RF myolysis i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clinical symptoms without an influence on sexual functioning and reduction of myoma size.

      • 공익직불제 대응 시비기준 설정을 위한 독활(땅두릅) 1년차 생육특성

        고도영(Doyoung Ko),엄미정(Mijung Um),김효진(Hyojin Kim),박나영(Nayoung Park),윤순강(Sunkang Yoon),이예진(Yejin Lee),전형권(Hyungkwon Jeon)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본 연구는 공익직불제 무기질비료의 사용준수를 위하여 독활의 토양검정 시비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독활(Aralia continentalis Kitagawa)은 다년생 초본으로 이용부위는 3년 이상 재배한 구근 또는 2년 재배한 구근를 농한기에 하우스에서 지상부 어린 싹을 식용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재배한다. 이러한 독활의 적정한 시비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임실 재배농가의 포장을 활용하여 실험하였다. 농가의 관행시비량(kg/10a)은 질소 38, 인산 21, 칼리 18이었고, 관행 시비량은 기준으로 0, 50, 100, 150, 200 %으로 전량 밑거름으로 시비하여 수행하였다. 앞으로 수량조사와 이용목적에 따른 시비기준 설정을 수행할 계획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