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술담 「베즈루츠카(Безручка)」(AT706)의 예술세계

        안상훈(An Sang Ho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노어노문학 Vol.22 No.4

        계모에 의해 고난을 겪는 의붓딸에 관한 이야기 「신데렐라」는 동서고금을 통해 독자들로부터 가장 사랑받는 이야기일 것이다. 그러나 러시아 민중들은 ‘신데렐라 전승(cinderella cycle)’의 민담보다 「베즈루츠카」를 더 좋아했던 것 같다. 이 이야기도 ‘신데렐라 전승’의 이야기들처럼 가정과 가족의 문제를 서사의 중심축으로 전개되는 이야기로 그 효시가 되는 작품은 18세기 초 이탈리아 종교 이야기를 번역한 「페르시카 황녀에 관한 이야기」이다. 국제적으로 요술담으로 분류되는 「베즈루츠카」는 전통적인 요술담과 비교할 때 차이점이 확실히 드러난다. 전통적인 요술담은 ‘이 세계-다른 세계’라는 신화학적 기본관념을 배경으로 악을 상징하는 환상적인 인물들이 등장하며 주인공은 주술적인 수단의 도움을 받아 자신의 목적을 달성한다. 반면에 이 요술담에는 ‘이중세계’가 존재하지 않고 모든 행동이 ‘이’ 세계에서 전개되며, 주술적인 수단도 환상적이고 초자연적인 인물도 등장하지 않고 지상의 인간이 악의 소유자로 등장한다. 이처럼 소설적 이야기의 전통에 따라 서술되는 「베즈루츠카」는 요술담 가운데서 독특한 위상을 차지한다. 주지하다시피 구술의 전통에 의해 전해지던 ‘민중문학’으로 불리는 전통적인 이야기 문학은 수집가들에 의해 ‘이야기 텍스트’로 기록된 것이다. 하나의 이야기가 하나의 독자적인 서사 유형의 전통이 되기까지 여러 중첩단계들이 더해진다. 특히 이야기꾼이 이야기의 상황 속으로 개인적인 경험, 관심사 등을 끌어들이게 됨으로써 이야기는 심하게 변형되고 장르의 혼합이 생겨나기도 한다. 번역·개작된 된 「베즈루츠카」도 전승되는 과정에서 러시아 토양에 맞게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태 풍속적 현실이 굴절되어 반영되고 새로운 문학 장르의 요소들이 혼재되어 있는 「베즈루츠카」의 예술세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야기꾼들은 세태 풍속적 현실의 가해자와 피해자를 거꾸로 배열하고, 환상적인 요소들보다는 흥미로운 줄거리 전개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다른 장르의 특징적인 요소들을 혼합한다. 아울러 다른 민담의 슈제트 유형의 모티프인 ‘신비로운 아이들’을 덧붙이고 소설적인 색채를 가미함으로써 이야기의 전개가 흥미롭고 긴장감 넘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새로운 것에 대한 욕구로 충만했던 시대적인 상황에 대한 반영이며 특히 소설적 이야기의 미학은 「베즈루츠카」에서 중량감을 지닌다. 전체적으로 외국 이야기를 번역한 기록문학에서 출발하여 다층적인 문화 요소들을 혼합하며 변형된 「베즈루츠카」는 러시아 요술담이 소설적 이야기로 이행되는 과도기 단계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이탈리아에서 구비 전승되던 이야기가 기록/번역문학을 거쳐 러시아에서 또다시 구비 전승되는 이야기로 회귀한 것이다.

      • KCI등재

        백두산 설화의 전승과 연행양상

        안상훈(An, Sang-hoon)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1 No.-

        1898년 가을 러시아 작가 가린-미하일로프스키는 조선 북부지방에서 탐사활동을 하면서 수차례에 걸쳐 이야기판을 마련했고 여러 이야기꾼들로부터 설화를 직접 듣고 기록했다. 생생한 삶의 현장에서 설화를 수집?채록하는 과정은 그의 기행문 조선, 만주, 랴오둥 반도 기행에 산발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가린 이 설화를 채록하던 당시 이야기판의 실질적인 분위기, 연행조건과 상황 등을 중심으로 구한말 조선 북부지역의 이야기판의 모습을 고찰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것은 이야기판의 기능이 살아있던 100여 년 전 전통적 연행현장의 모습을 되짚어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가린이 설화를 채록한 백두산을 비롯한 그 주변지역은 지정학적으로 동북아 제민족의 문화가 상호교차하고 다민족의 문화가 혼재되어 있던 곳이었다. 『조선설화』 속에도 여러 제민족의 특성이 혼합된 설화도 있지만 대부분의 설화들은 우리 설화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귀중한 자료들이다. 공동으로 지어지고 공동체 속에서 유기적으로 통합을 이루며 공동으로 전승 되는 설화가 구연되는 연행현장은 설화가 전승되는 지역의 자연환경이나 민중들의 삶과 직결되는 향토성을 잘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야기 생성의 공간이 어떠했는지를 논하는 것은 그 지역 민중의 삶의 틀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이기도하다. 아울러 설화가 구연되는 연행현장을 통해 이야기꾼의 자질과 특성뿐 아니라 연행현장에 참여한 청중들 사이의 사회적 지위와 관계, 구연되는 이야기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 등 해당 지역 공동체의 특성을 이해할 수도 있다. 전통사회에서 이야기판은 다양한 공간에서 벌어졌고, 이러한 이야기판은 구성원들의 만남과 소통의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근대 이후 사회문화적 변화로 인하여 전통적 의미의 이야기판은 거의 사라졌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전부터 이야기문화가 지식기반 산업으로 부각되면서 다양한 문화공간에서 이야기꾼과 청중들이 한 자리에 모여 소통하는 모습이 새로운 문화현상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소통의 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이러한 시대에 전통적 연행현장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는데 의미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In the autumn of 1898, Russian writer Nikolai Garin-Mikhailovsky explored Joseon, or what is now modern-day Korea, and set up storytelling sites where he could listen to and gather traditional tales told by local storyteller. He recorded the process of listening to and collecting these tales sporadically in his travelogue Around Korea, Manchuria, the Liaodong Peninsul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 of transmission and performance of traditional tales in the northern region of Joseon at that time, and to discuss storytelling sites, particularly in the Baekdusan Mountain region. In this area, a variety of Northeast Asian ethnic cultures intersected and mixed, and while the tales Garin-Mikhailovsky collected show a combination of these different cultures, most also contain elements unique to Korean tales 100 years ago, becoming precious data. Traditional tales are made and transmitted collectively, combining organically in the community and storytelling sites demonstrate characteristics directly related to the environment and life in the region. Discussing characteristics of such storytelling sites is one way to understand the framework of local people’s lives. Through the performance of these tale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 local performance community, such as social status and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nts, participants’ perceptions of a story, and the skills and characteristics of storytellers. Storytelling occurred in a variety of different gathering places, and anyone could participate. In fact, storytelling related naturally to people’s lives in traditional society. Storytelling sites were natural meeting places, venues for communication where participants could create meaningful discussions about their lives. In modern times, traditional storytelling sites have all but disappeared, and because of various sociocultural changes, storytelling culture has become passive. However, in the last few years, this culture has been recognized as a new, core, knowledge-based industry, and storytellers and audiences are again meeting in various cultural spaces. With this increasing interest in social communication, it is meaningful to pay attention to traditional storytelling performance.

      • KCI등재

        우크라이나 민속학 동향에 관한 고찰

        안상훈(An, Sang Hoon)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3 슬라브학보 Vol.28 No.2

        1991년 독립이후 우크라이나 정부는 국가 고유의 문화적 자주성과 정체성 확보를 가장 시급한 국가적 과제로 고려하고 새로운 국가 이미지 구축을 위해 총력을 기울였으며, 이러한 노력은 지금도 다양한 분야에서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오랜 기간 동안 외세에 의해 문화점령을 심각하게 겪고, 그로 인해 민족문화의 특수성을 상실하고 역사의 분리, 단절을 경험했던 우크라이나 민속학계에서 민족 정체성 확립의 문제는 담론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민속 연구자들은 민족역사 창조와 문화유산 발굴을 추진하면서 과거 소비에트 시대의 단편적이고 획일적인 민속 연구를 벗어나 자주적인 민속학을 정립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이후 우크라이나 민속학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살핀 것은 소비에트 시대에 탄압받았던 전통문화에 대한 재조명 작업과 학문의 단절 현상을 극복하고 우크라이나 민속학의 위상을 정립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시도이다. 우크라이나 민속 연구자들의 이러한 노력은 소비에트 시대 강압적인 외압으로 인해 형성된 공백을 보충하고자 하는 ‘보상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Since the independence in 1991, the Ukrainian government, having considered country-specific cultural independence and identity as most urgent policies, has been focusing on establishing a new national image, and this effort continues in various fields until now. The Ukrainian culture has been occupied by the foreign influence, which led to a loss of the uniqueness of national culture and historical separation and discontinuity. Thus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is the key discourse. Folklore researchers, rewriting ethnohistory and discovering cultural heritages, make efforts to establish autonomous folklore instead of fragmental and uniform folkl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 in Ukrainian folklore since the independence of Ukraine, focusing on the researchers attempts to reinterpret the traditional culture that has been oppressed in the Soviet period, overcome the discontinuity of studies and reestablish the status of Ukrainian folklore. Thus the efforts of Ukrainian folklore researchers are compensating a vacuum formed by the oppressive pressure in the Soviet period.

      • KCI등재

        러시아 이야기꾼과 작가적 특성 -소로코비코프마가이를 중심으로-

        안상훈 ( Sang Hoon A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4 동화와 번역 Vol.28 No.-

        동서양을 막론하고 전통사회에서 이야기꾼은 구연문화의 핵심주체였다. 모든 이야기꾼은 청중들이 자신의 이야기에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다각적으로 노력한다. 숙련된 이야기꾼은 하나의 이야기가 서사의 전개 측면에서 통일성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오랫동안 전승되는 상투적인 형식과 줄거리에 지나치게 얽매이지 않고 개인적인 특성을 발휘해서 시대나 지역에 맞게 서사를 윤색하고 새롭게 변형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이야기꾼이 연행현장에서 민담을 구연하는 행위는 어느 정도 하나의 작품을 창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야기문화의 핵심주체인 이야기꾼에 주목하여 창작자로서의 그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베리아 지역의 유능한 이야기꾼인 예고르 이바노비치 소로코비코프마가이를 중심으로 그의 이야기 기법을 고찰해 보고 그의 작가적 특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특히 필자는 그의 구연력 가운데 서사를 엮어가는 구성법과 표현법에 대하여 점검하면서 연구를 수행했다. 작가가 삶의 체험 속에서 작품을 창작해 내듯이, 시베리아 지역 이야기꾼인 마가이도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적인 환경 속에서 이야기의 목록과 성향을 구체화하고 재창조하면서 개성을 지닌 이야기꾼으로서의 독창성을 보여준다. 마가이는 형식적인 측면에서 러시아 이야기문화의 전통을 준수하면서 동시에 독특한 이야기 구성방법으로 이야기의 재미와 의미를 되살려서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이야기를 창조해 냈다. 마가이는 러시아 민담의 참신하고 생동감 있는 비유적인 표현과 틀을 갖춘 공식적인 표현구들을 자기방식대로 가다듬고 지역적인 색채를 가미해서 폭넓게 활용했으며 민중문화의 다양한 장르들을 시의 적절하게 혼합하여 민담의 예술적 효과를 극대화했다. 그의 작가적 특성은 무엇보다도 이야기의 표현법에서 발휘되었다. 그는 인물이나 배경, 상황의 핵심을 포착하여 묘사하고 실감나게 재현해냄으로써 이야기 창작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등장인물들이 겪는 심리적 연정에 대한 묘사 부분은 구술문학의 한 단락이라기보다는 서술문학의 한 대목을 연상시켰다. In a traditional society, a storyteller was a main body of folk culture. The storyteller not only has a right to utilize story stage freely but also a duty to entertain audience in story stage. All storytellers try in a multidirectional way not to make the audience feel boredom about their stories. Trained storytellers can maintain unity for the whole story and at the same time are not restrained to conventional form and stories which are handed down for a long time but embellishes and changes newly according to the era and region by demonstrating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ory techniques of Egor SorokovikovMagai who is competent storyteller in Siberia and his characteristics as an artist. Especially, his composition and expression techniques tie together in his descriptions. As an artist creates works in his life, Magai shows creativity as a storyteller with personality by specifying and recreating lists and deposition of the stories in the regional environment he lives in. From the formative aspect, Magai maintains traditions of Russian story culture, but also revives fun and meaning of the stories with unique story composition methods to creative high quality stories. Magai makes formal expression phrases with new and vibrant figurative expressions and frame of Russian folktale with his own way, and by combining variety of genres of folk culture, he tried to maximize artistic effects of the related folktale. His artistic characteristics were distant mostly from expression techniques of the stories. He focused on the points of characters, backgrounds and situations to describe and reproduce vividly, he played a role as a story originator. Especially, he describes a part of psychological condition that characters go through, which are elements of a passage of narrative literature rather than a passage of oral literature.

      • KCI등재

        러시아 민담 「부자 마르코」의 예술세계 고찰

        안상훈(An Sang H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5

        민담이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활발하게 전승되던 지역에는 재능 있고 숙련된 이야기꾼이 언제나 존재했었다. 과거 러시아는 다른 어느 지역보다도 민담을 비롯한 구비문학이 살아 숨 쉬며 풍부한 전통이 계승되던 세계였다. 구비문학이 활발하게 전승되는 그러한 지역에서 숙련된 이야기꾼은 이야기를 구연할 때 오랫동안 구전으로 전해지는 상투적인 형식과 슈제트를 기계적으로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특성을 발휘해서 특정한 에피소드를 시대나 지역에 맞게 새롭게 변형시킨다. 그러므로 아무리 동일한 유형의 이야기라 하더라도 다른 이야기꾼에 의해 구연되는 각편의 이야기들은 서사의 전개 측면에서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한 자신만의 독특한 전개 논리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 가능성은 구비 전승되는 민담이 지닌 커다란 특징으로 각 이야기의 슈제트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론적 잠재성에 기인한다. 바로 이것이 본 연구의 전제이며 출발점이다. 이러한 전제하에 본 연구는 러시아 민담 「부자 마르코」의 예술 세계를 모델화된 유형적인 민담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다양한 변화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개개의 민담 텍스트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러시아 민담 「부자 마르코」의 기본적인 슈제트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발견되는 흥미로운 이야기이며 인도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슈제트는 러시아에서 수용과 변용을 반복하며 전승되고 토착화 되는 과정에서 독특한 유형의 민담을 형성하게 되었고, 각편마다 상이한 이야기로 변화되었다. 305번 민담은 예언의 모티프(AT461)와 ‘저’ 세상으로 여행 모티프(AT930)가 결합되어 서사적, 구조적 측면에서 볼 때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다. 306번 민담에서 예언의 모티프는 305번 민담에서와 유사하지만 ‘저’ 세상으로 여행 모티프는 변형된 에피소드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이 두 편의 민담은 여러 가지를 고려해 볼 때 종교 전설이야기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307번 민담은 러시아 전통에서 독특한 변형을 거쳐 전승된 것으로 고려된다. 이 각편은 ‘저’ 세상으로 여행 모티프만으로 이루어졌으며, 당시 민중들의 ‘저’ 세상에 대한 세계 인식과 종말론적 세계관을 잘 보여주고 있다. In Russia, one of regions where folktales have actively handed down with strong lives did talented and skillful storytellers exist. When these talented storytellers performed, they didn’t mechanically repeat syuzhet which they heard and conventional forms orally transmitted for a long time but changed them in accordance with performance sites, social conditions, and certain ranges. Considering this, even though it was the same type of story, each story realized by other story teller had its own unique unfolding logic to keep the unity in the aspect of unfolding narration. And the change possibility is a big characteristic which orally transmitted folktale has, which come from semantic potentiality which syuzhet of each story includes. This is the premise of the study and starting point. Under this premise, the study didn’t target the typical folktales which are already modeled in art world of The rich man Marco, a Russian folktale but saw texts of each folktale transformed diversely. The basic syuzhet of a Russian folktale, The rich man Marco is an interesting story found across the world and known to come from India. The syuzhet formed unique style folktales in the process of repeating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transmission, and naturalization and had different texts in each story. Folktale №305 combined motif of prophecy(AT461) and motif of journey into other world(AT930) is the high completed work in the aspect of structure. The prophecy motif in folktale №306 is similar to that of № 305 but journey motif into other world has a changed episode. Both folktales can be said to have characteristics of legend genre considering several elements. In the other hand, folktale №307 is considered to be transmitted by uniquely transformed from Russian tradition. This folktale was composed of only journey motif into other world and shows the world recognition and apocalyptic view of world of the people at that time. 민담이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활발하게 전승되던 지역에는 재능 있고 숙련된 이야기꾼이 언제나 존재했었다. 과거 러시아는 다른 어느 지역보다도 민담을 비롯한 구비문학이 살아 숨 쉬며 풍부한 전통이 계승되던 세계였다. 구비문학이 활발하게 전승되는 그러한 지역에서 숙련된 이야기꾼은 이야기를 구연할 때 오랫동안 구전으로 전해지는 상투적인 형식과 슈제트를 기계적으로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특성을 발휘해서 특정한 에피소드를 시대나 지역에 맞게 새롭게 변형시킨다. 그러므로 아무리 동일한 유형의 이야기라 하더라도 다른 이야기꾼에 의해 구연되는 각편의 이야기들은 서사의 전개 측면에서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한 자신만의 독특한 전개 논리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 가능성은 구비 전승되는 민담이 지닌 커다란 특징으로 각 이야기의 슈제트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론적 잠재성에 기인한다. 바로 이것이 본 연구의 전제이며 출발점이다. 이러한 전제하에 본 연구는 러시아 민담 「부자 마르코」의 예술 세계를 모델화된 유형적인 민담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다양한 변화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개개의 민담 텍스트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러시아 민담 「부자 마르코」의 기본적인 슈제트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발견되는 흥미로운 이야기이며 인도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슈제트는 러시아에서 수용과 변용을 반복하며 전승되고 토착화 되는 과정에서 독특한 유형의 민담을 형성하게 되었고, 각편마다 상이한 이야기로 변화되었다. 305번 민담은 예언의 모티프(AT461)와 ‘저’ 세상으로 여행 모티프(AT930)가 결합되어 서사적, 구조적 측면에서 볼 때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다. 306번 민담에서 예언의 모티프는 305번 민담에서와 유사하지만 ‘저’ 세상으로 여행 모티프는 변형된 에피소드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이 두 편의 민담은 여러 가지를 고려해 볼 때 종교 전설이야기의 성격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307번 민담은 러시아 전통에서 독특한 변형을 거쳐 전승된 것으로 고려된다. 이 각편은 ‘저’ 세상으로 여행 모티프만으로 이루어졌으며, 당시 민중들의 ‘저’ 세상에 대한 세계 인식과 종말론적 세계관을 잘 보여주고 있다. In Russia, one of regions where folktales have actively handed down with strong lives did talented and skillful storytellers exist. When these talented storytellers performed, they didn’t mechanically repeat syuzhet which they heard and conventional forms orally transmitted for a long time but changed them in accordance with performance sites, social conditions, and certain ranges. Considering this, even though it was the same type of story, each story realized by other story teller had its own unique unfolding logic to keep the unity in the aspect of unfolding narration. And the change possibility is a big characteristic which orally transmitted folktale has, which come from semantic potentiality which syuzhet of each story includes. This is the premise of the study and starting point. Under this premise, the study didn’t target the typical folktales which are already modeled in art world of The rich man Marco, a Russian folktale but saw texts of each folktale transformed diversely. The basic syuzhet of a Russian folktale, The rich man Marco is an interesting story found across the world and known to come from India. The syuzhet formed unique style folktales in the process of repeating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transmission, and naturalization and had different texts in each story. Folktale №305 combined motif of prophecy(AT461) and motif of journey into other world(AT930) is the high completed work in the aspect of structure. The prophecy motif in folktale №306 is similar to that of № 305 but journey motif into other world has a changed episode. Both folktales can be said to have characteristics of legend genre considering several elements. In the other hand, folktale №307 is considered to be transmitted by uniquely transformed from Russian tradition. This folktale was composed of only journey motif into other world and shows the world recognition and apocalyptic view of world of the people at that time.

      • KCI등재

        러시아 요술담 의미 분석 방법론에 관한 소고

        안상훈(An, Sang-hoo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1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offer a new methodology for the semantic analysis of Russian fairy tale. We will also review how the contamination, the ethnographic context and the written tradition, which make the interpretation of fairy tale more difficult, are mixed in themselves. Regarding a description of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fairy tale, the meaning of the fairy tale should not be approached with the meaning of ritual-mythology, but be interpreted in practical meaning; it is a premise and conceptual foundation of this study. As to the analysis of the fairy tale, we should not overlook several facts. No matter how it slightly occurs, the contamination in the text has a clear semantic coincidence and a purpose of connecting the other elements within the frame of the story.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iry tales and the ethnographic reality could be traced many other elements which exist in the fairy tales. The consideration on the myth, the actual rite and the rule of an ancient custom have a real meaning in the area of the space, the antagonists and the assistants. The influence of the written literature on the fairy tales is enormous. Thanks to the written literature, the fairy tales have the psychological motivation in the area of the hero and contain the romantic adventurous tone to the area of space. The contamination, the ethnographic context and the written tradition, which make the interpretation of the fairy tales more difficult, tend to change steadily within the text but the plot of the fairy tales organically keeps many elements and unfolds due to the inner regulation. Therefore each fairy tale has its own logic and various changes depending upon its logic. The study will be able not only to add a new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fairy tales from a various point of view, but also to reveal the essence of an unique semantic structure in the each fairy tale. 본 연구의 목적은 러시아 요술담의 의미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적 모델을 제시하고, 요술담의 의미구조를 복잡하게 만드는 여러 요소들을 살펴보는데 있다. 러시아 요술담의 의미는 실제적인 의미를 갖는 ‘입문의례’의 타입을 통해서, 슈제트가 결합되는 본질인 혼효현상을 통해서, 텍스트 속에 복잡하게 얽혀있는 민족지학적 자료를 통해서 그리고 기록문학과의 관계의 본질을 밝힘으로써 드러날 수 있다. 혼효현상과 민족지학적 문맥 그리고 기록문학의 전통은 이야기 속에서 끊임없는 변화를 시도하지만 슈제트는 그 여러 요소들의 상호관계를 유기적으로 유지시키며 내적인 법칙에 따라 전개된다. 그럼으로써 러시아 요술담의 구조는 그 자체의 고유한 틀을 넘어서는 것을 스스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요술담의 슈제트 구조가 여러 개의 변이를 지닐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이를 기반으로 개개의 이야기는 자신만의 독특한 슈제트 논리를 갖게 되고 그 논리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요술담의 의미론적 영역은 자신의 고유한 슈제트 논리에 따라 전개되며 여러 의미론적 영역의 특성들과 그들 상호관계의 종합이 하나의 요술담의 의미론 구조를 이룬다. 요술담을 분석하는데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이 몇 가지 있다. 하나의 요술담에 다른 모티프나 슈제트의 부분들이 결합되어 있는 혼효현상은 텍스트에서 아무리 미미하게 일어나더라도 명확한 의미적인 일치를 갖게 되고 하나의 이야기의 틀 안에서 부분적인 요소들의 의미를 논리적으로 연결하고자 지향한다. 요술담과 민족지학적 현실 사이의 상호관계는 요술담 장르의 기원에 관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 요술담이 존재하고 지각되는 기능에 관한 문제이며 전통문화 속에서 요술담이 갖는 정확한 위치를 가늠케 해준다. 요술담 속에 포함되어 있는 많은 모티프들은 민족지학적 현실에 나타나는 관념이나, 종교, 관습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러시아 기록문학과 민담은 상호 침투와 보충의 관계 속에서 발전하는데, 특히 러시아 민중들의 세계관이 잘 반영되어 있는 루복 예술은 러시아 민담의 장르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 KCI등재

        커피전문점의 콜라보레이션 특성이 브랜드인지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안상훈(Sang Hoon An),이병국(Byeong Kook Lee),김예영(Ye Young Kim) 한국관광연구학회 2015 관광연구저널 Vol.29 No.12

        In this research, we’ve chosen creativity, aesthetic impression, symbolization and scarcity as 4factors of characteristic of collaboration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 By this, we’ve tried to see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collaboration characteristic to brand awareness and purchasing intention. By the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it showed that creativity and aesthetic impression had influence but there were no relationship with symbolization and scarcity in brand awareness. Second, from the collaboration characteristic, the creativity and aesthetic impression showed influence to purchase intention, but there were no influence of symbolization and scarcity in the relationship of purchase inten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the brand awareness has in purchase intention of coffee specialty store collaboration type, it showed that the higher the brand awareness is, the purchase intention increases. Therefore, we need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brand awareness, and by increasing the brand awareness, we can get closer to the consumers 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to the consumers, which will lead to the increase of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this research, We think that there will be scientific level of contribution when trying to investigat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s, and collaboration is a marketing that can be applied into every industry fields, and by the aspect that it can be the driving force to keep the company develop and secure competitiveness, this research is trying to provide research implication by providing basic datas.

      • KCI등재

        오리엔탈리즘과 바츨라프 세로셰프스키의 "한국"

        안상훈 ( Sang Hoon An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2 슬라브연구 Vol.28 No.4

        구한말 서구의 여행가들은 한국에서 관찰한 모든 것을 다양한 형태의 기록으로 남겼고, 문자언어로 충분히 전달되지 못한 부분은 사진이나 삽화 속에 담아서 자국의 독자들에게 제시했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서 서구인들의 이러한 기록들이 객관적인 관점이 아니라 오리엔탈리즘의 관점에 바탕을 두고 고찰되고 연구되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연구는 구한말 열강들이 세력 확장을 위해 각축전을 벌이던 격변의 시기에 한국을 직접 경험하고 여행기 ``한국``을 남긴 폴란드 출신의 러시아 학자 바츨라프 세로셰프스키의 시선을 살펴보고자 한다. 뚜렷한 정치적, 역 사적 신념을 지니고 있던 세로셰프스키가 남긴 여행기가 어떤 점에서 여전히 오리엔탈리즘의 맥락 속에 놓여 있는가를 조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Western people stylized Korea by collecting information and textualizing it in the way that they can satisfy their own understanding of Korea. Western travelers realistically reproduced everything they see in Korea in a written form, and also provided the readers in their countries with sketches or pictures when the writing is not enough. However, most of information those Western travelers delivered at that time was based on Orientalism, which exaggerated the reality of Korea. Nevertheless, these false images have gone through numerous repetition and reproduction as they were fixed as facts, which still has intellectual authority. This study traces the perspective of a Russian scholar, Sieroszewski, who experienced and documented his understanding of Korea, which was in the middle of imperialists` competition to expand their power. Although he had clear political and historical philosophy, Sieroszewski saw Korea as a negative case, as a country gradually losing its autonomy and even threatened its own sovereignty between imperialists` competition, like his home country, Poland. He accepted Western theory of civilization, and even supported colonization of Korea.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his texts lied in the context of Orientalism.

      • KCI등재

        러시아의 지하국대적퇴치 민담에 관한 고찰

        안상훈(An, Sang Hoon)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2 슬라브학보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ogic and deployment of an epic of Three Underground Kingdoms(СУС301) which is one of Russian folktales about underground nation’s destroying her enemies and examine its artistic value and significance. In this story, a Bogatyr’(a warrior) born in a supernatural way defeats the monsters in the underground world and rescues a virgin abducted and marries her. This is the popular repertoire spread all over the world. Russian Folktale, Three Underground Kingdoms is classified into ‘marriage ordeal theme’ cycle and ‘heroic theme’ cycle. In the type where the axis of the epic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n ‘marriage issues’ of heroes, the epic introduction formalities of heroes have the secondary meanings. However, in the story of this cycle, the image of ‘false’ heroes are introduced, which introduces the motif for the recognition of the ‘true’ heroes, complicates the story structure accordingly, and results in the additional semantic conflicts. In the heroic theme cycle aiming at epic introduction formalities of heroes, the mysterious birth of heroes and the episode of the childhood of the heroes play a unique role, and the narration about the marriage of heroes is the secondary thing, losing its significance. The images of enemies in Russian folktales in this type transform adequately depending on the type and perform semantic functions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marriage ordeal cycle type, the images of enemies have the semantic potential emphasizing the function of abductors and in the heroic theme cycle type, emphasizes the function as the mythic master of another world. As shown in her golden light, the image of the bride unveils the unique property pertaining to other world or compensates the heroic deeds of the heroes. In the Russian folktales about underground nation’s destroying her enemies where the battle between the heroes and their enemies are the axis of the narration, the magical assistors are positively necessary and important elements too. These assistors appear in a large number and in diverse forms. It is likely that diverse magical supports are needed because of the complex structure of other worlds and the unique ontological problems of the corresponding folktales. The variant forms of Russian folktales about underground nation’s destroying her enemies are very interesting in terms of semantics. It is classified by the important inner-epic characteristics-who is the true hero?, not by the spatial and mythic issues shown in the name, ‘Three Underground Kingdoms’. It is likely that the contrast between Bogatyries rather than the spatial contrast between ‘this world’ and ‘another world’ might look more realistic to the story tellers and the listeners who transmitted the folktales. As shown in the stories - Ivan Suhenko and Bely Polianin(№139) and Medvedko, Usynia, Gorynia, Dubynia - Bogatyries(№141, №142)- in Afanas’ev’s Russian Folk Tales, the title emphasizing the contrast between ‘true’ hero and ‘false’ hero evidences this.

      • KCI등재

        복지지출과 조세부담의 적정 조합에 관한 연구

        안종범 ( Chong Bum An ),안상훈 ( Sang Hoon Ahn ),정승훈 ( Seung Hoon Jeon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0 사회보장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소득수준 및 재정 여건 등을 고려한 적절한 복지재정의 규모를 추정하고, 조세부담률을 높이지 않을 경우 복지지출이 야기할 수 있는 장기재정위험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우리나라의 복지지출은 2050년까지 OECD 공공사회지출 기준 41.06%, 중앙정부 통합재정 기준 26.26%로 증가하며, 이에 따라 관리대상수지 적자규모와 국가채무는 GDP대비 18.73%와 203.37%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복지지출 증가에 따른 재정위험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조세부담률과 국민부담률 수준은 2050년까지 각각 GDP 대비 40%와 50%수준이 될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높은 수준의 조세부담률과 국민부담률을 국민이 쉽게 수용하기 힘들다고 본다면, 적정한 수준의 조세부담수준과 이에 상응하는 적정 복지지출수준의 조합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관리대상수지 적자규모를 3% 이내로 유지한다는 목표 하의 조세부담률과 통합재정 기준 복지지출의 조합은 25%-14.03%, 30%-17.86%, 35%-21.68%이며, 국가채무를 GDP대비 60% 이내로 유지한다는 목표 하의 조세부담률과 통합재정기준 복지지출의 조합은 25%-14.71%, 30%-18.54%, 35%-22.36%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estimation of balanced Korean welfare expenditure. We estimated balanced level of welfare expenditure under the consideration of individual income level and macro fiscal situa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long-term welfare expenditure might end up with a serious fiscal crisis if not much higher level of tax burden. By the year of 2050, Korean welfare expenditure will rise to 41.06%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OECD public social expenditure, to 26.26% according to that of central government finance. Hand in hand, level of national debt might reach 203.37%. To bridge such a big gap of financial deficit, tax burden should be raised by at least 40%. As it is hard to decide if Koreans can accept such a high level of tax burden by the year of 2050, then, we need to find out the balanced combination of adequate level of tax burden and welfare expenditure. When we should keep the level of national debt under 60% of GDP, possible combination of tax burden and welfare expenditre can be 25% vs. 14.7%, 30% vs. 18.54, and 35% vs. 22.36,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