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국가 이미지에 관한 연구: 20~30대 한국 여성을 중심으로

        방교영 ( Gyo Young Ba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1 슬라브연구 Vol.27 No.4

        본 논문은 20~30대 한국 여성이 바라보는 러시아 국가, 국민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민족문화의 범주를 질적으로 규정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응답자가 국가의 이미지를 배타적으로 구별, 응답할 수 있는 범주를 찾았다. 브랜드 이론에 근거한 5범주(역사, 언어, 사회, 가족, 종교)와 호프슈테더의 문화적 토대인 5범주(우정, 순종성, 남성성, 강인성, 집단성)를 기준으로 했다. 연구결과, 한국 여성에게 러시아의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이다. 이들은 러시아의 역사가 전쟁과 공산주의로 점철되고 있었다고 판단하며, 러시아가 채택했던 공산주의 체제의 이미지를 강압과 냉혹함의 이미지와 함께 투영하고 있다. 러시아는 소련의 아류로서 냉소적이고, 차가우며, 공산주의의 지배력이 아직도 잔재한 사회로 한국 여성의 뇌리에 각인되어 있다. 접촉성 혹은 소통 가능성의 측면을 측정하는 러시아 국민에 대한 이미지 또한 부정적인 차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가족에 대한 이미지로서는 다양한 단어가 추출되었으며, 러시아 국민에 대한 긍정과 부정이 반반(48% vs 52%) 정도 우정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반면, 나머지 이미지로서 러시아의 과거 냉전 이미지로 러시아 국민들마저 판단하고 있다. 한국 20~30대 여성들에게 러시아는 ``경직``, ``강압``, ``폐쇄``, ``차가움``, ``냉혹``, ``무서움``의 이미지이다. 이와 같은 자유 민주사회 VS 폐쇄 공산사회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를 20~30대 한국 여성은 극복하지 못한다. 과거로부터 만들어진 이미지는 20~30대 한국 여성에게 순종적이지 못한 남성, 집단의 이미지로 러시아를 바라보게 한다. 이와 같이 피상적 소통의 차원에서 러시아는 20~30대 한국 여성에게 부정적이지만, 이들에게 러시아는 확증하기는 어려운 불확실한 이미지로서 존재한다는 것 또한 알 수 있었다. 국가의 이미지는 고정적이지 않고 변화한다. 국가의 이미지는 국가 스스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남들에 의해 규정되는 ``남의 눈에 비친 이미지``다. 본 연구는 러시아를 모델로 삼아 한 국가가 특정 시장에 나아가 자신을 각인하는 데서 ``이미지로서의 정체성``을 어떤 방식으로 구성하고 있는가를 탐구했다.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among the three-phased research on Russia`s national image, the image on the nation, its people and the government held in the minds of Korean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To study the image on Russia, the theoretical grounds to qualitatively define ethnic culture were propos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categories of responses that enable respondents to differentiate a nation`s exclusive image: 5 categories based on brand theories (history, language, society, family and religion); another 5 categories based on Hofstede (friendship, submissiveness, masculinity, toughness and collectivism); 3 basic categories for the image of a government (foreign policy, government ope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n general, Russia has negative national image. It is believed to have the history riddled with wars and socialism, and socialism projects oppressive and heartless cold image. The history of oppressiveness and coldness is overlapped with the outdated image of the traditional Russian society to make Russia be deeply engraved in the minds of Korean women as a society that is cynical and cold, and has the legacy of socialism. In the eyes of Korean women, the people of Russia are not submissive, but have a masculine and even collective image. The high rate of aggressiveness, adventurousness and toughness did not create the image of a strong and reliable man, but the one that is similar to men`s ruggedness. At this time when the Russian government celebrates its 20th anniversary of its establishment, it is still viewed by Korean women as a non-democratic, unequal and hierarchic government.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a government represents its people in a modern society, the Russian government represents 50% percent of the image of its people held by Korean women, but suspicion remains on the representativeness. A nation`s image is not defined by its people and government, but by the others. In other words, it is the image reflected in the eyes of the others. By studying Russia as a model, this paper explores how a country develops ``identity as its image`` to make itself known in a specific market. Russia`s national image, and the image of its people and the government have almost failed to communicate and promote the history, tradition, ideology, friendship, family and social values, democracy and equality that Russians have desired to guard and protect. They need to be better communicated for due recognition outside the nation.

      • KCI등재

        한국 국민의 러시아 인식과 루소포비아 현상 - 연령대별 인식 차이 -

        최우익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2 슬라브연구 Vol.38 No.4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capitalism and socialism formed a Russophobia in the Korean people toward the Soviet Union as the suzerain of socialism. Russophobia seemed to disappear with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nd market reforms in Russia in the 1990s, but Russophobia intensified with Putin’s “strong Russia” motto in the 2000s and the annexation of Crimea in 2014.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Russia by the Korean people by age group. Younger age groups have less negative views of Russia, but are less interested in Russia and feel less need to cooperate with Russia. Older age groups have more negative views of Russia, but are more interested in Russia and feel the need to cooperate with Russia more. The older age group thinks that Korea needs to cooperate with Russia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interest, considering Russia’s international status and natural resources. Since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allies, South Koreans believe there are limits to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Russia. However, if the foreign policy of the United States runs counter to the national interest of Korea, Koreans may perceive the United States more negatively than Russia. In addition, interviews confirmed that a trip to Russia or education on Russia can be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Korean public’s perception of Russia. 남북분단, 그리고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체제 대립은 사회주의 종주국 소련에 대한 루소포비아를 한국 국민에게 형성시켰다. 소련이 해체되고 1990년대 러시아가 시장개혁을 하면서 루소포비아는 사라질듯했으나, 2000년대 푸틴의 ‘강한 러시아’ 모토와 2014년 크림 병합으로 루소포비아는 확대되었다. 하지만 한국 국민의 러시아 인식은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다. 낮은 연령대는 러시아에 대해 덜부정적으로 여기지만, 러시아에 대한 관심도 덜하고 러시아와의 협력 필요성도 덜 느낀다. 높은 연령대는 러시아에 대해 더 부정적으로 여기지만, 러시아에 대한 관심도 더 크고, 러시아와의 협력 필요성도 더 느낀다. 높은 연령대는 러시아가 지닌 국제적 위상, 천연자원 등을 고려할 때 국익의 관점에서 한국이 러시아와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과 미국이 동맹 관계이기 때문에 한국이 미국과 적대적인 러시아와 협력하는 데에는 한계가있다고 한국 국민은 여긴다. 하지만 미국의 대외정책이 한국 국익에 반하면 한국 국민은 러시아보다미국을 더 부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러시아에 대한 한국 국민의 인식을 개선하는 데에는러시아 여행이나 러시아에 대한 교육이 계기가 될 수 있음이 인터뷰 조사에서 확인되었다.

      • KCI등재

        크림반도 합병 이후 러시아 흑해함대 전력 강화 배경, 추세, 한계

        나지원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2 슬라브연구 Vol.38 No.3

        러시아 북부에 비해 온난한 기후 덕분에 흑해 연안은 대형 선박 건조에 유리한 지리적 조건을갖추고 있다. 이처럼 러시아 해군에 중요한 이 지역에서 러시아 해군 건설은 소련 붕괴와 우크라이나독립으로 러시아가 흑해 북부 해안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한 1991년 전까지 여러 계기를 통해 단절적으로 일어났다. 그러나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합병 이후 러시아는 이 반도의 산업을빠르게 군사화하면서 이른바 불침항모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정책의 핵심 요소중 하나는 크림반도 소재 조선기업을 러시아 군수산업과 통합하고 중앙정부 통제하에 군함을 생산하는 것이었다. 러시아 국가 무기 조달 계획에 따르면 초계함, 원양초계함, 강습상륙함을 포함한 14척의 군함이 이 지역 조선소에 발주되었다. 특히 강습상륙함은 지난 4월 흑해함대 기함인 모스크바가침몰한 이후 부재한 지휘통제 기능을 포함한 기습전과 상륙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독보적인 능력을갖추고 있기 때문에 러시아에게 지금까지보다 더 많은 군사 작전의 여지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세력균형을 크게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제재로 인한 엔진 부품 조달 차질 및 대형선박 건조 능력 부재등 여러 장애물로 인해 러시아의 이러한 계획은 단시일 내에 실현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크림반도와 주변 우크라이나 영토 장악을 통해 대양해군을 건설하겠다는 러시아의 야심이 역설적으로크림반도 점령에 대한 경제제재로 인해 난관에 봉착한 것이다.

      • KCI등재

        캅카스 지역의 압하스어 상황 연구

        정경택 ( Kyung Taek Ch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7 슬라브연구 Vol.33 No.1

        1991년 소련 해체로 독립한 조지아는 단일민족국가건설이라는 목표를 내세웠지만 이런 목표의 설정과 추진은 다민족국가인 조지아의 대내외적 상황을 어렵게 만들었다. 특히 국내의 압하지야(조지아 독립 당시 압하지야자치공화국의 지위)와 남오세티야(자치주의 지위)는 조지아의 독립선언과 조지아어발전국어프로그램에 대한 반발로 무장저항을 벌였고 결국 이 두 지역은 독립을 선언하면서 사실상 독립국이 되었다. 이중에서 압하지야에서는 압하스어가 국어로 규정되어있지만 여전히 러시아어가 가장 확장된 언어로서 소련 당시와 마찬가지로 다민족국가인 압하지야의 민족 간 의사소통어, 즉 링구아프랑카이다 1994년 압하지야공화국헌법에서의 공식적인 국어지위부여에도 불구하고 현재 압하스어는 심각한 위험에 처해있다. 비록 압하스어 유치원, 학교, 대학교 강좌, 압하스어 라디오, TV, 신문 등이 나오고 있지만 압하스어사용인구수 부족 외에 친 러시아적 상황에서 러시아어가 절대적인 사용언어이자 링구아프랑카란 사실이 압하스어가 가진 중요한 문제이다. 압하스어에 대한 러시아어의 영향은 지대하여, 러시아어가 일반적인 의사소통에서 지배적이고 러시아어가 공공업무, 관료, 행정부(통치), 의회, 학교, 비즈니스의 언어이자, 도시 대부분의 압하스인 가정의 언어이다. 적극적인 압하스어-러시아어 이중언어사용이 대안이 될 수 있지만 현재 압하스 사회는 자신들의 의사소통에서 사용성이 그리 크지 않은 압하스어의 소멸에 큰 관심을 두지 않으면서 러시아어 단일언어사용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압하스어는 위기에 처해있고, 압하스인 공동체에서 압하스어의 적합한 지위 확립과 사용영역확대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몇 세대 이후에는 압하스어가 소멸될 수도 있다. 압하스인들은 러시아제국과 소련시기의 조지아 내 자치공화국의 한 구성원으로 독립적인 지위를 갖지 못했고 조지아민족으로의 동화과정을 겪으면서 압하스어의 지위도 하락되고 그 사용도 축소되었다. 조지아의 민족-언어정책에 반발하여 독립국을 이루었지만 지정학적 여러 요인들에 의해 러시아연방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있음을 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Georgia established a goal of building a mono-ethnic nation, becoming a sovereign country through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in 1991. However,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goal made it difficult for this multinational state to deal with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In particular, Abkhazia (an autonomous republic at the time of the independence of Georgia) and South Ossetia (an autonomous province) led armed resistance against the Georgia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development of Georgian language programs. Both Abkhazia and South Ossetia were recognized as de-facto autonomous states thereafter. Abkhaz is the state language in Abkhazia, but Russian is the most extensively used language and lingua franca which functions for communication between ethnic groups in the multinational country. Abkhaz is an official state language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of Abkhazia in 1994, even though its current status is in serious danger. Although there exist Abkhazian kindergartens, schools, lectures in universities, and media outlets, Russian is the most commonly spoken language due to their pro-Russian attitudes as well as underpopulation. The influence of Russian in Abkhazia is enormous and dominant in the streets and markets. And Russian is the language of the bureaucrats, administrations, parliament, schools, business, and in many cases Abkhazian urban families. The bilingualism of Abkhaz and Russian would be ideal, but it is clear that Abkhazia is steadily moving toward a society where Russian is mainly spoken. In other words, if the Abkhazian government does not take a decisive and appropriate position for Abkhaz, the language must be endangered after several generations. The Abkhazians did not have an independent status in Georgia during the Russian Empire and Soviet era. In addition, they underwent the process of assimilation into Georgia. The status of Abkhaz also declined and its use also decreased. Although Abkhazia achieved the independence from Georgia, it needs to be dependent on Russian Federation due to geopolitical factors. This study shows that Abkhazia is devoid of the great influence of Georgian people and language, but it is entirely under the influence of Russian people and language.

      • KCI등재

        현대 러시아어 곡용체계에서 변화 양상 - 곡용 체계에서 분석적 추이 -

        표상용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2 슬라브연구 Vol.38 No.4

        본 논문은 곡용 체계에서 작동하고 있는 다수의 분석적 요소 가운데 명사의 격 체계에 집중해서살펴보고 있다. ① 러시아어에서 사격(косвенный падеж)의 직격(прямой падеж)으로의 대체 현상은 문장의 통사적 관계가 격 형태(падежная форма)가 아니라 다른 통사적 요인에 의해 실현된다는 것을 뜻한다. 격 표지 소멸로 오는 통사적 관계의 약화를 동어 반복과 어순으로 보완하는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② 명사의 격 체계는 원조인구어로부터 공통슬라브어로 전개되면서 점차 간소화되었다. 러시아어는 통시적으로 격 융합 추세에 보수적이다. 이 항목에서 러시아어의 경우 역사적 전개 과정을과거, 현재, 미래의 큰 틀에서 조망하면 고대러시아어 7격에서 시작하여 현재 표준러시아어에서 6격, 구어에서는 2격 체계로의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 ③ 격 형식 변화의 주요 항목으로 ⓐ 격 패러다임의 단순화, ⓑ 격 패러다임의 소멸, ⓒ 격 패러다임의 부재, ⓓ 사격의 주격으로의 대용, ⓔ 음운적인 요인으로 격 융합, ⓕ 격 용법의 전치사로의 대체 등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④ 격 체계와 관련되어 분석적 경향은 구어에서 훨씬 강하다. ⑤ 격 기능의 전치사로의 대체는 형태론과 통사론에 걸쳐 있다. 강지배, 약지배, 직접지배, 간접지배 등의 새로운 용어에 맞추어 분석적 구조에 대한 예시를 제시하고 있다. ⑥ 격 융합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격의 위계(hierarchy)를 들고 있으며 이는 보편성을 띠는 것으로 보고 있다. 러시아어의 경우 위계를 설정할 수 있으나 역사적 전개 과정이 판이하고 그 결과 현재 격 융합 추세가 다르므로 각 언어의 위계가 보편성을 띤다는 이론에 비켜나있다. ⑦ 성 범주의 변화를 분석적 추이에 맞추어 진단하고 있다. 기존 3성 체제가 약화되고 신조어에서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가 주류를 이룸으로서 남성 명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여성지칭명사는 남성지칭명사의 형태로 발현, 남성 명사는 통성 명사로 기능하며 여성지칭접미사는 비칭접미사로 발현한다. ⑧ 본 논문은, 용어 “격 융합”은 두 경우로 분리해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각각에 대해 새로운 용어를 제시하고 있다. 격 어미가 음운적인 원인, 외래어의 영향으로 다른 격과 합치는 현상을 “격 합치” (㉮), 격의 대용, 대체 현상으로 발단하여 궁극적으로는 하나의 격 전체가 대용되는 격 표지를 가지는 현상을 “격 이동”(㉯)의 사용을 제안하고 있다. ㉮는 고대러시아어에서 ŏ어간형과 ŭ어간형이 혼합하여 ŭ어간형 소멸, 현대러시아어 구어 비강세 어미에서 발현하는 음운작용에 의한 격 어미의 합치 및 불변명사 등이 주요 항목이고 ㉯는 주격이 사격을대용하는, 구어에서의 주격 확장이 주요 항목이다: 격 융합(case syncretism)= ㉮ 격 합치(case unification) + ㉯ 격 이동 (case devolution).

      • KCI등재

        2006~2015년 한국의 러시아정치연구: 비판적 성찰과 도약을 위한 과제

        장세호 ( Seho Ja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6 슬라브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창립 30주년에 즈음하여 그동안 본격적으로 논의된바 없었던 2000년대 중반 이후 한국 러시아정치연구의 현황을 파악하는 한편,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를 도출코자 하는 학술적 시도이다. 이를 위해, 그동안 한국 러시아정치연구 발전의 주요 표증으로 간주되어 왔던 여러 요소의 현재적 작동 여부에 주목하면서 2006~2015년까지의 한국 러시아정치연구물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했다. 먼저, 러시아 정치 관련 연구물과 연구인력 수는 공히 감소 추세를 나타냈으며, 세부 연구주제 측면에서 국제관계/외교정책 부문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다음으로,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계량연구, 단일사례연구, 연방 차원 연구, 이론적 논의 미제시 연구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한국 러시아정치연구의 괄목할만한 성장을 논리적으로 뒷받침해오던 주요 표증들이 더 이상 효과적으로 기능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이러한 ``정체`` 또는 ``위기`` 상황의 타개를 위해서는 첫째, 적극적인 학문후속세대의 발굴·양성, 대외정치·정책연구 우위 구조 완화, 둘째, 장기적 안목에 입각한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 모색, 셋째, 방법론적 ``빈곤``과 ``부재``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방법에 대한 본격적 논의와 논쟁의 활성화, 적극적인 한국과 러시아 사례 비교를 통한 ``한국적 러시아연구``가 절실하다. This paper analyses the current state and exposes future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studies of Russian politics in Korea since the mid-2000s. Focusing on the current function of several factors taken as main elements to prove the development of this academic field, we carried out empirical analysis of 135 articles published in 6 academic journals in the period 2006~2015.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oth number of articles and authors show declining trends, and in terms of research topics, the ratio of "International Relation & Foreign Policy" part is overwhelming. Secondly, In terms of methodology, ratios of qualitative research, single case study, federal level research, and research without theoretical background are very high. These results are showing that main factors, logically supporting development of this academic field, are not working efficiently. In order to overcome the state of "stagnation" or "crisis",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tasks such as active excavation and training of next generation of specialists, exploring new academic paradigm based on a long-term perspective, activation of the methodological discussions and debates within researchers, finding "Korean Way" of studying Russian politics through the comparison of experiences of South Korea and Russia.

      • KCI등재

        러시아 정교회 성직자의 제의복식을 통해 본 러시아성 연구

        김상현 ( Sang Hyu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0 슬라브연구 Vol.36 No.1

        러시아 정교회 성직자들은 기혼자인 재속성직자(벨로에 두호벤스트보)와 독신의 수도성직자(초르노에 두호벤스트보)로 나뉘고, 이들이 착용하는 옷은 일상복과 예배복으로 크게 나뉜다. 각 서품에 따라 입는 옷이 다르며, 예배의 상황에 따라서도 갖추어 입어야 할 제의복이 별도로 구분되어 있다. 본 연구는 러시아 정교회 성직자들의 제의복식을 통해 나타나는 러시아적인 요소를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오랜 시간에 걸쳐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정교회 제의복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전통과 유사한 면이 있고, 비잔틴 제국 시절의 복식으로부터 계승된 복식 문화 전통도 많이 보여준다. 그럼에도 15세기 이후, 러시아에서는 독자적인 제의복이 창조, 계승되어 러시아 정교회만의 복식문화로 자리 잡아 간 유형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은 제의복식에서 드러난 러시아 정교회의 특징과 그 역사적 맥락 및 구체적인 요소들을 분석함으로써, 정교회 복식에 나타난 러시아성을 살피는 일이다. As is well known, the hierarchy of Russian Orthodox Church clergy is divided into two groups as white (белое духовенство) and black (черное духовенство), the second of which is generally recognized as superior to the first. The white clergy are the group of people who are married and just join and serve others taking charge in liturgical services. The black, on the other hand, have the right to perform the services on their own. The so-called garments or clothing the service-chargers, that is, from deacons to patriarchs, wear during the services depend on their hierarchical status; they include felon’, sakkos, poruch, poias, mitra, etc. Each chin of the hierarchy has to wear their proper clothing in actual services, not to mention of everyday life simple clothing, too.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then is to screen the basic vestments and garments the Russian Orthodox Church service-chargers have to put on, to analyze specific features, and thereby suggesting what the so-called Russianness is reflected in various types of clothing of Russian Orthodox Church clergy. The time period of this paper deals with goes back to the 10<sup>th</sup> century, comparing that of West european church traditions.

      • KCI등재

        М.Ю. 레르몬토프의 시에 나타난 조국의 테마 - ≪조국(Родина)≫과 ≪바르드의 노래 (Песнь Барда)≫를 중심으로 -

        홍기순 ( Hong Kee Soon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0 슬라브연구 Vol.36 No.1

        본 논문은 19세기 러시아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시인이자 작가 중 한 명인 М.Ю. 레르몬토프의 서정시에 나타난 조국의 테마에 관한 내용이다. 레르몬토프의 작품에서 애국적 모티브와 관련을 갖는 ‘조국’은 주요한 테마 중 하나이다. 그렇지만 이 테마는 국내에서 전문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레르몬토프에게 있어서 조국은 자신이 태어나서 자란 러시아를 의미한다. 시인은 한편으로는 러시아의 모든 것들을 사랑하였고 영광스럽게 생각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러시아를 무자비하고 잔인한 전근대적 권력이 지배하면서 모든 인간의 소망을 강제로 억압하는 농노제의 국가로 신랄하게 비판하는 이중적 세계관을 보여주고 있다. 레르몬토프의 시적 화자에게는 인간의 자유를 위한 투쟁과 폭력과 탄압에 대한 저항 그리고 조국에 대한 무한한 사랑이 운명처럼 반영되어 표현되고 있다. Ⅱ장에서는 러시아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의 경향과 각각의 특징적인 주장을 기반으로 레르몬토프가 러시아 시인과 작가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레르몬토프의 시 «조국(Родина)»과 러시아의 시인 및 작가들의 작품에 나타난 ‘조국’의 테마를 대비시켜 상호간에 끼친 영향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본고의 새로운 논거로써 레르몬토프의 초기 시 «바르드의 노래(Песнь Барда)»의 문학적 근원인 야즤코프의 «러시아에서의 타타르 통치 시대의 바르드의 노래»의 내용과 시인의 창작 의도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시 «바르드의 노래»의 역사적 근원과 조국의 테마 원형에 대해서 살펴보고, 시의 내용을 소개하고 분석하면서 시인의 초기 시와 대비하여 ‘조국’의 모습과 특징들이 어떤 이미지로 묘사되어 구현되고 있는 지, 그리고 시인의 시학적 세계관이 어떻게 승화되어 가는 지에 대한 과정 등에 대해서 고찰하고 있다. 또한 레르몬토프의 시학적 세계관에 큰 영향을 준 제카브리스트 시인들의 시민 서정시의 문체론적 경향과 19세기 러시아 문학사의 큰 흐름이었던 낭만적 발라드의 특징들을 보여주는 장르적 혼재성에 대한 주제적 층위의 내용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러시아가 겪었던 외세의 침략에 따른 역사적 상황과 그 난국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평범한 병사들의 영웅적 공적과 각각의 시에서 묘사되는 전투 현장의 참관자인 시적 화자의 역할과 공간성에 따른 유사성과 차이성을 비교하여 보여주고 있다. 레르몬토프는 초기 시작품 활동에서부터 생을 마감하는 시기에 이르기까지 ‘조국’에 관한 테마를 자신의 다양한 감정과 뉘앙스를 내포한 이중적 세계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레르몬토프의 초기 시에 속하는 «바르드의 노래»와 후기 시에 속하는 «조국»을 시인이 청년기에 창작했던 다른 시들과의 비교·분석, 그리고 러시아 문학사에 등장하는 다른 작가들의 작품과의 상호 영향 관계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또한 시인의 ‘조국’에 대한 사랑과 역사적 상황에 대한 이미지의 시학적 승화라는 측면에서 초기 시에서는 감정적 열정의 미숙함을 드러냈으나, 후기 작품에서는 조국의 이미지는 보다 안정되고 완숙한 자기만의 시학적 세계관이 반영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유의미한 작업을 수행하였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theme of his motherland in the poetry of Lermontov, one of the poets and writers representing Russian Romanticism in the 19th century. In Lermontov’s work, “The Motherland,” which is related to patriotic motifs, is one of the main themes. For Lermontov, his motherland means Russia, where he was born and raised. The poet, on the one hand, loves all things about Russia and admires it, but on the other, shows a contradictory attitude on the world in which he harshly criticizes Russia as a country of serfdom, where ruthless and brutal monarchy power rules and forces all human wishes. To Lermontov’s poetic narrator, the struggle for human freedom, resistance to violence and oppression, and infinite love for his country are expressed as if they were meant to be.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of Russian scholars’ research achievements and how Lermontov influenced Russian poets and writers based on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 arguments, and how it affected each other by contrasting the themes of Lermontov’s poem “The Motherland” with the works of Russian poets and writers. This paper gives an in-depth look at Lermontov’s early poems, “The Song of the Bard.” We look at the historical sources of the poem “The Song of the Bard” and the prototype of the motherland’s theme while introducing and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poem, as well as the process of how the images and features of ‘the motherland’ are embodied and how the poet’s poetic world view is sublimated. For example, the textual tendency of Dekabrist poets to greatly influence Lermontov’s poetic world view and the contents of the subject hierarchy on the romantic ballad features that were a big trend in Russian literary history in the 19th century are being analyzed. It also focuses on the content of Yazikov’s “Song of the Tatar era in Russia,” the literary source of “The Song of Bard,” and the poet’s creative intent. It compares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of the foreign invasion that Russia experienced with the heroic exploits of ordinary soldiers in overcoming its difficulties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role and position of the poetic narrator, an observer of the battle described in each poem. In conclusion, from early start-up activities to the end of his life, Lermontov implies a variety of emotions and nuances in the duplicity of the world on his ‘motherland’. He revealed the immaturity of his early emotional passion, but in his later work, he can confirm that his motherland’s image is reflected through a more stable and mature poetic outlook on the world.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deeply looks at the motif and theme of “the motherland” shown in the works of Lermontov, a subject where no professiona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not only in Russia but also in the Western countries and Korea.

      • KCI등재

        타자의 수용: 러시아 정교와 민간신앙의 혼종

        황성우 ( Hwang Sung-woo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0 슬라브연구 Vol.36 No.4

        러시아 정교는 러시아 땅에서 배양된 토착종교가 아니다. 과거 국가형성 이전부터 러시아 땅에 수용된 스키타이 문화를 비롯해 외부로부터 이식된 다양한 문화와 종교 중 하나이다. 러시아정교는 러시아 입장에서 보면 ‘타자’이다. 러시아는 기독교라는 타자를 수용해 러시아 정교로 ‘자기화’한 것이다. 본 글에서는 기독교가 러시아 토양에서 배양된 종교가 아니라는 사실로부터 글을 시작했다. 그 이유는 ‘러시아 속의 세계, 세계 속의 러시아’라는 아젠다에 맞춰 러시아 문화에 나타난 ‘타자의 수용’ 문제를 다루기 위해 기독교를 ‘타자’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민간신앙을 믿고 있던 러시아인이 외부로부터 전래된 타자인 기독교를 어떻게 수용했는지를 밝히기 위해 기독교와 민간신앙의 혼종현상이 나타난 영역 중에서 러시아 농민들이 지켜온 농사 관련 축제/명절에 관심을 두고자 했다.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한 키예프 루시의 블라디미르 공후는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하기 위해 기독교를 지배/통치 이데올로기로 이용했지만, 실제 러시아 농민들의 삶 속에 기독교가 국교 채택과 동시에 수용됐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오히려 농민들이 기독교를 수용했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어떤 방식을 통해 그들이 가진 삶의 리듬에 기독교를 수용했는가의 여부에 있다고 봤다. What is common in Russian folk festivals are expectations and beliefs of Russian peasants who worship the sun and want to empower the earth in order to obtain a rich harvest. This belief shows one aspect of paganism of the Russians peasants who considered natural phenomena appearing according to the seasonal cycle as an object of worship. The syncretism of Christianity and paganism occured in Russia, as mentioned above, appeared as like that Christianity absorbed paganism. Both the name of festival was renamed without changing the inner content and the external change with adding elements of Christianity such as the resurrection of Christ, diminished the resistance of peasants. This is because Russian orthodox church recognized that the syncretism method of two religions was more effective as a way to persuade the peasants to accept a new religion than to physically force Christianity.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ad been spreading Christianity through external changes with maintaining the peasant’s life rhythm adapted to the cycle of the seasons. And after accepting Christianity, Russian orthodox church naturally reconstructed peasants’ agricultural cycle according to the church calendar.

      • KCI등재

        북한 붕괴 이후 상황에서의 러시아의 대응과 역할에 관한 연구

        최화식 ( Hwasik Choi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6 슬라브연구 Vol.32 No.2

        최근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그 이후의 국제적 제재 강화에도 불구하고 핵을 포기할 가능성을 보이지 않고 있는 북한이 붕괴될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북한 붕괴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런데 더 중요하고 필요한 것은 북한 붕괴 상황에 대비하는 것이다. 북한이 붕괴되면 동북아시아에 힘의 공백이 발생하며 지정학적 상황이 변화한다. 이 상황에서 대한민국은 붕괴된 북한을 흡수하여 한반도 통일을 달성하고자 할 것이며 동북아시아 열강들은 북한 붕괴 이후 상황에 개입하여 ``분단된 한반도를 완충지대로 하여 기존의 세력균형구조를 유지``하거나 또는 ``자국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재편``하기 위한 지정학적 경쟁을 벌이면서 한국의 통일 추진 과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북한 붕괴 시 동북아시아 열강들은 대량탈북민과 북한 핵 통제를 명분으로 상황에 개입하기 시작할 것이며 일단 개입한 열강들은 북한 핵무기와 연계된 핵 및 비핵 군사적 상호충돌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열강들은 파국으로 이어질 대규모 군사적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일정 선에서 북한지역을 남북으로 분할하여 다시 분단된 한반도를 완충지대로 하는 동북아시아 세력균형 상태를 복원``하고자 모색할 가능성이 있다. 세력균형과 한반도 분할 상태를 유지하고자 할 열강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완전한 주권국가인 통일한국``을 성취해야 하는 한국에게 지원세력이 될 수 있는 국가가 있다. 바로 러시아이다. 러시아는 동부지역의 발전과 영토적 통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특정 국가 또는 세력에 경도되지 않은 평화롭고 안정된 한반도``를 원한다. 북한 붕괴 상황에서 러시아는 한반도와의 직접적 접경 상태를 유지하고 한반도 상황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을 유지 및 확장한다는 목표를 가지며 따라서 북한 동북부 지역에 관한 권리를 주장할 것이다. 동북아시아 지역에 투사할 수 있는 상대적인 군사적 능력을 고려하여 러시아는 중국과 미국의 행동에 대응적으로 행동하면서 ``균형자적 중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북한 붕괴 상황에서 중국 또는 미국의 어느 일방이 북한에 대한 지배적인 영향력을 확보하는 것을 거부하고자 할 러시아는 어떠한 다른 동북아시아 열강들보다도 가장 적극적으로 ``완전한 주권국가인 통일한국``의 등장을 지원할 가능성이 높은 국가이다. 한국은 북한 붕괴 이후상황에 대비함에 있어서 러시아가 한국의 통일을 지원할 수 있는 역할에 주목해야 한다. 한국은 사전에 러시아와 이 문제에 관한 다차원적 대화와 의사소통을 하면서 유사시 즉응성있게 협력할 수 있는 채널을 유지해야 한다. Prior to 16th century, Korean Peninsula(KP) states had served as a balancing power between Chinese and Northern states. From the later 19th century, the weakened Korea served as a victim between Sea and Land Powers from In and Out of North East(NE) Asia competing for dominancy. While seeking Balance of Power(BP), Powers discussed about dividing the KP. When they did reach a Balance. The Powers that tried to change the balance began the Korean War. The BP reaffirmed by the bloody war fixed the status of divided KP. A collapse of North Korea(nK) will form a power vacuum in the geopolitical center of NE Asia and thus will trigger a competition between China and U.S. that will be very tough, however, not open to a large scale armed conflict between the both. The two Powers, similarly as prior and post of Korean War, may seek a BP and do reach a balance. As a probability, the bilateral competition between ROK/US Alliance and China in nK collapse situation might result in further splitting of nK in two or rebuilding of nK to maintain two Koreas in KP. China might be happy with the buffer zone and U.S. might also be OK with wider south Korea kept in alliance, while Korea would not accept the status quo of ``two Koreas``. Korea will resume offensive measures to reach the end state of unification process with its two arms of military might and nK populace` resistance & guerilla warfare to force third countries` withdrawal, which will surely be successful. Russia will engage itself in nK Collapse situation to retain its geopolitical interest of sharing international boundary with the KP state. Russia will seek to attain its objective at minimum cost and risk through balancing mediation between U.S. and China. Russia`s roles as a balancing mediator may lead the nK Post Collapse scenarios into a multilateral cooperation process while exercising positive influences to see a reunified Korea. Reunification of two Koreas, which will conclude the nK Collapse situation, could see the current BP structure of NE Asia buffered on two Koreas in KP be transferred into a new NE Asia order pivoting to the reunified Korea in balancing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