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이지안 고차원 선형 회귀분석에서의 비교연구

        신주원,이경재,Shin, Ju-Won,Lee, Kyoungjae 한국통계학회 2021 응용통계연구 Vol.34 No.3

        We consider linear regression models in high-dimensional settings (p ≫ n) and compare various classes of priors. The spike and slab prior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priors for Bayesian regression models, but its model space is vast, resulting in a bad performance in finite samples. As an alternative, various continuous shrinkage priors, including the horseshoe prior and its variants, have been proposed. Although each of the above priors has been investigated separately, exhaustive comparative studies of their performance have been conducted very rarely.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spike and slab prior, the horseshoe prior and its variants in various simulation settings. The performance of each method is demonstrated in term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estimation and variable selection. Finally, some remarks and suggestions are given based on comprehensive simulation studies. 본 연구에서는, 고차원상황(p ≫ n)에서의 회귀분석 모형을 고려하여 다양한 베이지안 회귀분석 방법들을 비교하였다. Spike and slab 사전분포는 고차원 베이지안 회귀분석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사전분포 중 하나이지만, 탐험해야 하는 모형 공간이 너무 크기 때문에 유한 표본에서 좋지 않은 성능을 보일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horseshoe 사전분포를 비롯한 다양한 연속 수축사전분포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비록 위 사전분포들 각각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포괄적인 비교연구는 매우 드물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pike and slab 사전분포와 다양한 연속수축사 전분포들을 다양한 상황에서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 하였다. 각 방법의 성능은 회귀계수 추정 측면과 변수선택 측면을 나누어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진행된 시뮬레이션 연구에 기반하여, 사용시 몇 가지 주의점과 제안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비인슐린 의존형 당뇨 환자에서 췌장의 크기:CT 계측

        신주원 대한영상의학회 1997 대한영상의학회지 Vol.36 No.2

        Purpose : To evaluate changes of pancreatic size with aging in control subjects and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ic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Two groups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ic patients were examined; one had been treated with an oral hypoglycemic agent(n=59), and the other with insulin(n=56). The CT findings of 175 patients without clinical evidence of pancreatic disease were included as a normal control. Results : In control subjects, pancreatic size and age correlated. The pancreas was smaller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ics than in control subjects and smaller in insulin-treated non-insulin-dependent diabetics than in non-insulin treated patients. Conclusion : The pancreas was smaller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ic patients than in control subjects within the same age range.

      • KCI등재

        CEC 질적지표에 따른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대상 감각통합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연구 분석

        신주원,김준식,김명진,김서영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ingle-subject studies in Korea related to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for intellectual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It also aims to grasp the quality level of domestic studies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for evidence-based practice suggested by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CEC). [Method] In this study, 11 single-subject studie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0 to 2021 were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were identified by dividing it into publication year, participants, study desig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nd the quality of the study was analyzed based on 22 indicators in eight areas presented by the CEC. [Results] In domestic single-subject studie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re were more studies address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n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t was found that various study designs, such as AB, ABA, and multiple-baseline designs, were used. The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strategy used traditional sensory integration as the main strategy, and most studies used problem behavior and stereotyped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CEC quality indicators, there was no study that satisfied all indicator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rate was low. [Conclusion] Domestic single-subject studies related to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for intellectual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should be conducted more actively, and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search are needed. Based on this,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should be applied to the fields of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intervention. [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수행된 감각통합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CEC에서 제시한 증거기반실제(evidence-based practice)를 위한 질적 지표를 사용하여 국내 연구들의 질적 수준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00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감각통합중재 단일대상연구 11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은 출판연도, 연구 참여자, 연구 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으로 나누어 파악하였으며 연구의 질적 수준은 CEC에서 제시한 총 8개 영역의 22개 지표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국내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대상 감각통합중재 단일대상 연구는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보다 많았으며 AB설계, ABA설계, 중다기초선설계 등 다양한 연구 설계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통합중재 전략은 전통적 감각통합중재를 주된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문제행동, 상동행동 등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CEC 질적지표에 따른 분석결과 모든 지표를 충족하는 연구는 없었으며 전반적으로 낮은 충족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수행된 감각통합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 연구는 보다 더 활발하게 수행되어야 하며 연구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한 감각통합중재가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중재 현장에 적용되어야 한다.

      • KCI등재

        행동기술훈련이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신주원,안아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3

        [목적] 본 연구는 서면교수, 모델링, 역할극, 피드백으로 구성된 행동기술훈련이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 정확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수행 정확도 유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선된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정확도가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된 아동의 과제에 대한 정반응률 향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예비 특수교육 교사 3명을 대상으로 행동기술훈련을 통해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에 대한 훈련을 진행하였다. 연구 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로 기초선, 서면교수, 모델링, 역할극, 피드백, 유지 순으로 수행 정확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행동기술훈련을 통한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훈련은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개선된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 정확도는 일정시간이 지나도 유지되었다. [결론] 행동기술훈련은 예비 특수교육 교사의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수행 정확도 향상과 수행 정확도 유지에 효과적이다. 또한 행동기술훈련을 통한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훈련은 특수교육 대상자의 과제 정반응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havioral skills training consisting of written instruction, modeling, role-play, and feedback on the performance accuracy and maintenance of discrete trial teaching(DT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 candidates. In addition, we sought to determine whether an improved accuracy of teaching performance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ndidates improved the positive response rate for special educational needs children. [Method] In this study, three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ndidates underwent behavioral skills training to implement DTT. A multiple baseline design was used across participants, consisting of a baseline, written instruction, modeling, role-play, feedback, and maintenance phases. [Results] Discrete trial teaching training though behavioral skills training improved the accuracy of DTT performance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ndidates, and their improved accuracy was maintained after a certain period. [Conclusion] Behavioral skills trai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ccuracy of teaching and maintaining the accuracy of performance of DT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ndidates. In addition, DTT training through behavioral skills trai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task positive response rate among special educational needs children.

      • KCI등재

        발달장애 대상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 연구 분석

        신주원,박지영,안아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2

        [Purpose] This study analyzed single-subject studies in Korea that applied enhance milieu teaching(EMT) for developmental delays,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disorders. The aim was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tudies on EMT and analyze their qualitative levels using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CEC) qualitative indicators(QI). [Method] This study included 14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between 2000 and 2023, that targeted children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elay, Intellectual Disability, or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had a single-subject design in which the arbitrator directly mediated the subjec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were assessed publication year, study subject, study desig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quality of the studies was evaluated using the CEC's eight areas and 22 qualitative indicators. [Results] EMT, conducted on DD, ID, and ASD, was the most common study in preschoolers diagnosed with ASD. Regarding study design, most of the studies used a multiple baseline designs(across setting and subject).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ll elements of EMT, including environmental control, reactive interaction and milieu teaching strategies. Improvement in spontaneous utterance was the most common dependent variable. The analyzed studies exhibited a somewhat low qualitative level, with an average fulfillment rate of 65.6% for the CEC's QI. None of the studies met all of the CEC's qualitative indicators. [Conclusion] The number of studies on EMT for individuals with DD, ID, ASD is limited. Existing studies, primarily focus on preschoo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pand the subjects to elementary school, adolescent student. Additionally, the qualitative level of existing studies is low, necessitating efforts to improve study quality. High-quality studies are essential to apply educational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DD, ID, and ASD. [목적] 본 연구는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적용한 국내 단일대상 연구를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수행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CEC에서 제시한 질적 지표에 따라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대상이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로 진단받은 아동이며, 중재자가 대상자에게 직접적인 중재를 실시한 단일대상 연구로 설계된 논문이며 2000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4편을 선정하였다. 발행연도, 연구 대상자, 연구 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으로 구분하여 일반적인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CEC에서 제시한 질적지표의 8개 영역, 22개 지표를 사용하여 연구의 질을 평가하였다. [결과]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수행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자폐성장애아동을 대상으로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미취학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설계로는 대부분의 연구가 중다기초선 설계(상황간, 대상자간)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으로는 환경 조절, 반응적 상호작용, 환경중심 언어중재 전략의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었으며 종속변인으로는 자발적 발화 향상을 목표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분석된 논문의 질적 수준은 CEC의 질적 지표를 모두 충족하는 연구는 없었으며 평균 65.6% 충족률로 다소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하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연구의 수가 적으며 미취학 아동에게 집중되어 있어 초등기, 청소년기까지 대상자를 확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의 질적 수준이 낮아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높은 질적 수준을 갖춘 연구를 통해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아동교육 및 중재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행동기술훈련이 예비 특수교사의 자극선호도평가 수행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신주원,안아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5 No.1

        [Purpose] This study provided behavioral skills training consisting of written instruction, modeling, role-play, and feedback to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ndidates to train paired-stimulus and multiple-stimulus-without-replacement preference assessment and to illuminate the effect of the training on the change,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of stimulus preference performance accuracy. [Method] Three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ndidates enrolled i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were trained in paired-stimulus and multiple-stimulus-without-replacement preference assessment through behavioral skills training. A multiple-baseline design was used across participants, consisting of a baseline, written instruction, modeling, role-play, feedback,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participated in the generalization evaluation. [Results] Stimulus preference assessment training via behavioral skills training improved the accuracy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ndidate’s paired-stimulus and multiple-stimulus-without-replacement performance accuracy. Behavioral skills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maintaining, and generalizing the performance accuracy of the paired-stimulus and multiple-stimulus-without-replacement preference assessment. In addition, the general evaluation conducted 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lso showed high performance accuracy. [Conclusion] Behavioral skills trai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maintaining, and generalizing the accuracy of paired-stimulus and multiple-stimulus-withoutreplacement preference assessment by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ndid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