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분석

        이상주(Sang Joo Lee),신원섭(Won Sop Shi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을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제도적 맥락과 제도변화의 결정요인 분석을 통해 한국 산림정책이 산림자원 보존에서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으로 전환하게 된 제도적 배경을 살펴보고 향후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의 방향과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중 국가 정책과 관장기구, 산림계획 변화 분석은 역사적 제도주의에서 제도적 맥락 관점으로 분석하고, 산림복지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경제·사회·외부환경 변화분석은 제도변화 결정 요인을 바탕으로 산림휴양·복지정책 발아기(T0)에서 산림휴양·복지정책 형성기(T1)를 거쳐 산림휴양·복지정책 확대기(T2)까지 제도가 변화해 가는 추이에 따라 향후 산림정책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 산림수요 변화에 대처하는 산림제도의 변화가 매우 느리게 진행되고 있었으며, 2000년대부터 복지이념의 등장과 산림예산 확대, 산림행정기구의 규모 확대 등의 제도 영향으로 경제적 산림 개발에서 인간과 공존하는 산림, 건강하고 가치 있는 산림으로 산림의 효용을 극대화 한 산림제도 정책으로 점차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stitutional background of Korea’s forestry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from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and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institutional changes and institutional contexts. It was intended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plan of Korea’s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Among the research methods, analysis of changes in national policy, governing body, and forest planning is analyzed from the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o the institutional context, and changes in forest welfare policy paradigm and changes in economic, social and external environment are analyzed based on institutional change determinants. We will examine the direction of forest policy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ystem from the germination period of welfare policy (T0), through the formation period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T1), and through the period of expansion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T2). As a result of the study, changes in the forest system to respond to changes in forest demand were progressing very slowly, and since the 2000s, the emergence of welfare ideology, expansion of forest budgets, and expansion of forest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resulted in institutional influences such as coexistence with humans in economic forest develop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orest system policy that maximizes the utility of forests is gradually changing into forests that are healthy and valuable.

      • KCI등재

        산림복지서비스의 국가복지시스템 통합 방안 연구

        정재훈(Jung, Jae-Hoon),김기원(Kim, Ki-Won),문채영(Mun, Chae-Young),김재준(Kim, Jae-Jun),김통일(Kim, Tong-Il)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산림복지 개념을 재정립함으로써 사회서비스 분야로 등장하고 있는 산림복지서비스를 국가복지시스템에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산림복지 개념 정립 관련 기존 연구 및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연구들은 산림복지에 대한 개념을 적립하고 이에 따른 산림복지서비스 내용을 구체화하였을 뿐 산림복지서비스 정책화 방안은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국가복지시스템 내 산림복지서비스가 어떤 의미를 두고 있는지, 어떻게 발전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한 비전은 제시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은 산림복지서비스가 국가복지시스템에 통합되는데 방해요인이 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기존 산림복지 패러다임을 재생가능·지속가능·환경 패러다임으로의 변화를 통해 산림복지 개념의 재정립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복지시스템 내 산림복지 통합 방안을 네 가지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ntegrated welfare policy system and forest welfare service by redefining the concept of forest welfare which appeared in the social services sector. This study analyze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ncepts of welfare forest and literat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existing studies have accumulated a conception of forest welfare and have made concrete contents of forest welfare services. But papers didn’t suggest the activating solution of forest welfare policy and also didn’t provide what is the meaning of the forest welfare service in welfare policy system. In addition, it didn’t provide a vision how forest welfare service can develop. This situation is barriers that integrated welfare policy system and forest welfare service. For this reason, the forest welfare is able to be redefined as paradigm shift that is renewable·sustainable·environmental paradig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four plan that is the integrated welfare policy system and forest welfare.

      • KCI등재

        PCSI모형에 기반한 방문객의 서비스 품질 만족 영향 요인 분석 - 자연휴양림 및 치유의 숲 비교를 중심으로 -

        채진해,이정희,김성학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3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산림복지시설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용객 만족도 조사 실태를 통해 서비스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1 산림복지시설·서비스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조사는 2021년 9~11월에 자연휴양림과 치유의 숲을 방문한 이용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대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는 자연휴양림 824명(63%), 치유의 숲 483명(37%) 총 1,307명이었다. 조사항목은 PCSI 모형에 기반한 서비스 품질 3개 유형(서비스 상품, 서비스 과정, 서비스 환경) 11개 척도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SPSS 24.0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 품질과 시설 이용에 대한 만족도 모두 자연휴양림과 치유의 숲 시설 간의 차이는 미비하였다. 서비스 품질 유형별로는 서비스 과정이 가장 높았으며,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환경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자연휴양림은 서비스 환경이 통계적 유의수준(p<0.01)에서 높았으며,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서비스 환경 > 서비스 상품 > 서비스 과정 순이었다. 그리고 서비스 환경 중 ‘심미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자연휴양림은 ‘심미성’, 치유의 숲은 ‘안전성’이 각각 시설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종합해보면 산림복지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서비스 환경의 질을 높이고, 시설 특성을 고려한 물리적 환경 조성에 보다 집중할 필요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괴산 산림복지단지조성에 따른 인식 및 요구분석에 대한 연구

        최순남,신창섭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1

        In recent years, the increase in income levels and leisure time has diversified recreational activities, and the level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demand analysis of the prospective applicants for the Gösan Forest Welfare Complex, which is actively addressing this demand and is created for the realization of forest welfare by life cycle, to create a failure-free composition. To this end, 800 members of the public were surveyed in the over-20sin three regions: Cheongju, Chungju, and Goesan County. The survey showed 43.3% awareness of the Goesan Forest Welfare Complex. Also conducted surveys on facilities that hope will be introduced into natural recreation forest, healing forest, forest leisure sports facility, and forest campsite. An analysis of the introduced facilities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accommodation (22.8%) in natural recreation forest, healing forest path (24.2%) in healing forest, indoor forest leisure sports facilities (23.3%) in forest leisure sports facility, and cookroom (19.5%) in forest campsite. After the creation of the Goesan Forest Welfare Complex, it was found to be 75.6% willing to use it for the intention of use. The most family members(73.5%) wanted to use it together. The purpose of use was 34.0% health promotion. The use time was highest at 49.5% for 2 days or 3 days per night. 37.3% said they would use less than 50,000 won from 20,000 won. To date, there has been no case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a forest welfare complex has been completed in Korea, and related research is also lacking.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actical research for the creation of forest welfare complex that are compatible with the increase in forest welfare services.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과 여가시간 증가로 휴양활동도 다양해지고,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이러한 수요에 적극 대처하고 생애주기별 산림복지 실현을 위해 조성되는 괴산 산림복지단지에 대하여 이용예정자들의 인식 및 요구분석을 파악하여 실패 없는 조성에 있다. 이를 위해 청주시, 충주시, 괴산군 3개 지역 20대 이상일반인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괴산 산림복지단지에 대한 인지도는 43.3%로 나타났다. 또한 괴산 산림복지단지 내 조성예정인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산림레포츠시설, 숲속야영장에 도입되기를희망하는 시설에 대한 설문도 실시하였다. 도입시설물 설문 분석 결과 자연휴양림에는 숙박시설(22.8%), 치유의 숲에는 치유숲길(24.2%), 산림레포츠시설에는 실내 산림레포츠 체험시설(23.3%), 숲속야영장에는 취사장(19.5%)이가장 높게 나타났다. 괴산 산림복지단지 조성 이후 이용의향에 대하여는 이용할 의향이 있다가 75.6%로 나타났다. 함께 이용하고 싶은 사람은 가족(73.5%)이 가장 많았다. 이용목적은 건강증진이 34.0%로 나타났다. 이용시간은 1박2일이나 2박3일이 49.5%로 가장 높았다. 소요경비는 2만원에서 5만원 미만을 사용하겠다는 응답이 37.3%로 가장많았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산림복지단지로 조성이 완료된 사례가 없으며, 관련연구 또한 부족하다. 본 연구는산림복지서비스 증대에 부합하는 산림복지단지 조성을 위한 실천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방문선택속성에 대한 연구

        장주연(Chang, Chuyoun),유리화(Yoo, Rhee-hwa),린 주안 탈카센(Lynn Juan Talkase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자연휴양림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을 조사·분석하여 수요자 중심의 양질의 산림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립자연휴양림 이용객을 대상으로 62개 방문선택속성을 제시하고 각 속성에 대해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중요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329명의 설문응답을 요인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운영관리’, ‘산림경관’, ‘서비스 이용편의성’, ‘편의서비스 제공’, ‘경영관리’, ‘환경관리’, ‘시설안전관리’, ‘숙박시설’, ‘생물종다양성’, ‘프로그램다양성’, ‘위생적인 편의시설’, ‘친환경 건축’의 12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 ‘산림경관’에 대한 속성이 자연휴양림 이용객들이 공간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으로 나타났고,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프로그램운영관리’요인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연휴양림 서비스 이용객 유형별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단체방문객이 가족이나 친구와 방문하는 이용객보다 자연휴양림의 ‘경영관리’영역을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산림치유 및 산림휴양서비스를 이용하는 집단이 ‘위생적인 편의시설’을 자연휴양림 선택 시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일반 국민들은 주로 산림복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간을 선택할 때 산림환경 및 이용 편의와 연계되는 시설요소를 고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자연휴양림 서비스의 이용 목적에 따른 인식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보다 양질의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건강한 산림환경과 시설이용 편의성을 확보해야 하되, 이용자 유형 및 목적에 특화된 프로그램과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적극적인 이용을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make basic data needed to provide user-oriented forest welfare service of good quality by surveying visitors and examining service use attribut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individual choice of forest welfare service. To this purpose, a survey of visitors to the National Recreation Forest, a presentative forest welfare service of Korea,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 consisted of 62 service choice attribut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329 responses, choice attributes can be categorized into 12 factors;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scenic landscape and forest environment, convenience of service use, providing convenience service, overall management for good service, environmental management, facility safety management, comfortable and clean accommodation, biodiversity, variety of programs, hygienic convenience facility and eco-friendly architecture. It shows that‘scenic landscape and forest environm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visitors to choose recreation forest. On the other hand, ‘variety of programs’ and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were less important attribute in service choice. When it comes to examining the difference of choice attributes by visitors’ groups, the group visitors place great importance on ‘management’ related to insurance and manual which can be used in emergency. Also, people who want to use forest therapy and forest recreation service place great importance on hygienic convenience facility. To sum up, this study indicates that people primarily consider attributes of forest environment and facility related to use convenience when they choose and use forest welfare service. However, it also shows that attributes influencing visitors’ choice is different depending on different purposes of visit.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forest welfare service of much better quality in the future, recreational forest have to manage forest environment sustainable and prepare specific programs depending on users’ needs and types.

      • KCI등재

        산림복지 정책과 커뮤니티케어의 연계 활성화를 위한 산림복지 종사자 그룹 간 인식 차이 분석

        염동걸,류진석,배관표,김용하,박범진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3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제6차 산림기본계획(2018)에 제시된 ‘일상 속 산림복지체계 정착을 위한 지역사회 및 사회보장제도와의 연계’라는 정책적 목표(top-down)에 대한 산림복지 분야 종사자들의 구체적인 의견(bottom-up)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산림복지 정책과 커뮤니티케어(community care)의 연계 활성화’를 주제로 중앙부처(산림청-산림복지국) 공무원과 현장전문가(산림치유지도사) 그룹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일반 설문지와 AHP 설문지로 구분하여 작성하였으며, AHP 설문지는 사회복지 정책분석에 널리 활용되는 Gilbert and Terrell의 분석틀을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일반 설문은 두 그룹의 응답자 총 58명의 응답내용을 IBM SPSS Statistic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그룹 간 응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였고, AHP 설문조사는 총 57명의 응답내용을 Microsoft Excel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 설문조사에서는 중앙부처(산림청 산림복지국) 공무원 그룹과 현장전문가(산림치유지도사) 그룹 모두 커뮤니티케어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 산림복지 정책과 사회복지 정책의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두 그룹 모두 산림복지 정책과 사회복지 정책의 연계 필요성에 대해 강하게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HP 설문결과로서, 1계층에서는 두 그룹 모두 ‘재원’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계층의 서비스 대상자 선정방법에 대해 현장전문가(산림치유지도사) 그룹에서는 ‘이용자집단의 공통적 욕구’를 고려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중앙부처(산림청 산림복지국) 공무원 그룹에서는 ‘자산조사 및 진단적 구분’을 고려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지원형태는 두 그룹 모두 ‘프로그램’이 1순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그룹 모두 서비스 전달에 있어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공공ㆍ민간부문 공동의 역할이 모두 고르게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재원을 마련하는 방법에 있어서 두 그룹 모두 ‘공공재정(국비)’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산림산업 특수분류에 따른 산림복지산업 업체수 현황 분석

        김기동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4

        Forestry, which is the primary industry, was only classified as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but in December 2020, the Statistic korea established a special classification of the agricultural, livestock and food industry and classified the forest industry included 130 sub-class industries. The forest industry can accurately identify the size of the industry and the status of the company through special classification, but a lot of budget and time are needed because the entire forest industry needs to be investigated. Of the 130 classification industries related to the forest industry, 94 industries were not related to the forest industry, and the population status of 94 industries was based on the national business survey statistics that surveyed the detailed industries of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However, if the entire industry linked to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is a forest industry, that is, wood and wood product manufacturing can be seen as 100% forest industry, but the classification mixed with other industries, such as seed and seed wholesale, is mixed with agriculture, s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much forest industry accounts for this classifi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5,000 samples based on the National Business Survey DB of the Statistic Korea, and the size of this sample is ±0.59%p at the 95% confidence level of the sample error. The sample distribution was distributed proportionally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workers by industry, and was investigated through a telephone survey.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number of companies operating in the forest industry in 130 sub-class industries was estimated to be 134,447. The forest welfare industry has 4,364 companies, accounting for 3.2% of the total number of forest industry companies. 산림산업은 1차 산업인 임업만 한국표준산업분류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통계청의 농림축산식품산업의 특수분류 제정으로 130개 산림산업의 세분류 산업이 특수분류로 제정되었다. 따라서 산림산업은 특수분류 제정으로 정확한 산업규모 및 업체 현황 파악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산림산업 특수분류 130개 세분류 산업과 연계된 한국표준산업분류 산업 중 94개 산업은 분류 전체가 산림산업이 아닌 타산업이 혼재하여 산림산업만을 조사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94개 산업에 대한 모집단을 추정한 뒤 표본조사를 수행하여 산림산업 업체수를 추정하고 산림복지산업의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94개 산업의 모집단 현황은 한국표준산업분류의 세세분류 산업을 전수조사하는 전국사업체조사 통계의 모집단을 기반으로 구축하였다. 조사는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총조사 Database를 기반으로 25,000개 표본으로 수행하였으며 이 표본의 크기는 95% 신뢰수준 표본오차 ±0.59%p이다. 표본배분은 산업별 총 종사자수에 따라 제곱근 비례 배분하였으며 전화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130개 세분류 산업에서 산림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수는 134,447개로 추정되었으며 산림복지산업은 업체수는 4,364개 업체로 전체 산림산업 업체수의 3.2%를 차지하여 산림산업 특수분류내 6대 대분류 중 임산물 생산업 다음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복지산업은 종사자수 4인 이하의 업체수 비율이 88.8%로 6대 대분류 중 임산물 도소매, 운송 및 관련 서비스업 다음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산림복지산업은 4인 이하의 영세 업체 비율이 타 산업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산림복지산업 관련 정책은 영세업체 지원 정책과 산업발전을 위한 규모화 정책의 추진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