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가공품 중 칼슘 및 프락토올리고당 영양강화 함량 분석

        박지성,박재우,조병훈,송성옥,위성환,오순민,김진만,Park, Ji-Sung,Park, Jae-Woo,Cho, Byung-Hoon,Song, Sung-Ok,Wee, Sung-Hwan,Oh, Soon-Min,Kim, Jin-Man 한국축산식품학회 201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3 No.6

        본 연구는 시중에서 유통중인 유가공품 중 칼슘과 프락토올리고당 영양소 강조 또는 함유 표시 제품에 대해 실제 함량을 분석하였다. 칼슘 강화 유제품에 대하여는 우유류, 발효유류, 치즈류 등 40개 제품을 수집하여 칼슘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우유류 12제품의 1회 제공량당 칼슘 함량 표시는 105~500 mg (1.1~2.5 mg/mL)이었으며, 분석값은 1.0~2.4 mg/mL로 표시값에 대한 분석값은 87~127%이었다. 발효유류 12제품의 1회 제공량당 칼슘 함량 표시는 30~110 mg (0.4~1.4 mg/g)이었으며, 분석값은 0.3~1.6 mg/g로 표시값에 대한 분석값은 89~131%이었다. 치즈류 16제품의 1회 제공량당 칼슘 함량 표시는 84~2000 mg (3.5~20 mg/g)이었으며, 분석값은 4.2~23.0 mg/g으로 표시값에 대한 분석값은 83~127%이었다. 분석대상 시료의 칼슘함량 표시 대비 실제 분석값은 모두 80% 이상으로 축산물의 표시기준을 충족하였다. 프락토올리고당 강화 유제품에 대하여는 시중 유통 24개 제품에 대하여 그 함량을 조사한 결과 발효유 4.2~30.8 mg/g, 농후발효유 8.7~10.6 mg/g, 유음료 18.5 mg/mL, 연성가공치즈 1.3 mg/g으로 나타났다. 축산물의 표시기준에서 프락토올리고당에 대해서는 표시내용과 실제 함량 사이의 인정범위를 규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이들 24개 제품 중 실제 4개 제품에서는 명확한 함량이 표시되었으며, 분석값은 9.1~18.9 mg/g으로 표시량 대비 83~154%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Nutrients fortified dairy products declare their contents on the label for nutrition claim and marketing. However, there are few monitoring studies about relations between actual quantities of fortified nutrients and the described ones on the label.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comparing actual fortified nutrient contents with labeled ones. Forty calcium fortified dairy products and twenty four fructooligosaccharides (FOS) fortified dairy products were sampled at supermarkets located in Anyang, Korea from March to November in 2010. Calcium contents were analyzed by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followed by microwave sample digestion, and FOS contents were analyzed by HPLC-ELSD followed by solvent extraction. In fresh milk, calcium contents ranged from 1.0 to 2.4 mg/mL, and those values were 87~127% of their labeled contents. In fermented milk products and cheeses, calcium contents ranged from 0.3 to 1.6 mg/g (89~131% of their labeled contents), 4.2 to 23.0 mg/g (83~127% of their labeled contents), respectively. FOS contents ranged from 9.09 to 18.89 mg/g in FOS contents labeled products and showed 83~154% compared to their labeled quantity, and ranged from 1.3~30.8 mg/g in products without quantity labeling. In conclusion, the amounts of calcium and FOS in dairy products were above 80% compared to their labeled ones and conformed to the Korean official livestock products labeling standard.

      • KCI등재

        수입 유가공품 중 트랜스 지방산 함량 분석

        박재우,박지성,정두경,송성옥,운재호,김진만,위성환,Park, Jae-Woo,Park, Ji-Sung,Jung, Doo-Kyung,Song, Sung-Ok,Woon, Jae-Ho,Kim, Jin-Man,Wee, Sung-Hwan 한국축산식품학회 2011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1 No.3

        In this study, the most preferred trans fatty acid analysis methods, AOAC 996.06 and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fficial method, were reviewed and modified to apply to dairy products and dairy products imported into the Republic of Korea for evaluating trans fatty acid (TFA) content. The Rose-Gottlieb method for total fat analysis was validated with accuracy and precision parameters by analyzing infant formula standard reference material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Standards and Technology. The accuracy and precision data satisfied the CODEX guidelines. TFAs were analyzed with a resolution of 1.5 for 45 min using the modified oven temperature program. This modified method was applied to 45 dairy products from 11 countries. Average TFA contents in these imported dairy products ranged from 0.1 to 5.4 g per 100 g product. The majority of dairy products imported into the Republic of Korea were cheeses. TFA contents in the cheeses were 0.1 to 2.4 g per 100 g cheese. TFA contents in other dairy products were 1.7 to 5.4 g per 100 g product. These TFAs content variations can be explained by the trans fatty acids naturally present in ruminant milk formed by bacterial bio-hydrogenation in the rumen of cows and the different vegetable fat used as ingredients in the final products. 본 연구는 유가공품에 적용할 수 있는 트랜스 지방산 분석조건을 확립하고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유제품의 트랜스 지방산 함량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지방 추출은 Rose-Gottlieb법으로 조제분유 표준인증물질을 분석하고 그 인증값과 비교하였던 바, CODEX 가이드에 부합되는 정확도를 나타냈다. 유제품의 트랜스 지방산 분석을 위해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오븐 온도 상승 조건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트랜스 지방산들이 양호한 분해능을 보이면서 분석되는 적합한 온도 조건을 제시하였고, 최적화된 분석법을 사용하여 우리나라로 수입되는 유가공품(13개 유형, 45제품)에 적용하였다. 수입되는 유제품의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제품 100 g 당 0.1-5.4 g 범위를 나타내었다. 가장 많이 수입이 되는 치즈류는 0.1-2.4 g/100 g 제품(평균값 1.1 g/100 g, n=35)으로 확인된 반면, 치즈를 제외한 유가공품은 1.7-5.4 g/100 g 제품 수준이었다. 이러한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반추동물의 제1위 미생물에 의해서 생성되어 우유 중에 존재하는 트랜스 지방산 함량수준이며, 원료로 사용되는 우유의 트랜스 지방산 함량이나 부가적으로 첨가되는 식물성 지방에서 유래되는 트랜스 지방산의 함량에 따라 검사대상 유제품에서 함량의 차이는 편차가 있을 것으로 평가하였다

      • KCI등재

        수입 식육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와 dibenzofurans 분석

        김미경,김동규,김수연,최시원,권진욱,윤선종,송성옥,정갑수,Kim, MeeKyung,Kim, Dong-Gyu,Kim, Sooyeon,Choi, Si-Weon,Kwon, Jin-Wook,Yun, Seon Jong,Song, Sung Ok,Chung, Gab Soo 대한수의학회 2008 大韓獸醫學會誌 Vol.48 No.1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PCDDs) and dibenzofurans (PCDFs) are ubiquitous and can contaminate the food chain. A study monitoring PCDD/Fs in imported meat was conducted at the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and Quarantine Service (NVRQS, Republic of Korea) in order to maintain food safety from the bioaccumulative PCDD/Fs. Seventeen PCDD/Fs with toxic equivalency factors (TEFs) established by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1998) were analyzed in imported beef, pork, and chicken by high resolution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HR-GC/MS). Results of the monitoring for the last 5 years are presented. The levels of PCDD/Fs were similar to other studies except two unusually high concentrations in pork and beef. Excessive levels greater than the Korean provisional maximum residue limit of PCDD/Fs were found in a sample of pork imported from Chile and a sample of beef imported from U.S, and those products were rejected and returned. There was no obvious trend or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ime or origin of meat in this study.

      • KCI등재

        국내 유통 닭고기의 미생물 수준과 위생관리기준 적합성

        김혜진(Hye-Jin Kim),김동욱(Dongwook Kim),송성옥(Sung Ok Song),고용균(Yong-Gyun Goh),장애라(Aera Jang) 한국가금학회 2016 韓國家禽學會誌 Vol.43 No.4

        본 연구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지난 5년간 가금육(닭고기, 오리고기) 중 일반세균수 모니터링 검사 결과를 받아 분석하고, 현재 서울/경기, 충청도 및 강원도 지역 내 유통단계(식육포장처리장, 식육판매장)의 닭고기를 대상으로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닭가슴살의 저장기간의 따른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분석을 통하여 적정 미생물 권장 기준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국외에서는 유통단계 식육의 일반세균수에 대하여 1×10<SUP>5</SUP>∼10<SUP>6</SUP> CFU/g 또는 CFU/cm² 이하로 권장 또는 규제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권장기준치는 1×10<SUP>7</SUP> CFU/g 이하로 국외와 비교하였을 때 완화된 권장기준치를 가지고 있다. 실제 지난 5년간 시행된 전국의 유통단계 가금육(닭고기, 오리고기) 중 일반세균수 모니터링하여 분석해본 결과, 대부분 1×10<SUP>6</SUP> CFU/g 이하에 속하며, 권장기준 초과 건수가 1% 이내로 위생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서울/경기, 강원도 및 충청도 지역의 유통단계 닭고기의 현장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18개의 식육판매점에서 채취된 54개의 시료 중 2건을 제외하고, 모두 국내 일반세균수 권장기준치인 1×10<SUP>7</SUP> CFU/g과 대장균수 권장기준치인 1×10<SUP>4</SUP> CFU/g을 초과하지 않았다. 적정 미생물 권장기준에 과학적 근거 제시를 위하여 유통기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품질적 변화를 예측하고자 닭가슴살을 저밀도 랩으로 포장하여 4℃에서 저장하며, 저장기간별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국내 유통단계 닭고기 중 일반세균수 권장기준치인 1×10<SUP>7</SUP> CFU/g에 근접하였을 때 pH는 5.96으로 pH 6에 가까웠고, 종합적 기호도가 5.11점으로 5점에 가까웠으며 특히 냄새가 5점 이하를 보여 이취로 인한 선호도의 저하를 나타냈다. 따라서 국내 유통 단계 식육에 대한 일반세균수 권장기준치가 국외에 비해 다소 완화된 기준이며, 심지어 권장기준치(1×10<SUP>7</SUP> CFU/g 이하) 이하에서도 관능패널들이 낮은 선호도를 보였던 점을 고려할 때, 안전성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기호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유통단계 닭고기 중 일반세균수 권장기준을 1×10<SUP>6</SUP> CFU/g 수준까지 낮추어 보다 현실적이고 적정한 권장기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icrobiological sanitation status of raw chicken meat distributed in Korea, and potential changes in chicken breast quality during storage. The microbiological sanitation status analysis of raw chicken involved studying the results of microbiological monitoring for a 5-year period (2010∼2014) by the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urthermore, the microbiological status of raw chicken meat in meat packing centers and shops in Seoul/Gyeonggi, Kangwon, and Chungcheong Provinces was investigated from July to August 2015. The total bacterial counts of chicken meat in the packaging centers and meat shop of these Provinces were below the level specified in the Korean Meat Microbiological Guideline (1×10<SUP>7</SUP> colony forming units [CFU]/g) and showed a similar microbiological sanitation status with results of the microbiological monitoring for the analyzed 5-year perio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change and microbiological level of the meat distributed in Korea, the pH and microbiolog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icken breast samples during storage at 4±2℃were determined. On day 4, the total bacterial count of the chicken breast was 6.76 log CFU/g, which was close to the official 1×10<SUP>7</SUP> CFU/g standard, the pH was 5.96, and the overall acceptability was reduced significantly (p<0.05). In particular, the aroma score was <5, indicating that the consumer panel expressed a negative perception even though the chicken contained a lower microbial level than that specified in the Korean microbiological guideli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urrent Korean microbiological guideline for raw chicken meat may require a stricter level of up to 1×10<SUP>6</SUP> CFU/g to satisfy both meat safety standards and organoleptic quality for consumers.

      • KCI등재

        알 및 알가공품의 유통기한 설정을 위한 지표개발 및 산출 연구

        안지희,박정민,구자경,윤수진,이정수,김장미,김세헌,김영주,박재우,송성옥,위성환,김진만,An, Ji-Hui,Park, Jung-Min,Gu, Ja-Gyeong,Yoon, Su-Jin,Lee, Jeong-Soo,Kim, Jang-Mi,Kim, Sae-Hun,Kim, Ryong-Joo,Park, Jae-Woo,Song, Sung-Ok,Wee, Sung-Hwan 한국축산식품학회 2012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식용란 및 전란액의 품질지표설정을 통하여 유통기한을 산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식용란은 및 전란액(살균, 비살균)에 대한 저장기간별 저장온도에 따른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품질지표 개발을 위해 저장기간별 저장온도에 따라 식용란은 세균수, 대장균군, Salmonella sp., VBN, pH, 산가, Haugh unit을 품질지표로 설정하여 측정하였으며, 전란액은 Haugh unit을 제외하여 측정하였다. 유통기한은 품질지표 중 가장 먼저 품질한계에 도달한 성상(관능)을 근거로 하여 $10^{\circ}C$에서는 42일, $15^{\circ}C$에서는 27일,$25^{\circ}C$에서는 9일, $35^{\circ}C$에서는 2일, $45^{\circ}C$에서는 1일로 산출하였다. 전란액은 품질지표 중 가장 먼저 품질한계에 도달한 세균수를 근거로 하였으며, 살균전란액은 $10^{\circ}C$에서는 7일, $15^{\circ}C$에서는 3일, $25^{\circ}C$에서는 2일, $35^{\circ}C$에서는 1일, $45^{\circ}C$에서는 1일 미만으로 산출하였고 비살균전란액은$10^{\circ}C$에서는 4일, $15^{\circ}C$에서는 2일, $25^{\circ}C$에서는 1일, $35^{\circ}C$와 $45^{\circ}C$에서는 1일 미만으로 유통기한을 산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저장기간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 온도의 품질 한계일을 유통기한으로 산출하였다. 따라서 식용란은 27일, 살균전란액은 7일, 비살균전란액은 4일로 유통기한을 산출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bio-markers and establish shelf-life for eggs and egg products. The selected biomarkers were measured storage period according to samples (two months for table eggs and two weeks for whole liquid eggs) and five storage temperatures ($10^{\circ}C$, $15^{\circ}C$, $25^{\circ}C$, $35^{\circ}C$ and $45^{\circ}C$). The bio-markers for table eggs determined pH, acid value, VBN (volatile basic nitrogen), HU (Haugh unit), aerobic plate counts, coliform group, and Salmonella sp. The bio-markers for whole liquid eggs excluded HU in the bio-markers of eggs. The shelf-life of table eggs observed as 42 d at $10^{\circ}C$, 27 d at $15^{\circ}C$, 9 d at $25^{\circ}C$, 2 d at $35^{\circ}C$, and 1 d at $45^{\circ}C$ in sensory overall acceptability. The shelf-life of pasteurized whole liquid eggs observed as 7 d at $10^{\circ}C$, 3 d at $15^{\circ}C$, 2 d at $25^{\circ}C$, 1 d at $35^{\circ}C$, and less than one d at $45^{\circ}C$ in total plate count. The shelf-life of non- pasteurized whole liquid eggs observed as 4 d at $10^{\circ}C$, 2 d at $15^{\circ}C$, 1 d at $25^{\circ}C$, and less than 1 d at $35^{\circ}C$ and $45^{\circ}C$ in total plate coun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Comparative Analysis of Carbamate Pesticide Residues in Beef and Fat using Gel-Permeation Chromatography(GPC) and Liquid-Liquid Partitioning (LLP)

        Park, Sung Won,Song, Sung Ok,Kim, Jin Suk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 2001 예방수의학회지 Vol.25 No.2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프-후컬럼 유도화 형광검출법(HPLC-post column derivatization-fluorescence detection)과 함께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permeation chromatography)가 동물조직 내의 카바메이트 살충제의 동시다제 분석(multi-residue analysis)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비용의 GPC 기구들, 비교적 긴 분석소요시간, 그리고 해로운 유기용매의 다량 사용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체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이 연구에서 지방과 쇠고기에 잔류하는 카바메이트의 간단하고 효율적인 잔류분석방법을 구축하기 위하여 액체-액체 분획법(liquid-liquid partitioning)을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프와 비교 실험을 하였다. 양쪽 방법들은 쇠고기 지방에 잔류하는 5가지의 카바메이트와 쇠고기 내의 3가지 카바메이트 분석에서 74.2∼130.8%의 높은 회수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알디카브(aldicarb)의 회수율은 34.3%이었고,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쇠고기내의 메쏘닐(methonyl)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프와 액체-액체 분획법이 모두 동물지방조직 내 잔류하는 카바메이트의 동시다제분석에 적합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쇠고기의 가식조직에서는 액체-액체 분획법이 카바메이트의 동시다제잔류 분석에서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프 방법에 비하여 더 적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