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에서의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의 임상 및 방사선학적 고찰

        송금호,허권회,조옥연,심재훈,조도준,김덕하,민기식,유기양,이관섭,Song, Kum Ho,Huh, Kwon Hoe,Cho, Ok Yeon,Sim, Jae Hoon,Cho, Do Jun,Kim, Dug Ha,Min, Ki Sik,Yoo, Ki Yang,Lee, Kwan Seop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4

        목 적 : 최근 진단이 증가하고 있는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은 신장염의 범주 중에서도 진행된 형태의 것으로 일반적인 요로 감염과는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이 가지는 임상적 양상을 방사선학적으로 이상을 동반하지 않는 일반적인 요로 감염과 비교하고, 방사선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2년 5월까지 본원에 요 배양 검사상 양성 소견을 보인 요로 감염 환아들 중 초음파와 DMSA상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의 진단 기준에 맞는 생후 1개월에서 12개월 이하의 환아 2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으로는 환아들과 동일한 시기에 요로 감염으로 입원하여 실시한 요 배양검사가 양성이며 방사선학적으로는 이상이 없는 환아 중 연령의 분포와 성별이 같은 22명으로 하여, 이들의 증상 및 임상적 검사소견, 방사선학적 특징을 분류하였다. 결 과 : 1)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은 주로 1개월에서 12개월 사이의 연령 대에서 호발하였으며 환자군에서 남아의 비율이 63.7%로 여아보다 높았다. 2)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과 일반적인 요로 감염 환자군간의 임상적 증상은 차이가 없었으나 입원 치료 기간은 환자군에서 더 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3)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 환자군의 경우 대조군보다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RP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요 배양 검사상 원인균의 비율은 양군에서 모두 대장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 방사선학적 검사상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은 초음파상 주로 증가된 반향을 보이고 병변 부위의 혈류량은 감소되어 있었고 쐐기 모양 또는 구형 모양의 종괴 양상을 보이며, 병변의 위치는 주로 신장의 상엽, 좌측 신장, 편측성 발생을 보였다. 6) DMSA상 보인 신 피질 섭취의 결손상은 초음파상에 보였던 병변과 일치하였으며 초음파보다 초기 병변의 발견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7) 환자군에서 재발은 3례에서 보였으며, 16례의 추적 검사상 13례에서 방사선학적 호전을 보였고, 신 농양이나 염증의 파급 소견은 없어 항생제의 치료만으로 좋은 예후를 보였다. 결 론 : 급성 국소성 세균성 신장염은 일반적인 요로 감염과 임상적 양상만으로는 구분이 어려워 방사선학적 진단이 꼭 필요한 반면, 염증의 정도가 다르고 임상적 검사소견과 필요한 치료기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므로 일반적인 요로 감염으로 입원한 경우에도 반드시 비뇨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하여 이를 가려내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여야 한다. Purpose : To raise awareness of the clinical importance of, and the need for proper management of acute focal bacterial nephritis(AFBN), we analyzed 22 AFBN patients and 22 other upper urinary tract infection patients by use of comparative studies. Methods : From January 2000 to May 2002, 22 AFBN patients aged from 1 month to 12 months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22 UTI patients with no radiologic abnormalities were selected and matched by age and sex. Results : The incidence of AFBN was more common in boys than in girls. Since both groups had similar symptoms, it was difficult to diagnose AFBN by clinical presentations alone. ESR and CR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FBN patients. The most common causative organism was E. coli in both groups. On the sonographic findings, the most lesions were seen on the upper lobe of the kidney; more frequently, on left kidney. The lesions showed globular or wedge-shaped increased echogenecity. $^{99m}Tc-DMSA$ scan showed the complete coincidence of the location, size and shape in all cases compared to the findings of renal sonography. Conclusion : The roles of renal sonography and DMSA scan were very important, and ultrasonography was an excellent initial tool in diagnosing AFBN. Since the degree of infection in AFBN is more severe than other urinary tract infections and evollution into a renal abscess is possible, early diagnosis and appropriate antibiotics therapy is essential.

      • KCI등재

        소아에서 발생한 급성 대장 게실염의 임상적 고찰

        심재훈,송금호,심은정,조도준,김덕하,민기식,유기양,이혜란,이관섭,Sim, Jae Hoon,Song, Keum Ho,Sim, Yun Jung,Cho, Do Jun,Kim, Dug Ha,Min, Ki Sik,Yoo, Ki Yang,Lee, Hae Ran,Lee, Kwan Seop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1

        목 적 : 대장 게실염은 일반적으로 주로 노인층에서 발생하고 젊은 연령층에서는 드물게 발생하지만, 급성 충수 돌기염으로 오진되어 불필요한 수술을 받기도 하는 질환이다. 그러나 소아에서 대장 게실염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발생한 대장 게실염의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5년간 한림대학교 의료원 산하 한림대학교 성심병원과 강동성심병원에서 대장 게실염으로 진단되어 치료받은 18세 이하의 환자, 총 15명을 대상으로 성별 및 연령 분포, 증상 및 징후, 추정 진단명, 게실염의 진단 방법, 게실염의 발생 위치 등의 임상 양상과 치료 방법, 경과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성별 및 연령 분포: 전체 15명의 평균 나이는 15세였고, 최연소는 8세이었으며 남녀 비는 1.5 : 1이었다. 2) 임상 증상과 징후 : 환자의 입원 당시 주증상으로는 우하복부 통증이 12명(80%)으로 가장 많았고 주증상과 동반된 임상 양상으로는 오심, 구토 등이 주로 있었다. 3) 입원 당시 추정 진단명 : 급성 충수 돌기염이 13명(87%)으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난소 낭종 파열 1명, 급성 신우신염 1명씩 있었다. 4) 진단 방법 : 대장 게실염을 진단한 방법으로는 복부 초음파 10명, 대장 조영술이 3명, 수술 소견으로 확인된 경우가 1명이었고, 1명에서는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진단되었다. 5) 대장 게실염의 위치 : 모두 우측 대장에 발생하였고, 이 중 상행 결장에 단발성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9명으로 가장 많았고 (60%), 상행 결장과 맹장에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3명이 있었으며 맹장에 단발성으로 발견된 경우는 3명이 있었다. 6) 치료 및 경과 : 14명의 환자가 항생제를 포함한 보존적 치료를 받았고 1명의 환자가 수술적 치료를 받았는데, 보존적 치료를 받은 14명 중 2명에서 반복적인 복통이 있었고 이 중 1명은 재입원하였고 다른 1명은 재발된 복통으로 인해 응급실을 방문하여 보존적 처치 후 귀가하였다. 수술 받은 환아 1명에서 복통의 재발은 없었다. 7) 대장 게실염의 빈도 : 같은 연구 기간 동안에 18세 이하에서 급성 충수 돌기염으로 진단 받은 환아는 총 1,272명이었고 따라서 급성 대장 게실염은 급성 충수 돌기염 1,000명당 11.7명의 빈도로 발생하였다(약 1.2%). 결 론 : 우하복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소아의 경우 급성 대장 게실염을 감별진단으로 고려해야 하고 급성 충수 돌기염과 감별하기 위해 복부 초음파 검사나 컴퓨터 단층 촬영 등의 방사선학적인 진단 기술을 이용하여 세밀히 진단한 후 그 치료 방법을 정하는 것이 합당하며 소아에서 발생하는 급성 대장 게실염은 보존적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 Children with acute colonic diverticulitis(ACD), can be misdiagnosed with acute appendicitis. Methods : We reviewed 15 cases of ACD during five years, from January 1998 to June 2002 retrospectively. Results : Most patients(80%) with ACD in children presented with right lower quadrant pain. The primary diagnosis on admission was mostly acute appendicitis(87%), and all ACD in children occurred in the right colon. Fourteen patients were managed by conservative treatment including antibiotics. A follow-up study was performed in 15 patients. There were symptomatic recurrences in two patients, but no significant complication was noted. The frequency of ACD was 11.7 per 1000 acute appendicitis. Conclusion : ACD in children can mostly be cured by conservative treatment. It is prudent to choose the management through the diagnostic work up, including abdominal son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linical findings between ACD and acute appendicitis.

      • KCI등재

        소아에서 사고에 의하지 않은 두개내 출혈의 임상적 고찰

        허권회,송금호,민기식,유기양,Huh, Kwon Hoe,Song, Keum Ho,Min, Ki Sik,Yoo, Ki Ya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1

        목 적 : 소아에서 사고에 의하지 않은(non-accidental) 두개내출혈은 빈도가 아주 드물지 않으며 성인과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이고 높은 사망률과 심각한 후유증을 남긴다. 특히 흔들린 아이증후군은 소아에서만 있는 두개내출혈로 최근 본원에서 여려 사례를 경험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사고에 의하지 않은 두개내 출혈로 한림대학교성심병원에 입원한 소아 환아들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분포, 원인, 내원 당시 임상 증상, 출혈 유형, 사망률과 후유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3년 6개월간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소아과와 신경외과에 사고에 의하지 않은 두개내출혈로 입원한 15세 이하의 환아 중 신생아의 두개내출혈 환아를 제외한 20례를 대상으로 병력지를 검토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남녀비는 1 : 0.8이었고 연령 분포는 1세 미만 9례(45%), 1-5세 2례(10%), 6-10세 3례(15%), 11-15세 6례(30%)로 1세 미만과 11-15세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2) 원인은 흔들린 아이 증후군 5례(25%), 동정맥 기형 5례(25%), 해면상 혈관종 2례(10%), 뇌종양 2례(10%), 동맥류 1례(5%), 원인 질환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가 5례(25%)로 흔들린 아이 증후군과 동정맥 기형이 가장 많았다. 3) 내원 당시 임상 증상으로 경련 11례(55%), 의식 변화 6례(30%), 구토 5례(25%), 두통 3례(15%), 편측 부전마비 1례(5%), 보챔 1례(5%), 안면 경축 1례(5%)로 경련이 가장 많았다. 4) 출혈 유형은 경막하 출혈 8례(40%), 뇌내 출혈 5례(25%), 복합 두개내 출혈 5례(25%), 지주막하 출혈 2례(10%)였다. 5) 대상 환아 20례 중 사망률은 3례로 15%였고 생존율은 17례로 85%였다. 생존아 중 추적 관찰이 되지 않은 5례를 제외한 12례에서 완전 회복된 경우가 6례였으며 후유증이 남은 경우가 6례였다. 후유증이 남은 6례 중 편측 부전마비 2례, 동측성 반맹 2례, 발달 장애 2례, 사지 마비 2례, 단마비 1례, 학습 장애 1례, 시력 장애 1례였다. 결 론 : 소아에서 사고에 의하지 않은 두개내 출혈의 발생률은 아주 낮지 않으며 사망률과 후유증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또한 최근 의학의 발달로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신경학적 후유증을 가진 소아들이 늘어남에 따라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재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 Non-accidental intracranial hemorrhage in children is not low in incidence and results in high mortality and serious sequelae. So, the authors have researched the distribution of sex and age, causes, symptoms and signs, hemorrhagic types, mortality rate and sequelae of the patients hospitalized with non-accidental intracranial hemorrhage at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twenty patients, aged 15 or younger, and excluding neonatal patien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in this study were admitted with non-accidental intracranial hemorrhage from January 1999 to June 2002. Results : Of the twenty cases,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 : 0.8. The patients aged one or less and between 11 and 15 were discovered to be the most frequent cases. Shaken baby syndrome and arteriovenous malformation were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causes. Seizure was most frequently found to be a symptom and a sign. Hemorrhagic type was classified into subdural hemorrhage eight, intracerebral hemorrhage five. There were three mortal cases. Twelve surviving patients, excluding five not-followed ones, were reclassified into six cases of complete recovery and six of sequalae. Conclusion : Non-accidental intracranial hemorrhage in children is not low in incidence, with a high mortality rate and a high incidence of serious sequelae after survival. Consequently, early diagnosis and appropriate treatment are required. In addition, appropriate rehabilitation after treatment is needed because the high survival rate due to advanced medical treatment results in an increasing number of neurologic sequelae.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의 급성 증후성 경련에 대한 임상적 고찰

        허권회(Kwon Hoe Huh),송금호(Keum Ho Song),조옥연(Ok Yeon Cho),심재훈(Jae Hoon Sim),조도준(Do Jun Cho),김덕하(Dug Ha Kim),민기식(Ki Sik Min),유기양(Ki Yang Yoo)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1

        목적: 급성 증후성 경련은 일시적으로 특이적인 중추신경계 또는 전신적 병태생리 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경련을 말하며, 이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미비한 편이다. 이에 급성 중후성 경련으로 내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성별,연령 분표, 원인, 그리고 입원 전과 입원 중의 경련 발생 빈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1999년 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29개월간 본원에 15세 이하에서 경련으로 내원한 환아 610명을 대상으로 병력지를 검토하여 비유발성 경력 환아와 열성경련 환아를 제외한 급성 증후성 경련에 해당하는 114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1)15세 이하에서 경련으로 내원한 환아 610명 중 열성경련을 제외한 급성 중후성 경련 환아는 114(18.7%)명이었고 남녀비는 1:2.1이었으며 호발연령은 3세 이하가 93.9%를 차지하였다. 2)원인은 급성 장염 42.0%, 대사 이상 및 중독 34.1%으로 이 중 저칼슘혈증이 82.1%로 가장 많았고, 두개출혈은 8.8%로 이 중 흔들린 아이 증후군은 30.0%를 차지하였고, 중추신경계 감염 8.0%, 저산소혈증 4.4%, 뇌종양 1.8%, 기타 0.9%였다. 3)경련을 주소로 입원하였다가 입원 중 경련이 재차 발생한 경우가 47명(41.2%)이었고, 입원전 경련이 없었으나 입원 중 경련이 처음 발생한 경우가 13명(11.4%)이었다. 결론: 경련 환아 중 열성 경련을 제외한 급성 증후성 경련 환아는 18.7%였고 남녀비는 1:2.1로 여아에 많았으며 호발연령은 3세 이하가 93.9%를 차지하였다. 급성 장염과 저칼슘혈증은 가장 흔한 원인으로 전체 원인 중 70.0%였다. 흔들린 아이 증후군이나 수분중독에 의한 저나트륨혈증은 국민계몽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며, 중추신경계 감염은 원인균의 백신 개발과 예방접종을 통해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대상 환아 중 입원해 있는 동안 52.6%에서 경련발작이 있어 이에 대한 예방과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ated to sex, age, etiology of acute symptomatic seizures, which refer to the seizure caused by specific and transient pathophysiologic abnormaliti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other systems, and furthermore to analyze the incidence of acute symptomatic seizures before and during hospitalization.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six hundred and ten convulsive children under fifteen years of age, who visited the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from January 1999 to May 2001, were reviewed. One hundred and fourteen cases out of them were analyzed, and febrile seizures and unprovoked seizures were excluded. RESULTS: Among six hundred and ten children who had seizure during hospitalization, one hundred and fourteen(18.7%) had acute symptomatic seizures exclusive of febrile seizures and unprovoked seizures.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2.1 and the peak age was three or less, accounting for 93.9%. Acute symptomatic seizures were caused by acute gastroenteritis(42.0%), metabolic/toxic disturbances(34.1%), cerebrovascular diseases(8.8%), CNS infections(8.0%), hypoxemia(4.4%), brain tumors(1.8%), and others(0.9 %). Remarkably, hypocalcemia and shaken baby syndrom were up to 82.1% of metabolic/toxic distubances and 30.0% of cerebrovascular diseases, respectively. Among the one hundred and fourteen patients, 41.2% suffered from seizures before and during hospitalization and 11.4% did not before but did during hospitalization. CONCLUSION: Eighteen point seven percent of the cases of convulsions reviewed were classified into acute symptomatic seizures exclusive of febrile seizures and unprovoked seizures with the male to female ratio of 1:2.1 and high incidence age of three or less years. The leading causes of acute symtomatic seizures were acute gastroenteritis and hypocalcemia, comprising 70%. Shaken baby syrome and hyponatremia due to water intoxication can be prevented by public education about the danger, and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 can be reduced by vaccine development and nationwide vaccination against the bacteria caus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 In addition, appropriat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eizure attacks are required for the patients with acute symptomatic seizures during hospit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