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일 열성질환에서 반복성 열성경련의 예방을 위한 Diazepam의 효과

        조도준(Do Jun Cho),민기식(Ki Sik Min ),김종완(Jong Wan Kim),김광남(Kwang Nam Kim),유기양(Ki Yang Ryoo) 대한소아신경학회 199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 No.2

        The efficacy of short-term diazepam prophylaxis in repeated febrile seizures was evaluated in a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A total 172 consecutive children admitted with their febrile seizure were participated in our study from May,1991 to June,1992. The children of control group were admitted with their febrile seizure from January,1987 to December,1990. Intravenous Diazepam(0.1mg/kg) is administered to patients with febrile seizures at admission. And oral Diazepam(0.5mg/kg/day) is administered at first hospitalization day. At second hospitalization day, consecutive oral Diazepam (0.6 mg/kg/day) is administe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repeated febrile seizure was 8.1% in study group and 17.0%in control group. 2) In hospital, repeated febrile convulsion was 0.6% in study group and 4.3% in control group. 3) The repeat rate of febrile seizure with fever less than 39℃ was 6.3% in study group and 20.5% in control group. 4) The repeat rate of febrile seizure with serum sodium concentration under 135mEq/L was 10.9% in study group and 47.4% in control group. 5) There was no serious side effects of diazepa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흔들린 아이 증후군 5례

        조옥연,허권회,조도준,김덕하,민기식,유기양,이열,Cho, Ok Yeon,Huh, Kwon Hoe,Cho, Do Jun,Kim, Dug Ha,Min, Ki Sik,Yoo, Ki Yang,Lee, Yul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4

        저자들은 경련, 구토를 주소로 입원한 환아에서 만성 경막하출혈과 망막출혈을 보여 흔들린 아이 증후군으로 진단한 5례를 경험하였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보고와 연구가 드물지만 의료인이 흔들린 아이 증후군에 대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좀 더 적극적으로 방사선 검사나 안과 검사를 시행하면 올바른 진단과 함께 치명적인 합병증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사료되는 바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haken baby syndrome is a serious form of child abuse, mostly involving children younger than 2 years. It results from extreme rotational cranial acceleration induced by violent shaking. The characteristic injuries include subdural hemorrhage, retinal hemorrhage, and fracture of ribs or long bones. If physicians have no recognition of, or suspicion about, shaken baby syndrome, this syndome is difficult to diagnosis because of a lack of obvious external signs and failure of the abuser to admit his or her actions. In addition to the high mortality, 60% of survivors have significant long term neurologic and developmental abnormality. The authors experienced five cases of shaken baby syndrome presented with seizures or vomiting, without external signs of trauma. All of these cases had subdural hemorrhages, and four cases had retinal hemorrahges. In our follow up, two children were found to have sequelae such as quadriplegia, monoplegia, and developmental delay. We emphasize that early recognition and prompt treament are key to overall success of case management. The incidence of shaken baby syndrome can be reduced through public awareness and education of parents not to shake a babies.

      • KCI등재

        소아에서 발생한 급성 대장 게실염의 임상적 고찰

        심재훈,송금호,심은정,조도준,김덕하,민기식,유기양,이혜란,이관섭,Sim, Jae Hoon,Song, Keum Ho,Sim, Yun Jung,Cho, Do Jun,Kim, Dug Ha,Min, Ki Sik,Yoo, Ki Yang,Lee, Hae Ran,Lee, Kwan Seop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1

        목 적 : 대장 게실염은 일반적으로 주로 노인층에서 발생하고 젊은 연령층에서는 드물게 발생하지만, 급성 충수 돌기염으로 오진되어 불필요한 수술을 받기도 하는 질환이다. 그러나 소아에서 대장 게실염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발생한 대장 게실염의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5년간 한림대학교 의료원 산하 한림대학교 성심병원과 강동성심병원에서 대장 게실염으로 진단되어 치료받은 18세 이하의 환자, 총 15명을 대상으로 성별 및 연령 분포, 증상 및 징후, 추정 진단명, 게실염의 진단 방법, 게실염의 발생 위치 등의 임상 양상과 치료 방법, 경과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성별 및 연령 분포: 전체 15명의 평균 나이는 15세였고, 최연소는 8세이었으며 남녀 비는 1.5 : 1이었다. 2) 임상 증상과 징후 : 환자의 입원 당시 주증상으로는 우하복부 통증이 12명(80%)으로 가장 많았고 주증상과 동반된 임상 양상으로는 오심, 구토 등이 주로 있었다. 3) 입원 당시 추정 진단명 : 급성 충수 돌기염이 13명(87%)으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난소 낭종 파열 1명, 급성 신우신염 1명씩 있었다. 4) 진단 방법 : 대장 게실염을 진단한 방법으로는 복부 초음파 10명, 대장 조영술이 3명, 수술 소견으로 확인된 경우가 1명이었고, 1명에서는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진단되었다. 5) 대장 게실염의 위치 : 모두 우측 대장에 발생하였고, 이 중 상행 결장에 단발성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9명으로 가장 많았고 (60%), 상행 결장과 맹장에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3명이 있었으며 맹장에 단발성으로 발견된 경우는 3명이 있었다. 6) 치료 및 경과 : 14명의 환자가 항생제를 포함한 보존적 치료를 받았고 1명의 환자가 수술적 치료를 받았는데, 보존적 치료를 받은 14명 중 2명에서 반복적인 복통이 있었고 이 중 1명은 재입원하였고 다른 1명은 재발된 복통으로 인해 응급실을 방문하여 보존적 처치 후 귀가하였다. 수술 받은 환아 1명에서 복통의 재발은 없었다. 7) 대장 게실염의 빈도 : 같은 연구 기간 동안에 18세 이하에서 급성 충수 돌기염으로 진단 받은 환아는 총 1,272명이었고 따라서 급성 대장 게실염은 급성 충수 돌기염 1,000명당 11.7명의 빈도로 발생하였다(약 1.2%). 결 론 : 우하복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소아의 경우 급성 대장 게실염을 감별진단으로 고려해야 하고 급성 충수 돌기염과 감별하기 위해 복부 초음파 검사나 컴퓨터 단층 촬영 등의 방사선학적인 진단 기술을 이용하여 세밀히 진단한 후 그 치료 방법을 정하는 것이 합당하며 소아에서 발생하는 급성 대장 게실염은 보존적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 Children with acute colonic diverticulitis(ACD), can be misdiagnosed with acute appendicitis. Methods : We reviewed 15 cases of ACD during five years, from January 1998 to June 2002 retrospectively. Results : Most patients(80%) with ACD in children presented with right lower quadrant pain. The primary diagnosis on admission was mostly acute appendicitis(87%), and all ACD in children occurred in the right colon. Fourteen patients were managed by conservative treatment including antibiotics. A follow-up study was performed in 15 patients. There were symptomatic recurrences in two patients, but no significant complication was noted. The frequency of ACD was 11.7 per 1000 acute appendicitis. Conclusion : ACD in children can mostly be cured by conservative treatment. It is prudent to choose the management through the diagnostic work up, including abdominal son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linical findings between ACD and acute appendicitis.

      • KCI등재
      • KCI등재

        소아에서의 일과성 소장형 장중첩증의 임상적 고찰

        허지승,심은정,서은민,조도준,김덕하,민기식,유기양,이관섭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8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1 No.5

        Purpose:We analyzed the clinical features, management and outcome of small bowel intussusception in children compared with ileocolic intussusception. Methods: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210 children with documented intussusception, in whom intussusception was initially diagnosed by ultrasonography during the four-year period of 2002 to 2005. Results:A total of 191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ileocolic intussusception and 19 were diagnosed with small bowel intussusception. Children with small bowel intussusception were older than children with ileocolic intussusception (P<0.05). In comparison to patients with ileocolic intussusception the characteristic presenting symptoms­such as currant jelly stool and palpable mass­were rarely observed in patients with small bowel intussusception. In ileocolic intussusception, air reduction (92.2%), or surgical reduction (7.3%) was performed; however, in small bowel intussusception, spontaneous reduction (78.9%) was observed and no surgical reduction was required in our study. Conclusion:Conservative management with close observation and follow-up sonographic evaluation rather than an immediate operation is recommended for children with small bowel intussusception. (Korean J Pediatr 2008;51: 500- 505) Purpose:We analyzed the clinical features, management and outcome of small bowel intussusception in children compared with ileocolic intussusception. Methods: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210 children with documented intussusception, in whom intussusception was initially diagnosed by ultrasonography during the four-year period of 2002 to 2005. Results:A total of 191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ileocolic intussusception and 19 were diagnosed with small bowel intussusception. Children with small bowel intussusception were older than children with ileocolic intussusception (P<0.05). In comparison to patients with ileocolic intussusception the characteristic presenting symptoms­such as currant jelly stool and palpable mass­were rarely observed in patients with small bowel intussusception. In ileocolic intussusception, air reduction (92.2%), or surgical reduction (7.3%) was performed; however, in small bowel intussusception, spontaneous reduction (78.9%) was observed and no surgical reduction was required in our study. Conclusion:Conservative management with close observation and follow-up sonographic evaluation rather than an immediate operation is recommended for children with small bowel intussusception. (Korean J Pediatr 2008;51: 500- 505)

      • KCI등재

        혈소판 감소증읠 동반한 미숙아 패혈증의 임상 양상

        심재훈,장소익,심은정,조도준,김덕하,민기식,유기양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7 No.10

        Purpose:This study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sepsis with thrombocytopenia in premature infants to determine if thrombocytopenia is a prognostic factor in sepsis in premature infants. Methods: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sepsis in premature infant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41) at the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from January 1999 to December 2002. The incidence, risk factors, symptoms, hematologic and bacteriologic findings were analyzed during episodes of sepsis. Results:Of the 41 cases, 29(72%) were associated with thrombocytopenia.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2:1. The vast majority(98%) were late-onset sepsis. The risk factors of the thrombocytopenic group were low birth weight and low gestational age. Major symptoms were poor activity (72%), apnea/tachypnea(52%),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In the thrombocytopenic group(N=29), low total WBC count and high CRP level were discovered(P=0.03, P<0.01). The mean platelet count was 70.17(×103/mm3) at diagnosis of sepsis, and a mean platelet nadir was 43.10(×103/mm3). The severe thrombocytopenia(below 50×103/mm3) in the thrombocytopenic group was discovered in 69% and the duration of thrombocytopenia was about eight days. The majority of pathogens were gram-negative bacteria and candida. The thrombocytopenic group showed a prolonged length of stay and a high mortality rate. According to comparisons between the survived and expired groups, low birth weight, low gestational age, neutropenia and thrombocytopenia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ortality(P<0.05). Conclusion:The sepsis with thrombocytopenia in premature infants showed late-onset sepsis and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although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Especially, low birth weight and low gestational aged infants should be cautiously treated and monitored. 목 적:미숙아에서 패혈증이 발병한 경우 혈소판 감소증이 초기에 동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신생아 패혈증의 조기 진단에 비특이적인 지표로 이용되었고 예후에 관여하는 인자로 고려되기도 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혈소판 감소증이 동반된 미숙아 패혈증의 임상 양상을 분석하여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하지 않은 미숙아 패혈증과의 차이점 및 특징을 유추해보고자 하며 더불어 병발 초기에 동반된 혈소판 감소증이 미숙아 패혈증의 예후 지표가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1999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4년 동안 한림대학교 성심병원의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하였던 재태 연령 37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입원기간 중에 패혈증이 발병되었던 환아 4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병력지 고찰을 통하여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미숙아 패혈증(혈소판 감소군)의 발생 빈도, 발생 시기별 분포, 위험 인자, 임상 증상, 혈액 검사 소견, 세균학적 소견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각에 대해 혈소판 비감소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1)대상 환아 41명 중 혈소판 감소군이 29명(71%), 혈소판 비감소군이 12명(29%)이었고 각각의 남녀 비는 1.2:1, 1.4:1 이었으며 혈소판 감소군의 대부분(98%)은 지발형 패혈증이었다. 2) 혈소판 감소군에서 패혈증의 위험인자는 재태 연령이 어리고 출생 체중이 낮은 것이었다. 3)패혈증 발병시 혈소판 감소군에서 가장 흔한 증상은 처짐이었고(72%) 무호흡 또는 빈호흡 등의 호흡기 증상이 약 52%에서 관찰되었으나 혈소판 비감소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혈액검사소견 중 혈소판 감소군은 비감소군에 비해 총백혈구수가 낮았으며 CRP는 의미있게 높게 측정되었다(P=0.03, P< 0.01). 5)혈소판 감소군에서 패혈증 발병시 평균 혈소판 수치는 70.17(×103/mm3)이었고 혈소판 수치의 최저치는 평균 43.10(×103/mm3)이었으며 혈소판 감소 기간은 약 8일이었다. 혈소판이 50(×103/mm3) 미만으로 감소하는 심한 경우가 69%에서 관찰되었다. 6)원인균으로는 비혈소판 감소군에 비해 혈소판 감소군에서 그람음성균과 Candida가 많이 검출되었다. 7) 혈소판 감소군의 재원 기간은 평균 46.8일이었고 비감소군은 31.7일로 혈소판 감소군에서 재원 기간이 더 길었으며 사망률은 각각 34%, 17%로 혈소판 감소군이 비감소군에 비해 2배정도 사망률이 높았다. 8)전체 환아를 생존군과 사망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해보면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출생 체중이 유의하게 적었으며(P= 0.02) 재태 연령이 유의하게 낮았다(P=0.01). 검사 소견으로는 생존군에 비해 사망군에서 호중구 감소증과(P=0.01) 혈소판 감소증이(P<0.01) 유의 있게 많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다중 회귀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이러한 검사 소견은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을 고려하였을 때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 론:미숙아에서 패혈증이 발병시 혈소판 감소군은 연구 대상이 적어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혈소판 비감소군과 비교하여 재원 기간이 길고 사망률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등 예후가 좋지 않으며, 특히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이 적은 미숙아에서 혈소판 감소증과 중성구 감소증을 동반한 패혈증이 발생한 경우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환아에서 적극적인 치료와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고 생각되며 이에 대한 좀 더 많은 자료의 수집과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