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랙탈 분석을 통한 악골 내 낭종의 감압술 후 골 치유에 대한 방사선학적 평가

        백진우,석민,이의석,장현석,임재석,Baek, Jin-Woo,Seok, Min,Lee, Eui-Suk,Jang, Hyun-Seok,Rim, Jae-Suk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7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33 No.5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know the usefulness of fractal analysis when evaluating the radiologic changes after decompression on jaw bone cystic lesions using fractal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30cases of cystic lesions were followed up after decompression. Panoramic image was used to observe radiologic changes around the cystic lesion. The part of the panoramic image which showed radiologic change was defined as region of interest(ROI); The fractal dimension of the ROI was calculated using box-counting method. Results: Using sign-rank te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ractal dimensions after decompression therapy(P<0.0001). The fractal dimensions statistically increased after decompression(the median of D:0.12). Conclusions: The ROI after decompression showed higher fractal dimensions which offer the objective proof of the bone healing around cystic lesions after decompression treatment.

      • KCI등재

        메타버스 시대, 한국 고전문학의 역할과 과제

        백진우(Jin-woo Baek)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9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메타버스(metaverse)’라는 개념이 우리 사회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우리말로 ‘초월 세계’ 또는 ‘가상 세계’로 번역되는 이 용어는 현실 세계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가상의 공간에서 사람들의 각종 활동을 현실과 유사하게 재현해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이미 여러 분야에서 메타버스 활용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메타버스 시대 한국 고전문학의 역할과 과제에 대해 논하였다. 또 한편으로는 한국 고전문학에서 메타버스라는 기술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먼저 오늘날 디지털 세대가 맞닥뜨린 학습 환경의 변화와 학습 주체의 문제에 대해 논하였다. 과거와 달리 디지털 세대는 ‘교육 대상’이 아닌 ‘학습 주체’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콘텐츠 소비자’가 되기보다는 ‘콘텐츠 생산자’가 되고자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특성 위에서 메타버스 시대의 한국 고전문학의 역할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고전문학 개별 작품을 정확하게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을 전제로 보편적 감정의 공유에서부터 개인적 수용으로 나아가야 하는 이유에 대해 논하였다. 다음으로 메타버스 세계 내에서는 원전(原典)의 변주와 가공이 수월하다는 특성을 감안하여, 고전문학 작품을 학습 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아직 메타버스라는 개념이 모두에게 익숙한 것은 아니다. 특히 고전문학 전공자들에게 있어서는 더욱 낯선 개념이기도 하다. 그러나 디지털 세대에게 익숙한 플랫폼을 활용하여 고전문학의 현대적 가치와 활용성을 제고하는 노력을 펼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교양 교육 수준에서 고전문학 교육과 학습 활용 방안을 논하였다. 향후 개별 수업 사례가 축적된다면 전공 교육 수준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metaverse’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opic in various fields of our society. Translated into ‘transcendent world’ or ‘virtual world’ in Korean, this term reproduces various activities of people similar to reality in a virtual space that seems to have copied the real world. In this context, discussions on metaverse utilization are already actively underway in various fields. In this paper, the role and task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he metaverse world have been discussed. On the contrary, it is also a discussion about how to use the metaverse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discussed the chang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problem of learning subjects that the digital generation faced. Unlike the past, the digital generation has positioned itself as a ‘learning subject’ rather than a ‘educational object’,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becoming a ‘content producer’ rather than a ‘content consumer’. Next,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role and task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he metaverse era were examined. First, on the premise of accurately interpreting and understanding individual works of classical literature, the reasons for moving from the sharing of universal emotions to personal acceptance were discussed. Nex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that variations and processing are easy in the metaverse world, the possibility of using classical literature as a learning material was examined. The concept of the metaverse is not yet familiar to everyone. In particular, it is an even more unfamiliar concept to classical literature majors. However,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enhance the modern value and utility of classical literature by using a platform familiar to the digital generation.

      • KCI등재

        영조조(英祖朝) 집권(執權) 노론계(老論系) 문인(文人)의 자기검열(自己檢閱) 양상(樣相)에 대하여 -황경원,남유용,이천보(黃景源,南有容,李天輔)를 중심으로-

        백진우 ( Jin Woo Baek ) 한국한문학회 200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2

        이 논문은 18세기 전반 영조 재위기에 정계와 문단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했던 집권 노론계 문인들의 창작 성향 일면을 살핀 것이다. 이 시기 집권 노론계의 대표적인 문인으로 황경원·남유용·이천보를 들 수 있다. 이들에게는 비록 작가 개인으로서 차별되는 문학적 지향이 있기는 하였지만, 작가 집단으로서는 일정한 범주 안에서 문학적 지향을 함께 하였다. 그리고 그 문학적 지향은 이들의 정치적 입지 및 사상적 지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면모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두 가지 사안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이들이 가지고 있던 蘇軾에 대한 인식 차이이다. 소식은 문학적 성취가 있었다고 평가받았지만, 사상적 분방함으로 인해 배격받기도 하였다. 특히 성리학적 세계관을 중시하던 문인들은 소식에 대한 배척 정도가 더욱 심했다. 소식 취향을 문제로 삼아 이들 사이에 오간 편지글은 그 실제 양상과 의미를 잘 보여준다. 다음으로는 동시대의 작가인 조귀명에 대한 인식이다. 조귀명은 역시 문학적 성취를 인정받았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佛家와 仙家 취향으로 인해 주류 문인들로부터 배격을 받았다. 특히 그가 자신의 문집 서문을 여러 차례 청탁하였지만 결국 거절당하고 만 일화는 이들의 문학적 지향에 큰 차이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사상적 지향이 문학의 창작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도 함께 살필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상의 두 사안을 통해 작가 집단으로서 당시 노론계 문인들이 가졌던 문학적 지향이 무엇이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론으로 사상적 지향으로는 유가적 의리를, 문학적 지향으로는 당대의 전범으로 여겨졌던 당송고문에 경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작가 개인으로서는 문학적 지향에 일정한 차이가 있었지만, 작가 집단으로서는 결국 작가 집단이 공유했던 공통의 가치를 중시한 결과로 보인다. I discussed about the tendency of self-censorship during the period of King Yongjo in this paper. It usually happened by Noron party who had major political power at that time. They had different intention as an individual writer, however they tried to share the intention of writing as a group of writers. It was because of their political position. To figure this out, I examined two cases about their literary theory. The one is about Shu Xi. He had great fame as a writer, while rejected by Confucian scholars due to the ideological unconventionality. The other is about Cho Kwi-myung who was also a noted writer at the same period. He tried to unite Buddhist and Taoism with Confucianism in his writings. However, it made him be scorned by Confucian scholars. From these two examples, I inspected the intention of Noron writers. In political view, they tried to conserve Confucianism. And in literary view, they tried to write proses in the lirerate style of Tang-Song.

      • 燕行 送序를 통해 본 18세기 南人系 文人들의 意識世界

        백진우(Baek Jin-woo)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1 동아한학연구 Vol.- No.7

        이 논문은 18세기에 지어진 燕行 送序의 일반적인 양상을 제시하고, 그 가운데 특별히 남인계 문인들에 의해 창작된 작품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들의 의식 세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17세기 중반에 淸나라가 건국된 이후로 19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 약 200년 동안 다수의 연행 송서가 창작되었다. 明나라가 중국을 통치할 때는 중화의식이라는 공통분모 아래 비교적 안정적인 외교 관계를 유지했던 반면, 청나라가 중국을 통치하는 동안에 조선의 지식인들이 견지했던 대외 인식은 다소 복합적인 양상을 띠었다. 특히 18세기에는 그와 같은 양상이 두드러져서 명나라에 대한 향수와 청나라에 대한 수용의 태도가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한문산문 가운데 송서는 길을 떠나는 사람보다 전송하는 사람의 의식세계를 여실히 보여준다. 18세기에 창작된 연행 송서의 일반적인 주제 의식은 망해버린 명나라에 대한 향수가 주를 이룬다. 그런데 남인계 문인들은 이와 같은 일반적인 경향과 달리 송서를 통해 다양한 주제 의식을 내보였다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측면에 주목하여 남인계 문인들에 의해 창작된 연행 송서를 분석하고 그들의 의식 세계를 분석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consciousness of the Namin Party writers through farewell prose. Since the Qing dynasty was established in the middle of 17th century, so many farewell prose were written by many different writers. That is because imperial envoys of Chosun dynasty who were heading to Yenching(燕京, the old name of Beijing) generally required a farewell prose from a celebrated writer. During the Ming dynas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osun and the Ming was stable. Because they were sharing the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as a common denominator. On the other hand, intellectuals of Chosun dynasty had mixed emotions on Qing dynasty. They admitted Qing as the new occupier of Chinese land outwardly, while they despised Qing through lack of civilization inwardly. This conflicting feelings were intensified throughout the 18th century. Farewell prose usually shows us about the writer’s view of the world instead of the envoys’ opinion. While the general subject of those times was the nostalgia for Ming dynasty, the Namin Party writers seek for various subject.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out their thinking in various ways.

      • KCI등재

        李天輔의 史論體 散文에 대하여

        백진우(Baek Jin-woo) 한국고전번역원 2008 民族文化 Vol.- No.31

        From a standpoint of traditional writings, historical essays are not just related with historical facts, but also deeply related with the field of literature. Though a number of historical essays had been produced since Koryo dynasty, its literary value hadn’t been noticed until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Lee Chun-bo was one of noticeable writers at that time. He was prime minister of King Yongjo period, and a famous writer as well. Thus we can figure out his political view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Because he tried to express his historical point of view through historical essays. It was a combination of politic and literature for him. In historical essays, he emphasized the duty of sovereign and subject. It was a important question for him. Because he had a responsibility to remonstrate with the King. On the other side, he gave careful consideration about the duty of subject as he himself was one of important subjects. He also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of sovereign and subject. This matter was so important for him. In general, one’s original thought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historical essays. So, in the actual writings, he tried to refute common notions about historical facts or people. He used various rhetorical methods to support his main idea such as the catechetic method, the subjunctive mood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He showed off his literary ability and also political view as well.

      • KCI등재후보

        연민 서발문(序跋文)의 특징과 자료적 가치

        백진우 ( Baek Jin-woo ) 연민학회 2021 연민학지 Vol.35 No.-

        본 논문은 연민(淵民) 이가원(李家源) 선생이 창작한 서문(序文)과 발문(跋文) 현황을 정리하고, 이로부터 그 특징과 자료적 가치를 찾아보고자 한 글이다. 전통적으로 문집이나 개별 저술에 붙인 서발문(序跋文)은 해당 문집의 성격을 규정하고 그 가치를 밝히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서발문을 써준 이의 가치관과 문학관을 살피는 데 있어서 유용한 자료이다. 이에 착안하여 연민이 남긴 서발문으로부터 연민의 가치관과 문예관 등을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연민이 개별 문집이나 저술에 붙인 서문과 발문으로 확인되는 글은 총 233편이다. 연민이 한학(漢學)에 정통하였으며 제도권의 학문 영역에서도 큰 위상과 문명(文名)이 있었던 사실을 감안할 때, 일생 동안 많은 수의 서문과 발문을 지어준 것도 그리 이상한 일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연민의 문집에 실려 있는 서문과 발문의 현황을 개괄적으로 정리한 후, 다음의 몇 가지 측면에 중점을 두고 그 특징과 자료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첫째, 한글 전용 시대에 접어든 이후에도 전통적인 방식이자 문체인 한문 창작에 힘쓴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연민은 그 자신이 평생 한문으로 창작을 지속하였으면서도 결코 시대의 흐름에 뒤떨어지지 않은 인물이다. 시대의 변화는 변화대로 받아들이는 가운데 한문 창작을 통해 의도한 바가 어디에 있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둘째, 서문과 발문으로부터 연민이 남긴 한문학사 서술의 시각 및 맥락과의 접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민의 수많은 저술 가운데 특히 한문학사 관련 저술은 역작으로 손꼽힌다. 연민이 다른 이들에게 써준 서문과 발문에서 한문학사 서술과 관련한 편린들을 일정 정도 찾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문예미(文藝美)의 측면에서 연민이 평이(平易)ㆍ담백(淡白)의 풍격을 강조했음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연민은 여러 편의 글에서 한문 창작에 있어 평이와 담백이 풍격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언급하였다. 이는 창작자로서 활동한 자신에게도 해당하는 동시에 다른 이들의 글을 평가할 때도 유의미하게 작용했던 기준이다. 서문과 발문을 통해 그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In this paper, I attempt to organize the current status of preface and epilogue written by Lee Ga-won, an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material values from them. Traditionally, preface and epilogue are attached to a collection of writings or individual writings not only helps to define the character of the book and reveal its value, but is also a useful resource for examining the values and views of literature of the person who wrote. With this in mind, I tried to grasp the value of compassion and the view of literature from the preface and epilogue. Lee Ga-won wrote a total of 233 articles of prefaces and epilogues attached to individual writings or writings. Considering the fact that he had a great civil name in the academic field of the institutional sphere, it is not unusual to have built a large number of articles throughout his life. In this paper, first of all, I summari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preface and epilogue,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and material values were examined with emphasis on several aspects. First, even after entering the Hangul-only era, I looked at the meaning of the traditional method and writing of classical Chinese. Lee Ga-won has never fallen behind the trend of the times, even though he has continued to create in classical Chinese throughout his life. While accepting the change of the times as the change, I tried to confirm where the intention was through his articles. Second, from the preface and the epilogue, I tried to examine the point of view and context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 Chinese. Writ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not only difficult to do, and it is not possible to approach it in depth without studying traditional way of studies. I tried to find some pieces related to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 Chinese. Third, I tried to confirm that he emphasized the style of simplicity and plain in terms of literature and beauty. This is a criterion that worked not only for oneself as a creator, but also for evaluating other people's writings. Through the preface and the preface, I examined the aspect in detail.

      • KCI등재

        필기잡록류 저술의 지리·지역 정보 활용 방안

        백진우(Baek Jin-woo)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8 No.-

        본 연구는 조선후기에 활발하게 창작된 필기잡록류 저술에서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 가운데 지리·지역 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 본 연구에서는 주요 대상으로 삼은 자료의 성격을 감안하여 그 범위를 전북 지역으로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본격적인 논의를 진행하기보다는, 사례를 추출하고 각각의 사례가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주력하였다. 논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하였다. 먼저 필기잡록류 저술에 수록된 정보 가운데 지리·지역 정보의 특색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자료를 세 가지 성격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먼저 지역의 지명(地名)을 살펴보았는데, 구체적으로는 건물명(建物名), 사명(寺名)을 실례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지역의 인물을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기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인물들을 새롭게 발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보았다. 끝으로 지역 내 풍속과 특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오늘날까지도 잘 알려져 있는 지역문화의 원형을 향후 더욱 상세하게 재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필기잡록류 저술의 특성상, 여기에 수록되어 있는 지리·지역 정보는 다른 종류의 저술에서 쉽게 확인할 수 없는 생생하고 구체적인 고급 지식인 경우가 많다. 향후 이러한 정보들을 새롭게 발굴하여 지역의 문화를 꼼꼼하게 재구성하고 새롭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application plan of geographic intelligence from P’ilgi Chaprok(miscellaneous records) focusing on Honam province. I tried to introduce some examples and determine the meanings with those examples. First of all, I provide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 intelligence from P’ilgi Chaprok. And based on this, I considered the materials divide into three groups. First, I studied the name of place such like a name of structure and temple. Second, I studied the historic figures of local area. With this, I seek for the possibility of find out new people who stayed out of the public eye. Third, I considered the local custom and specialty. I thought these information would contribute to reconstitute the local culture. As P’ilgi Chaprok contains lots of qualified intelligence, it provides meaningful knowledge relate to the local area. I believe we need to discover new informations from P’ilgi Chaprok. So that we can make the best use of such intelligence to rebuild local history and culture.

      • KCI등재

        20 세기초 일본인 장서가의 필사기와 장서기 연구 -마에마 쿄사쿠와 아사미 린타로의 장서를 중심으로 -

        백진우(Baek Jin-woo)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9 No.-

        본고에서는 20세기초 우리나라에 머물던 마에마 쿄사쿠[前間恭作, 1868 ~1942]와 아사미 린타로[淺見倫太郞, 1869~1943]의 한국 고문헌 수집 활동과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마에마는 1891년에 유학생 신분으로 조선에 들어온 후 주로 통역관으로 근무하다가 1911년에 일본으로 돌아간 인물 이다. 아사미는 1906년부터 1918년까지 우리나라에 머물며 주로 법관으로 활동하였다. 이들이 우리나라에 머물던 기간은 1906년부터 1911년까지 약 5년간 겹치는데, 이 기간 동안 이들은 조선고서간행회의 제1기 멤버로 함께 활동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 시기 뿐만 아니라 일본으로 돌아간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관계를 유지하며 학문적인 교유를 이어나갔다.이들은 한국 고문헌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일부 고문헌에 자료를 얻거나 작성하게 된 경위를 자필로 남겨 놓았다. 이를 필사기 또는 장서기라 부르 는데, 여기에는 자료의 수집 시기, 수집 경로, 수집 내력 등을 날것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자료를 온전하게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정보원이 된다. 본고에서는 필사기와 장서기를 중심으로 이들의 컬렉션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을 확인하였다. 첫째, 질과 양의 측면에서 가장 수준 높은 장서를 수집했던 주요 인물들이 컬렉션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좀 더 면밀 하게 추적해보았다. 또한 이 과정에서 이들의 우리나라 고문헌 이해 수준을 함께 검토해보았다. 둘째, 외국인들의 우리나라 고문헌 자료 수집 활동이 활발했던 시기인 20세기 초의 서적 유통 양상을 좀 더 상세하게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들은 단순히 책을 구매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각자에게 부족한 자료를 다른 누군가로부터 빌려서 필사하여 보충함으로써 자신의 컬렉션을 만들어나가고자 노력하였다. 셋째, 필사기와 장서기에 남아 있는 정보를 통해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일본인 장서가들의 존재와 활동 양상을 일부 확인하였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오카다 노부토시, 도쿠토미 소호, 가나 자와 쇼자부로 등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verifies two figures who had stayed in Korea, and who had collected Korean ancient books. One is Mayema Kyosaku(前間恭作, 1868~1942) and another is Asami Rintaro(淺見倫太郞, 1869~1943). Mayema, arrived to Chosun in 1891 as a foreign student, had worked as a Korean-Japanese interpreter before returned to his country, Japan. Asami worked as a judge since 1906 to 1918. Since 1906 to 1911, for 5 years, those were members of the first stage of the publication associate for ancient books in Chosun. Not only period of staying in Chosun, but also after returned to their own country, both had a scholastic exchanges consistently. Also, Mayema and Asami wrote manuscript, which is called memorandum of transcription or ex libris, on details of process of obtaining research materials on ancient Korean books. memorandum of transcription is composed of date of obtaining, channels of obtaining, and background of obtaining. Those are very important sources to understand data properly. It is identified several substances as follows. First, the thesis traces leading lights making process of book collection, those who collected high-quality and large quantity of books or materials. Also, the thesis reviews level of understanding of Korean ancient documents at the same time. Second, the thesis tries to verify early 20th century s-at this time, foreigners who stayed Korea, were collected Korean books activelytendency of book distribution structure. People who lived early 20th century not only bought books, but also transcribed in order to make their own collections. Third, the thesis verifies Japanese book collectors who unfamiliar to us, and their book collecting tendency by using information of memorandum of transcription or ex libris. The typical figures are Okada Nobutoshi(岡田信利, 1857~1932), Tokutomi Soho(德富蘇峯, 1863~1957), and Kanazawa Shôzaburô(金澤庄三郎, 1872~1967).

      • KCI등재

        『두릉만필』의 서술 방식 연구 : 사실성과 진실성에 주목하여

        백진우 ( Baek Jin-wo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3 No.-

        본 논문에서는 18세기 초반의 필기 잡록 저술인 『두릉만필(杜陵漫筆)』 서술 방식의 특징적인 면모를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를 통해 어느 정도 밝혀진 저자 정각선(鄭覺先, 1660-1743)의 생애와 『두릉만필』의 서사 지향의 바탕 위에서 서술방식에 주목하여 이 저술의 특징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저자인 정각선은 여타 작가들과 비교해볼 때 당대 보편적인 가치관이었던 성리학의 영향에서 상당히 벗어나 있던 인물이다. 또한 여러 기록에 의거해 볼 때 사소한 체면에 구애받지 않는 자유롭고 진솔한 성격을 가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 까닭에 남들에게는 사소해보일 수 있는 일상을 있는 그대로 남겼으며, 인간의 천성과 본성을 긍정하여 자신의 생각을 꾸미거나 감추는 일 없이 진솔하게 기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와 같은 태도는 이 저술이 당대의 사회·문화를 보여주는 데 그치지 않고 오늘날을 살아가는 사람들도 쉽게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공감대를 이끌어내었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측면에 주목하여 『두릉만필』에 보이는 서술 방식의 특징적 국면을 사실성, 진실성, 보편성의 관점에서 순차적으로 살펴보고 그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원체 광범위하고 다양한 필기잡록의 성격을 본고에서 살펴본 『두릉만필』 하나만으로 밝혀낼 수는 없다. 그러나 각자의 관심사에 따라 다양하고 전문적인 성격의 필기잡록 저술이 출현하기 시작한 18세기 전반의 창작 양상을 확인하는 데 있어서 작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On this study, I 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 on Durung Manp`il, a kind of the miscellaneous records, which was written in early 18th century. I tried verifying Chong Kak-son`s life in more detail-his life was revealed on existing researches.- and characteristics of his work Durung Manp`il focused on its ways of narrative description. We can say that Durung Manp`il is categorized in a `record of author`s experience`. Also, Durung Manp`il has peculiarities on region, material, culture, and daily life because the author had served as local governor of 8 regions for 25 years. The author Chong Kak-son was an unusual and freed himself from Confucianism figure, compared to other authors who were influenced by Confucianism. According to various references and documents, he was a freewheeling and honest person. Because of his nature, he recorded the pretty concerns of his daily life that others regarded trivialities. By virtue of his nature, Durung Manp`il suggests not only society and culture of the time but also today`s. It is not easy to determine peculiarity of Durung Manp`il through only this study because of its extensiveness. Despite the extensiveness, Durung Manp`il can help to identify early 18th century`s varous aspects of the age.

      • KCI등재

        <기획> : 공감과 치유의 언어,문학 ; 병자호란의 상흔에 대한 문학적 치유 양상 연구 -역사 인물 구천(句踐)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백진우 ( Jin Woo Baek ) 민족어문학회 2013 어문논집 Vol.- No.69

        본 논문에서는 병자호란 이후 조선의 지식인들이 겪었던 정신적 외상을 문학을 통해 극복하고자 한 실례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에 대한 復讐雪恥가 시대적 담론으로 대두되었던 당시의 조선 상황 속에서, 조선의 지식인들은 유사한 시련을 극복해내고 최종적으로 복수에 성공한 역사 인물을 역할모범으로 삼아 본받고자 하는 일련의 움직임이 있었다. 이 시기에 春秋時代의 인물인 越王句踐이 여러 사람들에 의해 회자되었다. ‘臥薪嘗膽’의 고사로 잘 알려진 구천은, 멸망 직전의 상황을 딛고 일어나 약 20년에 걸친 긴 시간 동안 치욕을 견디며 국력을 키운 끝에 극적인 복수에 성공한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당대적 현상을 배경으로 하여, 본고에서는 당시의 지식인들이 구천을 기억하는 방식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역사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구천의 행적은 동일하였지만, 해석자의 정치적 입장과 복수설치에의 의지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면모를 부각시켜 해석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문학에도 반영되어, 해당 시기에는 구천의 복수를 높이 평가하는 작품들이 다수 창작되었다. 구천의 복수를 드높이는 일이 곧 청나라에 대한 복수 의지를 고양하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적인 한계로 인해 복수설치가 어렵다고 한다면, 복수에 성공했던 구천의 사적을 통해 정신적인 위안을 얻으려 했다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병자호란 이후 구천의 사적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했던 일련의 창작 활동이 병자호란으로부터 입은 정신적 외상을 극복하고자 한 일종의 치유 행위였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figure Gou Jian (句踐) after the Manchu War of 1636. Because ``a desire for revenge`` was an important discourse at that time, and people of Joseon wanted to set up a role model from the history. Gou Jian who was the King of Yue(越)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experienced amount of pain due to the invasion of Wu(.). Though he almost lost his country, he realized a dream of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through 20 years of preparations. Then he succeed in revenging for Wu. This event acted as a powerful stimulus to Joseon society. Because Joseon wanted to revenge on Qing dynasty. Against this backdrop, I examined various ways of reminding Gou Jian at that time carefully. With this, I ascertained that people tried to interpreted him as following their own needs. It depended on their political position and the will for revenge. This tendency was reflected in the field of literature, people tried to appreciated Gou Jian`s work highly. That is because they hoped to raise the morale of revenge by celebrating Gou Jian. On the other hand, they hoped to get spiritual comfort from him, as they realized the realistic limit of revenge. I tried to determine that these kind of writing was one of healing which was relating to overcome the scars of war at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