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21세기 한국한문학사 서술의 여러 문제 -여성문학사의 입장에서-

        박무영 ( Park Moo-young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4

        본고는 새로 쓰게 될 21세기 한국한문학사의 서술에 여성문학사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 탐색해본 논의이다. 한국한문학사와 여성문학사는 쉽게 제휴하기 어려운 태생적 기반을 지닌다. 한국한문학의 자료와 역사는 남성문화에 기반을 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랜 여성배제의 결과이기도 하다. 최근 여성문학사에 대한 관심은 한국한문학사에서도 여성의 흔적을 찾는 일을 진행시켜왔고, 무시하기 어려운 성과를 거두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여성문학사의 성과를 기존 한국한문학사에 단순히 기입해 넣는 방식의 제휴는 문학사의 기본 성격을 간과한 것이라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문학사란 무엇보다도 사관의 산물이고, 사관에 따른 전적으로 새로운 구성과 논의의 장을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고전여성문학사와 한국한문학사의 병립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였다. 각각 남성젠더적, 여성젠더적 성격을 분명히 하고 상호 참조하는 방식으로 병립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덜 폭력적인 방식이라는 주장이다. 상호참조를 통해 젠더적 균형감각을 획득하는 것은 남성젠더로서의 한국한문학사의 서술에서도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이 점이 한국고전여성문학사가 21세기 한국한문학사 서술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방식이라는 것이 본고의 잠정적 결론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what women`s literary history can contribute to writing new Sino-Korean literary history in 21 century. The fundaments of Sino-Korean literary history and women`s literary history hamper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That is because materials and history of Sino-Korean literary history are based on male culture. The field is a consequence of the long exclusion of women. Admittedly, recent attention for women`s literary history has been discovering the traces of women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and made achievements which cannot be ignored. However, simply writing achievements of study of women`s literary history into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cannot be the desirable method of collaboration. We should not neglect the intrinsic nature of literary history. Literary history is a product of certain view of history above all, and it demands an entirely new structure and field of discussions. Thus, it is desirable that the history of women`s literature and that of Sino-Korean literature stand side-by-side. It must be the most effective and least violent way if each of them clarify their masculine or feminine gender qualities and refer to each other. Obtaining balanced sense of gender through cross reference would also be essential for writing masculine gendered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It is the provisional conclusion of this article that this is the most desirable method that the history of Korean women`s literature can contribute to writing the history of Sino- Korean literature in 21 century.

      • KCI등재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한21세기 한문학 연구동향 분석-『한국한문학연구』를 중심으로-

        김경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5

        This research provides the research trend analysis on Sino-Korean literature of the twenty-first century through utilizing Netminer. The analysis in this research is conducted with the order of frequency-topic modeling-centralit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highest frequencies of keywords are appeared with orders of ‘exchange’, ‘figure’, ‘aesthetics’, ‘late Joseon Dyansty’, and so on. These keywords identify major research objects of researchers’ interests in Sino-Korean literature. Topic modeling method in this research categorizes topics of examined works with ‘book publication in relation to East Asia’, ‘expansions of narratives and excursions’, ‘proses and tributes to women’, ‘Kyunghak, figures and theories’, ‘aesthetics in poetri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Dohak’, and ‘exchange and travel literature of envoys’. Through applying the topic modeling method, this research finds main research themes of Sino-Korean literature of the twenty-first century. Furthermore, it also shows how keywords ident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can be turned into research themes. The centrality analysis identifies ‘proses’, ‘Ming Dynasty’ ‘figures’ as key concepts. Additionally, this research also provides changes of keywords and research themes over tim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finds that research objects and themes of Sino-Korean literature of the twenty-first century have been continued and expanded those of the twentieth century. Furthermore, it finds that the fact that main research themes focus on acceptance, creation and circulation of Sino-Korean literature show researchers’ great efforts to analyze realities, social contexts and enjoyments of Sino-Korean literature. Along with these findings, it suggests to expand research objects, create networks with other academic disciplines and increase accessibility to research objects. 이 글은 넷마이너(Netminer)를 이용하여 21세기 『한국한문학연구』를 대상으로 한문학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의 진행 및 방식은 ‘빈도-토픽 모델링-중심성’이다. 먼저 ‘교류’, ‘인물’, ‘명’, ‘미학’, ‘조선후기’ 등의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 같은 키워드를 통해 한문학계 주된 연구대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픽 모델링에서는 ‘동아시아 서적간행’, ‘유람과 서사의 확장’, ‘여성 추모와 산문’, ‘경학, 인물과 학설’, ‘한시 미학과 도학’, ‘교류와 연행기’로 요약되었다. 이를 통해 21세기 한문학의 대표적인 연구 주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앞선 빈도에서 확인된 키워드가 어떤 방법을 통해 연구화되는지를 살필 수 있었다. 중심성에서는 ‘산문’, ‘명’, ‘인물’ 등이 핵심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시기별 변화 추이를 통해 키워드들의 변화 및 연구주제 변화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가 있었다. 결국 21세기 『한국한문학연구』의 핵심 연구대상과 주제들은 2000년 이전 연구의 성과가 지속 확대되었고, 한국한문학회에서 주도적으로 연구를 추동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문학의 창작과 수용, 유통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면서 한문학의 실제와 사회적 맥락, 나아가 향유까지 고찰하려는 시도가 높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한문학 연구대상의 확대, 기타 학문과 연계, 연구 접근성 등이 개선점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한문학사 서설 -국문학과의 통일적 인식을 위한 구상-

        임형택 ( Lim Hyong-taek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4

        이 글은 `한국한문학사 서술의 제문제`란 주제로 열렸던 한국한문학회 제11차 전국대회 석상에서 기조강연으로 발표했던 논문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국문학과 한문학의 통일적 인식을 주요 의제로 설정하였다. 시간대는 한국문학사의 상고에 해당하는 삼국시대의 출발 지점(기원전 1세기 무렵)에서 고려 이전 10세기로 잡고 있다. 한자의 도입이 언제인가를 검토한 다음, 한자문화의 수용과 한문학의 성립으로 단계를 구분지어서 고찰한다. 국문학계의 기존의 통설을 비판하는 데에 역점을 두고 있는 바, 시가와 산문두 방향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시가에서는 종래 漢譯歌로 취급되어 왔던 몇몇 작품들이 원래 한시 형식으로 지어졌다는 견해를 제시한다. 산문에서는 국문학에 일찍이 도입되었던 설화란 개념을 해체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모두 자료 분석에 근거해서 실증적으로 논리를 세우고 있다. This paper is the revision of my key-note speech in 11<sup>th</sup> national academic conference by the Society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By reviewing from early Era of Three States, 1<sup>th</sup> century to 10<sup>th</sup> century just before Goryeoa Dynasty, I attempt to propose the integrative recognition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To debate the received theory about poetry and prose of Korean Literature field, I reconsider the three steps: 1<sup>st</sup> the adoption of Chinese character; 2<sup>nd</sup> the accommodation of the culture in Classical Chinese; 3<sup>rd</sup> the establishment of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Based upon literature proof, I argue that some fundamental Classical Chinese translated poetry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be originall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and, about prose, that Seolhwa(說話), the early adopted genre, shall not be used as academic term in pre-modern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한국 한문산문의 서술문체 및수사논리와 역사문화적 기능

        심경호 한국한문학회 2023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7

        This paper studies the historical fact of Korean Sinitic prose's narrative style and rhetorical structure. The mainstream of Korean Sinitic prose was composed of literary structure from Qin~Han era Hundred Schools of Thoughts and classical prose style which follows retro codes since Han Yu's established compositions. However, in Korea, not only these classical style prose was acknowledged, but also the Idu script style (Chosŏn style Sinitic literature) and parallel prose have thrived, and the Buddhistic literature occupied a certain position. In the late Chosŏn period, the literary circles of Chosŏn developed aesthetical aspect of Sinitic prose, referring to Ming dynasty archaist's writing style which experimented archaistic literature to mimic pre∼Qin era compositions and vignette style to express one's feelings and subjective thinking in short writing. Korean Sinitic prose was appreciated with its distinct value in historical and cultural field, adopting themes, e.g. resistance to foreign influence, awareness on the national boundary, history of the nation, native language and literature, the civilization's independency, re∼acknowledge on the national emotion and marginalized national members, and re∼discovery of homeland, just as the general Korean Sinitic literature did. In addition, Sinitic prose retained archival and logical value beyond the literature in the narrow definition, being utilized in recording history and conducting science. Sinitic prose also vividly presents the aim to advocate the orthodox learning in Ŭiŭi (the demonstration and commentary) style prose, establish a personal theory in excerpt and compilation style prose with sceptical attitude toward the meaning of orthodox learning. Some literati even sought a concrete literary system of Sinitic prose. 이 논문은 한국 한문산문의 서술문체와 수사논리학에 관해 개괄하고 그 역사문화적 기능에 대해 탐색했다. 한국 한문산문은 秦漢 經史諸家의 문언어법과 韓愈 이래 복고적 산문의 어법을 준수하는 고문이 주류를 이룬다. 단, 문언어법의 고문 이외에, 이두식 한문(조선식 한문)과 변문이 함께 발전했으며, 불교식 한문 또한 일정한 위상을 점유했다. 조선후기에는 명 복고파 문인들이 선진 문언을 모방한 擬古文, 서정과 주관적 사유를 단형으로 표현하는 小品文의 行文 방식을 참조하면서 산문의 예술 미학을 발달시켰다. 한국의 한문산문은 역사문화의 場에서 독특한 가치를 인정받았다. 한국한문학 일반이나 마찬가지로 외세에 대한 저항의식의 표출, 국경 의식의 고양, 민족역사에 대한 관심 표명, 자국 언어 및 자국 문학에 대한 관심 표명, 독자적인 문명의식, 민족 정서의 재발견과 소외된 민족성원에 대한 재인식, 국토산하의 재발견 등을 주제로 삼아 왔을 뿐 아니라, 협의의 문학성을 넘어서 기록성과 논리성을 확보하면서, 사실 기록과 과학 연구에서 중요한 문체로 활용되었다. 또한 한문산문은 정통 교학을 옹호하려는 지향을 疑義 등의 문체를 통해 뚜렷하게 드러내는 한편으로, 敎學의 함의를 재조정하고 회의하는 정신을 문헌의 절록과 집록에 담으면서 自說을 구축했으며, 일부 지식인은 體例를 모색했다.

      • KCI등재

        지역 한문학 연구의 회고와 전망: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이종호 한국한문학회 200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39

        Reflection & Prospection of Local Sino-Korean Literature In Andong Province 지방 한문학은 특정 지역에서 생산된 한문학유산을 발굴하고 연구하여 공시적, 혹은 통시적으로 존재하는 문학특질을 찾아냄으로써 한국한문학의 지평을 넓히고 내용을 풍부하게 만드는데 기여하는 학문이다. 지역 한문학 연구의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대학 학부단위에서는 한문강독, 국학이론, 현장실습으로 나누어 교과과정을 편성하되, 한문강독은 기본 경전과 고전 시문을 위주로 익히고, 국학이론은 우리의 문학, 사학, 철학에 대한 기본지식을 소화하며, 현장실습은 한문으로 된 고문헌을 직접 손으로 다루면서 그 속에 담긴 글의 성격을 스스로 터득해가도록 한다. 안동한문학 연구를 한 눈에 조망하기 위해서는 안동한문학사나 안동한문학대관 혹은 안동유교문학사 등과 같은 전문저작이 출현하여, 안동한문학의 범위와 성격, 사적인 전개양상 그리고 한국문학사에서의 위상 등을 일목요연하게 읽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우선 한문학사라는 그릇에 담길 자료를 풍부하게 소개하는 것, 예를 들면 안동한문학사자료집을 먼저 출간하여 차후의 한문학사 서술을 용이하게 만들어 주는 일도 필요하다. 자료집 편찬을 위해서는 인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현행의 연구태도에서 작품 중심, 사조 중심으로 변화해야 하고, 인물의 생애와 사상과 문학을 기존의 관점이나 시선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술하는 방식은 이제 지양되어야 한다. 인물연구의 최초단계에서 가계와 사승관계를 다루면서 종종 계보학의 함정, 즉 한 개인의 삶과 사상을 학맥 속의 먼 스승과 일치시켜 생각하는 경향이 대상인물의 개성을 탈색시켜버리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한편 경상좌도는 퇴계학과, 경상우도는 남명학파라는 이분법의 오류 역시 지역 한문학 연구자들이 극복해야 할 대상이다. 아울러 당대를 살아간 지식인들의 생각과 상관없이 병호시비와 같은 후대가 만들어 놓은 분파주의와 ‘적절한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지역 한문학연구는 학계의 수요, 학자의 수요, 지역의 수요 이 삼자가 균형을 맞추어 가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거나 문화관광자료를 구축하는 일 역시한문학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여 한국한문학의 진정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착수해야 한다.

      • KCI등재

        한문소설사 서술의 제문제 -한문학에서의 한문소설, 그 사적 전망-

        정환국 ( Jung Hwan-kuk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4

        이 글은 한국한문학에서 한문소설의 설정과 그것의 史的 구성에 관한 몇 가지 지점들을 탐색한 것이다. 한문학에서 한문소설은 그 위치가 애매하나, 唐代에 유가 문인지식인들이 창작한 傳奇를 볼 때 한시와 한문산문을 교직한 중요한 글쓰기였다. 따라서 한문학의 차원에서 한문소설사는 작자층과 이들의 세계관의 흐름 및 변화를 고려한 속에서 구성되어야 할 듯하다. 이런 전제에서 한국한문소설사의 논의는 「崔致遠」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해 봄직하다. 이후의 흐름을 짐작해 보면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 전중기에는 傳奇와 夢遊錄이 공존하면서 士계층의 자의식을 고양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다가 17세기로 접어들며 큰 분기가 일어나는데, 전반기의 전기소설과 후반기의 국문장편소설로 대별된다. 비록 한문과 국문이라는 표기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자는 모두 당대 지식인 집단의 첨예한 이해관계가 반영된 결과물이었다. 이후 野談은 조선후기 한문단편소설로 기능하며 국문소설과 이원구도를 형성하였다. 마지막 19세기 세태소설은 시대의 변화와 작자층의 하향화를 통해 다기한 양태를 보이는데, 이는 한문소설사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문제적 사인이기도 하다. 이런 한문학 작가와 한문소설사의 구도에서 관건이 되는 작품 가운데 하나가 「雲英傳」이다. 문제의식뿐만 아니라 작품성에서 소설사의 큰 매듭이 되는 「운영전」은 현재작품미상이다. 이 글에서는 이 작품의 작가가 許筠일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즉 몇 가지소재와 仙趣와 怨情, 그리고 「운영전」의 구도와 지향을 허균의 다른 작품 및 기타 문제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렇다고 이 시론을 통해 「운영전」의 작자가 확정되었다고 보지는 않는다. 앞으로 이것이 한국한문소설사를 서술하는데 주요한 논점이 되기를 기대하며, 더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an observation of some points of the settings of Chinese Novel and its historical composition in Korean-Chinese Literature. Although the position of Chinese Novel in Chinese Literature is not certain, referring to the writings of Confucian intellectuals, it was an important field which combined Chinese Poetry and Prose. Thus, the History of Chinese Novel should be composed considering the authors and the changes of their worldview in the level of Chinese Literature. On this account, the discussion of the History of Korean-Chinese Novel should start from < Choi Chi Won(崔致遠) >. To surmise the trend is as follows. In early and mid terms of Joseon, Jeon-gi(傳奇) and Mongyurok(夢遊錄) were developed as to improving the Sagyecheng`s sense of identity. From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the divergence of Early Jeon-gi Novel and Late Joseon Korean Novel arose. Despite of the writing methods - Korean and Chines - both were the results of the reflection of the intellectuals` inresests. Yadam(野談) started to perform as the Late- Joseon Chinese Short Story afterwards, creating a dual composition with Korean Novel. Novel of Manners in 19th century showed skillful form by the time changes and the lowered author groups. This is a problematic figure in composing the History of Chinese Novel. < Unyeong-jeon(雲英傳) > is a crucial factor in the composition of the writer and the History of Chinese Novel. It is also an important figure of critical sense and the characteristic and yet still the writer is unknown. Discussions of the possibilities that the writer could be Heo- Kyun(許筠) are included in this study. To support the idea, I compared the piece with Heo-Kyun`s other novels in the matter of some materials as wandering in forests(仙趣) and resentment(怨情), the composition and the aim of the novel. Nevertheless, this doesn`t mean that that author of the novel is confirmed yet. I hope that the study could be a meaningful turning point in writing the History of Chinese Novel and that more lively discussions would follow later on.

      • KCI등재

        동아시아 문화교류(文化交流)와 한국한문학(韓國漢文學) ; 18,19세기 동아시아와 지식(知識), 정보(情報)의 메신저, 역관(譯官)

        진재교 ( Jae Kyo Jin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7

        이 글은 18,l9세기 조선의 역관들이 동아시아의 지식과 정보를 매개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특히 외교사절단을 수행한 역관의 역할 중, 주로 지식, 정보와 관련한 그들의 존재 방식을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역관의 존재 양상을 1) 지식·정보의 전달자, 2) 지식·정보의 중개자, 3) 지식·정보의 생성자, 4) 지식·정보의 발신자 등 네 측면을 논하였다, 1) 에서는 친지 등에게 부탁받은 서적을 통해 지식을 단순 전달함으로써 지식의 생성과 유통에 간접 기여하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 2) 에서는 스스로 새로운 서적을 사서 지식·정보를 획득하여 국내에 유통시키는 측면을 고찰 하였으며, 3) 에서는 역관들이 지식, 정보를 국내에 유통시키는 것을 넘어 새로운 지식, 정보를 체득한 것을 토대로 스스로 지식·정보를 유통시켜 새로운 지식·정보를 생성하는 주체가 되는 경우를 살폈다. 4) 에서는 역관들이 스스로 지식·정보의 발신자가 되어 체험한 견문 지식과 정보를 서울 학계에 끊임없이 제공하는 역할을 넘어 더러 서울과 연경의 學藝界를 향해 지식·정보를 발신하는 경우를 검토하였다. 이는 여항문학의 성과를 사대부 문학과의 거리를 언급한 것에 대한 재조명이다. 18·19세기 문학과 문화에 끼친 역관의 역할과 영항은 그들이 남긴 문학 작품과 그 성과만으로 평가할 수는 없다. 그 문학 작풍을 포함하여 문화적 역할과 문화 교류의 가교 역할을 한 것 등, 제반 사항을 두루 살펴 논해야 그 실상에 다가갈 수 있다. 새로운 지식·정보의 국내 유입과 생성, 그리고 유통에 기여한 점과, 역관이 이국에서 체험한 견문지식 등이 당대 사회에 던진 파장을 두루 고찰해야 한다. 역관들은 실제 견문지식과 체험, 그리고 이국의 창을 통해 시각을 국내에 두지 않고 항상 시대조류와 호흡하고 세계사의 방향에 민감하게 인지하였다. 사대부 지식인들이 구축한 지식체계 속에 가두어 두고 역관의 문학과 문화 활동을 평가하는 구도를 전환시켜, 일국을 넘어 밖의 시각을 끌어 들여 역관이 남긴 자취와 역할을 평가할 때, 이전과 사뭇 다른 의미가 주어질 수 있다. Most remarkably, translating officials themselves played an active role as the subject of knowledge/information who conveyed knowledge and information with their own intellectual capacities. For a new understanding of yeohang 閭巷 literature, we should pay due attention to those translating officials who played a key role in producing knowledge/information and circulating it. Translating officials not only had abundant knowledge through traveling experiences, but also could obtain much information on new books by way of mediating the book trade. It was a few leading scholar-officials who evaluated and criticized the knowledge/information provided by translating officials, but such intellectual impacts made by those scholar-officials were limited to domestic knowledge/information. As far as knowledge to the foreign was concerned, translating officials played an active role as its subject by evaluating, receiving, and even recreating it. In this sense, these translating officials were the sender of knowledge/information, We should not limit our focus to the literary works written by translating officials, in reconsidering their literary and cultural impact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We should reexamine their role to bridg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f we attempt to appreciate their true cultural impact on Korean society. Furthermore, we should reexamine their contribution to the reception of new knowledge/information and its circulation and the social influence made by their knowledge of foreign countr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