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 직후 국문학 연구의 전개 양상 -‘우리어문학회’를 중심으로-

        김용찬 국어문학회 2023 국어문학 Vol.82 No.-

        국문학 연구는 일제 강점기 시절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이제 막 한 세기를 지나고 있다. 그동안 국문학 연구사를 정리하는 작업은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사 정리가 필요한 이유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면밀하게 점검하여, 새롭게 연구 방향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사를 정리할 때, 시대적 상황에 맞는 적절한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사 정리 성과를 충분히 활용하여, 해방 직후 ‘우리어문학회’를 중심으로 한 국문학 연구의 양상을 점검하도록 하겠다. 기존의 연구사에서는 이 시기를 간략하게 언급하는 정도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일제 강점기 국문학 연구의 동향을 개관하고, 한국전쟁 이후 설립된 국어국문학회의 활동에 대해서도 살펴보겠다. 또한 해방 직후 국문학 연구사의 전개 과정을 검토하고, 특히 우리어문학회의 연구 성과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일제 강점기의 국문학 연구는 크게 두 갈래로 진행되었다. 하나는 1926년에 설립된 경성제국대학의 법문학부 산하에 ‘조선문학’ 전공을 통해서 이뤄졌다. 경성제국대학에서는 담당 교수가 임의로 개설한 교과목을 학생들이 수강하는 식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체계적인 국문학 연구가 진행되기 힘들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경성제대에 재학하고 있던 학생들에 의해 ‘조선어문학회’가 결성되었다. 또 하나의 갈래는 ‘국학파(國學派)’라 칭했던 일군의 학자들을 주목할 수 있다. 이들은 자신들의 연구 활동을 일제에 대항하는 운동의 일환으로 여기면서, 우리 문학과 문화에 대한 의미를 적극적으로 펼쳤다. 초창기 학자들의 활동으로 인해 국문학 연구의 기초가 다져졌고, 그 결과로 산출된 성과들은 연구사를 서술하는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해방 직후 이후 대학이 설립되었고, 대학마다 국어국문학과의 개설이 이뤄졌다. 이로써 국문학 연구에 대한 본격적인 토대가 마련되었다. 대학에서 국어국문학과가 개설되면서 교수진이 갖추어졌지만, 체계적인 교육 과정(curriculum)부터 학과 운영에 이르기까지 미비한 상태였다. 교수들은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기 위하여 적지 않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했다. 무엇보다도 가장 시급한 교과 과정을 확립하고 그에 걸맞은 교재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당시 대학교수로 재직하고 있던 학자들이 모여 결성한 모임이 ‘우리어문학회’이다. 이들의 연구 활동을 살펴보고 국문학 연구사에서의 위상을 따져보겠다. 일제 강점기와 분단이라는 시대적 상황은 국문학 연구사에서 거대한 장애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1950년 발생한 ‘한국전쟁’으로 인해 남북으로 분단되면서, 이후 한반도는 적대적인 이념적 대결의 장으로 변했다. ‘우리어문학회’의 구성원들 가운데 일부가 한국전쟁의 와중에 북으로 가면서, 학회는 사실상 해체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다. 또한 ‘국어국문학회’가 1952년에 결성되면서, 이후에는 국문학 연구의 주도권이 이들 후속 세대에게 넘겨졌다. 후속 세대들에 의해 ‘우리어문학회’가 극복의 대상으로 여겨지면서, 이들의 연구 성과는 검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어문학회’의 활동과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국문학 연구사에서의 위상을 정립하는 것은 의미가 있는 작업이다.

      • KCI우수등재

        광복 70년 국어교육의 응전과 통일 시대의 과제

        이삼형(Lee, Sam-hyung)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3

        본고는 광복 70년의 국어교육의 여정과 통일 시대 국어교육의 과제에 대한 논의다. 건국기는 광복을 맞이하여 새로운 나라 건설에 국어교육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국어교과서 편찬에 당시 대표적인 학자가 총망라되었으며, 소위 좌익 계열 작가들의 작품도 포함됐다. 이승만 정부의 수립 후에는 반공이데올로기를 전면에 내세움에 따라 국어교육에 대한 도전이 시작된다. 개발독재기에는 반공 이데올로기와 경제 개발과 관련된 이데올로기가 결합된 국가적 이데올로기가 교과서에 많이 반영되었다. 민주화기에서는 국가적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국어문화 창조라는 본연의 목표에 주력하게 된다. 이러한 여정은 크게 보면 국어교육에 대한 외적 도전과 그에 대한 응전이다. 다른 한편으로 70년 동안 국어교육 이론의 정련화, 비판적 문식성의 강조 등 국어교육이 체계화되는데 이는 내적 응전이라고 할 수 있다. 통일시대의 국어교육의 과제로 언어의 이질성 극복이 지금까지 많이 논의되었다. 본고는 이 문제보다 공산주의 교육체제에서 길들여진 교사와 학생들을 어떻게 하면 민주시민으로 변화시키느냐의 문제가 더 크다고 보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연구가 시급히 이루어져 통일에 대비하는 국어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Korean Education(KE) since 1945 and to anticipate the task of KE for the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E responds to challenge of external condition and internal problem in the past 70 years. The external challenge is divided three period. In the period of establishing a country(1945-1950), KE puts emphasis on inspiring the conscious of the national language. In the period of Korean war, there are many reading material about ideology of anti-communist and gratitude to America(U.N.). In the period of economic development, in order to unify people for economic development KE is influenced by national ideology. In the period of democratization, KE makes an effort to escape from the national ideology. The response of KE to internal challenge are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E and to emphasize higher order thinking and to refine curriculum and textbook. Among the tasks of KE in the period of unification the difference of language between south and north is not very serious than expected. But teacher and student who is educated North korea’s Juche Idea are very serious. To make them of democratic citizens is going to come to challenge of KE.

      • KCI등재

        남북한 통합을 위한 국어 교육의 정체성 탐구

        서현석(Seo Hyun-suck)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3 No.-

        ‘국어’ 교과는 우리 민족의 ‘모국어 사용’을 교육의 내용으로 직접 다루며, 의무 교육으로써 국민 전체가 배우게 되는 공통 교과이다. 통일을 대비한 ‘국어’ 교육은 단지 국어 이해와 표현을 위한 기능 교과의 성격을 넘어서 우리 민족의 국어 사용에 작용하는 공통된 사회·윤리·문화적 관점으로써 올바른 언어적 선택 상황에서 작동하는 ‘국어 사고력’을 담당하는 ‘도구 교과’가 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 교과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남한과 북한의 국어 교육의 목표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고, 전통적으로 강조되어 온 국어교육 의 내용으로써 비판적·창의적 사고력뿐만 아니라 다양성을 수용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국어사용의 관점으로써 ‘배려적 사고력’을 강조하였다. 또한 배려적 사고력을 근간으로 구체화한 ‘국어 사고력 체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s a basic subject which cultivates a foundational language capacity for thinking. The Korean Language subject, covering Korean directly as a first language, is one of the main compulsory education subjects, which all Korean public school students have to take. To Prepare for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the Korean Language subject needs to be a basic subject to encourage the Korean Thinking Ability(KTA), which includes and emphasizes caring thinking as well as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new structure model of a KTA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중국 산둥지역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전망

        이호(Li Hao)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1 No.-

        본고는 중국 산둥지역 내 각 대학 한국어학과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한국어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발전 방향 및 전망을 제시했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한국어 인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산둥지역은 한국어교육이 가장 밀집된 지역으로 부상하였다. 현재 산둥지역에는 국립대학, 전문대학 및 사립대학을 포함한 40여 개의 대학에 한국어학과가 설립되어 있다. 그 중에서 국립대학의 한국어학과는 종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며 보통 4년제인데 비하여 전문대학이나 사립대학은 주로 실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며 보통 3년제이다. 이들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으로 하는 학생 수는 약 6,000명 정도이며 해마다 약 1,500명의 졸업생을 배출한다. 2010년 이후 졸업생의 취직이 어려워져 한국어학과 학생 수도 조금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 동안 급격히 발전해 왔던 산둥지역의 한국어교육은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와 동시에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노출되기 시작했다. 산둥지역 한국어학과의 교육목표, 교원의 자질, 교수법의 선진화 등 여러 측면에서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한국어교육의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이기 위해서 현재 중국 산둥지역의 한국어학과에서 진행하고 있는 한국어교육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양적인 팽창에서 질적인 향상으로 전환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그리고 한국어 언어중심의 교육에서 한국학 교육 및 연구 중심의 교육으로 업그레이드 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analys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Shandong Province, China through a temporal investigation on Korean majors of universities in Shandong area. Furthermore, this article also explored the developing directions and prospects of this issue. After the official establishment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1992, the need for talented personnel who can speak Korean has been increasing and at the same time, Shandong Province can be seen as the most concentrated destination for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China. At present, more than 40 universities including public universities, private universities and community colleges inside Shandong area have set up Korean major. In these universities approximately 6000 students are majoring in Korean Studies and 1500 graduates will graduate from this major every year. However we can not ignore the increasingly obvious problems such as teaching objectives, qualification of lecturer and advancement of teaching method. We expect that the today"s Korean educational system in Shandong area which is concentrating solely on language itself can upgrade into studies on all aspects about Korea.

      • KCI등재

        19세기 국어에 대한 종합적 검토

        閔賢植(Min Hyun-Sik) 국어국문학회 2008 국어국문학 Vol.- No.149

        The 19th century Korean language shows special features of the latter modern times Korean language and shifted to the Enlightenment Period Korean language that covers from the latter perio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days of the 20th century. The texts of former part of the 19th century language are not many, but the latter part shows a lot of texts. Phonological history has the issues of the disappearance of the spelling of under-a/ㆍ/ and the period of vowel simplification of /ㅚ, ㅟ/. In the orthography history, the 19th century Korean language shows the main development of morphophonemic spelling with phonemic spelling and overl apping spelling. Spelling of fortis tried to change over an initial s(ㅅ) to the same double consonant. There was competition of style among Chinese char acter style, Korean character(Hangeul) style, and Korean-Chinese mixed style that imitates Japanese-Chinese mixed style. In the grammatical history, an honorific was divided into the six level honorific system and the modern tense-aspect system was established, and the use of a quotation marker '-ko' was increased. Lexical history shows rapid increase of borro wing words especially Japanese-Chinese technical terms. Ronggawoll yeongga, Ryuneum and newspaper advertisements show a new style of communication which requires new research approach by textlinguistics and discourse analysis. That time was a special period in terms of awakening of Korean language and orthography.

      • KCI등재

        해방기 국어교과서와 청년담론

        최양우(Choi Yang-woo)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4 No.-

        이 논문의 목표는 해방기에 편찬된 국정 국어교과서인 『중등국어교본』을 통해 해방기 청년담론의 구체적 모습을 밝히는 것이다. 해방기에 국어는 민족어의 지위를 가지게 되고, 민족정체성과 동의어가 된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국어교과는 새로운 민족국가 구성원의 양성이라는 임무를 맡았으며, 국어교과서는 그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도구였다. 이런 전제 하에 이 연구는 『중등국어교본』에 수록된 글을 통해 당시 정책주도세력이 형성하고자 했던 청년담론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중등국어교본』에 수록된 글을 살펴보면 당시의 청년담론은 세 가지 방향으로 드러난다. 첫째, 새로운 민족국가 수립의 기초인 전통과 문화를 복원하고자 했다. 이것은 민족어인 국어와 한글, 그리고 민족의 과거인 문화, 역사, 유적 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족공동체 재건의 주역이 갖춰야할 미덕을 제시했다. 『중등국어교본』은 다양한 글을 통해 진취적 성향 노력, 공동체에 대한 헌신, 사회적 윤리 준수를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민족공동체를 순수한 단일공동체로 제시했다. 『중등국어교본』은 당시 좌우 이념대립이란 현실을 무시하고 단일한 민족공동체의 모습만을 청년세대에게 보여준다. 이는 이데올로기적으로 순수한 글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다룬 글을 통해 이루어졌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tangible aspects of the young generation discours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rough the national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that perio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e Korean language gained the status of national language and became synonymous with the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is assumption, this study examines the young generation discourse that policy-led entities sought to shape through the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Looking at the text in the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the young generation discourse at that time may be revealed in three directions. The first direction was to restore tradition and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the basis of establishing a new nation state. The second direction was to present the virtues that leaders of reconstructing national community should have. The third direction is to present the ethnic community in pure unity.

      • KCI등재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국어교육 연구의 과제

        서현석(Seo Hyun-seok)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1 No.-

        예측 가능한 미래를 대비하며 앞으로 다가올 국어교육의 모습을 전망하고, 그 시대를 살아갈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교육적 지향과 방법을 모색하는 일은 지속적으로 탐구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미래 세대인 학습자들이 좀 더 풍요로운 국어사용의 삶을 영위해 나가는데 기여하는 국어교육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먼저 ‘문식성’의 개념을 고찰하고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역량’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점검하였다. 그리고 미래를 살아 갈 학습자의 풍요로운 국어 생활을 돕기 위한 국어 교육 연구의 방향을 ‘자기배려’를 고려한 국어과 교육의 목표와 내용 탐구, 학습자의 삶에 의미있는 국어활동의 특성 연구, 인성교육으로서 국어과 교육의 성격과 실천방안 연구, 통일을 대비하는 국어과 교육의 방향 연구 등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ppropriate way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research to help the future generation to use more affluent Korea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I have searched for the definition of the literacy and the contents of new 2015 Korean curriculum focusing on Key competencies. Then, as a the topic of Korean education research project, four proposals were discussed to help the forthcoming future learner. Those things were the "self care" exploring with the goal and the contents of Korean education,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eaningful language activities in the lives of learners, the study on the nature and practice of Korean education for a character education and the study of language education to prepare for reunification of Korea.

      • KCI등재

        한국어교육실습을 경험한 학부생의 한국어교사 이미지에 대한 주관성 연구

        박현진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0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ents’ subjective imag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ir practicum.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34 statements on 30 participants using Q methodolog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Ken-Q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ir subjective imag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first type sees Korean teachers as having “sufficient linguistic and educational knowledge but scarce compensation”, the second type as “being able to supervise students and with a feeling of belonging to their institution”, and The third and last type sees teachers with “knowledge of contemporary Korean culture and a bright future”.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lies in investigating the image that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ir practicum have of Korean teachers. The results can be used to build a positive Korean language teacher image and develop educational material. 이 연구는 한국에서 한국어교육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이 가지는 한국어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여 한국어교사와 관련된 34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고, 한국어교육실습을 경험한 학부생 30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Q분류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en-Q Analysis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 학부생이 느끼는 한국어교사의 이미지는 총 3개로 분류되었다. 유형 1은 ‘어학적, 교육적 지식이 있고 충분한 대우는 부족하다’였고, 유형 2는 ‘학생 생활지도를 해주며 직장에 대한 소속감이 크다’였다. 유형 3은 ‘현대문화를 잘 알고 미래가 밝다’라고 명명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이 한국어교사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각각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한국어교사의 이미지를 유형화한 본 연구의 결과가 한국어교사의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과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국어학에서의 융합의 개념과 유형

        한재영(Han, Jae young)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0

        본고의 목적은 국어학에서의 학문적인 융합이 뜻하는 바를 생각하여 보고, 융합의 유형을 살펴 국어학 연구가 지향하여야 할 방향을 점검하여 보는 데에 있다. 융합을 정당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국어학과 관련된 학문 분야와의 관계와 국어학을 구성하고 있는 세부 학문 분야 사이의 관계를 살피고 구체적인 작업내용들에도 관심을 가지기로 한다. 본고에서는 국어학과 국어학 외적인 학문과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는 국어학과 문학의 문체론(文體論, Stylistics), 국어학과 사전학의 국어사전학(國語辭典學, Korean Lexicography), 국어학과 전산학의 국어정보학(國語情報學, Korean Informatics) 그리고 국어학과 교육론의 국어교육론(國語敎育論, Korean Language Education)의 내용을 먼저 살폈다. 다음으로 국어학 내적 학문 영역 사이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는 형태통사, 형태음운, 통사의미 그리고 통사음운을 주제로 삼은 기존의 논의 목록을 살펴 국어학에서 융합을 다룬 양상을 보았다. 국어학에서의 융합의 필요성을 보다 잘 느끼기 위하여 국어의 문법 현상 중의 하나인 ‘피동’의 경우를 중심으로 살펴, 피동이 파생이라고 하는 형태론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통사론적으로나 의미론적으로도 아울러 살펴야 할 주제임을 확인하고, 나아가 음운론 특히 성조론과 방언학의 문제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 그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국어학에서 융합적인 사고와 접근 태도가 가지는 가치를 알 수 있었으며, 융합이 가지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개별 학문에서의 성과가 전제가 된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manuscript is to consider the meaning of academic convergence in Korean linguistics and examine the direction to which a study of Korean linguistics should be oriented by exploring the type of convergence. In order to understand convergence legitimately, the manuscript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fields related to Korean lingu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academic fields constituting Korean linguistics, and specific contents of work. This manuscript first explores Korean linguistics and stylistics in literature,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exicography,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informatics in computer science, and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ducation theory,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convergence of Korean linguistics and the academic study of other linguistics-related fields. Next, it examines previous discussions on morphosyntax, morphophonology, syntactic semantics, and syntax-phonology,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convergence of various academic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and the aspect of convergence in Korean linguistics. In order to better explore the need for convergence in Korean linguistics, it is confirmed that the grammatical phenomenon of passivity is a subject that needs to be considered, not only from a morphological perspective, which claims that passivity is derivation, but also from syntactic and semantic perspectives. Additionally, the manuscript confirms that phonology is closely related to issues of tonology and dialectology. Through this process, the manuscript examines the value of convergent thinking and approach in Korean linguistics and points out that the results of individual studies become the premise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conver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