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와 한문 교과서의 字形 비교 연구

        金永玉(Kim Young-og)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1 동아한학연구 Vol.- No.7

        본고는 2000년 12월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표한 ‘漢文 敎育用 基礎 漢字 1,800字’의 字形이 한문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을 검토하고 여기에서 찾을 수 있는 문제점을 확인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론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과 한문 교과서의 한자 자형에 대해 비교함으로써,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이 한문 교과서에 어떠한 양상으로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자형이 한문 교과서의 자형에 미치는 규범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문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자의 자형은 기본적으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을 준수하고 있으나, 일부 자형의 경우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과는 다른 자형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이 ??강희자전??의 正字와 동일한 경우, 한문 교과서에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을 그대로 제시한 경우도 있었지만, 반면에 한문 교과서에서 ??강희자전??의 이체자 자형을 제시한 경우도 다수 있었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이 ??강희자전??의 正字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한문 교과서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와 ??강희자전??의 자형을 혼용하여 제시하고 있었으며, 또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나 ??강희자전??에서 제시하지 않은 자형도 종종 제시하고 있었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는 한자와 한문의 교수?학습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한자 자형의 기준이다. 그런데 한문 교과서의 일부 자형의 경우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과 다른 자형을 제시하고 있는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이 한문 교과서 한자 자형에 대하여 엄격한 규범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미 정해진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가 실제 교과서에서 표준 자형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교과서 내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자 자형이 표준화되지 못함에 따라, 한자를 교수하고 학습하는 이들에게 혼란과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자형에 대한 전면적 재검토 및 그것을 규범적으로 교과서에 적용하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was intended to examine the aspect in which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t present,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on Dec. 2000, were reflected in Chinese Classics textbook.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can be said the basis of the character shape proposed in Chinese Classics textbook. However, with regard to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and those of Chinese Classics textbook, No concrete study has not been found yet. This paper examined in what aspect and how much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and those of Chinese Classics textbook were reflected by comparing and looking into them, and also studied the influence and norm of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at can be confirmed through such examination on the character shapes of Chinese Classics textbook. In respect of the comparison & review of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and those of Chinese Classics textbook that described in the main body, first of all,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block letters of ??Kangxizidian?? and to decide whether or not they are the same, and the aspect in which they were proposed in Chinese Classics textbook was looked into.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hapes of the Chinese characters proposed in the textbook basically comply with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but in case of some character shapes, they are proposed in the shap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is the basis of the Chinese character shapes of Chinese Classics textbook which become the most basic standard in teaching &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s. In spite of that, it could be confirmed that, some character shapes in Chinese Classics textbook were proposed in the shap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is can be said to be because that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do not have strict norms compared with the character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Like this, the confusion of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proposed in the textbook increases confusion and burden to the persons who teach and learn Chinese characters. To solve this problem, it would be necessary to review the shape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and apply them to the textbook as a norm.

      • 初等學校 漢字 敎育을 위한 初級 漢字 選定에 관한 硏究

        윤재민(Yoon Jae-min),백광호(Baek Kwang-ho)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7 동아한학연구 Vol.-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각 한자를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분석하여 초등학교 한자 교육을 위해 필요한 한자를 새롭게 선정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초등학교 한자 교육을 위해 사용되는 한자는 대체로 600자 내외이다. 서울초등한문교육연구회와 한국한문교육학회에서 각각 초급용 한자 600자를 정해 발표하였다. 이외 각종 공인 한자 검정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초급용 한자의 수량과 급간을 정해서 한자 시험의 기준으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각 기관 및 단체에서 제시하고 있는 초급용 한자의 경우, 600자로 字量을 한정한 근거가 명확하지 않거나 字量 확정의 선행 작업이라고 할 수 있는 각 한자의 학습 용이도 및 중요도에 대한 기준과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일부의 경우, 한자 사용 빈도수 등의 기준에 따라 초급용 한자를 선정하였다고 밝히고 있지만, 그것의 구체적인 기준과 내용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면서, 본고에서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900자를 대상으로 常用度와 難易度를 고려하여 점수를 부여한 후 等位를 매기고, 이 가운데 높은 점수를 받은 순서로 뽑은 600자를 초급 한자로 선정하였다. 상용도와 난이도를 구분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으로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사용된 한자 및 한자어의 사용 빈도에 따른 순위, 각 한자가 가진 여러 가지 뜻 가운데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뜻에 해당하는 품사, 조자 원리, 자형 구조, 획수를 제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 한자에 대하여 점수를 부여했다. 이상의 기준에 의해 부여된 접수를 총합하여 각 한자의 총점을 산정하고, 점수가 높은 순서로 배열한 후 상위 600자를 뽑아서, 이것을 〈高麗大學校 漢字漢文硏究所 選定 初級用 漢字〉로 확정하였다. 본고는 기존의 초급용 한자 선정 과정에서 간과하였던 구체적인 기준에 근거하여 한자 선정을 진행하였던 점에 연구의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다만, 초급용 한자 선정에 있어서 그 목표를 한문 독해력 신장에 두느냐 언어생활에 필요한 어휘력 신장에 두느냐에 따라 초급용 한자 선정을 위한 기초 한자의 範圍나 數量이 상이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rank the basic 900 Chinese characters for Midddle school Chinese Classics education after giving scores to them, in consideration of common use and difficulty degree, and to select 600 characters among them in the order getting high score as a basic Chinese characters. As a concrete basis for dividing common use and difficulty degree, there are the order according to Chinese characters and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used in an elementary school textbook, part of speech, principle of a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 structure of chape of character and stroke count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a daily life. By totaling the scores granted by this basis and selecting 600 characters after arranging them in the order of high score, the selected characters are determined as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selected by Korea University Chinese characters Research Institut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basis of Chinese characters was concretely established by supplementing the limit that concrete basis was overlooked in the process of selecting basic Chinese characters.

      • 대학 교양 한자 교육의 목표와 방향

        김우정(Kim Woo-jeong)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8 동아한학연구 Vol.- No.4

        이 글은 우리나라 4년제 대학의 교양 한자교육을 반성적으로 점검하고, 그 올바른 운용 방향을 모색해본 것이다. 역사적으로 대학의 교양교육은 대학교육의 이념과 목표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그 성격과 내용이 조정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식 제도에 일제의 인적 구성 및 학문적 전통이 결합된 형태였던 해방기의 교양교과는 조화로운 인간성의 완성이라는 본원적 의미가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였다. 그 뒤 1972년 공표된 ‘고등교육에 관한 장기종합계획안’에 따라 집중이수 및 분산이수 시기와 대상을 구분하여 실천하게 되었으며, 중핵교육과정(core-curriculum)에 버금가는 포괄적 배분이수제가 정착되었다. 한편 고등교육 수혜자의 비율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이른바 세계화, 정보화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학부제의 도입을 통한 교양교육의 강화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현재 대학 교양 한자(한문) 교과는 국가 주도의 통일된 교육과정에 의해 운영되는 중등한문교육과 달리 각각의 교육이념과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개설 운용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한자자격증 취득과 같은 외적 요구에 의해 개설된 교과로서 대학 교양교육의 일반적 목표와 부합하지 않는 현실반영적 교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외적 요구에 변수가 나타나는 순간 존폐의 위기에 내몰릴 확률이 다른 어떤 교과보다 큰 교과인 것이다. 따라서 일반교양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성격과 위상을 확보하는 일이 시급한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자교육에 관한 교수자들의 인식을 전환하고 유효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한자에 관한 다양한 접근 방식과 연구 성과를 활용함으로써 사전적 지식을 단순히 전달하는 수업이 아니라 지적 탐구의 희열을 맛보고 각자의 전공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능력을 계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상의 논의와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양 한자 교육의 성격과 교과 목표를 명확히 제시할 것. 둘째,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알맞은 학습목표와 학습내용을 개발할 것. 셋째, 중ㆍ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및 위계성이 고려된 학습교재의 개발과 활용. 넷째, 시대의 변화에 걸맞는 교수법과 교수매체의 개발과 활용. 다섯째, 교과목표와 학습목표의 성취를 확인하고 학습의욕을 높일 수 있는 평가기준과 도구의 마련. 장기적으로는 한문학과 한문교육학을 전공한 이들이 기존의 한자자격시험을 대체할만한 새로운 한자능력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도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was to inspect the status and issue of the chinese characters on general education course in the four-year-course university(C.C.G.E.U) in korea at present. historically, general education course in the university was decided by an idea and object of university education, settled by change of the times and environment. in case of my country, general education in liberation period that mixed american system and japanese scientific convention gave not sufficiently consideration to its essential meaning what completion of harmonized human being. That is divided and practiced an opportunity and subject of concentration system and distribution system, settle down comprehensive distribution system next to core-curriculum in 1972.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had an intention to search for and to prospect the remedy for the problems detected in the questions made for the C.C.G.E.U.. All these days, The aim of C.C.G.E.U. was to foster an accomplished person and to extend ability to read and understand. But a practical subject have been increased steadily by the requirement of the times and the change of the education environment lately. The remedy for the problems detected in the questions made for the C.C.G.E.U. is as follows: First, It must obviously present the character and a subject aim of the chinese characters on general education course in university. Second, It must have an accurate grasp of the demand and level, and must develop a studying target and studying contents which are proper hereupon. Third, It must develop the studying teaching material. It considers the connection characteristic and a court rank characteristic in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day when it makes the college culture teaching material knock-down teaching material. Fourth, It have to develop and to apply the instruction method which appropriate to the change of the time. Fifth, It must prepare a basis of assessment and the tool. it will be confirms accomplishing of the subject ticket and studying aim concretely, and able to inspire a studying desire.

      • 고려대 한자이해능력인증시험의 현황과 발전 방안

        양원석(Yang Won-seok)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8 동아한학연구 Vol.- No.4

        漢字에 대한 이해와 구사 능력은 국어의 올바른 이해 및 효과적 활용 능력을 높여 주며, 한자문화권의 동북아시아가 경제적ㆍ문화적으로 점차 그 비중을 증대해 가는 국제적 조류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자 이해 능력의 필요성에 따라, 고려대학교에서는 2004학년 입학생부터 졸업 자격의 하나로 한자이해능력인증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고려대 한자인증시험의 현황 및 앞으로의 발전 방안에 대해서 검토해 보았다. 현황 부분에서는 고려대 재학생의 한자 졸업 자격 취득 방법, 고려대 한자인증시험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고려대 기초한자 2,100자」, 한자인증시험 문제 유형, 한자인증시험 응시자 및 합격률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 발전 방안 부분에서는 시험 문제의 난이도 조절, 합격 기준차등화에 대한 고려, 한자인증시험 대비 강좌 및 교재 개발, 외부 국가공인 한자시험과의 연계 모색, 시험 결과 공지 방식 개선, 한자인증시험 전용 웹사이트 개설 등의 의견을 제출하였다. The comprehension and command of Chinese characters raise the ability to properly understand and utilize Korean. Also, such. abilities allow us to cope with actively the international trend of the Southeast Asia, which belongs to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phere, becoming influential economicallyㆍculturally more and more. In accordance with such a necessity as comprehension of Chinese characters, Korea University, as one of graduation qualifications, has been making a test from new students in 2004. This paper discussed about the pres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method of the Chinese characters certification test of Korea University. The present situation section examined how to acquire the Chinese characters graduation qualification of Korea University undergraduates, 「Basic Chinese characters 2,100 letters」 which is a subject of the Chinese characters certification test of Korea University, types of Chinese characters certification test problems, applicants for and success rates for Chinese characters certification test, etc. The development method section proposed following opinions; adjustment of the difficulty degree of test questions, consideration of differentiation of a success, development of lectures and textbooks in preparation for the Chinese characters test, seeling linkage with outside state-recognized Chinese characters tests, improvement of test result notification methods, establishment of the website for only Chinese characters certification tests, etc.

      • 현행 한자검정시험 현황 및 상공회의소 한자 시험의 시행 방안

        박성규(Park Sung-kyu),양원석(Yang Won-seok)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7 동아한학연구 Vol.- No.3

        국어의 이해 및 활용 능력을 높이고, 우리의 전통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하며, 한자문화권 동북아시아 중심의 세계적 조류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한자이해능력을 提高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기관에서는 한자검정시험을 실시하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시험 유형 및 시행 방안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각 기관의 한자검정시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개선 방안에 대해서 모색해 보았다. 또한 이러한 기초 연구를 통해 마련하였던 상공회의소 한자 시험의 시행 방안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는 각 기관의 한자검정시험을 질적인 측면 및 형식적인 측면에서 발전시키는 데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rais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Korean, promote the deep understanding of our traditional culture, and cope with the worldwide trend centering around the Northeastern Asia which belongs to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phere, the necessity for raising the ability to Chinese characters becomes influential. Accordingly, each authority carries out a Chinese characters qualification test, also making efforts to develop new test types or enforcement methods. This paper looked into the present situation of Chinese characters qualification tests carried out by each authority and their problems, at the same time, seeking improvement methods. In addition, it examined the enforcement methods of Chinese characters tests of the Commerce of Industry devised through such basic studies. Such studies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qualification tests of each authority from the qualitative and formal aspect.

      • 漢文科 評價 類型

        金王奎(Kim Wang-Kyu)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9 동아한학연구 Vol.- No.5

        이 연구는 한문과 평가 유형과 평가 도구에 대한 이론 정립의 기초작업이다. 한문과 평가 유형과 평가 도구는 2가지 점에서 중요하다. 그 하나는, 한문과 평가 유형에 따른 평가 도구를 통해서 한문 학습자에 대한 총체적 이해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한문과 학생 평가와 그 결과는 한문과 교수 학습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점이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문과 평가 유형 분류의 기준을 설정했다. 둘째, 기준에 따른 한문과 평가 유형을 정리했다. 셋째, 한문과 평가 유형의 특성을 설명했다. 넷째, 평가 유형에 따른 한문과 평가 도구 개발의 방향을 제시했다. 이 연구의 후속 과제로 한문과 성취 기준, 평가 기준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평가 도구 개발 및 현장 적용도 요구된다. This research is a basic work for the new theory of evaluation types and evaluation tools in classical Chinese class. The evaluation types and evaluation tools in classical Chinese class have two significances. One is that the learners can broaden understanding through the evaluation types and evaluation tools. The other one is that evaluation and its results greatly affected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is thesis, the main ideas are as follows. First, I determined the criteria for the classification of evaluation types in classical Chinese class. Second, I arranged the evaluation types in classical Chinese class according to the criteria. Third, I explained the characteristic of evaluation types. Forth, I suggested the development's direction of evaluation tools. This research requires the follow-up task which is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criterion and evaluation criterion in classical Chinese class. And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and field application is required.

      • 中國의 現代漢字學 硏究와 漢字 敎育

        楊沅錫(Yang Won-seok)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5 동아한학연구 Vol.- No.1

        現代漢字란 현대중국어에서 쓰이는 한자로써 古今漢語通用字 및 現代漢語專用字를 의미한다. 이러한 현대한자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는 것이 現代漢字學이다. 현대한자학은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그 필요성이 점차로 대두되기 시작하였으며, 1980년대에 이르러 그것의 연구 내용과 방법 등이 본격적으로 정립되어 현재까지 다양한 방면에서의 연구가진 행되고 있다. 현대한자학은 한자의 성질과 특징, 현대한자의 속성, 현대한자의 응용을 주요 연구 내용으로 하며, 현실 언어 생활에서의 효율적인 한자 사용 및 교육 그리고 한자 정보 처리 등에 이론적 기초와 현실적 응용 방안을 제공하고 있다. 현대한자학의 주요 분야 중의 하나인 識字 敎育은 중국에서 모국어 문자 교육의 측면에서 매우 중시되고 있으며, 학습 효과의 提高를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인 식자 교육 방법으로는 集中識字法, 分散識字法, 注音識字法, 部件識字法, 字理識字法, 字族文識字法, 字根識字法 등이 있는데, 이는 『語文』 교과서 및 각종 한자 학습서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현대한자학 및 식자 교육의 연구 내용과 방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의 한자 연구와 교육에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Modern Chinese character is the Chinese character used in Modern Chinese and means the Chinese character in common use in ancient and modern Chinese and used only in modern China. Modern Chinese character science mostly studies such modern Chinese characters. The need for modern Chinese character study began to become influential in the 20th century, and its study content and method had been established in earnest in 1980s. Modern Chinese character science mostly aims to study the properties and features of Chinese characters, and an attribute and application of modern Chinese characters. It contributes to making use of and teaching efficiently Chinese characters in an actual language life. Also it is practically used for Chinese character data processing, etc. Chinese character education, one of the major parts of modern Chinese character science, is held very important in China from the standpoint of an education of characters of one's native language, and now various methods are being studied to raise its learning effects. The content and method of this modern Chinese character study and education in China would be also positively utilized in the Chinese character study and education in our country.

      • 디지털 한문학의 가능성과 그 실현에 관한 모색

        유인태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부설 한자한문연구소 2023 동아한학연구 Vol.- No.17

        이 글은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을 접목한 한문학 연구로서 소위 ‘디지털 한문학’이라는 것이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구체적으로 어떠한 실현 방법이 있으며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모색한 것이다. 디지털 한문학에 관한 기획은 우선 국어국문학 및 중어중문학 분야의 연구와 그 관계를 고려하는 가운데서 이루어져야 한다. 인접 분야의 연구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관한 검토는 향후 디지털 환경에서 전개할 한문학의 윤곽을 사전에 예지하고, 그에 관한 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고민할 수 있게끔 한다. 그리고 한문학은 ‘漢學’과 ‘文學’ 두 영역을 종합하는 시도로서 그 목적이 뚜렷해야 한다. ‘漢文학’과 ‘한文學’ 둘 중 하나에만 치중하는 방향으로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활용된다면, 디지털 환경을 매개로 한문학의 외연을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아날로그 환경의 한문학이 오랜 기간 다듬어 온 균형적 문제의식을 훼손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한문학은 ‘문헌번역’과 ‘문학연구’ 두 과업의 사이에서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제공해줄 수 있는 유효함이 무엇인지에 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 아날로그 환경에서는 한문 자료를 대상으로 한 ‘문헌번역’과 ‘문학연구’가 각기 독립적인 영역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디지털 환경에서는 데이터 처리 기술을 매개로 ‘문헌번역’과 ‘문학연구’가 교통하는 채널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문학과 디지털 기술의 만남은 디지털 환경이 제공하는 다채로운 특징을 자유롭게 전개하는 가운데 이루어져야 한다. 예컨대 다양한 정보를 데이터로 가공해 개방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무척 어렵고, 글쓰기를 거의 유일한 지식 전달 채널로 삼아 온 아날로그 환경과 달리, 디지털 환경에서는 전통적 글쓰기에서 벗어나 데이터 처리 기술을 활용해 복잡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아날로그 환경에서는 대량의 자료를 정리ㆍ분석하는 연구의 시도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데, 디지털 환경에서는 대규모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해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순히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한문학 연구에 적용하기보다는, 한문학적 문제의식에 무게중심을 둔 테크놀로지 활용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야말로 소위 ‘학제간’ ‘융합’으로서의 온전한 전개를 도모할 수 있다. 한문학 연구가 장기적으로 살아있는 학문으로 남기 위해서는, 웹 환경에서 자유롭게 유통되고 그로부터 기계가 학습해 연구자 및 일반 대중에게 유관 지식을 들려줄 수 있는 기초 자원으로서 한문학 데이터셋을 반드시 구축해야 한다. 그리고 한문학 데이터셋은 어느 개인 연구자 한 사람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며, 단기간에 이룰 수 있는 것도 아니다. 한문학 내 여러 분야의 연구자가 각기 자신이 속한 분야에서 다루는 자료를 대상으로 정교한 데이터셋을 가공하기 위해, 서로가 머리를 맞대고 적극적으로 협업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풍토가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if the so-called “Digital Sino-Korean Literature”—a study of Sino-Korean Literature (漢文學) that applies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ies—is feasible, and if so, how it can be accomplished and what it entails. Planning for Digital Sino-Korean Literature should be done while considering research in the field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heir relationship. We can predict the future direction of Sino-Korean Literature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think about practical applications by reviewing digital technologies used in research on related majors. And as an effort to merge the two domains of ‘Sinology (漢學)’ and ‘Literature (文學)’, Sino-Korean Literature should have a clear objective. If digital technology is used to emphasize only ‘Sinology’ or ‘Literature’, rather than extending the reach of Sino-Korean Literature through the digital environment, it may undermine the sense of balance that Sino-Korean Literature in the analog environment has developed over the years. Sino-Korean Literature also needs to consider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echnology in both ‘Literary Translation (文獻飜譯)’ and ‘Literary Research (文學硏究)’ tasks. Although ‘Literary Translation’ and ‘Literary Research’ were once considered separate disciplines in the analog world, they can now be integrated through data processing technologies in the digital world. Moreover, it is important to combine Sino-Korean Literature with digital technology in a way that allows the dynamic aspects of the digital environment to emerge freely. Unlike the analog environment where writing is the sole means of exchanging knowledge, the digital environment enables processing of diverse information into data and open sharing. Additionally, data processing technology allows for visual expression of complex information. Moreover, while conducting extensive data analysis for research is challenging in an analog environment, it can be achieved successfully in a digital setting. To fully achieve the so-called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it is crucial to focus on using technology to address Sino-Korean literary issues, rather than solely using digital technology to write research papers on Sino-Korean Literature. Establishing Sino-Korean Literature datasets as a fundamental resource that can be openly shared on the web and utilized through machine learning to provide relevant knowledge to researchers and the general public is crucial to sustain the study of Sino-Korean literature as an active field in the long run. Creating datasets for Sino-Korean Literature is not a task that can be accomplished by a single researcher, nor can it be completed quickly. Researchers from various domains within Sino-Korean Literature should be encouraged to collaborate and actively engage in the research of organized datasets on materials in their respective fields.

      • ‘2022 개정 한문 교육과정중 ‘인성’ 관련 목표 분석

        김영옥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부설 한자한문연구소 2023 동아한학연구 Vol.- No.17

        본 연구는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중 ‘인성’ 관련 목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전의 한문과 교육과정 내 관련 항목과 비교하여,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규정한 ‘인성’ 관련 목표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히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漢文과 人性’ 영역을 핵심 개념으로 새롭게 제시하였으므로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편찬한 한문 교과서에서는 ‘인성’ 관련 목표가 어떠한 학습 요소를 통하여 구현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교수요목기 이후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및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성’ 부분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문 자료를 매개로 한 내용중심의 지식교육을 통하여 학습자의 가치관이나 태도를 형성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도의 앙양’, ‘인격 도야’, ‘자기 수양’, ‘건전한 생활 윤리’, ‘민주적 생활 태도’, ‘건전한 가치관’, ‘바람직한 인성’,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의 함양을 통하여 자기 삶에 적용하고,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올바른 인성 함양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특히,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인성’ 관련 영역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은 반면,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인성’ 관련 영역에서는 공통적으로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목표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목표는 ‘전통 문화의 이해’, ‘선인들의 삶과 지혜에 대한 이해’, ‘선인들의 사상과 감정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도달하도록 제시하였다. 둘째, 현재 학교에서 사용 중인 한문 교과서 내 ‘인성’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내 여러 ‘핵심 개념’에 비하여 ‘인성’ 관련 부분이 실제 교과서에 출현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학습 요소도 다양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교과서마다 상이하지만 평균 10개 내외의 ‘인성’ 관련 학습 요소가 제시되었고 많게는 18개의 학습요소가 제시된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비중이 높은 ‘인성’ 관련 학습 요소는 ㉠ 나눔과 배려, 우정, 효, 가족애, 고운 말 사용, 신중한 언행, 선행. ㉡ 애국, 애민, 국토의 소중함, 공동체 생활. ㉢ 배움의 즐거움, 습관 형성, 진로에의 열정 순이었다. 한편, ‘인성’ 부분은 실천적 교육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한문과 교육과정 내에는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인성’의 학습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교과서마다 제시한 학습 요소가 너무 다양하다는 것, 학습 요소를 범주화할 수 없다는 점은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므로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인성’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한문과에서 다루어야 할 ‘인성’의 세부 학습 요소를 제시해야 하며, 더불어 학교급별 ‘인성’의 학습 요소 및 성취기준을 차별화하여 제시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성’ 관련 내용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이후 한문 교과서 제작에 있어서 앞에서 제시한 문제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mad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s a subject of study. By comparing to the previous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is study contemplated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 which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regulated. Furthermore, I studied how ‘Classical Chinese and Personality in Korean Curriculum’ is shown recently. First, after ‘The First Curriculum’, I foun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present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s to build value and attitudes of learners. Second, I was able to find out that in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 sec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Personality’ have not only the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but also have various learning elements than the ‘Essential Concepts’ in it. In addition, I found that meanwhile, despite the ‘Personality’ section’s requirement for the actual curriculum, in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y were not able to suggest the definite way to practice it efficiently. Also, as they did not provided learning elements of the ‘Personality’ clearly, the learning elements which every ‘Classical Chinese Textbook’ contains became quite various and had difficulties in categorizing the Learning Elements, which needs to be improved. Therefor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rranged regulating the definition of the ‘Personality’ clearly, providing its detailed learning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which should be instructed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as the improvement plan.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hat the aforementioned problems will be improved through the enough discussion related to ‘Personalit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Classical Chinese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 大學生의 漢文 讀解 學習 經驗에 관한 연구

        白光鎬(Baek kwang-ho)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9 동아한학연구 Vol.- No.5

        이 연구는 학습자가 독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독해 양상을 알아보는 연구로, 필자의 선행 연구(「思考口述을 통한 漢文科 讀解 樣相 硏究」)에 이어지는 것이다. 즉, 필자가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후속 과제 가운데 특히 ‘학생의 독해수행 양상’에 주목한 것이다. 한문 독해를 하는 동안 학습자의 사고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 경험을 알아보고, 사고구술이 한문 독해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 참여했던 대학생 학습자 가운데 3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回想을 통해 사고구술을 실시한 경험을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에 이어지는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거친 학습자들이 사고구술을 하는 동안 어떤 학습 경험을 했는지를 내러티브 분석 방법(narrative analysis)을 활용하되, 경험을 되살릴 수 있는 ‘回想’(reminiscence)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1) 學習者는 思考口述 活動을 통한 漢文 讀解 學習에서 어떠한 經驗을 하는가? 2) 漢文 讀解 思考口述 活動은 學習者의 漢文 讀解 能力에 어떠한 影響을 미치는가? 하는 의문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고구술을 하며 한문을 독해할 때 가장 어려운 점과 흥미로운 점, 사고구술 활동을 통한 한문 독해 후 달라진 점과 향상된 점 등을 질문했다. 大學生 學習者의 漢文 讀解 學習 經驗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들이 한문을 독해할 때 느끼는 어려운 점은 처음 보는 한자에 대한 답답함이며, 사고구술 활동의 어려운 점은 글자를 낱낱이 풀이해야 하는 점이다. 2) 사고구술 한문 독해의 흥미로운 점은 머릿속에서 생각했던 것을 자신의 목소리로 표현하는 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3) 사고구술 활동을 통해 한문 독해를 한 후 달라진 점은 그러한 경험을 통해 하나하나의 뜻을 모두 새기는 방법에 익숙해져서 讀解 方法이 肯定的으로 변화했다는 점이다. 4) 독해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가장 필요한 요소로 들 수 있는 것은 많은 양의 한자를 알되, 해당 한자가 문장에서 어떤 뜻으로 쓰이는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과, 독해 학습 초기에 사고구술을 하듯이 글자 하나하나를 풀이해 가는 훈련이다. 한문 과목이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데 필요한 도구 교과”로 규정되어 한문 독해의 중요성이 새삼 강조된 시점에서, 사고구술을 통한 한문 독해 학습 방법은 他律에 의하지 않고 自律的으로 독해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좋은 학습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향후 漢文 讀解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그 적용에 대한 漢文科 硏究가 더욱 활발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is materials that learners think-aloud their opinions during their performing comprehension tasks and connected to the previous study of the author which grasped classical Chinese comprehension aspects. The author especially paid attention to 'Performance aspects of students performing comprehension' among follow-up tasks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ies. For tha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 of the three among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evious studies in practicing think-aloud through their reminiscence. This study begins with questions of 1) what kind of experience do the students have in classical Chinese comprehension learning through think-aloud activities, and 2) what effects do think-aloud activities have on classical Chinese comprehension ability. To solve such a study problem, the author asked about the most difficult and interesting point when reading classical Chinese thinking aloud, the changed and advanced point after reading classical Chinese through think-aloud activities, etc. As a result of analysis, classical Chinese through think-aloud is considered a good learning method in that it is able to autonomously cultivate reading comprehension. It is expected that a Chinese writing subject study on various approaches to classical Chinese comprehension and its application becomes more activ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