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컨설팅의 의미와 실천 방향 탐색

        박수경(Sukyoung Park),이영진(Youngjin Lee),김평례(Pyeongrye Kim) 한국보육지원학회 202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7 No.1

        Objective: The researchers aimed to explore the ‘what’ and the ‘how’ of childcare consulting. This study was focused on finding out how child care teachers perceived the process of implementing childcare consulting and their thoughts about the transformation of childcare consulting based on their participating experience.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ransverse-continuous design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e participants were eight experienced childcare teachers that were childcare consulting in 2015 or 2020.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Results: The main findings in exploring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childcare consulting we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consulting was recognized as a process of learning about changes through mutual relationships. Second, the different ways to practice childcare consulting, the formation of the learning culture of an organization to help experience collective intelligence, the process of finding various solution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 capabilities while reflecting the current times and context were all investigated. Conclusion/Implication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childcare consulting, and the ways to establish its systems were discussed.

      • KCI등재

        메타포 분석을 활용한 한·중 유아교사의 에듀테크에 대한 인식

        박수경(Sukyoung Park),조소담(Sodam Jo),마가억(Jiayi M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한 · 중 유아교사의 에듀테크에 대한 인식을 메타포 분석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 · 중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14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 · 중 유아교사의 에듀테크 인식에 대한 메타포 범주로 ‘미래교육의 방향성’, ‘가까이 머물러 있는 교육 방식’, ‘양면적 성격을 지닌 교육 기술’, ‘교육 개선을 위한 조력자’가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로 다른 메타포 범주로 한국은 ‘아직은 풀어나가야 할 교육적 과제’ 범주가 나타났고 중국은 ‘필수적인 교육 수단’ 범주가 나타났다. 이는 에듀테크 관련 기술 및 정책에서 중국이 한국보다 조금 더 앞서 있고 방식과 목표에서도 차이가 있는 현상과 연관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 중 유아교사의 에듀테크에 대한 인식을 탐색 및 비교함으로써 각국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에듀테크 도입과 활용 및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awareness of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edutech was conducted through a metaphor analysis method. For this purpose, 140 teachers in Korea and Chinese kindergarten were sampl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as the common metaphor categories regarding Korean and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edutech, ‘diection of the future education’, ‘eductional methods staying close’, ‘educational techniques with a two-suded cgaracterustuc’, and ‘an assistant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appeared. Moreover, as a metaphor category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e category of ‘an educational task to be solved’ appeared in Korea, and that of ‘a necessary educational tool’ appeared in China. It can be seen to be related to the phenomenon that China is ahead of Korea with the phenomenon that China has more advanced technologies and policies related to edutech than Korea and that they have different methods and goals. In this study, the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educltech was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at of Chi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which, the introduction of edutech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of each country, its applic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the future possibility of its development were discussed.

      • 의사결정시스템을 적용한 공공디자인사업 수행 프로세스 제안

        박수경(Park, Sukyoung),문정민(Moon, Jeongmi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0 No.-

        국민 생활수준과 문화의 발전에 따라 사회 전반에 걸쳐 공공 영역에 대한 질적인 선진화가 요구되어 공공디자인사업이 적극적으로 펼쳐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공공디자인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부족한 상황으로 체계적인 디자인사업의 수행과정에 많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특히, 공공디자인은 ‘공공’이라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디자인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반영하여 실현하는 프로세스의 구축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로 구성된 추진주체의 의사결정의 과정에 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공공디자인사업의 실행을 위하여 이론적 고찰과 설문을 통해 공공디자인사업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의사결정 시스템을 적용하여 보완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공디자인사업 프로세스는 기획 단계, 실행준비 단계, 디자인 개발·실행 단계, 평가 및 유지관리 단계의 4단계와 하부 16단계의 세부 실행과정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특히, 사업 초기과정인 기획단계에서 공식적 협의를 통한 세부 디자인의 관리과정의 설정은 추후 발생 가능한 다양한 문제점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higher living quality of people and cultural development, as qualitative advancement in the public sector is needed, more public design projects have been attracted. However, as the precise recognition about public design has not been settled in Korea, many limitations in the administrative performance of design projects have been exposed. In particular, as public design targets an unspecified percentage of the general public, to secure quality in design, a process which reasonably reflects and realizes the opinions of persons interested should be developed. However, there has only been a little research on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by the subjects of projects which are composed of persons of different interes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se problems in the public design project process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and interview using a questionnaire for efficient performance of public design projects, and to propose a more effective project process using a decision-making system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solving the problems. In conclusion, the public design project process proposed is composed of four steps of planning, preparation, development& execution, and evaluation&maintenance, and sixteen sub-steps, and in particular, development of management process for a specific design through negotiation at the planning stage can control further problems.

      • KCI등재
      • KCI등재

        만 4세 한라반 유아들의 권리존중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참여권을 중심으로

        윤서연 ( Yun Seoyoun ),박수경 ( Park Sukyou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참여권의 관점에서 유아들의 권리존중 실천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를 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 유아, 교실 문화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M어린이집의 만 4세 한라반 유아 23명과 담임교사 2인을 대상으로 ‘마음대로의 날’을 중심으로 교실 참여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라반 교사는 유아들의 이야기를 경청하며 진심으로 들어주는 태도를 가지고자 노력하면서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는 주체적인 존재로서의 유아들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한라반 교사는 다양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유아들의 생각을 실천으로 옮기며 새로운 시도를 행하였으며, 유아권리 실행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반성적 사고를 하게 되었다. 둘째, 한라반 유아들은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자신의 권리 뿐 아니라 타인의 권리도 소중히 생각해보는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라반에서는 자유롭게 소통하고 서로 존중하는 교실 분위기가 형성되었으며 토의를 통해 규칙을 함께 만들어 가는 유아중심의 의사결정 과정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라반에서의 작은 변화를 소개하면서 교실 속 주체로서의 유아, 유아들의 관여와 참여가 함께하는 교실 공동체 문화 형성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is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on children’s rights which observed changes in teachers, children, and classroom culture using the ‘My Mind Day Project.’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a positive improvement to realize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in the classroom.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included 23 children aged 4 and their two classroom teacher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changes to the course implementation led to an attitude of listening to the children’s stories and recognizing the children as agents who can choose and decide for themselves. In addition, the teachers moved from stereotypes to practice and made new changes and attempts, which lead them to reflective continuously about the implementation of children’s rights in the classroom. Second, changes observed in the children where that they actively expressed their opinions, increased self-determination, and were more active in their participation. Furthermore, students became respectful not only of their own rights but of others. Lastly, changes in the classroom culture created a classroom atmosphere which encouraged free communication and respect for one another. The classroom became a child-centered, decision-making process, where rules are made together through discussion. This study is valuable for reforming a participatory culture in which the children’s opinions are actively reflected and the children's active involvement in the classroom community by introducing small change of Hanla classroom.

      • KCI등재

        음악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탐색

        여선옥 ( Yeo Sunok ),박수경 ( Park Suk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의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5세 담임교사 2명이 음악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에 약 6개월간 참여하였다. 주요 자료수집은 교사면담과 수업참여관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전사자료, 교사 및 연구자 저널, 음악수업 관련 문서자료 등을 기초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실천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문화를 조성하는 교사로, 음악수업을 기대하고 즐기는 교사로, 유아 중심의 수업을 만들어 가는 교사로 거듭 변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들이 당면하고 있는 음악수업에 대한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를 연구 참여자와 연구자가 함께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소개하면서 유아교사의 음악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의 가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usic teaching, and observe the resulting change. To this end, two five-year-old class teachers volunteered to perform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for approximately 6 months,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ir music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eacher interviews, observational data on class participation, and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music clas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two teachers experienced the following changes. First, they emerged as community culture creators leading the cooperation of fellow teachers, freeing them from the sense of obligation to plan and conduct classes alone. Second, they developed toward anticipating and enjoying music class. Third, the participants created children-centered class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value of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to improve the music class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iscussed by examining the difficulties fa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troducing examples of solving these problems.

      • KCI등재

        자유선택활동시간의 음률영역에서 나타난 유아 또래 간 교수의 의미

        여선옥(Yeo, Sunok),박수경(Park, Suk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3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시간 음률영역에서 나타나는 유아 또래 간 교수의 의미를 탐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K시에 있는 D어린이집의 만4세 샘물반 유아 12명과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관찰일지와 면담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률영역에서 유아들은 음악을 직접 선택하고 음악적 지식과 정보를 또래에게 알려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률영역에서 유아들은 음악을 통해 느끼는 감정과 아름다움을 서로 전달하고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가르치는 음악교수가 아닌 유아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또래 간 교수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기 음악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peer tutoring between young children appearing at the music center during the free center play in a young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ion. To this end, we observed a class called Spring Water for four years daycare center D located in Gyonggi-do. The participants are composed of twelve young children and a teacher in charge of the class. After analyzing the observation journal, the research journal, and the interview data, we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usic play center showed the activity of peer tutoring while the young children selected music and provided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one another. Second, young children delivered and learned feel from the music activity and how to express the beauty of music to each other. The meaning of peer tutoring between young children emerging in the music play center is not just one directional delivery of musical knowledge, information, feeling, and emotion. Instead, the young children shared what they know and enjoyed together in the limited time and space.

      • KCI등재

        Q 방법론을 활용한 어린이집 원장의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김평례(Pyeongrye Kim),박수경(Sukyoung Park) 한국보육지원학회 202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7 No.4

        Objective: This research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etencies required from the director of a childcare center. It also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pabilities of a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mpetencies of a childcare center director?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ies of a childcare center director? Methods: In this study, the Q methodology was applied. First, the Q population was identified based on prior studies and through open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targeting 71 teachers and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Next, 40 Q samples were selected. Second, P samples were selected targeting the 30 directors, Q sort was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ur types of competencies were demanded from the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Second, the competencies required from the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were accountability-centered, functional-management-centered, human-relationship- centered, and rationality-centered capabilities. Conclusion/Implications: The policy-level of and educational ways to support the competencies of a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효과 관련 연구에 관한 메타분석

        조은별 ( Jo Eunbyul ),여선옥 ( Yeo Sunok ),박수경 ( Park Sukyo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관련 연구를 총체적으로 검토하고, 주요 조절변인들의 관계와 효과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석, 박사 논문 및 학술지 113편을 선정하여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음악영역 내에서의 프로그램, 타 영역과의 통합 프로그램, 예술영역 내에서의 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는 만 5세가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회기에 따른 분석결과는 회기가 많을수록 효과크기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유아의 음악적 능력의 변인별효과크기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과 관련한 다양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used meta analysis metho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in general and review control factors. To this end, we selected 113 domestic publications in Korea which include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papers artic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s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showed quite high level. Second, significant control factors, which affected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showed the effect sizes in the following order: program in the music area, combined program with other areas, program in the art area. and 5 year old showed large effect size based on ag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period showed that the effect size decreased with the number of sessions. Third, with respect to the dependent factors representing the effects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all the effect sizes of musical capability for early children were significant.

      • 보령 웅천 구룡리 유적 출토 이식(耳飾)의 성분 조성과 제작기법

        정다연 ( Dayeon Jung ),조현경 ( Hyunkyung Cho ),박수경 ( Sukyoung Park ),배채린 ( Chaerin Bae ),조남철 ( Namchul Cho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20 문화재과학기술 Vol.15 No.1

        보령 웅천 구룡리 유적에서 출토된 이식 6점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제작기법 및 성분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타 지역 출토 백제지역 이식과 재료학적 특징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식의 제작기법을 알아보기 위해 실체현미경으로 세부 모습을 관찰하였으며, 성분 분석은 비파괴성분분석기인 휴대용 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보령 웅천 구룡리 유적에서 출토된 이식모두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심재를 먼저 제작한 후 금판을 감싸고 가열압접한 후 둥그렇게 형태를 만드는 과정을 동일하게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보령 웅천 구룡리 출토 금제이식의 4점은 매장상태에서 금장이 탈락되어 심재만 남은 것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2점은 금 75∼85%, 은 15∼25%, 구리 10% 미만이다. 보령 웅천 구룡리 외에 부여 합정리 문냉이골 분묘, 서산 부장리 출토 백제이식을 비교한 결과 동일한 기법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식의 사용된 금장의 순도는 전반적으로 4∼5세기에 출토된 서산 부장리 이식은 금 70% 이하의 범위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그룹Ⅲ), 6세기 후반∼7세기 전반에 해당하는 보령 웅천 구룡리, 부여 합정리 출토 이식은 금 70%이상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그룹Ⅳ). 이를 통해 이식을 만드는 제작기법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4∼5세기보다는 6∼7세기에 금의 순도가 높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가 사회적 지위, 기술의 발전에 의한 특징인지 또는 지역별 제련한 금의 순도 차인지는 시기별 이식의 대한 자료가 아직 부족하므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scientific analysis of the six Earrings from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components, and to compare and study the Earrings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Baekje excavated from other regions. Detailed images were observed through the actual microscopy to find out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Earrings, and the component analysis was made using a Portable X-ray Fluorescence Sesquential Spectrometer, a non-destructive component analyzer. As a results, All earrings excavated from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seem to have first made of copper-based core material, then wrapped the gold plate, heated and p r essed, and then applied the same process of forming a r ound shape. It is estimated that only copper remains due to the removal of the gold sheet from the burial condition of the 4 points of the Golden earrings excavated from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The remaining two points are 75-85% gold, 15-25% silver, and less than 10% copper. In addition to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Habjung-ri site in Buyeo and Bujang-ri site in Seosan showed that they were made with the same technique. It can be seen that the purity of gold used for earrings is generally less than 70% of gold for Bujang-ri site in Seosan excavated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Group III). For earrings excavated from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and Habjung-ri site in Buyeo, more than 70% of gold can be confirmed (Group IV). Although the technique of making earrings does not change much, the purity of gold is higher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than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Whether the result is a characteristic of social status, technological advancement, or the difference in the purity of smelted gold by region, it seems that there is still insufficient data on earrings by period.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to be need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