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과 어머니의 종합적 식사지도와의 관계

        강수경(Kang, Sukyoung),김지선(Kim, Jisun),계승희(Kye, Se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9

        본 연구는 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과 어머니의 종합적 식사지도와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세∼만 5세 유아를 둔 어머니 387명이었고, 어머니의 종합적 식사 지도와 까다로운 식습관은 설문조사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sion 25.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독립표본 t-test, 공분산분석, 카이검증, 상관분석 및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종합적 식사지도는 모니터링을 제외한 하위항목에서 소량섭취, 새식품거부, 특정식품군거부의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종합적 식사지도와 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과 정적,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종합적 식사지도 중 체중조절을 위한 섭취제한, 감정조절과 음식보상, 음식강요가 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까다로운 식습관을 가진 유아의 특성을 파악하고 부모의 올바른 식 습관 지도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picky eating behaviors and comprehensive feeding practices by mothers. In this study, picky eating behaviors were defined as containing three constructs of ‘eating a small amount(ES)’, neophobic behavior(NB)’, ‘refusal of specific food groups(RF)’. The participants were 378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aged 3∼5 attending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on comprehensive feeding practices by mothers and picky eating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From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using SPSS Statistics version 25.0,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ANCOVA, chi-squared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rehensive feeding practices by mothers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subcategories other than monitoring, including ES, NB, and RF. Second,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omprehensive feeding practices by mothers and picky eating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Third, among comprehensive feeding practices by mothers, it was revealed that food intake restriction for weight control, emotional regulation and food as reward, and pressure to consume more food affected the development of picky eating behaviors in preschool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with picky eating behaviors and suggested implications regarding desirable methods of dietary education by paren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Kim, Minjeong),강수경(Kang, Sukyoung),정미라(Chung, Mir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교사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이 교사의 직무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 교사 315명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은 교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 중에서는 전문성 영역이, 조직공정성에서는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의미있는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임파워먼트와 조직공정성은 경력몰입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향력과 자기효능감과 같은 임파워먼트 요소가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며 조직공정성 중에서는 분배공정성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무만족과 경력몰입을 높이기 위한 방향과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fairnes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For this study, 315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gi area comple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fairness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predicting teachers’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 growth factor of empowerment and distributive, procedural fairness affected job satisfaction. Second, teach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fair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commitment. The self-efficacy and impact constituents of empowerment affected teachers’ career commitment. The discussion included suggestions for enhancing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이방실(Yee, Bangsil),강수경(Kang, Sukyoung),정미라(Chung, Mir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1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별로 상관분석과 Baron & Kenny(1986)의 공식과 Sobel test를 활용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심리적소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소진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고갈, 성취감 상실에서 매개효과가 나타 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 현장에서 양질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37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the data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 Baron & Kenny(1986) mediation effect analysis, and the Sobel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ilience of teacher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burnou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eacher’s resilience had mediated effects on teacher-child interaction in categorie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loss of a sense of personal accomplishment. The results implied that there is a need to manage resilience and burnout of the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 KCI등재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어머니 코칭역량의 매개효과

        이방실(Yee BangSil),강수경(Kang SuKyoung),정미라(Chung MiR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 자기조절능력, 어머니 코칭역량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의 기질 과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코칭역량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58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Pearson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bootstrapping 방법으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 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능력, 어머니 코칭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 기질과 자기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어머니 코칭역량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유아의 기질을 고려한 어머니 코칭역량 강화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s temperament, self-regulation, and mother's coaching ability,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The subjects of research were 258 mothers with chil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using a questionnaire. Pearson correlation and SEM were analyzed using a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s temperament, self-regulation, and the mother's coaching ability. Second, the mother's coaching ability showed a mediating effect when the child's temperament affect self-reg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o deal with the mother's coaching ability depending on child’s temperament in order to develop self-regulation of child.

      • KCI등재
      • KCI등재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육행동과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정미라 ( Chung Mira ),이방실 ( Yee Bangsil ),강수경 ( Kang Suk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5

        본 연구는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와 아버지 498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M-plus 7과 SPSS 21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놀이성은 양육행동을 통해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놀이성이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유아 놀이성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창의적 행동특성을 높이기 위해 아버지의 놀이성을 향상시키는 방안과 긍정적인 양육행동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between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playfulness of the children, from the influence of playfulness of father on children's crea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children from age 3-5 and their fathers(n=498).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nalysis of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by using M-plus 7 and SPSS 21. Results reveal that first, father's parenting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playfulness and children's crea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Second,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playful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layfulness and children's crea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f parenting behavior to raise children's creative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ways to improve playfulness of the childre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