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오송 제2생명과학단지 2지점 1호 석실분 출토 금제장식의 과학적 분석

        조현경 ( Hyunkyung Cho ),조남철 ( Namchul Cho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23 문화재과학기술 Vol.18 No.1

        금속 가공기술의 일환으로 사용된 금장(도금) 기술은 금층을 다른 소재 표면에 입히는 고대 기술로 알려져 있다. 고대의 도금방법은 지역에 따라 달리 발전했으나, 금박, gold leaf, 그리고 수은을 활용하는 방법이 가장 대표적이다. 본 연구는 오송 제2생명과학단지 문화재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5점의 금제장식을 분석하여 제작방식과 사용된 재료의 특성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철을 소재로 하는 단추형식의 금제장식은 leaf gilding 방식을 통해 도금되었으며, XRF 분석결과 5점 모두 유사한 성분 함량비를 나타내었다. 주성분은 금 66.07~71.57%, 은 16.77~18.34%이다. 또한, 구리, 철, 알루미늄, 규소, 인 등의 성분도 확인되었다. 특히, 금박의 성분 비율이 유사하여 분석한 5점 모두 동일한 재료로 제작된 것으로 판단되며, 금과 은을 합금한 것이 아닌 처음부터 은이 포함된 금을 재료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금제장식 중 일부는 철제 장식에 부착된 형태로 발견되었으며, 철제장식과는 별개의 유물로 판단된다. The gold plating (gilding) technique, a part of metalworking, involves applying a layer of gold onto the surface of other materials and has been known as an ancient technology. Although ancient gilding methods evol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gion, the most representative techniques involved the use of foil gilding, gold leaf, and mercury. This study analyzes five gold ornaments excavated during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at Tomb 1 in Section 2 of the Osong 2nd Life Science Complex. The findings reveal that button-shaped gold decorations made of iron were gilded using the leaf gilding method. XRF analysis indicates similar elemental compositions in all five ornaments, with gold ranging from 66.07 to 71.57% and silver from 16.77 to 18.34%. Copper, iron, aluminum, silicon, and phosphorus were also detected. Notably, the similar composition ratios of gold leaf suggest that the five analyzed items were made from the same material, indicating the use of gold that inherently contains silver, rather than an intentional alloying of gold and silver. Additionally, some gold ornaments were found attached to iron decorations, considered as separate artifacts from the iron decorations.

      • 보령 웅천 구룡리 유적 출토 이식(耳飾)의 성분 조성과 제작기법

        정다연 ( Dayeon Jung ),조현경 ( Hyunkyung Cho ),박수경 ( Sukyoung Park ),배채린 ( Chaerin Bae ),조남철 ( Namchul Cho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2020 문화재과학기술 Vol.15 No.1

        보령 웅천 구룡리 유적에서 출토된 이식 6점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제작기법 및 성분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타 지역 출토 백제지역 이식과 재료학적 특징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식의 제작기법을 알아보기 위해 실체현미경으로 세부 모습을 관찰하였으며, 성분 분석은 비파괴성분분석기인 휴대용 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보령 웅천 구룡리 유적에서 출토된 이식모두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심재를 먼저 제작한 후 금판을 감싸고 가열압접한 후 둥그렇게 형태를 만드는 과정을 동일하게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보령 웅천 구룡리 출토 금제이식의 4점은 매장상태에서 금장이 탈락되어 심재만 남은 것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2점은 금 75∼85%, 은 15∼25%, 구리 10% 미만이다. 보령 웅천 구룡리 외에 부여 합정리 문냉이골 분묘, 서산 부장리 출토 백제이식을 비교한 결과 동일한 기법으로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식의 사용된 금장의 순도는 전반적으로 4∼5세기에 출토된 서산 부장리 이식은 금 70% 이하의 범위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그룹Ⅲ), 6세기 후반∼7세기 전반에 해당하는 보령 웅천 구룡리, 부여 합정리 출토 이식은 금 70%이상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그룹Ⅳ). 이를 통해 이식을 만드는 제작기법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4∼5세기보다는 6∼7세기에 금의 순도가 높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가 사회적 지위, 기술의 발전에 의한 특징인지 또는 지역별 제련한 금의 순도 차인지는 시기별 이식의 대한 자료가 아직 부족하므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scientific analysis of the six Earrings from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components, and to compare and study the Earrings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Baekje excavated from other regions. Detailed images were observed through the actual microscopy to find out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Earrings, and the component analysis was made using a Portable X-ray Fluorescence Sesquential Spectrometer, a non-destructive component analyzer. As a results, All earrings excavated from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seem to have first made of copper-based core material, then wrapped the gold plate, heated and p r essed, and then applied the same process of forming a r ound shape. It is estimated that only copper remains due to the removal of the gold sheet from the burial condition of the 4 points of the Golden earrings excavated from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The remaining two points are 75-85% gold, 15-25% silver, and less than 10% copper. In addition to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Habjung-ri site in Buyeo and Bujang-ri site in Seosan showed that they were made with the same technique. It can be seen that the purity of gold used for earrings is generally less than 70% of gold for Bujang-ri site in Seosan excavated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Group III). For earrings excavated from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and Habjung-ri site in Buyeo, more than 70% of gold can be confirmed (Group IV). Although the technique of making earrings does not change much, the purity of gold is higher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than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Whether the result is a characteristic of social status, technological advancement, or the difference in the purity of smelted gold by region, it seems that there is still insufficient data on earrings by period.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to be needed in the future.

      • KCI등재

        전통 강강술래의 현대화를 통한 대중화 방안

        윤숙(Sook Yoon),김재현(Jai Hyun Kim),이상일(Sangil Lee),정석원(Seokwon Jung),이상돈(Sangdon Lee),최종명(Jongmyung Choi),조현경(Hyunkyung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4

        강강술래는 다양한 장단, 반복되는 선율, 놀이를 통한 공동체 의식의 함양으로 교육적 활용가치가 높은 전통 문화 교육의 소재라 할 수 있다. 전래놀이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구체적인 방식과 자료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있지 않아 지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생들의 경우에도 많은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이에 강강술래의 구성을 종전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아이들의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재구성하여 대중적인 현대적 생활 스포츠로의 콘텐츠를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의 강강술래의 지도 실태와 아이들의 강강술래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분석하였고 강강술래를 구성하는 놀이에 대해 놀이를 수행하였을 때의 운동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기초 분석을 토대로 특수 목적을 위한 군무로서의 재창조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또한 강강술래에 대중성을 입히기 위한 강강술래가 가지는 진화론적 다양성과 모듈식 구조를 반영한 놀이자 지향 강강술래 구성 시스템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Ganggangsulae, a traditional Korean circle-dance play, is valuable as the material for learning the traditional culture. Most people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Ganggangsulae as the traditional play. However, school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eaching the Ganggangsulae to students since students are not interested in it due to the lack of systematic and proper instruction methods. In order to develop these methods, it is required to enforce researches in reinventing traditional Ganggangsulae into modern and popular life sports based on various scientific analyse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urrent instruction methods and the corresponding effects in teaching Ganggangsulae in the elementary schools. Also the effect of exercise is also analyzed for each play of Ganggangsulae. Based on these analyses, we present a model of player-centric Ganggangsulae system which can be reorganized its plays for a specific purpose. The proposed model characterizes Ganggangsulae in terms of the evolutionary variety and modular structure.

      • KCI등재후보

        부여 합정리 유적 출토 백제이식의 과학적 분석

        조현경,전유리,어지은,조남철 국립중앙박물관 2012 박물관보존과학 Vol.13 No.-

        So-hwan earring(small hoop earing) is orbicular earring that have only main hoop. In this study, So-hwan earring from Baekje tombs are analyzed scientifically and those is attempt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tific results and historical constituent. Six earrings were excavated from Habjung-ri sites in Buyeo and formative features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m were analyzed by microscope and XRF. As a results, various toreutics about producing gold silver alloy, pressure welding and amalgam plating that existed in Baekje from Ungjin period to Sabi period. 소환이식은 주환(主環)만 있는 둥근 고리형의 이식이다. 본고에서는 백제 분묘에서 출토된 소환이식을 대상으로 과학적 분석을 통해 역사적 요소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여 합정리 유적에서 출토된 백제이식 6점의 조형적인 특징과 재료학적 특성을 현미경과 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식의 성분조성비와 제작기법을 유추하였다. 분석결과 백제 웅진기에서 사비기에 이르는 시기에는 금과 은의 합금재료를 생산하는 기술, 가열 압접 기술, 아말감도금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금공품에 널리 적용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연구는 차후 백제 이식의 시대별·지역별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비교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우수등재

        경남지역 딸기, 토마토, 파프리카 양액재배에 따른 발생부하량 비교

        조현경 ( Cho¸ Hyun Kyung ),김상민 ( Kim¸ Sang Min ) 한국농공학회 2021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3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aste nutrient generation loads from hydroponics for three major crops in Gyeongsangnam-do. Study hydroponic farms were selected for the three major crops such as paprika, strawberry, tomato based on the agricultural statistics data and field investigation. The flow amount and water quality for inflow and outflow of study hydroponic farms were monitored and analyzed on a monthly basis. Monitored samp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DO, BOD, T -N, T-P, SS, and EC. The generated load of BOD, T -N, and T-P were calculated from the monitored flow and water quality. The monitoring results showed that the drainage ratio for the circular hydroponic farm was lower than the non-circular hydroponic farm because the outflow from the circular hydroponics were much lower than that from the non-circular. The generated load calc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BOD tended to have a smaller value than the TMDLs guideline for land, while T-N and T-P showed higher value than that from the TMDLs guideline.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the pollutant load discharged from the hydroponics farming complex,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non-circulating hydroponics farm. To improve water quality,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expand the circulating hydroponics farm through policy and economic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