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효과 관련 연구에 관한 메타분석

        조은별 ( Jo Eunbyul ),여선옥 ( Yeo Sunok ),박수경 ( Park Sukyo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관련 연구를 총체적으로 검토하고, 주요 조절변인들의 관계와 효과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석, 박사 논문 및 학술지 113편을 선정하여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음악영역 내에서의 프로그램, 타 영역과의 통합 프로그램, 예술영역 내에서의 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는 만 5세가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회기에 따른 분석결과는 회기가 많을수록 효과크기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유아의 음악적 능력의 변인별효과크기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과 관련한 다양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used meta analysis metho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in general and review control factors. To this end, we selected 113 domestic publications in Korea which include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papers artic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s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showed quite high level. Second, significant control factors, which affected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showed the effect sizes in the following order: program in the music area, combined program with other areas, program in the art area. and 5 year old showed large effect size based on ag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period showed that the effect size decreased with the number of sessions. Third, with respect to the dependent factors representing the effects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all the effect sizes of musical capability for early children were significant.

      • 초등 과학교과서 기반 창의적 에너지ㆍ기후변화 교수·학습 방안 제안 -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3ㆍ4학년군 교과서를 중심으로 -

        신동훈 ( Shin Donghoon ),조은별 ( Jo Eunbyul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8 No.-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3·4학년군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내용과 탐구활동을 분석하여 해당 단원의 학습 목표를 충족시키고 학습한 과학적 개념과 연관시켜 학습자로 하여금 창의적 학습 방법을 통해 에너지·기후변화 관련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창의적 에너지·기후변화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 3·4학년군의 1학기와 2학기 교과서와 실험관찰에 제시된 전 단원의 학습내용과 탐구활동 중 기후 변화 현상, 원인, 대응지식, 기후 현상에 대한 탐구, 기후 문제에 대한 해결, 기후에 대한 감수성과 배려, 기후 변화 대응의 실천 등의 범주와 연관시킬 수 있는 과학적 개념 및 내용과 탐구활동을 선정하였다. 초등 과학교육 전문가 2인과의 지속적인 세미나 및 논의를 통해 미리 선정된 과학 내용 및 탐구활동에 에너지·기후변화 교육 내용과 활동 및 과학 창의성 요소를 접목시켜 초등학생을 위한 과학교과서 기반 창의적 에너지·기후변화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가 아닌 초등 과학 교사 2명과 개발한 에너지·기후 변화 교수·학습 방안의 현장 적용 가능성 및 보완점에 대한 협의 과정을 거쳐 현행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와 연계하여 창의적 에너지·기후변화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reative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energy and climate change by analyzing the 3rd and 4th grade group’s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this, all the contents and inquiry activities in the 3rd and 4th grade group’s science textbooks and experiment observation workbooks were analyzed. The contents and inquiry activities which were related to climate change phenomenon, cause of climate change, corresponding knowledge, exploratory about the phenomenon of climate change, solution about the weather issue, susceptibility and consideration for the climate change were selected. Through out the seminars and discussions with two experts of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dding the creative elements and energy and climate change concepts, contents and activities to the pre-selected contents and inquiry activities, we developed the creative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energy and climate change based o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addition with the two elementary science teacher, who is not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discussed about the applicability and complements of the creative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energy and climate change. The data from the group discussion were also proposed the direction of the methods that can proceed in conjunction with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

        융합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경험의 특성

        신종호(Jongho Shin),조은별(Eunbyul Cho),부은주(Eunjoo Boo),백아롱(Ahrong Beik),조수연(Suyeon Jo),강미라(Mira Ka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융합교육에서 학습자 경험의 특성을 분석하여, 미래교육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융합교육의 실체를 이해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A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개설된 ``통합창의디자인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참여관찰 및 수강생과 교수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융합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경험은 ``융합의 조건 보기 경험``, ``개인의 한계 넘어서기 경험``, ``결과물 중심의 융합 완결하기 경험``으로 정리되었다. ``융합의 조건 보기 경험``은 학습자가 융합 실현을 위한 기본 조건을 확인하고 융합의 개념과 방향성을 수립하는 경험이었다. 학습자들은 전문 영역들의 차이와 각 영역의 고유한 가치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융합 실현의 최소한의 기준임을 알게 되었다. ``개인의 한계 넘어서기``는 학습자들이 도전적인 프로젝트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한계에 직면하고 이를 극복해가는 경험이었다. 학습자들은 자신감과 잠재력을 향상시키면서 이 수업에서의 경험을 성장경험으로 인식하였다. ``결과물 중심의 융합 완결하기 경험``에서 학습자들은 다양한 전문 영역의 관점과 평가를 균형적으로 반영한 최종 결과물을 산출해냈다. 결과물을 완결하는 경험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융합교육에서만 가능한 ``하나의 경험``으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융합교육에서의 학습자 경험이 기존 영역의 전문성을 중심으로 개인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융합 결과물을 산출하는 총체적인 경험이라는 점에서 융합교육의 고유한 특성을 드러낸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build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essential features of convergence education by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of learner experience. The study`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observations of participants and several in-depth interviews during a semester-long course titled Integrated Creative Design Project of "A" University, which were then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learner experience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onfirming the requisites of convergence", "going beyond one`s limits", and "completing convergence by developing the final products." First, the learners established their own concepts and directions on convergence. In this step, they comprehended the minimum standard to participate in the convergence program, which was to learn the distinctiveness and values of the separate domains. Second, the learners confronted challenges and overcame their limitations. In other words, they were able to improve their confidence and potentials while committing themselves to the project which aimed to produce outputs. Third, the learners finished their products by reflecting on various evaluations based on the different domains. This experience helped them to recognize that they had acquired ``an experience`` that was only possible through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earner experience in convergence education has uniqueness in that it is regarded as a holistic experience while learners are challenging their limits of expertise.

      • KCI등재

        공학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예술경험의 속성 탐색

        신종호(Shin Jongho),이신형(Rhee Shin Hyung),윤주현(Eune Juhyun),조은별(Cho Eunbyul),백아롱(Beik Ahrong),조수연(Jo Suyeon),이병윤(Lee Byung Yo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7 창의력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예술경험이 공학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을 미친다면 관련된 예술경험의 속성은 무엇 인지를 확인하고자 예술경험을 가진 공학도를 대상으로 개인 경험과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경험은 공학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다섯 가지의 예술경험 속성이 주로 관련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자아인식 경험이다. 자아인식 결과는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는 공학 연구 의 방향과 전략을 구체화하는 데에 적용되었다. 둘째, 직관을 활용한 경험이다. 예술경험을 통해 강화된 직 관이 공학 연구에 적용되었으며, 기존의 전략을 보완하면서 보다 창의적인 문제해결을 이끌어냈다. 셋째, 한계를 극복하는 경험이다. 한계를 극복한 예술경험이 있을 때, 새로운 공학 연구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예술 영역의 지식을 확보하였다. 넷째, 타인지향적 표현 경험이다. 감상자의 공감과 이해를 중시하는 예술 분야의 표현 경험을 연구의 성과 공유에 도입함으로써, 이들의 공학 창의성은 보다 긍정적인 사회적 평가를 이끌어냈다. 다섯째, 카타르시스 경험이다. 카타르시스 경험은 연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정 정서를 해소하고 손상된 심리적 자원을 회복하도록 하여 연구에서의 창의성 발현이 가능한 심리 상태를 확보하도 록 하였다. 본 연구는 공학 영역에서의 창의성 교육에서 예술경험을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근거가 되 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ether artistic experience affects engineering creativity, if it does, which characteristics of artistic experience influence engineering creativity. In order to do so, a qualitative study is conducted for engineers who have some artistic exper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artistic experience affects positively engineering creativity, and that there are fiv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experience influencing engineering creativity. First, they had a clear self-awareness experience. Being aware of oneself was applied to specifying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engineering research in which they could manifest creativity. Second, they utilize their intuition. Their intuition was used in their engineering research, which led them to creative problem solving by reinforcing the existing ways. Third, they have challenged their limit and tried to overcome it. When they had some artistic experience, which made them challenge their limit and overcome it, they were able to try a new research in engineering and secure rela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can actually be applied to their research. Fourth, they had an others-oriented experience. As they adopt their appreciating experience, which puts emphasis on empathy and understanding, into their research performance, their creativity gained positive social recognition. Fifth, they had a cathartic experience. A cathartic experience helps to reduce negative feelings, which could happen during an engineering tasks, and to recover that hurt feelings so the engineers could be at the stage in which they could manifest creativity with a psychological stability. Finally, this study suggests further directions for creativity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