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선택활동시간의 음률영역에서 나타난 유아 또래 간 교수의 의미

        여선옥(Yeo, Sunok),박수경(Park, Sukyo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3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시간 음률영역에서 나타나는 유아 또래 간 교수의 의미를 탐색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K시에 있는 D어린이집의 만4세 샘물반 유아 12명과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참여관찰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관찰일지와 면담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률영역에서 유아들은 음악을 직접 선택하고 음악적 지식과 정보를 또래에게 알려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률영역에서 유아들은 음악을 통해 느끼는 감정과 아름다움을 서로 전달하고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가르치는 음악교수가 아닌 유아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또래 간 교수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기 음악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peer tutoring between young children appearing at the music center during the free center play in a young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ion. To this end, we observed a class called Spring Water for four years daycare center D located in Gyonggi-do. The participants are composed of twelve young children and a teacher in charge of the class. After analyzing the observation journal, the research journal, and the interview data, we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usic play center showed the activity of peer tutoring while the young children selected music and provided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one another. Second, young children delivered and learned feel from the music activity and how to express the beauty of music to each other. The meaning of peer tutoring between young children emerging in the music play center is not just one directional delivery of musical knowledge, information, feeling, and emotion. Instead, the young children shared what they know and enjoyed together in the limited time and space.

      • KCI등재

        음악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탐색

        여선옥 ( Yeo Sunok ),박수경 ( Park Suk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의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5세 담임교사 2명이 음악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에 약 6개월간 참여하였다. 주요 자료수집은 교사면담과 수업참여관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전사자료, 교사 및 연구자 저널, 음악수업 관련 문서자료 등을 기초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실천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문화를 조성하는 교사로, 음악수업을 기대하고 즐기는 교사로, 유아 중심의 수업을 만들어 가는 교사로 거듭 변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사들이 당면하고 있는 음악수업에 대한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를 연구 참여자와 연구자가 함께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소개하면서 유아교사의 음악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의 가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usic teaching, and observe the resulting change. To this end, two five-year-old class teachers volunteered to perform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for approximately 6 months,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ir music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eacher interviews, observational data on class participation, and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music clas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two teachers experienced the following changes. First, they emerged as community culture creators leading the cooperation of fellow teachers, freeing them from the sense of obligation to plan and conduct classes alone. Second, they developed toward anticipating and enjoying music class. Third, the participants created children-centered class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value of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to improve the music class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iscussed by examining the difficulties fa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troducing examples of solving these problems.

      • KCI등재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효과 관련 연구에 관한 메타분석

        조은별 ( Jo Eunbyul ),여선옥 ( Yeo Sunok ),박수경 ( Park Sukyo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관련 연구를 총체적으로 검토하고, 주요 조절변인들의 관계와 효과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석, 박사 논문 및 학술지 113편을 선정하여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음악영역 내에서의 프로그램, 타 영역과의 통합 프로그램, 예술영역 내에서의 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는 만 5세가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회기에 따른 분석결과는 회기가 많을수록 효과크기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유아의 음악적 능력의 변인별효과크기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과 관련한 다양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used meta analysis metho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in general and review control factors. To this end, we selected 113 domestic publications in Korea which include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papers artic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s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showed quite high level. Second, significant control factors, which affected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showed the effect sizes in the following order: program in the music area, combined program with other areas, program in the art area. and 5 year old showed large effect size based on ag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period showed that the effect size decreased with the number of sessions. Third, with respect to the dependent factors representing the effects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all the effect sizes of musical capability for early children were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