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원저 : 비만 성인에서의 Adipokine 발현과 정신사회적 요인

        박샛별 ( Sat Byul Park ),연규월 ( Kyu Wol Yun ),조성진 ( Sung Jin Cho )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2

        비만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들의 발현을 복합적으로 분석한 문헌은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인들을 대상으로 Leptin을 비롯한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이하 VEGF), Hepatocyte Growth Factor(이하 HGF) 및 adiponectin의 발현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이들 비만 관련 임상 인자들과 정신사회적 인자들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개복수술을 위해 내원한 환자 중 염증, 종양, 대사성 질환이 없는 48명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신체 계측 및 혈압을 측정하였으며 혈당과 콜레스테롤, 인슐린, 코티솔, hsCRP를 조사하였고, 혈청 Leptin, adiponectin, VEGF, HGF 농도는 ELISA 기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 중 40명에서는 수술 중 피하 및 복강 내 지방 조직을 채취한 후 Leptin, adiponectin, VEGF, HGF mRNA 발현을 반정량적 RT-PCR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한편, 한국판 식사태도 검사,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 모즐리 강박척도 및 임상 스트레스 지수 등의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정신사회적 인자들을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대상 중 BMI 25.0㎏/㎡ 이상인 비만군은 23명(47.9%)이었으며, 정상군은 25명(52.1%)이었다. 비만군은 정상군에 비해 허리 및 둔부 둘레, 체중, 수축기혈압 및 확장기 혈압이 높았으며, 혈청 총 콜레스테롤, hsCRP 수치, 혈청 Leptin, VEGF, HGF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보호인자로 알려진 adiponectin은 비만군에서 낮았다. 지방 조직에서의 mRNA 발현은 피하 지방의 경우 Leptin, adiponectin, HGF mRNA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더욱 강한 density로 검출되었고, 복강 내 지방에서는 VEGF mRNA가 대조군에 비해 강한 density로 검출되었다. 정신사회적 인자들은 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해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코티솔의 변화 양상은 코티솔이 증가할수록 hsCRP은 높아졌고 혈청 adiponectin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사회적 척도들 중 스트레스 지수는 식사태도 항목과 우울 항목에서 양의 상관성이 있었다. 성별에 따르면 남성에서는 우울 척도가 내장지방 조직에서의 VEGF와 유의한 음의 상관성이 있었으며, 스트레스 지수는 콜레스테롤과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있었다. 한편 여성에서는 우울 척도만이 허리 둔부 둘레비와 유의한 음의 상관성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adipokine의 혈청 농도 및 지방조직 내 발현은 비만도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정신사회적 인자들과도 부분적으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비만 환자를 대할 때에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하며 적극적인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향후 이들 인자들이 어떻게 복합적으로 비만의 병태 생리 기전에 기여하는지, 어떤 다양한 정신사회학적,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인자들이 비만의 척도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ough serious efforts for clinical and genetic approaches in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on obesity have been made, it has been rarely studied on psychological factors as well as gene expression of various adipokin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four major adipokines such as Leptin, adiponecti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and correlate psychosocial factors with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Forty eight adult cases of patients admitted for abdominal surgery which are not related with inflammatory or neoplastic condition were analyzed for expression of 4 adipokines and 4 kinds of psychosocial tests. Pre-operative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medical examination for all adult cases were made. Serum samples were obtained for analysis of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insulin, cortisol and 4 adipokines. Serum insulin and cortisol were measured using radioimmunoassay (RIA) method. 4 serum adipokines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method. 40 adult cases were analyzed for mRNA expression in both subcutaneous and visceral fat tissues using RT-PCR method. The psychosocial tests included The Eating Attitude Test(EAT),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CES-D), Moudsley obsessive-compulsive inventory(MOCI), and Index of Clinical Stress (ICS) by means of questionnaires. Obesity is defined as BMI above 25.0㎏/㎡. The Obese group was 23 samples(47.9%) and normal group was 25 samples(52.1%) among the subjects. Compared to normal group, circumference of waist and hip, body weight and blood pressure with Levels of total cholesterol, insulin and hsCRP of the obes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 mRNA expression and plasma Levels of Leptin, VEGF and HGF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group than normal. The adiponectin mRNA expression and plasma Level was Lower in obese group than normal. mRNA expression of Leptin, adiponectin and HGF was significantly more detected in subcutaneous fat tissue than visceral fat. mRNA expression of VEGF was significantly Less detected in subcutaneous fat tissue than visceral fat. The psychosocial degre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stress index score had increased tendency in obese group. The more cortisol increases, the higher hsCRP is and the Less serum adiponectin is. EAT was correlated with depression scale and stress index among psychosocial factors. Stress index was also correlated with depression scale. Compared to sex, CES-D was reverse related with VEGF in visceral fat tissue and stress index was correlated with cholesterol at male. Meanwhile, only CES-D was reverse related with waist-hip ratio at fema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atomic Location of fat tissue have much influence on degree of adipokine appearance and psychosocia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some items of clinical and Laboratory obesity characteristics. Various factors including psychosocial, biochemical and molecular mechanism may be applied to indices of obesity. Also these factors may contribute to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of obesity.

      • KCI등재후보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혈중 인슐린 양 성장인자-1 농도의 차이

        공미희(Mi Hee Kong),김광민(Kwang Min Kim),박샛별(Sat Byul Park),김범택(Bom Taeck Kim),주남석(Nam Seok Joo) 대한스트레스학회 2008 스트레스硏究 Vol.16 No.3

        장기간 스트레스를 받으면 성장호르몬 분비가 억제되어 그에 따라 혈중 IGF-1농도 또한 감소한다는 실험실적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사람의 혈중 IGF-1 농도가 낮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혈중 IGF-1의 농도를 나이와 성별군에 따라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혈중 IGF-1 농도와 한국어 BEPSI (수정판)을 이용한 스트레스 총점을 측정하였다. 나이에 따른 혈중 IGF-1의 변화를 고려하여 35세 미만의 젊은군(남자 705명, 여자 755명)과 60세 이상의 노인군(남자 499명, 여자 -412명)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서 스트레스 총점이 높고 낮음에 따라 혈중 IGF-1농도를 비교하였다. 젊은 남자군의 경우 스트레스 총점이 높은 경우 혈중 IGF-1의 농도가 221.3±89.88 ng/mL로 스트레스 총점이 낮은 경우의 혈중 IGF-1농도(235.7±94.20 ng/mL)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9). 그 외 노인 남자군(141.9±82.49 vs 139.3±82.33 ng/mL, p=0.578)이나 젊은 여자군(255.2±100.07 vs 263.6±100.49 ng/mL, p=0.256)과 노인 여자군(113.4±69.34 vs 117.1±68.89 ng/mL, p=0.660)은 모두 스트레스 총점이 높고 낮음에 따라 혈중 IGF-1 농도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본 연구결과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경우 혈중 IGF-1 농도가 유의하게 낮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의성은 젊은 남자에서만 나타났다. 나이와 성별이 미치는 영향과 인과관계 규명 등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Stress by activation the hypothalamic-pituiraty-adrenal axis causes the release cortisol. Increased cortisol secretion is associated with low levels of growth hormone concentrations. Insulin-like growth factor-1 (IGF-1) production is stimulated by growth hormone. We hypothesize that stress may be associated with IGF-1 levels. Methods: We assessed circulating levels of IGF-1 in 2,371 individuals (Men 1,460, Women 911) who coming at health promotion center. Stress score was measure by Modified-Korean BEPSI self reported questionnaire. Results: In young men, IGF-1 level of high stress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lower stress group. This significance was remained after multivariable adjusted. But, young women and elderly groups had not significant difference of IGF-1 level according to the low stress or high stress. Conclusion: The IGF-1 level of high stress group was decreased than low stress group. But, this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in only young men.

      • SCOPUSKCI등재
      • 비만 클리닉을 내원한 여성의 체질량 지수, 감정 불능증, 대처 방안 및 자아 존중감의 상관관계

        임원정,박샛별,김수인,이유진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1 생물치료정신의학 Vol.7 No.2

        Objectives : Obesity which causing many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is difficult to treatment. Although many researches have hound that genetic factor is the key factor of obesity, there is a few research about the environment of representing the genetic type or the role of life attitu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Body Mass Index(“BMI” hereafter), alexithymia, coping scale and self-esteem of women in obesity clinic to set up the method of preventing obesity. Methods : One hundred seven women, aged 19 through 40 years who were in treatments at G obesity clinic in Seoul and Ajou university hospital were surveyed by a qeustionnaire which was designed for this research. In addit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alexithymia, coping scale, self esteem scale. And then the height and weight of those children were measured and the BMI was calculated. Results : 1)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bnormal and normal weigh group about the factor Ⅰ, factor Ⅱ and factor Ⅲ of alexithymia scale. 2) The results of coping scale show that the value of active-cognitive coping scale score is significantly higher in normal weight group relative to abnormal weight group(p<0.05). The scores of avoidance coping is significantly higher in abnormal weight group relative to normal weight group(p<0.05). Al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bnormal and normal weight group about the score af active-behavioral coping scale, normal weight group shows higher tendency. 3) The result of self-esteem scale shows that the score of self-esteem is significantly higher in abnormal weight group relative to normal weight group(p<0.05). Conclusion : We can conclude that alexithymia may be the reason for a subgroup of obesity women and the women who take avoidance, inactive cognitive and behavioral coping can be obese in high possibility. Also normal weight women who visited obesity clinic shows low self-esteem.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