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물시료 중 비소의 분리 정량을 위한 침전 부선기술의 응용

        박상완,최희선,김영만,김영상,Park Sang-Wan,Choi Hee-Seon,Kim Young-Man,Kim Young-Sang 대한화학회 1991 대한화학회지 Vol.35 No.4

        침전 부선기술에 의해 물시료 중 극미량 비소의 분리 농축 및 정량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부유물질을 걸러낸 물시료 1.0l를 삼각 플라스크에 취하고 비소를 pH 8.5${\pm}$0.1에서 La(OH)$_3$ 침전과 함께 공침시켰다. 몰비 1:8의 sodium oleate와 sodium dodecyl sulfate 혼합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침전을 소수성으로 만든 다음, 부선용기에서 질소기체를 bubbling하여 용액 표면으로 띄웠다. 뜬 침전을 감압에 의하여 유리거르게에 정량적으로 걸러 모으고 작은 부피의 1.0M 황산으로 녹여서 탈이온수로 정확하게 25.00 ml의 표선까지 묽혔다. 농축된 비소를 아르신으로 발생시켜 silver diethyldithiocarbamate의 착물을 만든 다음 분광광도법으로 정량하였다. 검정곡선은 원래의 용액 중에서 20 ng/ml까지 직선성이 좋았다. 분석 결과는 캠퍼스 폐수와 강물 중에서 비소의 함량이 8.2 ng/ml 와 1.0 ng/ml임을 보여 주었고, 이들 시료에 일정량의 비소를 첨가하고 분석한 결과로부터의 회수율은 각각 93${\%}$와 90${\%}$이었다. 이로서 본 방법이 여러 가지 물시료 중의 극미량 비소 정량에 응용이 가능함을 결론지을 수 있었다. The pre-concentration and determination of ultratrace arsenic in water samples was studied by the precipitate flotation technique. The arsenic in 1.0l of water sample, in which all suspended materials were filtered out, was coprecipitated together with La(OH)$_3$ precipitates at pH 8.5${\pm}$0.1. After the precipitate was made to be hydrophobic by adding mixed surfactant of 1 : 8 mole ratio of sodium oleate and sodium dodecyl sulfate, it was floated with the aid of tiny bubbles of nitrogen gas in a flotation cell. The floated precipitate was quantitatively collected on a micropore glass filter by the suction, dissolved with small volume of 1.0M sulfuric acid, and accurately diluted to 25.00ml with a de-ionized water. Total arsenic was spectrophotometrically determinated by forming silver diethyldithiocarbamate complex of arsine generated from arsenic in the concentrated solution. The calibration curve was linear up to 20ng/ml in the original solution.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contents of arsenic in a campus wastewater and a river water were 8.2ng/ml and l.0ng/ml, respectively, and their recoveries were 93${\%}$ and 90${\%}$ in water samples which a given amount of arsenic was added into. From above result,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is method was applicable to the determination of arsenic in various kinds of water at low ng/ml levels.

      • KCI등재

        학교행정가 전문성의 개념과 개발 방안

        박상완(Park, Sang-wa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2

        학교행정가는 학교교육의 질을 높이는 핵심 요소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교육현실에서 학교행정가의 직무는 무엇이며, 직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학교행정가의 ‘전문성’은 무엇인가에 대한 심층적 논의와 합의는 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이 연구는 학교행정가의 전문성이란 무엇이며, 학교행정가 전문성 개념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 학교행정가 전문성 개발을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를 탐색하였다. 관련 문헌을 토대로 학교행정가 전문성의 논의 맥락과 전문성의 의미(Ⅱ), 학교행정가 전문성의 개념 구조(Ⅲ), 학교행정가 전문성 개발 방안(Ⅳ)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 과제로 학교행정가 개인의 전문성 분석에서 나아가 교육행정기관(조직)의 전문성, 교육(행정)의 전문성에 대한 논의가 보완될 필요가 있으며, 학교행정가의 전문성 발달 과정과 특징, 관련 요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School administrators are regarded as one of the key factor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However, in Korea"s educational reality, there is a lack of in-depth discussion and consensus on what the school administrator"s job is and the "expertise" of the school administrator required for his/her job performance. In this sense, this study explored what expertise of school administrators is, what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cept of expertise, and what are the way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chool administrators. Based on the related literature reviews, I reviewed the context in which the expertise of school administrators is discussed and the meaning of school administrators(Ⅱ), the conceptual structure of school administrators’ expertise (Ⅲ), and the measures of school administrators’ professionalism development (Ⅳ).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uture research tasks were suggested. First, the analysis of the expertise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institution), second, the analysi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of school administrators. Third, it is suggested that the transfer of expertise should be reviewed.

      • KCI등재
      • KCI등재

        교육전문직의 관점에서 본 컨설팅장학 운영 특성 분석

        박상완(Park Sang-wan),나민주(Rah Min-joo)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3

        이 연구는 2010년 9월 이후 교육지원청의 핵심 기능으로 추진되고 있는 컨설팅장학의 운영 특성을 분석하고, 컨설팅장학 운영의 장애요인과 성공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전문가로부터 3개 시·도교육청에서 각 2개의 교육지원청을 추천받아, 해당 교육청 에서 2010년 하반기 이후 컨설팅장학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전·현직 장학사(관)를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면담조사 질문지는 선행연구와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연구진에서 직 접 개발하였고, 해당 교육청의 컨설팅장학 운영 특성, 컨설팅장학의 성공요인과 장애요인 등 으로 구성하였다. 컨설팅장학은 교육청별로 다소 상이하게 운영되고 있고, 일부 교육청에서는 컨설팅장학과 별도로 수시장학, 담임 장학과 같은 전통적 장학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컨설팅장학 운영의 장애요인 또는 성공요인은 컨설팅장학 관련 인적·물적 자원, 컨설팅장학의 절차, 컨설팅장학 실행에 필요한 시간적 여유, 새로운 제도에 대한 구성 원의 태도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컨설팅장학에서 자발성 원리의 한계와 교육청의 대응에 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nsultative supervision implementation and to find out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difficulties. Consultative supervision became one of main function of Local Offices of Education since 2010 to reinforce their services towards schools, teachers, and other educational stakeholder. For this study, 11 supervisors or senior supervisors from thre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MPOE) and six Local Offices of Education (LOE) were interview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sultative supervision is implemented a little bit differently in each MPOE and LOE. Traditional supervision is still carried on to ensure educational accountability. This shows that government policy can be distorted or transformed by local bureaucracies lest they accept purpose and value of the policy. Second, successful or un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onsultative supervision is related with personal and financial resources, attitudes to new policy, spare time for participating in consultative supervision. Third, positive perception of supervisors and networks to share experiences and ideas regarding consultative supervision need to be developed to secure effective consultative supervision implemen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cept of consultative supervision, limitations of voluntary participation principle, MPOE and LOE (educational profession) response to new policy (consultative supervision) a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대학의 교사자격 질 관리체제 분석

        박상완 ( Sang Wan Par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2

        최근 교원자격검정령 개정으로 교사자격 취득을 위한 교과목 및 이수학점 수 조정, 교원양성기관별 교원양성위원회의 의무적 구성, 대학별 교사자격 무시험검정 기준 개발 등 신규 교사자격의 질을 관리가 강화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초등학교 현장에는 초등 교원교육을 받지 않은 다양한 교수학습 보조 인력들이 유입됨에 따라 이들의 자격과 질을 관리하기 위한 새로운 제도 마련도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교육대학이 신규교사자격에 대한 질 관리뿐만 아니라 현직 교원 및 초등학교에 유입되는 다양한 인적 자원의 자격을 관리하는 데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와 책무가 있다는 점에서 교육대학의 교사자격 질 관리체제를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교사자격 질 관리의 대상, 내용, 주체, 방법 등 네 가지 기준을 설정하고, 각각의 준거에 비추어 현행 법령을 중심으로 교육대학의 교사자격 질 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교육대학의 교사자격 질 관리체제 강화를 위한 과제로서 수행능력에 기초한 교사자격기준 설정, 신규교사자격면허과정에 대한 대학의 질 관리 강화, 개인 수준 및 기관 수준의 교사자격 질 관리 연계 및 강화, 교사자격 질 관리에 있어 교육대학의 역할 확대 등을 과제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lity assurance systems of primary teacher certification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ith the revision of the Teacher Certification Review Act in 2007,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rimary teacher licensure process were increased and augmented.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re mainly focused o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itial primary teacher certification. But these days, many teaching supporting staffs without primary (teacher) education background are newly employed in primary schools and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 qualification and training of these supporting staffs will be the main issues in primary education polic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sed the quality of initial teacher cert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ccountability" and proposed the future tasks to consider. After reviewing and analysing the teacher certification process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4 main tasks were suggested: (1) developing teacher certification standards based on teaching performance at the national level, (2) reinforcing the quality of initial teacher certification process and accountability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 strengthening and linking the teacher certification quality assurance system both at the individual and at the university level, (4) increasing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initial teacher certification, renewal of teacher certification, and the newly employed supporting staffs in primary schools.

      • KCI등재

        드라마 <소년심판>에 나타난 치료적 사법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박상완 ( Park Sang Wan ) 한국드라마학회 2022 드라마연구 Vol.- No.67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촉법소년 연령 하향, 소년범 처벌 강화 등 소년법 폐지/개정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법조계에서는 치료적 사법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치료적 사법이란, 소년범죄를 사회적 질병으로 보고, 반치료적 결과를 발생시키는 소년의 현실 및 사법절차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념이다. 이 글은 <소년심판>에서 그려진 소년심판을 치료적 사법의 측면에서 살핀 논문이다. 2장에서는 <소년심판>에 등장하는 소년(범)들의 환경과 피해자 등의 삶을 살펴 치료적 사법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 논구하였다. 소년들은 부모, 학교, 사회로부터 방치된 환경에 놓여있다는 공통점이 있고, 이런 유사한 환경을 공유하는 소년들이 집단을 이루면서 범죄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애정과 관심을 토대로 소년들의 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범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소년범들에 의해 피해자 등의 삶은 순식간에 파괴되고, 피해자 등의 상황을 배려하지 않는 사법제도에 의해 불행이 더욱 커지기도 한다. 피해자 등의 권리를 보장하고 그들의 삶을 회복하기 위한 선제적/사후적 대책으로서 치료적 사법이 요청되는 것이다. 3장에서는 <소년심판>에서 그려진 치료적 사법의 구체적인 실천 양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이 작품에서 치료적 사법은 소년범에 대한 적법한 처벌, 소년범의 가족에 대한 교육, 피해자 등의 권리 보장과 사후대책 수행 등으로 나타난다. 여기에는 보호와 교화라는 소년법의 이념을 내재화한 판사의 사명감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치료적 사법이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일선 수사 단계부터 실제 심리 절차, 심판 후 교육을 담당하는 유관 기관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도 드러난다. 한 사회의 치유는 이처럼 인도주의적 관점과 시스템 개선을 통한 새로운 심판을 통해 가능할 전망이다. 소년범죄는 사회 구성원 모두와 관련된 문제다. 소년범을 타자화하고 혐오하는 여론이 확산되어 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소년심판>은 소년범죄를 둘러싼 다양한 맥락을 극적으로 재현해 현실에 대한 성찰까지 가능케 한 유의미한 텍스트라고 평가할 수 있다. In the South Korean society, public opinions for abolishing and revising the juvenile law are recently gaining momentum such as lowering the age of lawbreaching minors and reinforcing punishments for juvenile offenders. In this situation, the legal circles are proposing therapeutic jurisprudence as an alternative. Therapeutic jurisprudence is a concept that considers juvenile offenses as social diseases and aims to reduce the juvenile reality and legal procedures that lead to anti-therapeutic outcomes. This paper set out to examine a need and practical plan for therapeutic jurisprudence in Juvenile Justice. Chapter 2 discussed thoroughly why there was a need for therapeutic jurisprudence by looking into the environments of juvenile offenders and their victims in Juvenile Justice. Such juveniles have a common element that they are neglected by their parents, schools, and society. As they share such a similar environment, they tend to form a group and increase the possibilities of committing a crime. Crime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effort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juveniles based on affection and interest. Such juvenile offenders destroy the lives of their victims instantly, and the misery of the victims is multiplied by the judicial system that is not considerate of their situations. There should be therapeutic jurisprudence as a preemptive and follow-up measure to guarantee victims' rights and help them restore their lives. Chapter 3 examined the specific aspects of therapeutic jurisprudence depicted in Juvenile Justice. In this drama, therapeutic jurisprudence is manifested in proper punishments for juvenile offenders, education for their families, and the guarantee of victims' rights and follow-up measures for them. Here, judges are requested to have a sense of duty as they internalize the ideas of the juvenile law including protection and reformation. Such therapeutic jurisprudence can function properly after there is a broa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from the front-line investigation stage through the actual examination procedure to the agencies in charge of education after a judgment. The treatment of juvenile offenses as a disease and the restoration of a society's health to which therapeutic jurisprudence is oriented will be possible through such humanitarian perspectives and system improvements. Juvenile offenses are issues related to all the members of the society. As the public opinion of otherizing and hating juvenile offenders is spreading, Juvenile Justice, which shows the possibilities of therapeutic jurisprudence, will hopefully promote the cultivation of maturer citizenship.

      • KCI등재

        역사드라마 〈한성별곡-正〉의 개혁 담론에 대한 연구

        박상완(Park, Sang-Wan) 우리문학회 2022 우리文學硏究 Vol.- No.74

        이 글은 역사드라마 〈한성별곡-正〉에서 그려지는 개혁의 (불)가능성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이 작품은 개혁 담론을 형상화하기 위해 복합적인 갈등 구도를 만들어낸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감안해 이 글에서는 힘의 크기와 방향이라는 벡터 개념을 원용해 작품을 연구하였다. 2장에서는 힘의 크기 측면에서 〈한성별곡-正〉의 갈등 구도를 살펴보았다. 이 작품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강한 힘이 약한 힘에게 승리하면서 갈등이 종결되고, 상대적으로 약한 힘이 강한 힘을 능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전혀 그려지지 않는다. 이러한 비관적이고 결정론적인 세계관으로 인해 개혁의 불가능성, 즉 소통의 부재와 이분법적 논리의 한계가 두드러진다. 3장에서는 힘의 방향성 측면에서 〈한성별곡-正〉의 갈등 구도를 재론하였다. 이 작품에서의 등장인물들은 저마다 다른 신념을 가지고 현 상태의 변화를 추구한다. 벡터의 연산 측면에서 이처럼 서로 다른 방향의 힘들은 평균값을 최종값으로 지니게 된다. 중요한 것은 이렇게 생성된 새로운 힘이 기존 힘들과 유사한 방향성을 지니되, 크기는 강화/약화될 수 있어서, 목표의 달성 여부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점이다. 〈한성별곡-正〉은 새로운 힘이 끊임없이 생성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개혁 의지가 사라지지 않음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이러한 〈한성별곡-正〉의 개혁 담론은 현실에도 시사점을 남긴다. 벡터의 연산 측면에서 현실을 변화시키려는 시도의 성공/실패 여부는 결국 의견 조율과 합의에 달려 있다. 대화와 소통이 개혁에 우선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미래를 위해 현실을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가 존재하는 한 개혁의 가능성은 언제나 남아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ossibilities of reform in the historical drama Hansungbeulkok-正. A complex conflict structure to embody a reform discourse characterizes this drama. Based on this characteristic, the study availed itself of the concept of vectors, involving both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a force. Chapter 2 examined the conflict structure of the drama in connection with the size of the force. A stronger force wins over a weaker force in the drama, ending the conflict. The drama does not depict the possibility that a relatively weaker force can exceed a strong force. This pessimistic and deterministic view of the world highlights the impossibilities of reform, lack of communication, and limitations of dichotomous logic in the drama. Chapter 3 reviewed the conflict structure in the drama in the direction of the force. The characters have respective beliefs and seek changes to the current state. In a vector calculation, forces in different directions have a median value as the resultant. It is vital to note that the new force generated in the process has similar directionality to the old forces and can strengthen or weaken in size, thus having decisive impacts on the fulfillment of a goal. The drama paradoxically shows that the will for reform remains by tracing the process of a new force being created endlessly. This reform discourse of Hansungbeulkok-正 has implications for reality. In terms of a vector calculation, whether an attempt to change the reality succeeds or fails depends on the agreement of different opinions, implying that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should come before reform. The possibilities of reform will always remain as long as there is the will to improve reality for the future.

      • KCI등재

        프랑스의 이주가정 아동 학교통합정책 사례분석

        박상완(Park, Sang-Wan),김미진(Kim, Mee-Je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4

        본 연구는 프랑스의 이주가정 아동의 학교통합을 지원하는 핵심 정책 중 하나인 프랑스어 기초교육반 제도의 운영 실제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 정책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조사를 통해 프랑스의 이주가정 아동의 학교통합 정책의 주요 내용과 프랑스어 기초교육반 제도의 발달, 최근 동향을 분석하였다. 프랑스어 기초교육반제도의 운영 실제 분석을 위해서는 이 과정을 이수한 학생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 정책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상황과 맥락을 고려할 때, 다문화주의와 동화주의 모델을 조화시킨 보다 점진적이고 유연한 학교 통합정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 차원에서 보다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이주가정 교육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정책집행 조직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보다 체계적인 한국어 능력평가 및 이주가정 아동 특성별로 세분화된 한국어 기초교육, 거점학교 지정 및 이를 중심으로 한 수준별 한국어 교육, 나아가 학부모를 위한 교육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school integration policies of immigrant or newcomer pupils in France and to find out policy implications and measures to be applied in Korea. France is one of the countries in Europe which has long history of integrating the families of immigrant pupils into its school and social system and developing school-based supports to them. For these reasons, researchers choose France as a case study and especially focused on the language teaching classes for immigrant or newcomer children at the public school. The main research methods applied for this study was the literature reviews and face-to-face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parents(mother) who experienced french language teaching classes at the public school. The major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 has to develop progressive and flexible integrating policies for immigrant or newcomer children, based on multicultural and assimilationist model. Second, central organization or institutions are needed to take char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t the national level. Third, Korean language programmes at the public school should be developed and strengthened to help immigrant or newcomer children to adapt regular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학교 인성교육의 의미와 인성교육정책 개선 방안 탐색: 프랑스의 인성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박상완(Park Sang-wan),박균열(Park Kyun-Yeal)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2

        본 논문은 프랑스의 인성교육정책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인성교육 정책의 방향과 의미를 진단하고 인성교육정책 개발을 위한 시사점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프랑스를 사례로 선정한 것은 유럽 국가 중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국가교육과정체제를 채택하 고 있고 초중등학교에서 인성교육을 단일 교과 형태로 운영하는 등 우리나라와 인성교육 추 진 기반이 비슷하여 유사성에 기초한 비교분석 사례로 적합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연구방 법은 문헌분석 방법을 주로 활용하였으며, 인성교육 관련 학술 문헌과 인터넷 자료, 프랑스 교육부 홈페이지, 관련 법령 등의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프랑 스 인성교육은 프랑스 공화국이 추구하는 가치·원리를 교육하고 이를 통한 사회통합을 목적 으로 한다. 둘째, 학교급별로 차이는 있으나 초중등학교 12년간 단일 교과로서 시민교육, 도 덕/윤리교육을 통해 인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셋째, 단일교과 외 인성교육으로 기초공 통역량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 등이 인성교육과 연계되어 있다. 넷째, 인성교육정책은 중앙정 부를 중심으로 지방교육청, 가정, 지역사회의 다양한 조직, 기관, 협회 등의 협력, 참여 하에 이루어지고 있다. 다섯째, 2013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시민교육 인력풀 정책을 통해 다양한 인 성교육 전문 인력풀을 확보하고 인성교육을 홍보, 확산하고 있다. 이러한 프랑스 인성교육정 책 분석을 통한 시사점으로 인성교육의 개념과 범위 명료화, 정규 교육과정에서 인성교육의 강화, 인성교육의 내용과 방법 혁신, 다양한 주체 간 협력, 연계 등을 도출하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itizenship/moral education policies in France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French policies citizenship/moral education could be the best case for Korea, as citizenship/moral education is part of national curricula and is taught as a separate subject for 12 years. Literature reviews are adopted as a main research method. Academic articles, newspaper articles, internet materials, and legal information a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citizenship/moral education in France is passing on the values of the French Republic. Also, citizenship/moral education is considered to promote social integration and solidarity among French people. Second, citizenship/moral education is taught as a stand-alone subject from primary to high school for 12 years. In addition citizenship/moral education is taught as part of another subject, or as a cross-curricular dimensi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also gaining attention as citizenship/moral education recently. Third, policies for citizenship/moral education are set up by state and local authorities and recteurs d'académie have responsibilities in ensuring implementation of national policies at local level and families are also share responsibilities for citizenship/moral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citizenship/moral education are draws in four areas.

      • KCI등재

        교육전문대학원 도입 논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

        박상완 ( Park Sang-wa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4 초등교육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현 정부의 교육전문대학원 도입(안) 발표를 배경으로 역대 정부에서 교육전문대학원 도입과 관련하여 어떤 논의가 있었으며, 그 내용과 한계가 무엇인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전문대학원 도입(안)을 제안한 역대 정부의 정책보고서와 선행연구, 언론 보도 자료 등을 수집·분석하는 문헌분석 방법을 주요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역대 정부에서 교육전문대학원(안)은 교원양성체제 개편 방안 중 하나로 김영삼 정부에서 처음 제안되었다. 대통령자문 기구를 중심으로 교육전문대학원 도입이 논의되었으나 정부 수준에서 교육전문대학원 운영 모형이 구체화 된 적은 없었다. 둘째, 교육전문대학원 도입 목표로는 교사들의 수업 혁신 지원, 교원 수급 조절 및 양성 규모 적정화, 교직 입직 기회의 확대, 교사자격·진로 유연화가 제시되었으나 교육전문대학원 운영 모형(안)이 이러한 목표를 적절하게 반영한 것은 아니었다. 셋째, 교육전문대학원 운영 모형(안)은 4+2 모형을 기반으로 다양한 세부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학부과정 유지 기조는 견지되었다. 넷째, 교육전문대학원 도입을 위한 추진 전략 면에서 전면 시행/시범운영을 통한 점진적 시행, 초등과 중등 교원양성의 통합/분리, 단설형(독립형) 교원양성/종합대학 내 교원양성이 쟁점이 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심층적 검토는 대체로 부족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analyze discussions surrounding the introduction of specialize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background of the current government's announcement. The purpose is to examine the content and limitations of these discussions. To achieve this, literature analysis was utiliz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 The analysis yielded several key findings. Firstly, specialize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ere initially proposed as a reform measure for teacher training systems during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Although discussions on their introduction took place through presidential advisory bodies, there has been no concrete formulation of the operational model at the governmental level. Secondly, the goals included supporting innovation in teaching, adjusting teacher supply, rationalizing training scale, expanding career opportunities, and providing flexibility in qualifications and career paths. However, the proposed operational model did not adequately reflect these objectives. Thirdly, the proposed model was based on the 4+2 model, with various detailed approaches presented. Nevertheless, there was an emphasis on maintaining the status quo of undergraduate programs. Fourthly,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strategy, issues such as gradual implementation through full-scale/pilot operation, integration/separ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 training, and the debate between stand-alone and comprehensive university-based teacher training were identified. However, in-depth consideration of these issues was generally lacking.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