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조직 효과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박균열(Park, Kyun?Yeal)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5

        본 연구는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교사의 임파워먼트, 교사효능감,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여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탐색하고 직․간접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도출된 본 연구의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X2=266.777(df=48, p <.001), RMR=.032, CFI=.916, NFI=.900, GFI=.905, AGFI=.846로 도출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조직의 효과성은 학교장이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사의 효능감을 고려하여 변혁적 지도성을 발휘할 때 그 효과가 제고된다. 둘째, 학교장이 변혁적 지도성을 발휘하면 교사가 임파워먼트를 제고한다. 셋째, 학교장이 변혁적 지도성을 행사하면, 교사가 효능감을 긍정적으로 갖는다. 넷째, 교사가 임파워먼트와 효능감을 높게 갖고 있으면 학교조직 효과성은 제고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itability of the hypothetical path model and to identify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relationships by establishing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the teacher"s empowerment,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fit index of the model of this study derived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s X²=266.777(df=48, p <.001), RMR=.032, CFI=.916, NFI=.900, GFI=.905, AGFI =.846.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enhanced when the principal exerts transformative leadership in consideration of the teacher"s empowerment and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Secondly, when the principal exerts transformative leadership, teachers increase their empowerment. Thirdly, when principals exercise transformative leadership, teachers have a positive sense of efficacy. Fourthly, if the teacher has a high sense of empowerment and efficacy,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improved.

      • KCI등재
      • KCI등재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자유학기제 정책의 방향과 과제

        박균열(Park Kyun-Yeal),주영효(Joo Young Hyeo),고영종(Ko, Young-Jo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박근혜 정부의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핵심 정책인 자유학기제 정책을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의 정책 분석 틀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향후 정책방향과 과제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정책 분석 틀은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원 차원, 기술적 차원의 4가지로 구성하였다. 분석틀에 의한 주요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정책의 방향과 과제로 장기적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는 사회적 합의의 도출과 전체 학교 교육과정의 방향에 대한 거시적 논의 필요, 자유학기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단위학교가 필요로하는 자율성을 확대하되, 연구학교에서 운영되는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컨설팅 지원 강화 필요, 교사들의 자발성과 협력을 바탕으로 하는 동반자적 파트너쉽 전략 마련 필요, 학교폭력 예방 및 교과교실제 정책과 연계되어 예산절감과 시너지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상생(win-win) 전략 필요, 학생 중심의 교육정책 입안 필요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free semester system by using the analytical framework Cooper, Fusarelli, & Randall (2004) suggested. The analytical framework is composed of normative, structural, constituentive, and technical dimensions including ethics and social justice as the core of the framework. Based on analytical results, the direction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its challenges are to ensure long-term sustainability-oriented social consensus, to require macroscopic discussion about the direction of the whole school curriculum, to expand the autonomy that each school needs for free semester program, to strengthen the ongoing monitoring and consulting support about the overall curriculum of research school, to prepare partnership strategy of partnership based on teachers' willingness and cooperation, to plan a win-win synergies strategy in conjunction with both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and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policy. And last but not least, we need to consider students' life in school and society regarding policy ethics as suggested by Cooper et al.

      • KCI등재

        다중흐름모형을 적용한 교원성과급제의 정책변동 분석

        박균열(Park, Kyun Yeal) 한국교육정치학회 2021 敎育政治學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다중흐름모형을 통해 교원성과급제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형성 과정이 어떻게 변동하였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원성과급제에 대한 정책형성과정과 변동의 변수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다중흐름모형을 연구의 분석틀로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성과급제가 정책의제로 설정되고 변동되는 과정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국민의 정부’의 교원성과급제 도입 선언과 ‘이명박 정부’의 다면평가 도입에 따른 성과급제 적용이다. 이는 결국 새로운 교원성과급제의 도입이라는 정책의 결실을 얻는 데 기본 배경이 되었다. 둘째, 교원성과급제가 형성․채택․집행되는 과정과 변화에 있어서 영향력이 큰 이익집단의 하나인 교원단체의 활동은 정부의제화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원성과급제의 형성과정은 교원의 능력과 업무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계량화된 평정체계의 필요, 전문성 계발을 위한 교원들의 노력에 대한 인센티브 체계 개선, 학교교육과 교사의 자질 제고, 교직 경쟁력 제고라는 정책변동의 맥락 내에서 발생하였다. 넷째, 교원성과급제 정책의 창은 ‘국민의 정부 100대 개혁과제’의 성과상여금 도입과 교원성과급제의 도입이 최초로 언급 되면서 이를 점화계기로 하여 정책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대안의 흐름이 결합하면서 열리게 되었다.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process through which teacher’s performance-based pay system(TPPS) has changed, on the basis of multiple streams framework.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most in the process of setting and changing teacher’s performance-based pay system(TPPS) as a policy agenda were introduction of TPPS by ‘People’s Government‘ and application of TPP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multi-faceted teacher evaluation by ‘Lee Myung-bak government’. Second, The activities of teachers organization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interest groups in the process and change of the formation,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s performance-based pay system(TPPS) greatly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s agenda. Thir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eacher’s performance-based pay system(TPPS) was occurred within the context of policy change of the need for a quantified rating system that can measure the ability and performance of teachers. Fourth, The momentum of ‘window of policy’ teacher’s performance-based pay system(TPPS) was the first mention of the introduction of performance bonuses and the introduction of teacher’s performance-based pay system(TPPS) in the 100 reform tasks of the people s government’. As the flows of policy problem, politics and policy alternatives merged, the ‘window of policy’ was opened up.

      • KCI등재

        싱가포르 인성교육정책 분석 연구

        박균열 ( Park Kyun-yeal ),조영환 ( Cho Young-hoan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싱가포르에서의 인성의 개념과 의미, 인성-시민성 교육 프로그램, 인성교육정책의 추진체계 및 거버넌스를 탐색하고 정체성에 바탕을 둔 싱가포르의 인성교육정책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싱가포르 교육부는 싱가포르의 학생들이 급변하는 미래 사회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데 필요한 핵심 역량을 꼽아 정리하였고, 학생들에게 이 역량을 길러줌으로써 성취하고자 하는 바람직한 교육 결과를 도출하였다. 싱가포르의 학교 교육과정은 21세기 역량과 교육 결과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조직된다. 크게 생애 기술, 지식 기술, 내용 중심 교과 영역이라는 세 범주로 구성된 싱가포르의 공교육은 이 범주 중 생애 기술 영역을 중심으로 인성 교육을 실시한다. 싱가포르의 인성교육이 갖는 특성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인성 교육 차원에서 국가 정체성이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인성 교육을 위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의 울타리를 낮추어야 한다. 인성 교육은 전인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전인적인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보다 실제적인 경험과 학습한 내용을 삶과 연계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oncept and meaning of character in Singapore, character-citizenity education program, the promotion system and governance of character education policy, and to propose implications by analyzing Singapore's character education policy based on identity. The Singapore Ministry of Education has identified and summarized the core competencies that Singaporean students need to effectively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and has derived desirable educational outcomes to be achieved by nurturing these competencies. Singapore's school curriculum is structured around the 21st century competencies and Education outcomes framework. Singapore's public education, which is largely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of life skills, knowledge skills, and content-oriented subject areas, implements personality education focusing on life skills among these categori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the characteristics of Singapore's character education. First, in the aspect of character education, national identity needs to be treated as important. Second,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chool curriculum for character education. Third, the fence of the school must be lowered. Character education must be done holistically. For holistic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nect more practical experiences and learning contents with life.

      • KCI등재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한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정책변동 분석

        박균열(Park Kyun-Yeal)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敎育問題硏究 Vol.0 No.42

        본 연구는 정책변동 분석 모형 중의 하나인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통해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어떠한 요인과 형성 과정을 거쳐 변동되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제에 대한 정책결정과정과 변동요인을 명료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기본 분석틀로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정책의제로 설정되고 변동되는 과정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정치의 흐름이었고, 정치의 흐름 중 행정부의 교체(정권의 변화 등)는 변화의 점화계기가 되었다. 둘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정책이 형성ㆍ채택ㆍ집행되는 과정과 변화에 있어서 참여자와 이익집단의 활동, 정책활동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 형성과정은 근무성적평정의 개선과 공교육 내실화, 교사의 책무성 제고라는 정책변동의 맥락내에서 발생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teacher evaluation policy has changed, on the basis of Kingdon's policy stream framework(PSF).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olitical stream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has an effect on the policy stream. Second, the role of interest groups, such as participants and policy entrepreneurs, are important in the process of forming a policy. Thir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regarding the teacher evaluation policy has three characteristics: (1) the teacher evaluation policy has been formed in the context of the improvement about performance rating (2) the teacher evaluation policy has been formed in the context for the improvement of public education (3) the teacher evaluation policy has been formed in the context for the enhancement about teachers accountability.

      • KCI등재

        교사의 수업전문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박균열(Park Kyun Yeal) 한국교육행정학회 2008 敎育行政學硏究 Vol.26 No.2

        최근까지의 교육논문들은 수업전문성을 많이 언급하고는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론적 지식의 전달에 초점을 둔 나머지 주요한 증거를 제시하는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연구가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을 투입 요인으로, 교사의 학생지도 책무성, 효능감, 헌신을 과정 요인으로,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결과 요인으로 하는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보다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현장의 실제적인 측면을 반영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산출된 본 연구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X²=267.304, 자유도(df)=65, P값=.000, q값(X²/df)=4.112, IFI=.971, CFI=.971, NFI=.963, RMSEA=.057, GFI=.962, AGFI=.930로 각각 산출되어 표본의 크기에 민감한 X²을 제외한 이외의 적합도 지수가 일반적으로 수용 가능한 수준에 있으므로 본 연구 모형은 현실을 반영하는 좋은 모형이라고 판단되었다. 둘째, 교사가 학생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책무성을 높게 지각하면 교사 자신의 수업전문성이 신장되고 교사 자신의 교직에 대한 헌신이 더욱 고양된다. 셋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은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학교장이 변혁적 지도성을 더 높이 행사할수록 교사는 자신이 지각하는 교직에 대한 헌신의 정도가 약해진다. Although lots of educational research has so far dealt with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most of them have studied theoretical knowledge. Consequently, we lack of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field and its main evidence and practice that teachers have to be well versed in. Based on this point,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principals, teachers on the relative weight of units for structural analysis. Major findings from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causal relations among research variables. The goodness of fit of the causal model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X²=267.304, df=65, p=.000, q(X²/df)=4.112, IFI=.971, CFI=.971, NFI=.963, RMSEA=.057, GFI=.962, AGFI=.930. Thus the model was considered acceptable. Secondly, the teachers seemed to weight both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commitment through accountability for their students. This means considerable action of the policy related teacher evaluation should be taken to each teachers' group. Thirdly,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d not affect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Fourthly,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negatively affect teacher commitment.

      • KCI등재

        Cooper 등의 다차원 정책분석을 통한 교장공모제 평가와 운영 개선 방안

        박균열(Park Kyun-Yeal)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Cooper 등(2004: 7)의 다차원 교육정책 분석틀을 활용하여 사전면담과 심층면담 분석을 통해 교장공모제의 평가와 운영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규범적 차원에서는 기존의 교장초빙제에 대한 문제를 개선하고 혁신적, 개방적 리더쉽을 통해 교직사회 활성화를 가져 오기도 하였지만 지역사회의 관심과 열의의 부족 문제는 법적, 제도적으로도 뒷받침할 수 있 는 유인체계를 강구할 필요가 있다. 구조적 차원에서는 여전히 절차와 심사위원회 구성의 불 투명성 등이 거론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 민주적이라는 것에 동의하고 있었다. 다만, 향후 절차의 투명성과 심사위원회제도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원 차원에서는 교장공모제의 성공의 핵심은 구성원들의 역량과 의지를 과업지향적 측면 에서 어디로 결집시키고 이를 공동체적이고 협력적 동반자의 배려지향성으로 조화롭게 이끌 어갈 수 있는가가 중요하다. 기술적 차원에서는 도덕성과 고도의 역량을 겸비한 능력있는 준 비된 공모교장을 선발하는 엄격한 기준과 평가체계가 강구될 필요가 있고 구성원들의 만족도 를 철저히 반영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improvement and evaluation on the Open Recruiting Principal Employment System(ORPES) through pre-trial interview and in-depth interviews by using Cooper, Fusarelli, & Randall Model. From normative dimension, the ORPES improved the problem of the existing principal invitation and inspired empowerment of teaching profession system through innovative and open leadership, but building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should be required due to the lack of attention and enthusiasm for the local community. From structural dimension, there was still a problem with the lack of transparency of the procedure and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ing committee organization, but it was agreed that ORPES was democratic. Accordingly, measures should be taken to supplement the transparency of the future procedures and the vulnerability of the screening committee system. From constitutive dimension, the key to success of Open Recruiting Principal Employment System is to concentrate the constitutor's competence and willingness in a task-oriented direction and bring them together in a care-oriented and communality-oriented cooperative partnership. From technical dimension, a strict set of standards and evaluation systems for ORPES should be built to select a highly moral, competent principal, and to reflect the satisfaction of the members thoroughly.

      • KCI등재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도입을 위한 선행 과제 탐색

        박균열(Park, Kyun Yeal),주영효(Joo, Young Hyeo) 한국교육정치학회 2021 敎育政治學硏究 Vol.28 No.4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도입을 위한 학교 운영 체제와 학교 문화의 모습을 탐색하고, 선행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 후 고등학교 교장, 교사, 학생, 학부모가 참여하는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학점제는 정권의 변화와 무관한 지속성과 일관성 있는 교육철학과 신념의 형성이 중요하고,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어야 한다. 둘째, 고교학점제와 대학입시제도의 연계가 필요하다. 즉 학생들의 진로와 연관된 과목을 이수하고 이를 통해 원하는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대학입시제도 개혁이 필요하다. 셋째, 안정적인 교원 수급이 중요하다. 고교학점제와 관련한 연구학교 및 선도학교들의 공통적 요구사항 중의 하나가 바로 교사 수급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장기적 관점에서 교원수급 정책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고교학점제를 위한 인적, 물적, 제도적 차원의 교육인프라 구축이 긴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chool operating system and school culture for the stabl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SCS), and to suggest prior tasks.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in which the principal,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participated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for the HSCS to form an educational philosophy and belief that is consistent with continuity regardless of changes in government, and social consensus must be drawn. Second, it is critical to link the HSCS and the college entrance exam system.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so that students can complete courses related to their career path and enter the desired university. Third, a prerequisit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SCS is to secure a stable supply of teachers. Since one of the common requirements of HSCS research schools and leading schools is related to teacher supply and demand,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teacher supply and demand polic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Lastly,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 educational infrastructure for the HSCS. Educational infrastructure includes human, material, and institutional dimensions.

      • KCI등재

        일본의 학교생활기록부 분석 연구

        박균열 ( Park¸ Kyun-yeal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의 학교생활기록부 변천 배경 및 동향, 영역별 기재항목 및 기재방법, 관리 및 지원체제, 활용 및 연계를 확인하여 우리나라의 학교생활기록부 정책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일본의 학교생활기록부 특성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학교생활기록부는 더 좋은 교육활동을 하기 위한 평가의 과정을 기재하고 학생지도용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생활기록부가 상급학교의 선발 기능에 활용되는 것을 지양할 필요가 있고 진학시의 자격검증 정도로만 활용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상황이나 지역 상황에 맞는 현장의 맞춤식 자율성 제고가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넷째, 타당성이 담보된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교사 자신의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자신들이 설정한 평가 기준에 비추어 학생의 배움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교생활기록부를 기재할 때, 외부 실적에 대한 증빙이 필요한 란을 별도로 관리하여 보관하고, 학교생활기록부 기록 자체를 중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생활기록부 기재내용 및 방법의 간소화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s school life record policy by confirming the background and trend of the change, items and methods to be recorded,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utilization and linkage of school life record in Japan.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the characteristics on the Japanese system of school life records. First, it is necessary to describe the process of evaluation for better educational activities and to utilize use for student guida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refrain from using the school life record for the selection function of upper schools, and the school life record is needed by use for only qualification verification at the time of admission. Thir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improvement of the field's customized autonomy according to the school situation or local situation in the preparation of the school life record. Fourth, it is necessary to build an evaluation system with guaranteed validity and evaluate students’ learning in light of the evaluation standards set by the teachers in order to enhance their own professionalism. Fifth, when writing the school life record,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manage and keep the fields that require proof of external performance, and to put importance in writing on the school life record itself. Finally,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contents and method of the school life reco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