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SpectrophotometricBrothMicrodilution법을 이용한AspergillusSpecies의 항진균제 감수성 검사
박미라,신종희,송정원,박영규,조덕,기승정,신명근,서순팔,양동욱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4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4 No.5
Background : A spectrophotometric approach to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determination for filamentous fungi may provide an objective and rapid MIC reading, and quantify the hyphal growth of mold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wo spectrophotometric broth microdilution methods (SBM) to determine amphotericin B and itraconazole MICs for Aspergillus species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Methods : A total of 80 clinical isolates (20 A. fumigatus, 20 A. flavus, 18 A. niger, 20 A. terreus, and 2 A. nidulans) were tested for amphotericin B and itraconazole susceptibility by the broth microdilution method. The MIC endpoint was calculated by the spectrophotometer with microplate reader (SBM-Spec method) or colorimetric XTT (tetrazolium dye) method (SBM-XTT method). The results of the SBM metho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CCLS M38-A broth microdilution method. Results : The MICs of amphotericin B by the NCCLS M38-A method ranged from 0.125 to 8 g/ mL, and those of itraconazole ranged from 0.25 to 2 g/mL. The agreement of SBM-Spec and SBMXTT methods within one dilution of the NCCLS M38 reference were 98.8% and 96.3% for the amphotericin B, and 98.8% and 100% for itraconazole, respectively. The agreements between SBM-Spec and SBM-XTT methods were 97.5% for amphotericin B and 98.8% for itraconazole. Conclusions : In antifungal susceptibility testing of Aspergillus species, the SBM method including SBM-Spec and SBM-XTT methods showed high levels of agreements with the NCCLS M38-A method. The SBM methods can be useful in the clinical laboratory. (Korean J Lab Med 2004; 24: 301-7) 배경 : 항진균제 감수성 검사에 있어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을 판정할 경우 육안관찰보다 객관적이고 빠르며, 균사의 성장을 더 정확하게 정량할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Asper-gillusspecies에 대한항진균제 감수성 검사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MIC를 판정하는 spectrophotometric broth microdilution(SBM)법으로 시행하고, 이를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Laboratory Standards (NCCLS) M38-A법과 비교하였다. 방법 :임상 검체로부터 분리된 80주의 Aspergillus species (A.fumigatus 20주, A. flavus 20주, A. niger 18주, A. terreus20주 및 A. nidulans 2주)를 대상으로 amphotericin B와 itracona-zole에 대한 감수성 검사를 broth microdilution법으로실시하였다.SBM법은 48시간 배양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를 그대로(SBM-Spec법) 혹은 XTT를 첨가한 후(SBM-XTT법) 분광도계를이용하여 MIC를 판정하는 2가지 법으로 실시하였다. SBM 검사성적은 동시에 실시한 NCCLS M38-A법( 육안판정) 성적과 비306 박미라신종희송정원 외 6인교하였다.결과 :NCCLS M38-A법에 의한 amphotericin B에 대한 MIC는 0.125-8 g/mL이었고, itraconazole에 대한 MIC는 0.25-2.0g/mL 사이의 범위였다. SBM법과 NCCLS M38-A법과의 일치율(1배 희석배수 내)은 amphotericin B의 경우 SBM-Spec법은 98.8%, SBM-XTT법은 96.3%이었고, itraconazole의 경우SBM-Spec법은 98.8%, SBM-XTT법은 100% 이었다. SBM-Spec법과 SBM-XTT법의 두 방법간의 일치율은 amphotericinB 97.5% 및 itraconazole 98.8%이었다.
박미라,황수진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00 科學敎育硏究報 Vol.27 No.-
In order to study the estimating pattern of soil water decrease which is important for numerical experiments to simulate the change of meterological component in surface boundary layer. I carried out linear regression analysis on soil water decrease versus day after precipi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When solar insolation is more than 15 MJ/m2/day, the formula of soil water decrease to the day after precipitation(t) 1cm, 4cm depth of soil layer are θ_w(t)=-0.23t^1/3+0.58, θ_w(t)=-0.145t^1/3+0.53 respectively. 2. When solar insolation is less than 13 MJ/m2/day, the formula of soil moisture decrease to the day after precipitation(t) are θ_w(t)=a t+b, where the constant a and b at 1cm depth were -0.0202~-0.082, 0.34~0.43 respectively and those at 4cm depth were -0.023~-0.0101, 0.49~0.36 respectively.
박미라,박경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4
본 연구는 산모의 시기별 교육요구도를 조사·비교하여, 향후 시기에 적절한 산후관리프로그램 구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D시 여성병원 4병원을 대상으로, 산부인과 외래, 산과병동, 산후조리원에 입실중인 임부와 산부 160명에게 2014년 10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수행되었다. 설문지는 산후관리, 산후조리원 프로그램, 신생아관리 및 교육 프로그램의 요구도 총4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산후관리는 다른 두 군에 비해 산후조리원 산모의 경우 가장 높았고, 산과병동 산모의 경우 가장 낮았다. 산후조리원 프로그램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외래임부의 경우 가장 높았고, 신생아관리 및 교육은 세 군 모두 필요하다고 나타났고, 산후조리원 산모의 경우 거의 모든 항목에서 다른 두 군보다 요구도가 높았다. 따라서, 향후 산후관리프로그램 개발시 산후조리원 산모를 대상으로 신생아관리방법이 가장 우선시 되는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I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the time in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women and to suggest the meaningful data in developing postpartum care program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4 Women's Hospital, D-city from 2014 October to 2014 December and a total of 160 subjects participated. Scores in postpartum care needs were highest for postpartum care centers women and lowest for maternity ward women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Postpartum care center program were highest score for pregnancy women in most of items. Newborn baby managements were high score for all groups. In addition, education needs related to newborn baby management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s women were hig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Th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an educational program needs to focus on newborn baby nursing care management for them.
박미라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smartphone dependence and addiction that became serious after COVID-19, and conducted a meta-analysis focusing on papers studied on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in Christian approach. The papers to be studied were selected through a specific selection process for domestic paper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future direction to solve the problem of smartphone addiction, which is a serious problem for Christians, by considering the counseling efforts and studies of Christian approach by meta-analysis focusing on the discourse terrain and issues of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studied in Korea.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first of all, only 20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papers are related to Christianity compared to 134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papers, so the papers studied in the Christian approach were not quantitatively sufficient compared to those studied in the general field. Second, studies on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in the Christian approach mainly measured individual-related variables such as mental health, stress, and depression. Third, research o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lan of smartphone addiction in Christian approach was conducted with a relatively small percentage(9.1%) of the total papers. Finally, the subjects of the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counseling conducted in the Christian approach were mainly Christian adolescents and young people.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studies for adult groups living in various media environments after COVID-19,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ve educational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심각해진 스마트폰 과의존 및 중독에 관한 실태와 현황을 조사하여, 기독교 접근에서 스마트폰 중독 상담에 관해 연구되어진 논문들을 중심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고, 기독교접근에서 상담의 개입에 관하여 총체적으로 검토하고 정리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논문들은 2000년부터 2021년 사이에 발표된 국내 논문들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선정과정을 거쳐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독교 분야에서 연구된 스마트폰 중독 상담의 담론지형과 쟁점들, 경향 및 영향력에 대해 선행적으로 연구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메타 분석함으로써 기독교 접근의 상담적인 노력과 연구들을 고찰하여 기독교인에게 있어서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의 문제를 해결하는 미래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따르면, 먼저, 전체 스마트폰 중독 상담 134건, 스마트폰 중독 상담치료 34건에 비해 기독교와 관련한 스마트폰 중독 상담은 20건으로 분석된 것으로 보아 기독교접근에서 스마트폰 중독 상담에 관해 연구된 논문들은 일반영역에서 연구된 논문에 비해 정량적으로 부족할 뿐 아니라, 기독교 신앙과 상담의 적용에서 다양한 주제를 다루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독교 접근의 스마트폰 중독 상담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정신건강, 스트레스, 우울 등의 개인관련 변인을 측정하였다. 셋째, 기독교 접근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는 전체 대상논문 중 1편으로 9.1%로 비교적 적은비율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마지막으로, 기독교접근에서 진행된 스마트폰 중독 상담에 관한 연구의 대상들은 주로 기독 청소년과 청년이었다. 코로나19이후 다양한 미디어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는 성인그룹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과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디자인씽킹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미라,제남주,이도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을 수강하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디자인씽킹 기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 후 적용하여, 공감, 창의적 성향, 문제해결능력,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방법 본 연구는 학생참여형 수업인 디자인씽킹 교수법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입증하기 위한 단일군 시계열 전후 실험설계(one-group time-series pretest-posttest design) 연구이다. G시에 소재하는C대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간호대학생 41명을 대상으로 15주 동안 진행하였다. 수업 전⋅후 자가보고설문을 통하여 그 차이를확인하였으며,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효과검증을 하였다. 가설 검증은 Repeated Measure ANOVA, Friedman test,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디자인씽킹 수업모형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후 연구대상자의 공감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F=0.66, p=.521), 창의적 성향(x2 =11.63, p=.003), 문제해결능력(F=5.77, p=.006), 돌봄효능감의 점수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18, p=.047). 따라서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에 디자인씽킹을 적용한다면,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이 증진될 것이라 예상된다. 이를 통해 돌봄 과정에서 돌봄 효능감이 향상 될 것이고 간호의 질적 향상을 불러 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결론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디자인씽킹 기반 시뮬레이션 실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간호실습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특성을 확인할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추후 현장에서 요구하는 지식 및 기술 등의 교육에 활용하여 실질적인 직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현장적응성 및 간호대학생의 간호실습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길 기대한다.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 분석 및 연구
박미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0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2
This study closely analyzed the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general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fou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general Education Counsel Department. This study presented a balanced curriculum of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with above analysis.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focused on the educational operation process of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s and general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s, such as educational goals, subjects, and counseling practical training. The Christian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nd the general Education Counseling Department are often combined with departments such as Christian Education, Youth, Children and Youth, and Lifelong Educ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majors, so the basic subjects of the department were analyzed to have a higher percentage of subjects than counseling subje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both departments lacked a considerable number of subjects related to counseling practical training. In the counseling course, the subjects of personal analysis, education analysis, counseling ethics, and counseling case super-vision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ounselors are still lack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order to train counselors, it was analyzed that the system of systematic clinical practice system, various counseling analysis for counselor education, and the expansion of super vision subjects were urgently needed. In a modern society where the demand for counseling and the need for counseling experts are increasing as society becomes more complex, it is hoped that Korean universities will be able to actively contribute and cooperate in developing models of counseling education and training counseling experts through them, focusing on standardized indicators for fostering counselors.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교육과정에 관한 현황과 문제점을 찾아 논의하고 기독교교육상담학과의 균형 잡힌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교육목표, 교과목, 상담실습 등의 교육운영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는 융합전공 학과의 특징을 가지고 기독교교육, 청소년, 아동·청소년, 평생교육 등의 학과와 교육상담학과가 합쳐진 경우가 많아 그에 대한 학과기초 과목들이 상담교과목들 보다는 교과목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독교교육상담학과와 일반교육상담학과의 실습관련 교과목을 비교하였는데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두 학과 모두 개설된 실습관련 교과목수가 상당히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개설된 상담학 교과목에서 상담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개인분석, 교육분석, 상담윤리, 상담사례 수퍼비전의 교과목들은 아직도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담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임상실습 시스템의 체계와 상담자교육을 위한 다양한 상담분석 및 수퍼비전의 교과목들의 확대가 시급한 실정으로 분석되었다.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상담의 요구와 상담전문가의 필요가 높아지는 현대사회에서, 한국의 대학들이 상담자 양성을 위한 표준화 된 지표를 중심으로 상담교육의 모델을 개발하고 그를 통해 상담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협력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차년도 자료(2013-2016) 활용
박미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health status of middle - aged women aged 40-60 years and to provide nursing care for improv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middle-aged women. Data were stratification sampling by sex and age, utilized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3-2016), and reflected a weight. The variable were age, economic statel, sleep time per day, time spent sitting per day, subjective body recognition,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Result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age, the wors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less the economic activity, the less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The more perceived stress was, the less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as. The more that the subjective body perception is closer to obesity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poor. The higher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in everyday,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subjects'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degree of perceived stress, the subjective body recognition, age and job state among the various health-related factors. Also, It is required to find the factors affecting stress, age, subjective body recognition and to provide care for middle-age women of at that time. 본 연구는 만 40-60세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 추후 중년여성의 주관적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간호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차년도 자료(2013-2016)를 이용하여 성별과 연령으로 2차 층화추출 하였고 가중치가 적용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변수로는 연령, 경제활동상태, 하루평균 수면시간, 하루동안 앉아 있는 시간, 주관적 체형인식, 스트레스 인지정도로 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연령이 높을수록 좋지 않았으며,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 않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는 좋지 않았다. 주관적 체형인식이 비만에 가깝다고 인지할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는 좋지 않았다. 스트레스 인지 정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는 좋지 않았다. 주관적 건강상태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 인지정도(β= -.233)이였고, 그 다음으로는 주관적 체형인지(β= .184), 연령(β= .081), 직업유무(β= .070)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주관적 건강상태의 향상을 위해서 중년여성의 연령과 직업유무에 따른 스트레스 감소와 주관적 체형인지 증가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마련이 요구되며, 이를 도와줄 수 있는 간호제공이 필요하다.
LMS 수업환경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미라,윤지원,제남주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immer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It also determines the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immersion in LMS classroom environment for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answered by 138 college students in G province on November 1 to November 7, 2022. These were analyzed using SPSS WIN/25.0. The questionnaire, also the research tool, is composed of 144 questions measuring general characteristics,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immersion in smart LMS classroom environmen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their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hile the difference of variables was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ect.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immersion were obtained by stepwise regression. The factors most influencing the subject's learning immersion wer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β= .680, p< .001) and teaching presence (β= .200, p= .034).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49.6%.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immersion, an online environment that enables learners to recognize and practice the importance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rough continuous and active monitoring of instructors is required. 본 연구는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 정도와 이들 변인들의 관계를 파악하고, 대학생을 위한 LMS 수업 환경에서의 학습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22년 11월 1일부터 11월 7일까지 G도 소재 대학생 13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로 자료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인 특성,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을 측정하는 14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 평균, 표준편차로 측정하였고, 변수의 차이는 t-검정, 일원분산분석, Scheffe's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Pearson의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파악되었다. 피험자의 학습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조절학습능력(β=.dll, p<.001)과 교수존재(β=.200, p=.034)였다. 모형의 설명력은 49.6%였다. 학습몰입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모니터링과 학습자가 자기조절적 학습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할 수 있는 온라인 환경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