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이후 일본의 배외주의와 재일조선인

        이승희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6 일본학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flow of the chauvinism occurring in Japan after the modern times to contemplat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fore and after the war. In general, the academic circle of Japan has the well established assertion that “Japan has the right wing but it does not have the extreme right wing”, and there is wide spread perception that the social movement in chauvinism as the leading front has emerged in the recent days. In December 2006, Zaitokukai (在特會: meeting of citizens who do not recognize special privileges to Koreans in Japan) was organized to undertake the chauvinism movement to stir the social scandal with aggressive hatred against Korea, demonstration of denouncement of those Koreans in Japan as well as assembly for such causes. Obviously, when considering in history, the right wings and chauvinism of Japan do not necessarily exist in consistency but certain part of overlapping areas in their assertions, characters and theoretical basis that the relativity cannot be completely denied. In addition, the exclusive policies of Japanese government and the hatred and discrimination recognition of private society against Koreans in Japan have been steadily existed from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ruling period that calls for attention. Under this article, the focus is on Koreans in Japan as the target of the chauvinism in Japan in particular that the contemplation on the influence on the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s in Jap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with the view of despise of Japanese against Koreans during the modern period, and therefore, such traditional view of despise against Koreans has been handed down to the recently emerged chauvinism. 본고의 목적은 근대시기 일본인들이 갖고 있던 재일조선인 멸시관과 적대감이어떻게 전후시기로 계승되어 최근 대두한 배외주의로까지 연결되었는지 그 연속성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근대 이전 일본인의 조선 및 조선인에 대한 인식을 형성시킨 것은 ‘진구황후의삼한정벌’ 전설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침략이었다. 근세에 이루어진 조선침략의 경험은 기존의 ‘삼한 정벌’ 전설을 보완하며 그 ‘복속’의 대상이었던 조선및 조선인에 대한 멸시관과 일본인의 우월감을 형성하였다. 근대 이후 일본인과조선인이 본격적으로 접촉하기 시작한 때에도 기존의 조선인멸시관은 계승되었고, 문명과 야만의 틀에 의해 더욱 강화되었다. 일본인의 조선 및 조선인에 대한 멸시관은 한국병합 직후부터 본격적으로 일본으로 건너가기 시작한 재일조선인들에 대한 차별인식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었다. 재일조선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본국의 일본인들이 각지에서 재일조선인을 직접 접할 기회가 많아졌지만 여전히 기존의 멸시관에 더해 3.1운동 이후‘위험’하다는 적대적 인식도 갖게 되었다. 특히 노동현장 등에서 감시와 단속을통해 재일조선인과 자주 접하던 경찰 및 사법 관계자들은 더욱 부정적인 인식을갖고 재일조선인을 경계하고 차별하였으며, 가급적 일본으로의 유입을 막고 치안유지에 ‘위험’한 재일조선인들을 조선으로 돌려보내고 싶어 했다. 제국주의 일본이 패전하고 민주주의 국가로 전환된 후에도 재일조선인에 대한인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침략과 식민지배의 역사에 대한 일본사회의 반성이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재일조선인에 대한 멸시관은 여전히 존재하였고, 패전 직후의 혼란기를 이용하여 암시장을 비롯한 부정한 수단으로 일본의 부를갈취하고 생활보호를 수급하는 부담스러운 존재로까지 인식하기 시작했다. 또한1940년대 말 냉전의 진행으로 인해 특히 좌파 계열의 재일조선인을 위험시・적시하고 일본 내에서 배제하기를 원하는 배외주의 의식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움직임은 일본정부로 하여금 재일조선인의 권리를 제한하는 각종 제도적 차별 실시와 일본 국내에서 좌파 계열의 재일조선인을 사실상 추방하는 재일조선인 북송근대 이후 일본의 배외주의와 재일조선인∙이승희 93 사업으로 연결되었다. 민간사회에서도 재일조선인은 신체적인 폭력을 행사 당했으며, 일상적으로 취업, 진학, 결혼, 주거 상의 차별을 받으며 정신적인 고통을 강요받아야만 했다. 1970년대에 이르러도 일본인들은 여전히 기존의 멸시관과 적대감에 근거하여 재일조선인을 바라보고 차별을 가하고 있었으며, 결국 재일조선인들은 출신을 숨기기 위해 일본식 통명을 사용해야만 했다. 일본 정부와 민간사회는 재일조선인에게차별이 싫으면 귀화를 하라는 입장을 취하며 전전 시기와 다름없는 동화 압력을가해왔다. 멸시관과 적대감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타자의 존재를 인정하지 못하고배격하려고 하는 일본사회의 배타적인 자세는 재특회와 같이 재일조선인을 타깃으로 한 극단적인 배외주의를 대두시키는 토양이 되었다. 인터넷상의 익명게시판 공간 등은 그동안 일본인들이 면면히 갖고 있었던 재일조선인에 대한 멸시관과 적대감을 배외주의로서 밖으로 토해내고 증폭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고, 재특회는 이를 기반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재특회는 재일조선인은 나태, 불결, 교활, 위험하다는 등의 전전 시기의 재일조선인 멸시관과적대감, 그리고 패전 직후부터 형성된 재일조선인에 대한 피해망상을 이어 받아이를 현재도 공공연하게 확대・재생산하고 있는 중이다.

      • KCI등재

        응용행동분석에서의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 모델

        이승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2

        In the first issue of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Baer, Wolf, and Risley (1968) presented generality as one of the 7 dimension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According to them, a behavior change may be said to have generality if it proves durable over time (that is, maintenance), if it appears in a wide variety of possible environments (that is, stimulus generalization), or if it spreads to a wide variety of related behaviors (that is, response generalization). Since th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has been a main concern in the field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in applied behavior analysis. To do this, first, generalization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stimulus generalization and response generalization), which were used interchangeably with ‘stimulus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and ‘response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respectively in this study. Next, maintena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kinds (‘maintenance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stimulus-generalized behaviors’, ‘maintenance of response-generalized behaviors’) based on the review performed in this study. Lastly, the two types of generalization and the three kinds of maintenance were set up as five aspects of generality (‘stimulus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response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stimulus-generalized behaviors’, ‘maintenance of response-generalized behaviors’) and a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was proposed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의 창간호에서 Baer, Wolf와 Risley(1968)는 응용행동분석의 7개 차원 중 하나로 일반성(generality)을 제시하면서 행동변화가 시간이 지나도 지속되거나(즉, 유지),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나거나(즉, 자극일반화), 또는 다양한 관련행동으로 확산된다면(즉, 반응일반화) 그 행동변화는 일반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이후 유지와 일반화는 응용행동분석 분야에서 주요 관심사가 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응용행동분석에서의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에 대한 모델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이승희(2021)의 연구를 근거로 일반화를 자극일반화와 반응일반화라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자극일반화와 ‘습득된 행동의 자극일반화’를 그리고 반응일반화와 ‘습득된 행동의 반응일반화’를 각각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의 고찰을 근거로 유지를 ‘습득된 행동의 유지’, ‘자극일반화된 행동의 유지’, ‘반응일반화된 행동의 유지’라는 세 가지 종류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일반화의 두 가지 유형과 유지의 세 가지 종류를 일반성의 5개 측면(습득된 행동의 자극일반화, 습득된 행동의 반응일반화, 습득된 행동의 유지, 자극일반화된 행동의 유지, 반응일반화된 행동의 유지)으로 설정하고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 모델을 본 연구의 결론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국내 및 해외브랜드 여성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이승희,임숙자 한국의류학회 1998 한국의류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nsumers' evaluation, evaluation criteria and preference factors, complaint factors on domestic brand apparel with consumers' responses on foreign brand apparel. 498 subjects were gather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for data analysis, mean, t-test, ANOVA, Duncan test,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l . Among the purchasing groups of domestic/foreign brand appar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arel evaluation according to fabric, style, sewing, versatility, match, washability and color. 2. Among the purchasing groups of domestic/foreign brand appar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arel evaluation criteria according to price, match, brand name, washability. 3. Purchasers of domestic brand apparel preferred soft and light fabric, fabric of good tactility, simple and sophisticated style whereas purchasers of foreign brand apparel preferred soft and light fabric, fabric of high quality, elegant and sophisticated style. On apparel color prefer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purchasing groups of domestic/foreign brand apparel. 4. The differences in complaint factors of apparel among the purchasing groups of domestic/foreign brand apparel were due to factors such as high quality and variety of fabrics, colors, items, styles.

      • KCI등재

        Proletarian-Amateur Theater: Political Performativity and its Memory

        이승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09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9 No.1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letarian-amateur theater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a popular mechanism through which to promote socialism as a cultural experience, while simultaneously employing it as a form of art partaking in the formation of socialist culture. Proletarianamateur theater that could communicate with the masses was in large part the result of the successful socialist appropriation of the people's taste for sinp'a[new wave drama]. To this end, proletarianamateur theater also exhibited similar characteristics when it came to the performance methods employed. Proletarian-amateur theater was generally staged in combination With other types of cultural forms, and this hybrid Construction is characterised as "subversive bundle sale". However, the tightening of performance regulations from the late 1920s onwards caused proletarian-amateur theater to exist solely within the "subversive" invisible sphere, termed here as the absent presence. While the emergence of proletarian-amateur theater was indigenous in nature, its collapse was occasioned by the coercive exercise of colonial power. This result came as part of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politics of space to proletarian theater, a move dividing the center from the periphery, controlling performances through the deliberate separation of political and artistic practices. The experience of proletarian-amateur theater was stored as inactive energy in individuals' biological memories. Over time, this became a cultural memory which could be activated at any moment once circumstances became conducive to such an emergence. The passionate reactions exhibited after the liberation of the nation in 1945 stand as a salient example of this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