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경관인식에 따른 산지경관 관리 가치 연구

        민수희,장효진,정윤희,송정은 한국조경학회 2018 韓國造景學會誌 Vol.46 No.3

        Recently, the conservation of mountainous landscape and compensation for diverse demands for mountain areas such as leisure, recreation and welfare are under discu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ion the perception of mountainous landscapes by those who view and recognize the landscapes and to estimate economic value by estimating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management of mountainous landscapes. This study will provide data for the management of mountainous landscap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erception between the territorial landscape and the mountain landscape, the mountain scenery was 3.96, the management level satisfaction was 3.28, and the management necessity was 4.38, which was higher than the national landscape, while the national landscape was satisfactory but the management level was insufficient. Jeju Island (39.0%) and Gangwon (38.6%) were chosen as the most scenic areas with beautiful forest and mountainous landscape resourc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vast skyline of mountain scenery, the background of the area, and the mountainous landscape that forms the landmark were evaluated highly. And, it is considered that consciousness of mountainous landscape management is heightened by 86.8% of respondents, who positively answered the Mountainous Landscape Visual Impact Assessment before the development project. The per capita payment amount for mountainous landscape management was calculated to be 3,742 won and, based on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mountain National Parks in 2016, it is estimated to have an economic value of about 169.5 billion won. Policymakers have limitations in the mountainous landscape management policies of the administrative subject. Establishing a consensus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landscape management by diagnosing the status of public perception is expected to help create more effective policy direction and implement strategies for the management of these areas. 본 연구는 국토의 골격을 형성하는 산지경관의 보전과 여가․휴양 및 복지 등의 다양한 산지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합리적 경관관리 수단이 요구되는 시점에 실제 경관을 바라보고 인식하는 주체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산지경관 인식을 조사하고, 산지경관 관리를 위한 지불용의성 평가(WTP)를 통해 경제적 가치를 추정함으로써 산지경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국토경관과 산지경관 인식비교 결과, 산지경관은 경관미 3.96, 관리수준 만족도 3.28, 관리의 필요성 4.38로 국토경관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국토경관의 경관미는 만족하나 관리 수준이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경관이 아름다운 지역으로 수려한 산지경관자원이 풍부한 제주(39.0%), 강원(38.6%) 순으로 선정되었다. 이들은 산지경관의 광활한 스카이라인과 지역의 배경이자 랜드마크를 형성하는 산지경관의 심미적 특성을 높게 평가하였으며, 개발사업 전 산지경관영향검토 수행 필요성에 대해 응답자의 86.8%가 찬성함으로써 산지경관 관리에 대한 의식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지경관 관리를 위해 지불하고자 하는 1인당 지불의사금액은 3,742원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는 2016년 산악형 국립공원 방문객 수를 기준으로 환산하면, 약 1,695억 원의 경제적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추정된다. 산지경관은 행정주체의 정책만으로 관리하기에 한계가 있다. 국민의 경관인식 현황을 진단함으로써 경관관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실효적인 정책방향 수립과 산지경관 관리가 추진되길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중요도-성취도분석을 통한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 연구

        민수희,정윤희,주우영,장효진,Min, Su Hui,Jeung, Yoon Hee,Joo, Woo Yeong,Jang, Hyo Ji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1

        본 연구는 산지경관의 자연친화적 보전과 합리적인 이용을 위해 운영되는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를 활성화하고자 제도의 현황분석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업무관계자를 대상으로 제도개선 설문조사를 실시해 제도의 개선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산지경관영향검토서 작성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관련 유사제도의 운영지침을 비교하고, 실제 산지전용을 위해 제출된 경관영향검토서를 분석하였다. 또한 관계자를 대상으로 중요도-성취도(IPA) 분석을 실시하여 산지경관영향 검토서의 효율적 작성과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 활성화를 위한 우선 개선항목 도출과 관계자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IPA 분석결과, 산지경관영향검토서의 효율적 작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적 맥락을 고려한 산지경관 자원조사', '객관적인 조망점 선정'과 '경관영향 훼손 검토기준의 구체화' 항목이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경관영향검토서 작성 검토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 제공'이 우선 개선되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유사 경관심의 및 경관영향검토제도와의 차별화 및 연계'를 통해 산지경관의 고유성과 경관적 특성을 고려한 경관영향검토 기능의 강화와 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Mountainous Landscape Impact Review(MLIR) system for the conservation and eco-friendly use of mountain scene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MLIR system,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MLIR official guidelines and the 100 MLIR reports submitted to the Korea Forest Service from 2011 to 2013. In addition,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was conducted to take into account stakeholder opinions and to determine the first priorities to be improved upon in operation and functions of the MLIR system. The results of the IPA in evaluating the MLIR system showed that the components in the MLIR system that should be primarily improved are mountainous landscape resource inventory, objective and quantitative selection of viewpoints, and a checklist for examining the damage expected in mountainous lands. To Revitalize the Mountainous Landscape Impact Review system,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stakeholders should be enhanced by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MLIR system over the short-term, while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MLIR system should be reinforced by differentiation and connectivity of the MLIR system with similar institutions, and by emphasizing the uniqueness and properties of mountainous landscapes over the long-term.

      • KCI등재

        국유림 장기미집행공원의 입지특성을 고려한 유형 분류

        민수희,송정은,이혜림,정성엽 한국경관학회 2022 한국경관학회지 Vol.14 No.2

        The National Assembly amended the 「Parks and Green Areas Act」 to prevent large-scale loss of parks and green spaces for implementing the Urban Park Sunset Provision in 2020. The long-term unexecution parks cancellation deadline of 20 years has been revised. The government made it invalid if the park project is not implemented until 30 years from the date of the decision to be selected as an urban park only for public land. As a result, 6,142ha of long-term unexecuted parks among national forests belonging to the Korea Forest Service were scheduled to lose their effect, but the enforcement was postponed. National forests in the city center perform urban ecosystem maintenance, environmental improvement, rest, and emotional cultivation of urban residents. However, each lot ‘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location and scale, conditions are different, so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actual situation and classify the types for systematic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long-term unexecuted parks corresponding to 6,142ha in national forests. Three type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ccessibility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nine indicators were superimposed and analyzed.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their legal regulation strength, slope, disaster risk.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forest age class, Ecological Map, forest function classification. Finally Accessibility was road accessibility, public transport accessibility, and population dens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national forests in Korea are classified in the order of conservation type 3,157ha (51.4%), management type 2,383ha (38.8%), and usability type 601ha (9.8%).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ypes are distributed over a large area of 5ha or more around downtown national parks and large-scale conservation mountain areas. In contrast, usability type is distributed over small plots. This study,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long-term unexecuted park management plans for national forests and implementing public forestry projects.

      • KCI등재

        VI분과 :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산림경관 선호도 평가에 관한 연구

        민수희 ( Su Hui Min ),이천용 ( Chun Yong Lee ),주우영 ( Woo Yeong Joo )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3

        본 연구는 산림에서의 여가, 휴양 및 산림복지 등 녹색서비스와 공익적 가치 증대로 산림경관 조성과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다원적 가치를 지닌 산림경관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산림경관선호도 평가 및 경관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백두대간 보호지역 내 점봉산, 소백산 산림경관을 대상으로 시·청각 경관형용사를 활용한 경관평가를 실시하고 사운드스케이프 유무에 따른 산림경관 선호도 및 선호요인, 경관유형별 경관특성(자연성, 음향성, 매력성, 심미성)을 도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사운드스케이프가 산림경관 선호도와 경관특성에 긍정적인 상관성을 지녀 이용자의 산림경관 선호도와 경관의 질적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된 본연구결과는 산림경관을 보는 경관뿐만 아니라 듣는 경관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계기이자 산림경관 내 사운드스케이프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oundscapes on forest landscape preference in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The study sites were selected in Jeombongsan and Sobaek National parkselected within the Baekdudaegan. The landscape preference surveys were conducted by using landscapeadjectives classified with Nature, Sound, Attractiveness, and Aesthetics. The comparative analyses examined thedifference of preferences between only visual landscapes and visual landscapes with soundscapes. The researchfound out that soundscapes were associated with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mprovement in landscape preference. Thus, the research can infer that forest landscape assessment considervisual attributes as well as soundscape cues.

      • KCI등재

        슬로시티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민수희 ( Min Su-hui ),권윤구 ( Kwon Yoon-ku ),주신하 ( Joo Shin-ha ),임승빈 ( Im Seungbin ) 한국경관학회 2016 한국경관학회지 Vol.8 No.1

        최근 농촌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인식의 전환으로 지속가능한 농촌 발전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의 고유성과 진정성, 다양성을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지역도시의 대안적 모델로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슬로시티의 정책 및 사업추진에 활용할 수 있는 슬로시티 성과지표를 개발함으로써 슬로시티의 지속적인 성장 및 발전을 위한 분석평가 도구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와 슬로시티 국내인증항목을 바탕으로 슬로시티 평가를 위한 슬로시티 성과지표를 도출하였으며, AHP를 적용하여 슬로시티 성과평가 지표별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슬로시티의 성과평가 지표 도출을 위해 1) 슬로시티와 기존 농촌사업 평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함으로써 개념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2) 기존문헌과 슬로시티 심사항목 검토를 통한 예비성과 72개 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 검증을 실시하였다. 3) 슬로시티에 적절한 예비성과 평가지표를 환경적 영향, 사회문화적 영향, 경제적 영향으로 구분하고, 7개의 상위항목, 29개의 세부성과지표를 도출하였다. 2. AHP 전문가 설문을 통해 가중치를 산정한 결과, 사회·문화적 영향의 가중치가 높게 도출되었다. 이는 전문가들이 슬로시티의 경제적 편익의 증대보다 사회문화적 상호작용에 더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교육을 통해 지역의 보전에 대한 이해 증진을 바탕으로 하는 느린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고려하였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3. 세부성과지표로는 '녹색경관 유지·보호 및 생태 건축 촉진 노력', '지역자원의 지속적인 보전 노력', '슬로시티 내 주민 삶의 질 향상', '지역의 문화행사 보존 및 촉진노력' 등이 높은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차지하였다. 슬로시티가 지역의 정체성·전통성의 회복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고, '느리게 사는 삶'을 지향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고자 하는 슬로시티의 이념 실현을 위한 필수적인 항목들이 가중치와 우선순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도출된 슬로시티 성과평가 체계는 자체 모니터링 및 성과점검을 위한 객관적 평가체계의 구축 및 구체적인 평가 수단을 제시한 데, 그 의의가 있다. 슬로시티의 모니터링 및 자가 평가를 위한 성과평가는 예상되는 문제점의 해소와 당초 취지가 제대로 실천되고 있는지를 점검 및 피드백을 통하여 슬로시티의 운영 및 관리측면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내의 슬로시티의 객관적 성과평가를 위한 자료 제공 및 국내 슬로시티의 개선과 발전, 지속적인 유지를 위한 방향 모색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Korean rural areas are becoming the center of strategy of regional development as a new leisure space and a complex settlement space with green growing power due to the conversion of recognition on the plural functions of rural areas. In particular, as the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rural areas spreads, the interest in 'slow city' as an alternative model of sustainable regional city pursuing peculiarity, authenticity and diversity of regions is increasing. This study drew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slow city with the verification of experts by drawing the preliminary performance indicators of slow city on the basis of literature examination and the items of domestic certification and drew the weights for each indicator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slow city through survey of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ut the existing previous studies on similar rural areas business and the essential items of certification of slow city together to draw the indicators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slow city and then drew 3 categories, 7 parent items and 29 detailed performance indicators composed of environmental,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influences suitable to the realities of Korea through verification of exper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weights and priorities of performance indicators by applying AHP, the weights of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were high. This result were conducted due to the experts are interested in the interaction of sociocultural more than the economic benefits of slow city, and also, the experts concentrate with the slow exchange through the education of conservation of the region. Third, as detailed performance indicators, 'the efforts to maintain and protect green landscape and to facilitate ecological architecture', 'the efforts for continuous conservation of regional resources',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within slow city', 'the efforts to conserve and facilitate the regional cultural events' and so on had high weights and priorities. It was checked that as slow city plans the regional vitalization through recovery of identity and traditionality of regions and aims for 'slow life', the weights and priorities of the items that are essential for the realization of slow city intending to pursue the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were drawn as high. Like thi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practical study that attempted the evaluation of actual slow city drawing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slow city and setting the weights of performance indicators and utilizing the drawn performance indicators. It is expected that the performance evaluation drawn for the monitoring and self-assessment of slow city will contribute to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slow city through the check on whether the solution of expected problems and the original purpose are being properly conducted or not and feedback.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to provide the data for quant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of Korean slow city and to grope for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 development and continuous maintenance of Korean slow city.

      • KCI등재

        통합 산림자원 관리와 디지털 산림정보 구축 지원을 위한 유역 기반 표준산림관리단위의 설정과 활용

        노영희,민수희,홍성희,송정은,손학기,김종민 한국지도학회 2023 한국지도학회지 Vol.23 No.2

        For efficient forest management, forest zoning methods must be defined with a certain spatial unit. Currently, national forests are divided into compartment and sub-compartment, and public and private forests are divided into parcel units. This dual spatial division system is not efficient in terms of unified forest planning and management. It can also lead to difficulties in creating and managing spatial forest information in the long-term perspective. In this study, we introduced forest zoning system based on mountain ridge watersheds and conducted an overlapping analysis with the current forest zoning system such as compartment and sub-compartment, working plan area, and forest thematic maps for utilization. As a result, we examined the spatial suitability of each scale of forest watershed unit proposed as a standard forest management unit and proposed the utilization of mountain ridge watershed-based standard forest management units for forest management and forest digital spatial data construction.

      • KCI등재

        꿀샘식물 아까시나무의 지위지수 도출 및 직경분포 변화

        김소라,송정은,박천희,민수희,홍성희,윤준혁,손영모 한국산림과학회 202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1 No.2

        We conducted this study to derive the site index, which is a criterion for the planting of Robinia pseudoacacia, a honey plant, and to investigate the diameter distribution change by derived site index. We applied the Chapman-Richards equation model to estimate the site index of the Robinia pseudoacacia stand. The site index was distributed within the range of 16-22 when the base age was 30 years. The fitness index of the site index estimation model was low, but we judged that there was no problem in the application because the residual distribution of the equation had not shifted to one side. We used the Weibull diameter distribution function to determine the diameter distribution of the Robinia pseudoacacia stand by site index. We used the mean diameter and the dominant tree height as independent variables to present the diameter distribution, and our analysis procedure was to estimate and recover the parameters of the Weibull diameter distribution function. We used the mean diameter and the dominant tree height of the Robinia pseudoacacia stand to show distribution by diameter class, and the fitness index for dbh distribution estimation was about 80.5%. As a result of schematizing the diameter distribution by site indices as a 30-year-old,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site index, the more the curve of the diameter distribution moved to the right. This suggests that if the plantation were to be established in a high site index stand, considering the suitable trees on the site, the growth of Robinia pseudoacacia would become active, and not only the production of wood but also the production of honey would increase. We therefore anticipate that the site index classification table and curve of this Robinia pseudoacacia stand will become the standard for decision making in the plantation and management of this tree. 본 연구는 꿀샘식물인 아까시나무의 적지적수 조림을 위해 판정기준인 지위지수를 도출하고, 도출된 지위지수별 경급별 분포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아까시나무 임분의 지위지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적용한 모델은 Chapman-Richards식이었다. 도출된 식에 따르면, 우리나라 아까시나무의 지위지수는 기준임령이 30년 일 때 16~22 범위 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위지수 추정 모델의 적합성은 약 37%정도로 낮았으나, 식의 잔차분포가 한쪽으 로 치우지지 않아(bias -0.0030) 활용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까시나무 생장에 따른 지위별 직경분포를 구명 하기 위해서는 Weibull 직경분포함수를 이용하였다. 직경의 분포를 나타내는 인자로 평균직경과 우세목 수고를 설명변수 로 하였으며, 이들은 Weibull 직경분포함수의 모수를 추정하고 복구하는 단계를 거쳤다. 최종적으로는 아까시나무 임분의 평균직경과 우세목 수고로서 직경급별 분포를 나타낼 수 있었으며, 분포 추정에 대한 설명력은 약 80.5%인 것으로 나타났 다. 지위지수별 직경분포를 30년생 기준으로 도식화한 결과, 지위지수가 높을수록 직경분포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적지적수를 고려하여 지위지수가 높은 곳에 조림한다면 아까시나무의 생장이 왕성해져 용재생산 뿐만아 니라 꿀 생산도 많아질 것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아까시나무 지위지수분류표와 곡선이 꿀샘식물인 아까시나무 를 조성 및 관리함에 있어 의사결정의 기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사운드스케이프 다양성을 고려한 산림경관평가기법 연구

        장효진(Jang, Hyo Jin),민수희(Min, Su Hui),주우영(Joo, Woo Yeo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5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7 No.2

        산림경관은 지형, 생태, 심미적 가치가 복합된 주요 자연환경요소 중 하나로, 최근 산림경관의 다원적 가치를 고려한 경관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시각 중심의 산림경관평가에서 벗어나 산림경관의 심미성뿐만 아니라 식생을 위주로 한 생태성과 사운드스케이프를 고려한 산림경관평가기법(Integrated Forest Landscape Assessment:IFLA)을 제시하고 강원도 점봉산을 대상으로 평가기법을 적용하였다. 식생다양성과 시각적 민감도 평가 결과를 중첩하여 종합적 산림경관 등급을 총 4개로 구분하였다. 1등급 지역은 식생 등급이 우수하여 경관관리요구가 높고 4등급 지역은 비교적 시각적 민감도가 낮은 지역으로 개발사업으로 인해 산림경관이 훼손된 지역이고 경관의 복원 및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산지의 고도에 따른 지형유형(산정형, 산록형, 계곡형), 중첩등급결과, 사운드스케이프 다양성의 유의성이 확인되었으며 사운드스케이프 다양성을 고려한 산림경관 평가기법의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Forests are considered the nature ecosystem to require landscape management as important preferred landscape. The research suggested that the forest landscape assessment method to integrated soundscape diversity and ecological properties with the traditional landscape assessment based solely on a visual aspect. We attempted to prove the effectivity by applying the new assessment tool to the forest landscapes in Mt. Jumbong in Gangwon-do. The Integrated Forest Landscape Assessment (IFLA) was drawn by overlaying the results of visual sensitivity with the ones of vegetation diversity, classifying the forest landscape to four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accounts for the forest landscapes with the highest visually sensitive and ecologically sound area, and thus requires the greatest landscap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n the other hand, the Forth category includes the forest landscapes with ecological degradation by land development to some degree and visually less influenced area which rather requires landscape restoration. This study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scape classification by IFLA and soundscape diversity in accordance with three landscape types(ridges, hillsides, and valle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