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중요도-성취도분석을 통한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 연구

        민수희,정윤희,주우영,장효진,Min, Su Hui,Jeung, Yoon Hee,Joo, Woo Yeong,Jang, Hyo Ji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1

        본 연구는 산지경관의 자연친화적 보전과 합리적인 이용을 위해 운영되는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를 활성화하고자 제도의 현황분석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업무관계자를 대상으로 제도개선 설문조사를 실시해 제도의 개선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산지경관영향검토서 작성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관련 유사제도의 운영지침을 비교하고, 실제 산지전용을 위해 제출된 경관영향검토서를 분석하였다. 또한 관계자를 대상으로 중요도-성취도(IPA) 분석을 실시하여 산지경관영향 검토서의 효율적 작성과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 활성화를 위한 우선 개선항목 도출과 관계자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IPA 분석결과, 산지경관영향검토서의 효율적 작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적 맥락을 고려한 산지경관 자원조사', '객관적인 조망점 선정'과 '경관영향 훼손 검토기준의 구체화' 항목이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산지경관영향검토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경관영향검토서 작성 검토에 대한 구체적 가이드라인 제공'이 우선 개선되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유사 경관심의 및 경관영향검토제도와의 차별화 및 연계'를 통해 산지경관의 고유성과 경관적 특성을 고려한 경관영향검토 기능의 강화와 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제고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the Mountainous Landscape Impact Review(MLIR) system for the conservation and eco-friendly use of mountain scene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MLIR system,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MLIR official guidelines and the 100 MLIR reports submitted to the Korea Forest Service from 2011 to 2013. In addition,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was conducted to take into account stakeholder opinions and to determine the first priorities to be improved upon in operation and functions of the MLIR system. The results of the IPA in evaluating the MLIR system showed that the components in the MLIR system that should be primarily improved are mountainous landscape resource inventory, objective and quantitative selection of viewpoints, and a checklist for examining the damage expected in mountainous lands. To Revitalize the Mountainous Landscape Impact Review system,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stakeholders should be enhanced by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MLIR system over the short-term, while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MLIR system should be reinforced by differentiation and connectivity of the MLIR system with similar institutions, and by emphasizing the uniqueness and properties of mountainous landscapes over the long-term.

      • KCI등재

        산지 내 풍력발전단지 입지 특성 및 적합성 분석

        권순덕 ( Soon Duk Kwon ),주우영 ( Woo Yeong Joo ),김원경 ( Won Kyung Kim ),김종호 ( Jong Ho Kim ),김은희 ( Eun Hee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산지 내 풍력발전단지 입지 적합성 분석을 통해 입지선정 가이드라인과 산지훼손 최소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풍력발전단지 입지 적합성 분석을 위해 국내외 사례 및 현장조사, 연구문헌 고찰을 통해 산지 내 풍력발전단지 입지선정을 위한 요인을 도출하고, 요인별 세부항목 및 가중치를 결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각 항목별 세부평가기준을 수립함으로써 입지 적합성 모델을 개발하였다. 강원도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풍력자원·밀도 데이터, 법적 산지보전지역, 입지 기준 요인·항목별 자료를 토대로 공간 DB를 구축하여 산지 내 풍력발전 입지가능지역을 도출하였다. 일정 개수 이상의 풍력발전기가 입지할 수 있는 풍력발전단지 잠재 입지가능면적의 추정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근린분석방법인 Block Statistics와 Focal Statistics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Block Statistics 방법에 의한 풍력발전기 잠재적 입지가능 면적은 1,261ha이며, Focal Statistics 방법에 의한 풍력발전기 잠재적 입지가능 면적은 1,411ha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규모 절성토에 의한 산림재해 발생 우려 및 산지경관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저감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a guideline for the suitability of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of policies and systems to minimize the damage of forest lands. First, we implemented a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s to examine and select factors for the suitability of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Spatial database for selected location factors of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was constructed to develop the suitability model for locating wind farm facilities focusing on Gangwon-do. Data used in this study include wind power resource, legal mountainous preserved area, forest roads, developed areas, forest class, and other spatial data. In order to find specific-sized potential areas for a certain number of wind farm turbines, we used block statistics and focal statistics methods. As a result, the areas for potential wind farm locations were 1,261ha from a block statistics method and 1,411ha from a focal statistics method. Based on the outputs of this research, it is required to make an urgent solution for the prevention of forest disaster and to prepare reduction measures for the destruction of ridge landscape.

      • 제5분과 : 계획 관리 및 서비스 ; 비무장지대(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의 생태적 의미와 보전 전략

        박은진 ( Eun Jin Park ),주우영 ( Woo Yeong Joo ),여인애 ( In Ae Yeo ),김철구 ( Chul Goo Kim ),최태영 ( Tae Young Choi ),최재천 ( Jae C Cho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한반도 비무장지대(DMZ)에 평화공원을 조성하여 남북관계 개선과 통일에 기여하기 위한 시도는 여러 가지 형태로 있어왔다. 현 정부에서도 ‘DMZ 세계평화공원’을 당초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상징적 결과물로서 추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하며 시작하였고, 남북관계 경색이 지속되는 현 시점에서는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으로 명칭을 바꾸어 추진하고 있다. DMZ 생태계 현황과 가치에 주목하는 것은 DMZ가 세계적으로도 가장 치열한 대립의 현장이면서도 인간을 제외한 생명들에게는 가장 평화로운 지역이라는 역설 때문이다. 이는 또한, 대립을 화해와 평화로 전환하게 만드는 가장 그럴듯한 명분과 상징을 제공하기 때문이며 DMZ를 국내외적 관심의 대상으로 계속 이끌어왔다. 하지만 DMZ의 생태적 가치를 실제 물리적인 공간 속에서 상징화하고 남북의 관계 개선 결과 또는 과정을 매개하는 실체로서 구체적인 개념과 방향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는 다소 관념적으로 DMZ 생태계를 상징화해왔다고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의 개념과 전략을 공간 속에서 구체화하는 과정에서도 난항을 겪고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이 갖는 중요한 생태적 개념과 의미를 제시하고, 전체 DMZ의 장기적 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 그리고 남북 협력을 위한 세계생태평화공원의 역할과 조성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당초 현 정부는 남북의 정치군사적 신뢰구축을 위한 대화의 시작점이자 신뢰구축의 상징적 결과로서 소규모(1㎢)의 평화공원을 DMZ 내부에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는 기존 접근과 달리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매개로서가 아닌 결과로서 DMZ 활용이 시작될 수 있다고 인식한다는 점에서 보다 현실적이고 실효적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소규모 평화기념공원 개념 접근은 기본적으로 과거지향적 반성과 기억으로부터 평화를 창출하기 때문에 미래발전을 위한 동력 생산은 미흡하다. 현재는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고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으로서 ‘생태’가 강조되었으나 생태적 이미지 강조 또는 친환경적인 공원 개발 수준에 머무를 우려가 있다.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의 생태적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DMZ 생태계의 특성과 가치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DMZ 생태계는 생물다양성의 보고이자 동시에 훼손된 생태계이다. 군사활동 교란에도 불구하고 높은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생태계이면서 남북의 하천과 산림이 형성하는 자연생태축을 단절시키고 인위적인 철책에 갇힌 위태로운 생태계이기도 하다. 또한, DMZ 생태계는 남한에서는 도시화와 산업화로, 북한에서는 산림 황폐화로 서식지를 잃은 야생동식물의 피난처이기도 하다. 냉전의 산물인 DMZ는 역설적평화와 생명의 원천이면서 새로운 통합과 지속가능발전의 시작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곳이기도 하다.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의 조성을 위한 생태적 개념과 기본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한반도DMZ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통일시대 미래비전을 먼저 설정하고 평화기념 상징공간과 접경보호지역이 결합된 새로운 모델로서 접근이 필요하다. 통일 이후 궁극적으로는 DMZ일원이 독일의 그뤼네스반트 지역과 유사하게 발전하도록 미래 비전을 설정하고, DMZ 자체가 거대한 평화기념공원이라는 인식 하에 DMZ 내부에 소규모 평화기념 상징공간과 함께 DMZ 외부의 인접지역을 넓게 포함한 접경보호지역 평화공원 협력공간을 동시에 추진하는 방안이 적합하다. 둘째, 끊어진 백두대간과 강줄기 및 생물 서식처의 연결을 위한 남북 협력공간으로서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DMZ에 의해 남북으로 나뉜한강하구, 임진강, 한탄강, 북한강의 강(江) 생태축과 백두대간 산(山) 생태축을 연결하고, DMZ 내부 생태계를 원천으로 남북한 각각의 지역에서 생태계서비스를 복원 증진시키는 협력공간으로서 자리매김될 필요가 있다. 셋째, DMZ세계생태평화공원은 지속가능발전과 사회통합의 미래발전패러다임 실현을 위한 교육과 실천의 공간으로서 역할이 필요하다. 지역적으로 생물권보전지역, 지질공원 등을 포함하여 생태관광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대안적 지역발전 모델을 제공하도록 확장될 필요가 있다.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주요 추진 전략으로는 DMZ 내부 소규모 상징공간을 포함하여 외부의 인접지역을 포함하면서 DMZ를 따라 여러 곳에 조성하는 남북연결·확장형 공원 형태의 공간 구성을 제안한다. DMZ 각지역별 특성과 내부의 상징적 의미, 외부 인접지역들과의 연결 관계를 반영하여 크게 네트워크 활용형, 동심원형, 대칭핵 연결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 체계적인 공간 구상과 핵심활동 발굴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활용형은 DMZ 내부의 상징공간이 외부의 연결요소들과 비슷한 정도로 활용되는 유형으로 다양한 생태, 문화, 사회요소들의 연결이 가능하다. 동심원형은 생물권보전지역과 유사하게 핵심, 완충, 전이지역으로 구분하고 DMZ 내부는 상징공간을 물리적으로 조성하지 않고 생태계 보호 및 연구활동이 가능한 핵심지역, 외부는 생태관광과 지역활성화 기반 강화 등의 완충·전이지역으로 구분하는 형태이다. 대칭형 연결형은 DMZ가 통로로 가능하여 남북의 핵심거점 또는 핵심 보호지역을 연결함으로써 단절된 남북 생태축을 연결하고 협력활성화가 가능한 형태이다. DMZ의 서부지역부터 동부지역까지 한강하구, 임진강, 한탄강, 북한강, 그리고 백두대간 생태축 연결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5개의 연결 지점을 거점으로 하는 세계생태 평화공원 조성이 가능하다. 한강하구인 판문점 일대 지역은 평화를 기념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자원(평화명소)들이 풍부하고 DMZ를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곳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활용형 공원을 조성하고 한반도DMZ연구소 설치가 가능할 것이다. 철원평야 일대의 경우는 근대역사유적, 생태환경, 지질경관 등 다양한 자원을 연결하는 지질공원형태의 네트워크 활용형 공원을 조성하고, 습지와 산림 등다양한 서식지를 활용한 멸종위기종 복원사업의 추진이 가능하다. 임진강과 북한강 지역은 동심원형이라 할 수 있는 생물권공원(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이 적합하며 지속가능발전 모델사업과 공동 유역관리 및 멸종위기종 복원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설악산과 금강산을 연결하여 한반도 백두대간 축을 연결·복원하고 설악산-금강산 생태관광 사업 등을 추진할 수 있는 대칭핵 연결형공원 형태가 적합하다.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은 DMZ 내 존재하는 다양성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통일 이후 생태·문화 자원의 보전과 사회경제적 이용을 촉진하는 지속가능발전 지역으로 만들 수 있도록 미래 비전과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상징적 공간이다. 이러한 접근 하에서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은 DMZ생태계 보전과 더불어 남북 자연생태계를 복원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시작점으로 기능하고, DMZ 생태계 보전이라는 공동 협력 과제를 통해 남북의 대립·갈등 관계를 완화하고 남북 평화의 동력으로 작동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운드스케이프 다양성을 고려한 산림경관평가기법 연구

        장효진(Jang, Hyo Jin),민수희(Min, Su Hui),주우영(Joo, Woo Yeo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5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7 No.2

        산림경관은 지형, 생태, 심미적 가치가 복합된 주요 자연환경요소 중 하나로, 최근 산림경관의 다원적 가치를 고려한 경관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시각 중심의 산림경관평가에서 벗어나 산림경관의 심미성뿐만 아니라 식생을 위주로 한 생태성과 사운드스케이프를 고려한 산림경관평가기법(Integrated Forest Landscape Assessment:IFLA)을 제시하고 강원도 점봉산을 대상으로 평가기법을 적용하였다. 식생다양성과 시각적 민감도 평가 결과를 중첩하여 종합적 산림경관 등급을 총 4개로 구분하였다. 1등급 지역은 식생 등급이 우수하여 경관관리요구가 높고 4등급 지역은 비교적 시각적 민감도가 낮은 지역으로 개발사업으로 인해 산림경관이 훼손된 지역이고 경관의 복원 및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산지의 고도에 따른 지형유형(산정형, 산록형, 계곡형), 중첩등급결과, 사운드스케이프 다양성의 유의성이 확인되었으며 사운드스케이프 다양성을 고려한 산림경관 평가기법의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Forests are considered the nature ecosystem to require landscape management as important preferred landscape. The research suggested that the forest landscape assessment method to integrated soundscape diversity and ecological properties with the traditional landscape assessment based solely on a visual aspect. We attempted to prove the effectivity by applying the new assessment tool to the forest landscapes in Mt. Jumbong in Gangwon-do. The Integrated Forest Landscape Assessment (IFLA) was drawn by overlaying the results of visual sensitivity with the ones of vegetation diversity, classifying the forest landscape to four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accounts for the forest landscapes with the highest visually sensitive and ecologically sound area, and thus requires the greatest landscap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n the other hand, the Forth category includes the forest landscapes with ecological degradation by land development to some degree and visually less influenced area which rather requires landscape restoration. This study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scape classification by IFLA and soundscape diversity in accordance with three landscape types(ridges, hillsides, and valleys).

      • 산지 내 풍력발전단지 입지 적합성 분석

        권순덕 ( Soon Duk Kwon ),김원경 ( Won Kyung Kim ),김종호 ( Jong Ho Kim ),주우영 ( Woo Yeong Joo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기존 전력생산방식의 부정적 영향으로 인해 환경친화적 신재생에너지의 수요와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지 내 풍려발전시설에 관한 공간계획 지원을 위한 툴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산지에 적합한 풍력발전단지 입지 요인들을 선정하고 산지 내 풍력발전단지의 입지 적합성 분석 기법 개발 및 평가 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외 사례 및 현장조사를 통해 산지 내 풍력발전단지 입지 선정을 위한 입지 요인과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입지 적합성 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여 관련 법적 산지보전지역과 그 주변지역에 대한 배제지역을 설정하고 풍력발전단지 입지분석을 위한 적합성 분석 기법을 개발하였다. 풍력발전단지 입지 적합성을 분석하기 위해 공간자료 DB를 구축하고 GIS 중첩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입지평가도를 작성하였다. 입지평가도는 백두대간 보호지역의 핵심구역과 완충구역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시나리오1)와 핵심구역만 배제지역으로 선택한 경우(시나리오2)로 나누어 작성되었다. 본 연구는 풍력발전단지 입지 가능 지역 및 분포 현황을 살펴보고, 도출된 입지요인들을 이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의 풍력발전 입지 적합 분포도를 작성함으로써 풍력발전단지 설치의 정책 의사 결정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ue to the negative impact on the environment of traditional power-generating methods, the demand and importanc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renewable energy has been rising in recent years.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ools to support spatial planning in relation to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in Korea.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the suitability for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and to suggest a guideline for a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o achieve these goals, this research selected factors for the location of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and developed the suitability analysis methods of wind farm facilities for providing the preliminary data by examining existing research and conducting field surveys. In addition we drew exclusion criteria of forest conservation and surrounding areas to develop the suitability methods for wind farm facilities. For the suitability analysis of wind farm facilities, we first constructed spatial database, implemented GIS overlay analyses, and finally made locational assessment maps. There were two scenarios as follows: 1) both Baekdudaegan core zone and buffer zone were selected for exclusion areas, and 2) only Baekdudaegan core zone was selected for exclusion areas. This research can play a key role for decision-making of building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 제3분과 : 야생동물 ; 음성녹음장치에 의한 조류군집의 평가와 경관요소에 따른 조류군집비교

        유승화 ( Seung Hwa Yoo ),한현진 ( Hyun Jin Han ),김동원 ( Dong Won Kim ),주우영 ( Woo Yeong Jo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현장에서의 조사만이 아닌, 음성녹음장치(Song-meter)에 의한 조류군집의 평가와 함께 이를 통해 경관요소에 따라 조류군집을 비교하였다. 조사 대상지는 점봉산 내의 곰배령과 조침령 유역 구간, 그리고 소백산 국립공원의 죽령과 고치령 구간으로 총 4개 산림유역이었으며, 조사지점은 조사경로의 길이에 따라 곰배령은 8개, 조침령은 11개, 죽령은 14개, 고치령은 15개 기본조사지점으로 하였다. 시기는 2012년 8월부터 2012년 2월까지 5차례의 현장조사와 음성녹음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한, 녹음장소에서 발견되는 조류상과 녹음된 조류의 기록이 얼마나 일치하는지 혹은 사람에 따라 다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검증을 실시하였다. 녹음과 현장조사는 지점당 5분씩 실시하였으며, 50m 이내 지역에 대하여 청음과 육안 및 쌍안경을 사용하였다. 녹음 취득은 SONY PCM-D50을 이용하였고, 최대주파수 22kHz, 파일유형은 음질을 고려하여 Wave 파일로 저장하였다. 현장조사와 함께 진행되었던 지점별 동시녹음조사와 달리 곰배령과 죽령의 2개 지점에 한시간단위로 5분간 녹음을 실시하는 고정조사지를 설치하였다. 고정조사구의 녹음은 Wildlife Acoustics SM2+를 이용하였으며, 녹음 시간은 06시에서 19시까지로 한정하였다. 전체 녹음은 11월 6일에서 14일까지 녹음한 것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녹음된 음원의 분석은 Cooledit20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소리를 재생하면서 스펙트로그램을 활용하여 조류의 소리를 구분하였다. 그 중 조류의 소리는 번식음(Song)과 경계음(Call)을 구분하여 종별 횟수를 기입하였다. 번식기가 아닌 경우 비번식음은 종간 구분이 매우 힘들기 때문에 구분이 힘든 경우 과(family) 수준에서 구분하였다. 소리분석의 경우 개인의 경험에 의한 차이와 함께, 자연의 배경음에 섞이어 나타날 경우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동일한 소리자료를 3인의 조류전문가가 각각 동정결과를 제출하여 분석하였다. 곰배령, 고치령, 죽령, 조침령의 8월 초에서 2월 말까지 현장조사에서 총 39종 합계수 688개체가 조사되었다. 번식기가 아닌 상황에서 종다양도가 2.9로 높은 종다양성을 나타내었으며, 곰배령 지역이 가장 높은 종다양도를 보였다. 곰배령 지역은 우수한 산림보전상태를 보였으며 계곡지역의 저지대 완경사면이 발달되어 높은 종다양도와 우수한 서식종의 수를 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조사지역이 능선부위가 많이 선정되었던 조침령의 경우에는 낮은 종다양성을 나타내었다. 현장조사와 녹음조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녹음한 파일을 세명의 전문 조사자에게 블라인드 테스트로 분석을 의뢰한 후 비교하였다. 분석대상 자료는 점봉산 곰배령과 소백산 죽령에 각각 설치하였던 고정조사 songmeter의 자료와 함께 현장조사에서 실시한 것을 포함하였다. 세명의 조사자에게 모두 기록된 종은 흔히 관찰되는 텃새이거나 울음소리가 매우 명확한 종에 해당하였다. 이에 반하여 1명의 조사자에게서만 기록된 종은 비교적 흔하지 않거나 소리가 유사하여 혼동되거나 개인적으로 친숙한 조류의 음향을 가진 경우였다. 모든 조사자에 의하여 조사되었을 때 1명의 조사자에게만 기록된 경우는 14종으로 36.8% 이었으며, 2인 혹은 3인 모두에게 기록된 경우는 12종으로 31.6% 이었다. 이는 비번식기에 조사된 것이라 혼동의 여지가 많았기 때문이라 판단되었다. 하지만, 각각 분석자의 기록종의 종수의 최대값을 이용한다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만들어 낼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통하여 곰배령 등 현장에서 조사된 군집지수의 결과와 녹음자료 분석결과를 비교해본 결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명의 조사자가 녹음파일을 분석한 각 지점별 종 수의 최대값은 현장조사결과에서 종의 수, 종다양도, 종풍부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개체수나 종균등도와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고정식 녹음장치에 의하여 수집된 소리자료를 분석한 결과, 조류 종의 수와 울음소리의 횟수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녹음시기가 11월이었기 때문에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조류의 활동빈도(소리의 횟수)는 오후보다는 오전이 더 많이 나타난 것이 특징이었다. 녹음결과의 비바람 등에 의한 영향은 두드러지게 나타났지만,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출현종이나 울음의 횟수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형(구릉지, 산정, 산복, 계곡)에 따른 조류의 종수와의 상관관계는 녹음에 의한 결과와 현장조사에 의한 결과에서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구릉지에서 가장 많은 서식종이 확인되었으며, 산정과 산복 부근에서 낮은 서식 종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일반적으로 저지대의 구릉지에서 생물생산성이 높은 것을 보여주었다. 종다양도와 종풍부도에 있어서도 녹음에 의한 결과와 현장조사에 의한 결과는 유사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형 유형 중 구릉지와 평탄지에서 가장 높은 종다양도와 종풍부도가 나타났다. 저지대 및 구릉지는 생물생산성 뿐 아니라 서식지의 다양성에 있어서도 조류의 다양한 서식을 유도하며 조류의 종다양성 및 종풍부도의 측면에서도 같은 경향을 확인하였다. 경관유형(계곡과 능선, 산중턱, 산정상)에 따른 조류종수와의 상관관계는 녹음에 의한 결과와 현장조사에 의한 결과 모두 유사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경관유형 중 계곡에서 가장 많은 서식종이 확인되었으며, 능선과 산중턱 부근에서 낮은 서식 종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일반적으로 물이용 가능성이 풍부한 계곡부에서 조류의 서식지 선호성이 높은 것을 보여준 것이다. 결과적으로 조류의 소리녹음에 의한 조류군집의 평가는 종다양성 및 종 풍부도의 차원에서 좋은 지표로 활용될 수있었다. 또한, 동일한 시간대의 표본을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은 조사자의 부족 및 현장출장일의 부족 등을 보완해 줄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특히 동일시간대에 조사를 하는 것이 필요한 연구구상의 경우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최근 부각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의한 조류의 도래시기 변화 등 장기적인 모니터링에 활용 될 경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사후분석시간이 필요하다는 단점과 함께 녹음된 음원을 분석할 사람이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음성녹음에 의한 조류군집의 조사는 조사자에 의한 현장조사에 비하여 많은 서식종을 확인할 수는 없겠지만, 객관적인 비교를 할 수 있음으로서 대상지를 비교연구해야 하는 경우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었다.

      • KCI등재

        VI분과 :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산림경관 선호도 평가에 관한 연구

        민수희 ( Su Hui Min ),이천용 ( Chun Yong Lee ),주우영 ( Woo Yeong Joo )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3

        본 연구는 산림에서의 여가, 휴양 및 산림복지 등 녹색서비스와 공익적 가치 증대로 산림경관 조성과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다원적 가치를 지닌 산림경관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산림경관선호도 평가 및 경관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백두대간 보호지역 내 점봉산, 소백산 산림경관을 대상으로 시·청각 경관형용사를 활용한 경관평가를 실시하고 사운드스케이프 유무에 따른 산림경관 선호도 및 선호요인, 경관유형별 경관특성(자연성, 음향성, 매력성, 심미성)을 도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사운드스케이프가 산림경관 선호도와 경관특성에 긍정적인 상관성을 지녀 이용자의 산림경관 선호도와 경관의 질적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된 본연구결과는 산림경관을 보는 경관뿐만 아니라 듣는 경관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계기이자 산림경관 내 사운드스케이프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oundscapes on forest landscape preference in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The study sites were selected in Jeombongsan and Sobaek National parkselected within the Baekdudaegan. The landscape preference surveys were conducted by using landscapeadjectives classified with Nature, Sound, Attractiveness, and Aesthetics. The comparative analyses examined thedifference of preferences between only visual landscapes and visual landscapes with soundscapes. The researchfound out that soundscapes were associated with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mprovement in landscape preference. Thus, the research can infer that forest landscape assessment considervisual attributes as well as soundscape cues.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후변화와 연계된 생태계서비스 연구 동향분석

        서자유 ( Seo J A-yoo ),최요한 ( Choi Yo-han ),백지원 ( Baek J I-won ),김수경 ( Kim Su-kyoung ),김호걸 ( Kim Ho-gul ),송원경 ( Song Won-kyong ),주우영 ( Joo Woo-yeong ),박찬 ( Park Chan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1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4 No.6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cosystem service patterns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acceleration utilizing big data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use big data analysis as one of the network of views to identify convergent thinking in two fields: climate change and ecosystem service. The keywords were analysed to ascertain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perceiving problems, policy direction, climate change implications, and regional difference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research keywords of each continent, the centre of ecosystem service research, and the topics to be referred to in domestic researc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keyword centrality of climate change is similar to the detailed indicators of The Intergovernmental Science-Policy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PBES) regulations, content, and non-material ecosystem services. Second, the cross-analysis of terms in two journals showed a difference in value-oriented point; the Ecosystem Service Journal identified green infrastructure as having economic value, whereas the Climate Change Journal perceives water, forest, carbon, and biodiversity as management topics. The Climate Change Journal, but not the former, focuses on future predictions. Third,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opics according to continents showed that water and soil are closely related to the economy, and thus, play an important role in policy formulation. This disparity is due to differences in each continent'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economic and policy issues. This fact can be used to refer to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ecosystem services in Korea. Consistent with the recent trend of expanding research regard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study strategies to scientifically predict and respond to the negative effects of climate change.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