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고지도 연구의 최근 동향과 과제 : 전문학회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김기혁(Kim, Kihyuk)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8 한국고지도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2008년 창립된 <한국고지도연구학회>의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최근 10년간 한국 고지도의 연구 동향과 문제점,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지도학회는 초기에 비교적 소규모로 창립되었지만 적극적인 학술 활동을 수행하였다. 학술대회는 고지도를 소장한 박물관·도서관과 연계하여 개최되었으며 이를 통해 국내·외 학자들과의 교류도 이루어졌다. 학회 논문집은 지속적인 발간을 통해 고지도 연구의 중심 학술지가 되었다. 관련 학회에서도 고지도 연구 논문이 적지 않게 발표되었다. 최근의 연구 주제는 지도 발달사 분야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영토·영해 문제를 포함한 역사지리학 분야와 함께 회화사 분야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외에 서지학 분야와 함께 풍수·지명 관련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시기의 연구에서 두드러진 변화는 『대동여지도』 연구 경향의 변화이다. 이전에는 지도학적인 발달 측면에서 연구되었으나, 모사본을 비롯한 여러 판본들이 소개되었고, 목판의 수정 내용을 바탕으로 지도의 제작 단계와 사회에서 유통되는 내용이 연구되고 있다. 고지도의 연구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첫째로는 종래의 단순한 지도 소개의 차원을 극복하기 위해 ‘과학으로서의 고지도학’에 대한 깊은 성찰이 요구되며, 연구자들은 지도의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로는 고지도 연구의 현장인 소장 기관과의 협력 관계를 보다 긴밀히 해야 하며, 기관들의 연대를 유도하여 고지도 연구의 전문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셋째로는 학회 창립의 모체가 된 문화재 지정사업의 재개와 연구자들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해외 고지도 조사사업의 실시를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gress for the last 10 years and present the prospect of research of old map in Korea, focusing on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of Old Maps>. This academic society was initially established at a relatively small scale, but actively engaged in academic activities. The conference was held in conjunction with museums and libraries with exchanges with domestic and overseas scholars. Academic journals have become a central space for high-level research through continuous publication. The popular topics covered in these papers are the cartographic development, along with the field of historical geography. In addition to the field of bibliography, research on feng-shui and place-names was conduct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research trend of this period is the study of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In the past, it has been focused in terms of the cartography of maps, but with the introduction of several manuscripts editon, diffusion of map in society was analy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ange of researches give many implications for the prospect of academic activities. In order to raise the level of research, a deep reflection on old map research as a science is required to overcome the level of conventional introduction of old map at first. Second, we need to cooperate more closely with institutes, and can solve the problem of lack of expert manpower in old map research by inducing institutions solidarity. Third, efforts should be made to resume the designation of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project of old map, and to carry out the project to investigate the old map in foreign countries.

      • KCI등재후보

        독일 지도학자 Siebold의 생애와 업적

        남영우,김부성 한국지도학회 2009 한국지도학회지 Vol.9 No.1

        본 연구는 일본에서는 높게 평가되는 인물이지만 Hamel에 이어 한국을 서양에 알린 두 번째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지도학계에서는 별로 주목을 받지 못한 Siebold의 일생과 업적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특히 의사인 동시에 지도학자 혹은 지역연구가로서의 Siebold가 어떤 삶을 살았으며, 그의 출생부터 학창시절의 자료를 검토함으로써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Siebold는 의사 가문에서 성장하였으나 외삼촌의 영향을 받아 다방면에 걸쳐 지적 호기심을 가지고 노력하여 의학자․식물학자․지도학자․지역학자가 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가 재작성한 「일본변계약도」에는 울릉도와 독도를 한국령으로표시하였고, 「朝鮮全圖」는 한국에서 제작된 지도가 16세기 경 일본으로 전달되어 1785년 하야시[林]에 의해 모사된 된 것이 일본 국내에 유포된 타미야[田宮]의 「朝鮮八道之圖」일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Siebold가 제작한 「일본지도」는 유럽 지도에울릉도와 독도를 혼동하게 만든 계기가 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life and achievement of Siebold who has not been widely recognized in Korean cartographicsociety even though he introduced Korea to the west only after Hamel. In particular, this study considers Siebold’s lifeas a doctor, cartographer, and regional specialist and corresponding hi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by examiningdocuments from birth through school periods. The result shows that Siebold was born and raised under the influenceof doctor family. However, his uncle inspired him to study various fields, and he became a doctor, botanist, cartographer,and regional specialist after all. In particular, he regenerated ‘Map of Japan and Neighboring Countries’ where Ulleungdoand Dokdo were marked as Korean territory. In addition, ‘Chosun-jundo’, made by Siebold also, suggests strong possibility of Korean maps’ influence to Tamiya’s ‘Chosun-paldojido’. Reflected by ‘Chosun-jundo’, Korean maps were diffused to Japan in 16th century and imitated by Hayashi in 1785, and the imitated map were most likely distributed as Tamiya’s ‘Chosun-paldojido’. Seibold’s ‘Map of Japan’ brought confusion to European cartographic societies differentiating Ulleungdo and Dokdo.

      • KCI등재후보

        고지도가 증명하는 독도의 영유권

        이상태 한국지도학회 2009 한국지도학회지 Vol.9 No.2

        독도는 512년에 신라의 영토로 편입한 이래 우산도(于山島)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는 한국의 영토였으며 일본은 오랫동안 울릉도를 죽도, 독도를 송도라고 부르며 한국의 영토로 인정하였었다. 그러나 일본은 1905년에 독도를 불법적으로 그들의 영토로 편입하고는 죽도(竹島)라고 칭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많은 지도들이 증명하는 것처럼 독도는 엄연한 한국 땅이다. 일본에서 간행된 공식지도에도 독도를 한국의 영토로 인정하였으며, 19세기 들어와 제작된 300여종의 일본지도에서도 독도는 한국 땅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 외에 서양에서 제작된 많은 지도에서도 독도는 한국 땅으로 인정받고 있다. Dokdo had been part of Korean territory since 512 when it belonged to Silla as a name of Usando and Japan had recognized Ulungdo & Dokdo as a Korean territory calling them Jukdo & Songdo. However in 1905, Japan changed its name to Jukdo and included to their territory by force. However it is the nexorable fact that “Dokdo is Korean territory” as we can find many evidences from Korean old maps. Even the official map issued by Japan and more than 300 kinds of maps of Japan in 19th century were recognizing Dokdo as a territory which belongs to Korea. Besides, we can see many of old Western maps showing Dokdo as a Korean territory.

      • KCI등재

        구글사의 위성영상과 미국의 지명위원회 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난 일본식 지명연구 : 미국 군사지도와의 관련성 측면에서

        박경 한국지도학회 2011 한국지도학회지 Vol.11 No.2

        미국의 한국전 참전용사를 위한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 중인 242매의 1:50,000 축척의 지도를 분석하였다. 미육군지도창에서 발간된 지도에 대하여 지도제작을 위한 데이터 수집방법과 제작연도 및 지명표기를 위해 사용된 언어를 중심으로 난외주기를 읽어서 정리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240개 지도가운데 91개 도엽의 지도는 1910년대와 1930년대에 발간된 일본이 제작한 지도를 그대로 복제한 것이며, 24개 지역의 지도는 일본이 제작한 지도를 기반으로 재제도한 것이다. 가장 많은 수인 125개 도엽은 일제 강점기의 지도에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 전후로 미군이 수집한 항공촬영정보를 보완하여 편집한 지도이다. 일본식 지명은 복제된 지도와 대부분의 편집된 지도에 그대로 나타나며, 이들이 미국의 국가지리정보국에서 운영 중인 지명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게 되고 현재까지도 이칭의 형태로 남아 구글 어스 지도와 같은 인터넷 매체에 발견되는 오류의 근원이 되고 있다. Two hundred forty topographic maps stored in Korean War Project site have been analyzed. Data collection methods, year of publication, and languages used for place names have been analyzed through marginal note of each map produced by Army Map Service. Ninety-one maps are direct copies of apanese topographic maps published in 1910s and 1930s. Twenty four maps are redrawn after Japanese topographic maps. One hundred twenty five maps are compiled from Japanese maps and aerial survey data collected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nd Korean War. Japanese place names for the Korean places appear in the copied and compiled maps.These names are stored as variants in GeoNames database run by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of the USA. This database seems to be the origin of errors occasionally found in Google Earth maps.

      • KCI등재

        모리스 꾸랑(Maurice Courant)의『韓國書誌』 Bibliographie Core´enne에서 나타나는 고지도 자료 연구

        정대영(Jung Dae-Young)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1 한국고지도연구 Vol.3 No.1

        본 논문은 100여 년 전 모리스꾸랑(Maurice Courant)에 의하여 서술된『韓國書誌』Bibliographie Coréenne에서 확인되는 韓國本古地圖자료에 대한 기초적 연구이다. 모리스꾸랑은 본문에서 총 57종의 고지도를 언급하고 있다.(실제로는 50종으로 확인됨.) 이 중에서 현재 소장처가 확인되어 향후 원문의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것은 총 18점이었다. 또한 국내에서 기존에 복제한 국립중앙도서관의 마이크로필름자료를 통해 동양어학교에 있는 고지도 자료중에서 13종의 지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확인된 자료에 대해서는 간략한 서지사항을 수록하였다. 최근 들어 여러 학자들의 연구를 통하여 파리국립도서관(BNF) 지도자료실, 동양어학교, 기메박물관 이외에도 한국본 고지도가 있다는 사실이 추가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는 바이다. This is a base study about Korean old maps recorded in Bibliographie Coréenne written by Maurice Courant(1865~1935). He mentioned total 57 kinds old maps in it(but in effect, 50 kind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from among these, one confirmed possession organization is total 18 kinds. I confirmed 13 kinds Korean old maps in Institut ‘Nationale des Langues et Civilisation Orientales’ microfilms(copied by Korean national library). Therefore, separate bibliography data of 13 kinds Korean old maps are included in this paper. In recent years, through several scholars research out of existing Korean old maps have been identified.

      • KCI등재

        『한국지명총람』(1966-1986)의 수록 고지도 연구

        김기혁(Kim, Ki-hyuk)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20 한국고지도연구 Vol.12 No.1

        이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명 사전인 『한국지명총람』(1966-1986)에 수록된 고지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전체 197곳의 도・시(군)에 213점의 지도가 수록되어 있으며 47곳에는 누락되어 있다. 시(군)별로 1점의지도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1914년 통합된 고을의 지도를 함께 수록하면서 일부에서는 2~4점이 실려 있다. 누락된 곳은 도시화로 행정구역이 분리됨에 따라 중복을 피하기 위한 경우이다. 지도 유형을 보면 각 도의 앞부분에 『대동여지도』를 배치하였다. 시(군)의 군현지도는 편찬 초기에는 다양한 유형의 지도를 수록하였으나 후기에는 『여지도서』를 주로 사용하였다. 이는 당시 이 책이 영인 보급되어 자료 수집이 용이하였기 때문이다. 사전의 편찬 당시의 출판 환경을 볼 때 고지도를 수록하려는 기획 시도는 높이 평가된다. 그러나 지도 편집과 설명에서 적지 않은 오류를 빚고 있다. 원본 지도를 변형하거나 임의로 「지도제」를 기재한 경우도 적지 않으며, 서지 정보도 실제와 다른 경우가 많다. 지명 설명에서 고지도를 인용한 경우는 없으며 단지 시(군)의 역사지리적인 이미지를 보여주는데 그치고 있다. 이는 고지도 지식이 부족한 상태로 수록한 것에 기인한다. 지명 설명에서 역사성이 중요함을 비추어 볼 때 차후 기명사전 편찬에 고지도 수록 방법이 심도있게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and types of old maps used in the Dictionary of Korean Place Name(韓國地名總攬, 1966~1986) which is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dictionary of Korean geographical names. A total of 197 provinces and counties contain 213 maps, while 47 counties are missing. In principle, one map is included for each county, but in some counties 2~4 county old maps were inserted because administrtive districts were intergrated in early 20th century. In some counties, maps are missing due to avoid overlapping as some districts are separated by urbanization especially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erms of the type of old map, most of the provinces used the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1861). In case of count maps, various types of map were used in early stage of publication. But in the latter phase, maps in the photocopy of Yeojidoseo(『輿地圖書』, 18C) were mainly used. Including old maps in gazetteer in the beginning of publication(1960s) is highly respectable in terms of poor conditions. But, the editing and explanation of the map is causing considerable errors. In many cases, images of original map has been modified or map title has been entered arbitrarily, and the bibliography information is often different from the facts. Place names in old maps are not used in the explanation of geographical names at all. Role of old maps in this dictionary is showing only the simple historical geography of counties. Those are due to the lack of knowledge of old maps. Given the importance of historicality in the description of geographical names, method of including of old map in dictionary should be discsussed in depth.

      • KCI등재

        20세기 초반 영국 정부와 지도학자들이 수집한 한국 관련 지도 자료에 대한 고찰

        김종연 한국지도학회 2012 한국지도학회지 Vol.12 No.1

        한반도와 주변 수역의 이름에 대한 논의는 국제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의 과정에서 유럽에서 제작된 다양한 지도상에 나타나는 수역의 명칭에 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으나, 실제 어떤 자료가 각 국가들의 지명에 대한 입장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파악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국립기록보존관이 소장하고 있는 1920년대 이전에 간행된 한국과 한반도 주변 지역에 대한 지도 자료들을 조사하였다. 해당 자료들은 영국 정부의 공문서로 남은 자료들로 당시 영국정부가 직접 제작하거나, 수집한 지도 자료들로 구성되어있다. 여기에는 영국전쟁성의 자료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별도로 다루었다. 당시 영국 정부는 항해와 군사적인 목적으로 보았을 때 실용적인 자료들, 그리고 근대 지도학적인 관점으로 보았을 때 가치가 있다고 추정되어진 자료들을 주로 수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19세기 중반 이후에 간행되고, 경위선과 삼각점과 같은 근대 측량의 기법에 가까우며, 위치 정보가 명확히 드러나 있는 자료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영국 정부 자체가 생산한 한국에 관한 자료들은 중국과 일본에 주재하던 영국군 무관들에 의해서 수집, 제작되었으며, 일본이 제작한 지도들이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에 대한 전면적인 근대적인 방식의 측량이 한국의 국권 상실 이후 이뤄진 것을 감안한다면, 지리적 좌표 등에 대한 사항은 불가피한 면이 있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앞서 논의한 것과 마찬가지로 당시의 지리정보에 대한 정의에는 당시의 근대적 사고가 배경에 깔려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당시 영국 정부 기관과 지도 제작자들은 지도에 표기하기 위한 지명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본에서 획득된 정보들을 수합한 지명 요록을 사용하였다. 특히 영국 외교관인 어네스트 사토우, 일본인 곤도 마코토, 고토 분지로의 한국 관련 지명의 정리가 당시 서양 국가들의 한반도와 인근 지역 지명의 표기에 상당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Geographical name of the sea between Korean peninsular and Japan has been the issu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geographical name of the sea in this area, used in the map published by European cartographers or publishing company has been reported. However it has not been reported that which cartographic material was used by the governments or officials as major reference on the issue of geographical name. Maps and cartographic materials on Korea published before 1920's in the National Archive, UK were analyzed. These materials are the government documents or official map collections by War office, U.K. It is found that the British government collected the maps which contains the cartographic information, like geographical positions, longitude and latitude. Other maps, published by Chosen (Korean) government were not collected. British government officials or soldiers, stationed or worked in China or Japan collected and edited the geographic information on Korea. It should be mentioned that the British government has a their own standard on the value of geographic (mainly cartographic) informations based on traditional view on the 'scientific mapping' and maps. The information on the geographical names of Korea were collected and translated in Japan. A British diplomat Ernest Satow translated geographical name of Korea for British government. He also published a geographical gazetteer of Korea. Japanese navy official Kondo Makoto and Japanese geologist Koto Bunjiro also provided the information to european map publishers.

      • KCI등재

        GIS 기반의 기후지도 제작 방안

        정재준,박가인비,최영은 한국지도학회 2013 한국지도학회지 Vol.13 No.2

        우리나라는 1962년과 1991년 기후표준평년값을 기반으로 한국기후도를 발간하였으며, 2001년에 이어 2012년까지 총 4회의 한국기후도를 발간하였다. 특히 2012년 발간된 한국기후도는 기존 수작업에 의해 등치선 중심으로 제작하였던 기후도의 틀을 벗어나 GIS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본 논문은 GIS를 기반으로 제작한 한국기후도의 발간과정에서 발생했던 문제들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지도가 단순한 지도에서 GIS DB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 베이스맵 구축에서 지도데이터 구축과 관측지점 위치성과 관리방안을 제시하였고, 내삽방법에서는 크리깅과 행정구역 내삽법을 제시하였으며, 범례 급간 및 색상지정에 대해서는 데이터에 맞는 급간의 분류와 색상 테이블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GIS 기반의 기후지도를 지속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시하면서 기후지도가 단순 지도에서 GIS DB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Korean government published climate atlas 4 times in 1962, 1991, a2001, and 2012. Especially, 2012 climate atlas of korea was generated using GIS-based technology replacing conventional manual contour drawing techniques. This study aims to solve some problems occurring in climate map making processes and propose some policies to convert climate maps from simple maps to GIS databases. In base map generation, base map generation methods and quality control methods of observation stations are proposed. In interpolation, kriging and polygonal interpolation methods are proposed and class intervals and color scheme are designated. Futhermore, future environments and some policies to generate climate maps are proposed.

      • KCI등재

        미군정 서울 지도의 서지학적 분석

        이민부,김걸 한국지도학회 2015 한국지도학회지 Vol.15 No.2

        1945년 해방을 맞이한 후 1954년까지 한국은 해방과 미군정, 그리고 한국전쟁 등으로 거의 10년간 국토의 지도 제작에 대한독자적인 관심을 가질 수 없었다. 그 당시에 사용된 지도는 미군 지도가 유일하다. 현재 텍사스 대학이 소재하고 있는 1946년, 1951년에발간된 미육군지도창 제작 서울 지도가 온라인으로 공개되어 있다. 이에 반해 UTM 좌표계로 재편집된 1951년의 미군정 지도는 한국에서 희소한 자료로 판단된다. 이들 미군정 지도는 군사작전과 지형 및 도시경관 변화 연구에 매우 유익한 당시의 정보를 제공한다.이 연구의 목적은 1946년 초판 발행되고 1950년 재편집되었으며, 1951년에 발간된 미육군지도창에서 UTM 좌표계로 제작한 서울 중심부의 지도를 서지학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먼저, 미군정 지도의 발달과정을 고찰한다. 그 다음으로, 온라인 공개된 미군 지도와 UTM 좌표계로 재편집된 미군정 지도의 서지학적 특성을 비교한다. 특히, 좌표체계, 축척, 방위, 투영법, 지명, 행정구역, 범례, 출처,용도 등 지도의 기본 구성 요소별 특징을 고찰하고 색필로 수기된 내용의 지리적 의미를 고찰한다. 본 지도는 서울의 토지이용과경관의 변화를 연구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Korea had experienced the recession of the map publishing and cartography from 1945 of liberation to 1954,one year after Korean War in Korea. Korea could not have an independent interest on mapping about national territory for approximately 10 years due to a series of the periods of liberation, under-control of the U.S.A. military government, and Korean War. The only map used at that time was one for the military of the U.S.A. The most popular map open in the online is now located i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nd was produced by the Army Map Service in 1946 and 1951. The map of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e U.S.A. re-edited by using UTM coordinate system in 1951 is a rare and so valuable document. It provides very useful information for the research on the military operations and the changes in geomorphology and urban landscape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oul map produced by the Army Map Service in 1951 bibliographically. Thus, firstly this study simply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ilitary map. Secondly, the maps of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e U.S.A. will be compared. Thirdly, the basic components of the maps will be investigated by coordinate system, scale, direction, projection, geographic name, administrative unit, legend, source, application, and meaning of hand-written marking. In the near future, this study on the maps of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e U.S.A. will be the research bases for land cover and use, geomorphic change, and urban landscape in Seo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